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국민행복지표 개발 연구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8
청구기호
152.42 -19-6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i, 415 p. : 삽화, 도표, 서식 ; 26 cm
총서사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 18-13-01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5672532
제어번호
MONO1201925499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책임자: 조병구
부록: 1. 세부 변수별 지수 분석 자료 ; 2. 부탄의 국민총행복지수(GNHI) ; 3. '국민행복'에 관한 일반 국민 설문조사 외
참고문헌 수록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5

Abstract 6

제1장 서론 19

제1절 한국형 행복지표 개발의 의의와 배경 19

1. 새로운 성장전략과 행복 19

2. 국민행복 추구는 새로운 한국형 국민지표 개발과 함께 22

제2절 선행연구 및 기존 지표 분석 24

1. 행복연구의 시대별 흐름 24

제3절 국내외 행복지표 사례 29

1. 국내 행복지표 사례 29

2. 국외 행복지표 사례 35

3. 소결 49

제2장 국민행복지표 개발 및 국제비교 57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57

제2절 국민행복지표 체계 60

1. 지표체계의 구성 및 특징 60

2. 데이터 특성 및 분석방법 64

제3절 국민행복지표 분석 결과 70

1. 글로벌 트렌드 70

2. 분야 및 국가별 특성 82

3. 한국의 위상 110

제4절 분석 결과 응용 115

1. 유사 행복지표와의 비교 115

2. 국민행복 결정요인 분석 121

제5절 지표의 개발과 활용 130

1. 연구 결과 요약 130

2. 연구 결과의 활용 134

제3장 한국인들의 행복과 행복요인(설문조사, FGI) 136

제1절 설문조사 136

1. 조사 개요 136

2. 조사 내용 및 분석 결과 137

3. 조사 결과 요약 224

제2절 집단토론 227

1. 집단토론 설계 227

2. 집단토론 결과 분석 234

3/2. 소결 282

제4장 결론 285

제1절 요약 285

1. 한국인의 행복과 국민행복지표 개발 285

2. 지표 분석 결과 287

3. 한국인의 행복과 행복요인: 설문조사 결과 289

4. 한국인의 행복과 행복요인: FGI 결과 294

제2절 정책적 함의 302

1. 새로운 성장전략 패러다임의 구축 302

2. 행복 증진과 사회적 격차 303

3. 영역별 '불안'에 대한 모니터링 실시 304

참고문헌 305

[부록 1] 세부 변수별 지수 분석 자료 308

[부록 2] 부탄의 국민총행복지수(GNHI) 335

[부록 3] '국민행복'에 관한 일반 국민 설문조사 350

[부록 4] 일과 행복의 동적관계에 관한 연구 362

판권기 432

〈표 1-1〉 세계행복지수 순위 22

〈표 1-2〉 국민행복 관련 정책연구보고서 26

〈표 1-3〉 통계청 '국민 삶의 질 지표'의 지표 구성 30

〈표 1-4〉 현대경제연구원 '경제행복지수'의 지표 구성 31

