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저가형 지진가속도 계측 장치 기획 및 시범개발 = Pilot development of an earthquake detection system using a low-cost acceleration sensor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울산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8
청구기호
363.3495 -19-1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vii, 94 p. : 삽화, 도표 ; 26 cm
총서사항
지능정보기술기반 개방형 지진방재정보 활용기술 개발
주요연구 ; 2018-08-02-02
제어번호
MONO1201925722
주기사항
[연구기관]: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권영우
참고문헌: p. 94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4

SUMMARY 5

제1장 서론 13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4

1.2. 연구개발의 범위 및 특징 15

1.2.1. 보급형 지진동 경보기 개발 15

1.2.2. 보급형 지진동 경보기를 활용한 지진 대응 17

제2장 관련 연구 및 동향 소개 18

2.1. 지진 조기경보 19

2.1.1. ShakeAlert 19

2.1.2. NetQuakes 20

2.2. ICT 기술을 활용한 지진감지 21

제3장 저가형 지진 가속도 계측장치 개발 23

3.1. 가속도 센서 사양 및 성능 비교 24

3.1.1. 가속도 센서 사양 비교 25

3.1.2. IoT 장치 사양 비교 27

3.2. 가속도 센서 성능 검증 실험 28

3.2.1. Self Noise 테스트 29

3.2.2. Box Flip 테스트 40

3.2.3. Random Displacement 테스트 44

3.2.4. 장기계측 모니터링 46

3.3. 지진동 감지를 위한 가속도 계측 장치 사양 정의 46

제4장 보급형 지진동 경보기 49

4.1. 지진 가속도 계측장치 설계 및 제작 50

4.1.1. 하드웨어 설계 및 제작 50

4.2. 지진동 감지 알고리즘 56

4.2.1. 지진동 경보기의 동작 모델 및 알고리즘 56

4.2.2. 인공신경망 을 사용한 지진동 감지 57

4.2.3/4.2.2. 지진동 경보기의 소스코드 구조 62

4.3. 부가 기능 및 기타 사항 64

4.3.1. 지진동