〈표 1-5〉 국가미래연구원 '국민행복지수'의 지표 구성 33

〈표 1-6〉 보건사회연구원의 행복결정요인 가중치와 행복 수준 34

〈표 1-7〉 UN '세계행복지수'의 7가지 구성요소 36

〈표 1-8〉 OECD의 'Better Life Index'의 구성요소 및 한국의 순위 37

〈표 1-9〉 캐나다의 웰빙 지수 구성 지표 39

〈표 1-10〉 영국의 국가적 웰빙 측정의 구성요소 41

〈표 1-11〉 일본의 웰빙 측정의 구성요소 44

〈표 1-12〉 부탄 '국민총행복지수'의 영역별 지표와 가중치 48

〈표 1-13〉 국내 행복연구의 지표체계 비교 50

〈표 1-14〉 해외 지표체계 비교 52

〈표 2-1〉 국민행복지표 체계 61

〈표 2-2〉 ISSP 조사 중 국민행복 관련 데이터 가용성 63

〈표 2-3〉 국민행복지표와 기존 행복지표 간 지표체계 비교 64

〈표 2-4〉 세부 변수 출처 및 원자료 65

〈표 2-5〉 세부 변수 특성 및 결측값 추정방법 67

〈표 2-6〉 대분류 긍정적 요인 및 하위분류 지수의 OECD 평균 변화 71

〈표 2-7〉 대분류 부정적 요인 및 하위분류 지수의 OECD 평균 변화 74

〈표 2-8〉 대분류 긍정적 요인 및 하위분류 지수의 OECD 변동계수 변화 77

〈표 2-9〉 대분류 부정적 요인 및 하위분류 지수의 OECD 변동계수 변화 80

〈표 2-10〉 대분류 긍정적 요인 지수 82

〈표 2-11〉 중분류 물질적 기반 지수 84

〈표 2-12〉 소분류 소득 지수 85

〈표 2-13〉 소분류 고용 지수 86

〈표 2-14〉 소분류 교육 지수 88

〈표 2-15〉 소분류 건강 지수 89

〈표 2-16〉 소분류 주거 지수 90

〈표 2-17〉 소분류 환경 지수 92

〈표 2-18〉 중분류 사회적 기반 지수 93

〈표 2-19〉 소분류 가족 지수 94

〈표 2-20〉 소분류 사회관계 지수 96

〈표 2-21〉 소분류 공동체생활 지수 97

〈표 2-22〉 소분류 문화여가생활 지수 98

〈표 2-23〉 소분류 안전 지수 100

〈표 2-24〉 대분류 부정적 요인 지수 101

〈표 2-25〉 중분류 물질적 격차 지수 102

〈표 2-26〉 소분류 소득격차 지수 104

〈표 2-27〉 소분류 고용격차 지수 105

〈표 2-28〉 중분류 사회적 격차 지수 106

〈표 2-29〉 소분류 성별격차 지수 108

〈표 2-30〉 소분류 세대갈등 지수 109

〈표 2-31〉 한국의 대분류 영역별 지수 변화 111

〈표 2-32〉 한국의 중분류 영역별 지수 변화 112

〈표 2-33〉 국민행복지표로 살펴본 한국의 위상 변화 113

〈표 2-34〉 기존 행복 수준 및 주관적 삶의 질 측정 지표 115

〈표 2-35〉 행정연구원 사회통합실태조사의 삶의 만족도 조사 결과 추이 116

〈표 2-36〉 유사 행복지표들과의 국가별 순위 비교 117

〈표 2-37〉 유사 행복지표와의 상관계수 119

〈표 2-38〉 상대적 수준 그룹별 국가 분류(1990년) 122

〈표 2-39〉 상대적 수준 그룹별 국가 분류(2017년) 123

〈표 2-40〉 OECD 국가별 평균 및 패널자료 기초통계량 126

〈표 2-41〉 한국과 유사한 국가별 평균 및 패널자료 기초통계량 127

〈표 2-42〉 패널회귀분석 결과 129

〈표 3-1〉 연령대-성별 행복감 차이(연령대-성별) 139

〈표 3-2〉 연령대-성별 행복감 차이(학력별) 140

〈표 3-3〉 연령대-성별 행복감 차이(소득수준별) 140

〈표 3-4〉 연령대-성별 행복감 차이(직업별) 141

〈표 3-5〉 연령대-성별 행복감 차이(거주지역별) 142

〈표 3-6〉 행복 체감 분류(시점 기준) 143

〈표 3-7〉 연령대-성별 만족도 차이(1) 145

〈표 3-8〉 연령대-성별 만족도 차이(2) 145

〈표 3-9〉 연령대-성별 만족도 차이(3) 146

〈표 3-10〉 연령대-성별 만족도 차이(4) 146

〈표 3-11〉 학력별 만족도 차이(1) 147

〈표 3-12〉 학력별 만족도 차이(2) 147

〈표 3-13〉 학력별 만족도 차이(3) 147

〈표 3-14〉 학력별 만족도 차이(4) 148

〈표 3-15〉 소득수준별 만족도 차이(1) 148

〈표 3-16〉 소득수준별 만족도 차이(2) 148

〈표 3-17〉 소득수준별 만족도 차이(3) 149

〈표 3-18〉 소득수준별 만족도 차이(4) 149

〈표 3-19〉 직업별 만족도 차이(1) 150

〈표 3-20〉 직업별 만족도 차이(2) 151

〈표 3-21〉 직업별 만족도 차이(3) 151

〈표 3-22〉 직업별 만족도 차이(4) 152

〈표 3-23〉 거주지역별 만족도 차이(1) 153

〈표 3-24〉 거주지역별 만족도 차이(2) 153

〈표 3-25〉 거주지역별 만족도 차이(3) 153

〈표 3-26〉 거주지역별 만족도 차이(4) 154

〈표 3-27〉 현재의 행복감과 영역별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154

〈표 3-28〉 행복도 및 만족도를 활용한 LCA 분석을 위한 범주화 155

〈표 3-29〉 행복도-만족도를 활용한 LCA 분석 결과(연령대-성별) 158

〈표 3-30〉 행복도-만족도를 활용한 LCA 분석 결과(학력별) 159

〈표 3-31〉 행복도-만족도를 활용한 LCA 분석 결과(가구소득별) 159

〈표 3-32〉 행복도-만족도를 활용한 LCA 분석 결과(직업별) 160

〈표 3-33〉 행복도-만족도를 활용한 LCA 분석 결과(거주지역별) 161

〈표 3-34〉 기회, 성과를 갖지 못하거나 잃는 것에 대한 불안감 162

〈표 3-35〉 불안감과 행복감(시기별 행복 체감)간의 상관성 분석 163

〈표 3-36〉 영역별 불안감 여부와 행복-만족 집단 유형 간의 상관성 분석 164

〈표 3-37〉 사회시스템에 대한 불신과 행복감 165

〈표 3-38〉 사회시스템에 대한 불신과 행복감 간의 상관성 분석 166

〈표 3-39〉 패자부활전 없는 사회 관련 진술 동의 여부와 행복-만족 유형 간의 상관성 분석 167

〈표 3-40〉 세대 간 계층 상향 이동 가능성 168

〈표 3-41〉 세대 간 계층 이동 가능성에 대한 견해와 행복감 간의 상관성 분석 168

〈표 3-42〉 세대 간 계층 이동 가능성에 대한 견해와 행복-만족 집단 유형 간의 상관성 분석 169

〈표 3-43〉 사회적 격차 심화에 대한 응답 170

〈표 3-44〉 영역별 격차 심각성에 대한 응답 171

〈표 3-45〉 격차의 심각성에 대한 체감과 행복감 간의 상관성 분석 171

〈표 3-46〉 격차의 심각성에 대한 체감과 행복-만족 집단 유형 간의 상관성 분석 173

〈표 3-47〉 기회의 불평등에 대한 응답 174

〈표 3-48〉 기회의 불평등과 행복감 간의 상관성 분석 175

〈표 3-49〉 기회의 불평등과 행복-만족 집단 유형 간의 상관성 분석 176

〈표 3-50〉 능력, 노력에 비해 얻는 소득에 대한 평가 177

〈표 3-51〉 능력, 노력에 비해 얻는 소득에 대한 평가와 행복감 간의 상관성 분석 178

〈표 3-52〉 능력, 노력에 비해 얻는 소득에 대한 평가와 행복-만족 집단 유형 간의 상관성 분석 179

〈표 3-53〉 받는 대우의 공정성에 대한 응답 180

〈표 3-54〉 받는 대우의 공정성과 행복감 간의 상관성 분석 180

〈표 3-55〉 받는 대우의 공정성과 행복-만족 집단 유형 간의 상관성 분석 181

〈표 3-56〉 중요 결정과정의 공정성에 대한 응답 182

〈표 3-57〉 중요 결정과정의 공정성과 행복감 간의 상관성 분석 183

〈표 3-58〉 중요 결정과정의 공정성과 행복-만족 집단 유형 간의 상관성 분석 184

〈표 3-59〉 부와 부자에 대한 평가 185

〈표 3-60〉 부자가 되기 위한 중요한 요인 185

〈표 3-61〉 생활수준 비교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186

〈표 3-62〉 생활수준 비교와 행복감 간의 상관성 분석 186

〈표 3-63〉 생활수준 비교와 행복-만족 집단 유형 간의 상관성 분석 187

〈표 3-64〉 가구소득 상대비교에 대한 응답 188

〈표 3-65〉 가구소득 상대비교와 행복감 간의 상관성 분석 188

〈표 3-66〉 가구소득 상대비교와 행복-만족 집단 유형 간의 상관성 분석 189

〈표 3-67〉 생활수준 상대비교에 대한 응답 190

〈표 3-68〉 생활수준 상대비교의 주된 대상 190

〈표 3-69〉 생활수준 상대비교 교차분석 191

〈표 3-70〉 생활수준 상대비교와 행복감 간의 상관성 분석 192

〈표 3-71〉 생활수준 상대비교와 행복-만족 집단 유형 간의 상관성 분석 193

〈표 3-72〉 주관적 계층소속감과 행복감 간의 상관성 분석 195

〈표 3-73〉 주관적 계층소속감과 행복-만족 집단 유형 간의 상관성 분석 196

〈표 3-74〉 주관적 계층 이동 현황 197

〈표 3-75〉 주관적 계층 이동의 계층소속감별 분류 198

〈표 3-76〉 주관적 계층 이동과 행복감 간의 상관성 분석 198

〈표 3-77〉 주관적 계층 이동과 행복-만족 집단 유형 간의 상관성 분석 199

〈표 3-78〉 상층 이동 가능성에 대한 응답 200

〈표 3-79〉 상층 이동 가능성과 행복감 간의 상관성 분석 200

〈표 3-80〉 상층 이동 가능성과 행복-만족 집단 유형 간의 상관성 분석 201

〈표 3-81〉 하층으로 떨어질 가능성에 대한 응답 201

〈표 3-82〉 하층으로 떨어질 가능성과 행복감 간의 상관성 분석 202

〈표 3-83〉 하층으로 떨어질 가능성과 행복-만족 집단 유형 간의 상관성 분석 202

〈표 3-84〉 호혜성에 대한 기대 203

〈표 3-85〉 호혜성에 대한 기대와 행복감 간의 상관성 분석 203

〈표 3-86〉 호혜성에 대한 기대와 행복-만족 집단 유형 간의 상관성 분석 204

〈표 3-87〉 일반화된 신뢰에 대한 응답 205

〈표 3-88〉 일반화된 신뢰와 행복감 간의 상관성 분석 205

〈표 3-89〉 일반화된 신뢰와 행복-만족 집단 유형 간의 상관성 분석 206

〈표 3-90〉 20~30대의 수입이 있는지 여부 207

〈표 3-91〉 수입이 있는 20~30대의 일에 대한 만족도 207

〈표 3-92〉 수입이 있는 20~30대의 현재 일에 불만인 이유 208

〈표 3-93〉 수입이 있는 20~30대의 10년 후의 만족도 전망 208

〈표 3-94〉 수입이 있는 20~30대의 실패할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 209

〈표 3-95〉 수입이 있는 20~30대의 사회로부터 재기를 위한 지원을 받을 가능성 209

〈표 3-96〉 수입이 없는 20~30대의 향후 일자리를 못 가지게 될 두려움 210

〈표 3-97〉 20~30대의 선호하는 일자리 210

〈표 3-98〉 해외에 원하는 일자리가 있을 경우 20~30대의 태도 211

〈표 3-99〉 20~30대의 결혼할 의향 211

〈표 3-100〉 20~30대의 결혼 의향이 없는 이유 211

〈표 3-101〉 20~30대의 배우자 선택 기준 212

〈표 3-102〉 40~50대의 수입이 있는 일을 하는지 여부 212

〈표 3-103〉 수입이 있는 40~50대의 현재 일에 대한 만족도 213

〈표 3-104〉 수입이 있는 40~50대의 현재 일에 불만인 이유 213

〈표 3-105〉 40~50대의 구직, 사업 기회를 단념한 이유 214

〈표 3-106〉 현재 일을 하는 40~50대의 10년 후의 만족도 전망 214

〈표 3-107〉 40~50대의 실직이나 사업실패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 215

〈표 3-108〉 40~50대의 사회로부터 재기를 위한 지원을 받을 가능성 215

〈표 3-109〉 수입이 없는 40~50대의 향후 원하는 일자리를 못 가지게 될 두려움 215

〈표 3-110〉 60대 이상의 노후생활을 위한 경제적 준비 여부 216

〈표 3-111〉 경제적으로 준비된 60대 이상의 향후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게 될 두려움 216

〈표 3-112〉 경제적으로 준비된 60대 이상의 노후생활 중 어려움이 닥칠 경우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기대 217

〈표 3-113〉 60대 이상의 60세 이후 자살 생각 여부 217

〈표 3-114〉 60대 이상의 60세 이후 자살을 생각한 이유 218

〈표 3-115〉 행복도와 사회시스템 인식의 조절효과 219

〈표 3-116〉 소득만족도-행복도 관계에 있어서 사회 상층 이동가능성이 주는 조절효과 223

〈표 3-117〉 소득만족도-행복도 관계에 있어서 공정한 대우(학력)가 주는 조절효과 224

〈표 3-118〉 행복도와 만족도를 활용한 잠재 집단별 특징 225

〈표 3-119〉 잠재 집단별 인구통계학적 특성 225

〈표 3-120〉 연령별 행복 유형 231

〈표 3-121〉 가구소득별 행복 유형 231

〈표 3-122〉 교육수준별 행복 유형 231

〈표 3-123〉 성별/결혼 여부별 행복 유형 232

〈표 3-124〉 경제적ㆍ사회적ㆍ정치적 조건에 대한 각 집단의 인식 284

〈표 4-1〉 세계행복지수 순위 285

〈표 4-2〉 국민행복지표체계 287

〈표 4-3〉 경제적ㆍ사회적ㆍ정치적 조건에 대한 각 집단의 인식 296

[그림 2-1] 대분류 긍정적 요인과 해당 중분류 지수의 OECD 평균 추이 70

[그림 2-2] 중분류 물질적 기반과 해당 소분류 지수의 OECD 평균 추이 72

[그림 2-3] 중분류 사회적 기반과 해당 소분류 지수의 OECD 평균 추이 72

[그림 2-4] 대분류 부정적 요인과 해당 중분류 지수의 OECD 평균 추이 73

[그림 2-5] 중분류 물질적 격차와 해당 소분류 지수의 OECD 평균 추이 75

[그림 2-6] 중분류 사회적 격차와 해당 소분류 지수의 OECD 평균 추이 75

[그림 2-7] 대분류 긍정적 요인과 해당 중분류 지수의 OECD 변동계수 추이 76

[그림 2-8] 중분류 물질적 기반과 해당 소분류 지수의 OECD 변동계수 추이 78

[그림 2-9] 중분류 사회적 기반과 해당 소분류 지수의 OECD 변동계수 추이 78

[그림 2-10] 대분류 부정적 요인과 해당 중분류 지수의 OECD 변동계수 추이 79

[그림 2-11] 중분류 물질적 격차와 해당 소분류 지수의 OECD 변동계수 추이 80

[그림 2-12] 중분류 사회적 격차와 해당 소분류 지수의 OECD 변동계수 추이 81

[그림 2-13] 한국의 행복 및 삶의 만족도 관련 지표 시계열 추이 비교 120

[그림 2-14] 대분류 기준 군집분석 결과(2017년) 124

[그림 2-15] 중분류 기준 군집분석 결과(2017년) 124

[그림 2-16] 소분류 기준 군집분석 결과(2017년) 125

[그림 3-1] 현재 행복을 느끼는 정도(0~10점) 137

[그림 3-2] 과거 5년 전과 비교한 행복감 138

[그림 3-3] 앞으로 5년 후 행복감 기대 138

[그림 3-4] 영역별 현재 상태 만족도 144

[그림 3-5] 행복도-만족도를 활용한 LCA 분석 결과 156

[그림 3-6] 주관적 계층소속감(1~10) 194

[그림 3-7] 한국인의 행복 유형 229

[그림 3-8] 다차원대비집단토론(Polyphonic Contrast FGI) 233

[그림 3-9] 20~30대 남성 안정집단 워드 클라우드 267

[그림 3-10] 20~30대 남성 한계집단 워드 클라우드 268

[그림 3-11] 20~30대 여성 안정집단 워드 클라우드 269

[그림 3-12] 20~30대 여성 한계집단 워드 클라우드 270

[그림 3-13] 40~50대 남성 안정집단 워드 클라우드 272

[그림 3-14] 40~50대 남성 한계집단 워드 클라우드 273

[그림 3-15] 40~50대 여성 안정집단 워드 클라우드 274

[그림 3-16] 40~50대 여성 한계집단 워드 클라우드 275

[그림 3-17] 60대 이상 남성 안정집단 워드 클라우드 277

[그림 3-18] 60대 이상 남성 한계집단 워드 클라우드 279

[그림 3-19] 60대 이상 여성 안정집단 워드 클라우드 280

[그림 3-20] 60대 이상 여성 한계집단 워드 클라우드 281

[그림 4-1] 행복취약계층과 사회시스템 294

[그림 4-2] 다차원대비집단토론(Polyphonic Contrast FGI) 295

[그림 4-3] 20~30대 남성 한계집단 삶의 만족도 특징 요약 297

[그림 4-4] 20~30대 여성 한계집단 삶의 만족도 특징 요약 298

[그림 4-5] 40~50대 남성 한계집단 삶의 만족도 특징 요약 299

[그림 4-6] 40~50대 여성 한계집단 삶의 만족도 특징 요약 299

[그림 4-7] 60대 이상 남성 한계집단 삶의 만족도 특징 요약 300

[그림 4-8] 60대 이상 여성 한계집단 삶의 만족도 특징 요약 301

〈부표 1-1〉 1인당 GDP 308

〈부표 1-2〉 고용률 309

〈부표 1-3〉 교육수준 310

〈부표 1-4〉 취학률 311

〈부표 1-5〉 기대수명 312

〈부표 1-6〉 주거 지수 313

〈부표 1-7〉 미세먼지 314

〈부표 1-8〉 기혼율 315

〈부표 1-9〉 출산율 316

〈부표 1-10〉 기관신뢰 317

〈부표 1-11〉 타인에 대한 신뢰 318

〈부표 1-12〉 건전한 관계 319

〈부표 1-13〉 사회참여 320

〈부표 1-14〉 근로시간 321

〈부표 1-15〉 문화여가시간 322

〈부표 1-16〉 자살률(경제적 안전) 323

〈부표 1-17〉 범죄율(사회적 안전) 324

〈부표 1-18〉 심리적 안전 325

〈부표 1-19〉 지니계수 326

〈부표 1-20〉 십분위 분배율 327

〈부표 1-21〉 임시직 근로자 비중 328

〈부표 1-22〉 성별 교육격차 329

〈부표 1-23〉 성별 고용격차 330

〈부표 1-24〉 성별 임금격차 331

〈부표 1-25〉 노인부양비 332

〈부표 1-26〉 청년실업(전체 실업률 대비 청년실업률) 333

〈부표 1-27〉 노인빈곤(전체 빈곤율 대비 노인빈곤율) 334

〈부표 2-1〉 부탄의 국민총행복지수의 영역별 지표와 가중치 340

〈부표 2-2〉 도시 및 시골 지역의 표본 크기, 응답자 수, 응답률 비교 342

〈부표 2-3〉 2010년과 2015년의 영역별 기여도 비교 345

〈부표 4-1〉/〈부표 3-1〉 소득과 행복 관련 선행연구 371

〈부표 4-2〉/〈부표 3-2〉 소득불평등과 행복 관련 선행연구 374

〈부표 4-3〉/〈부표 3-3〉 행복 결정요인으로서의 일의 영향력 관련 선행연구 376

〈부표 4-4〉/〈부표 3-4〉 비경제적 요인이 실업자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관련 연구 379

〈부표 4-5〉/〈부표 3-5〉 실업의 외부효과 및 반응에 관한 선행 연구 382

〈부표 4-6〉/〈부표 3-6〉 자영업과 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387

〈부표 4-7〉/〈부표 3-7〉 고용상태 및 빈곤상태 변화 정의 395

〈부표 4-8〉/〈부표 3-8〉 분석대상 표본 선택 396

〈부표 4-9〉/〈부표 3-9〉 분석용 데이터의 표본 크기 397

〈부표 4-10〉/〈부표 3-10〉 미취업 지속기간별 빈도표 400

〈부표 4-11〉/〈부표 3-11〉 미취업 사건 유형별 빈도표 401

〈부표 4-12〉/〈부표 3-12〉 자영업자 지속기간별 빈도표 402

〈부표 4-13〉/〈부표 3-13〉 빈곤기간별 빈도표 404

〈부표 4-14〉/〈부표 3-14〉 개인의 행복수준 빈도표 : KLIPS 전체 표본 405

〈부표 4-15〉/〈부표 3-15〉 주관적 행복의 차이에 대한 t-검정 405

〈부표 4-16〉/〈부표 3-16〉 독립변수의 시점 간 주관적 행복 차이 406

〈부표 4-17〉/〈부표 3-17〉 통제변수 이름과 변수설명 411

〈부표 4-18〉/〈부표 3-18〉 패널 선형회귀모형 추정결과: 미취업 사건 412

〈부표 4-19〉/〈부표 3-19〉 패널 선형회귀모형 추정결과: 미취업 사건 & 60세 이하 표본 414

〈부표 4-20〉/〈부표 3-20〉 패널 선형회귀모형 추정결과: 자영업자 사건 417

〈부표 4-21〉/〈부표 3-21〉 패널 선형회귀모형 추정결과: 빈곤 사건 419

[부록그림 4-1]/[부록그림 3-1] 분석용 데이터의 예: 고용상태 변화 398

[부록그림 4-2]/[부록그림 3-2] 취업자 비율 399

[부록그림 4-3]/[부록그림 3-3] 임금근로자 비율 402

[부록그림 4-4]/[부록그림 3-4] 빈곤가구 비율 403

[부록그림 4-5]/[부록그림 3-5] 미취업 사건 발생 전후 주관적 행복 407

[부록그림 4-6]/[부록그림 3-6] 자영업자 사건 발생 전후 주관적 행복 408

[부록그림 4-7]/[부록그림 3-7] 빈곤 사건 발생 전후 주관적 행복 409

[부록그림 4-8]/[부록그림 3-8] 미취업 지속기간과 주관적 행복 : 전체 연령 415

[부록그림 4-9]/[부록그림 3-9] 미취업 지속기간과 주관적 행복 : 60세 이하 연령 416

[부록그림 4-10]/[부록그림 3-10] 자영업 지속기간과 주관적 행복 418

[부록그림 4-11]/[부록그림 3-11] 빈곤 지속기간과 주관적 행복 420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34600 152.42 -19-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34601 152.42 -19-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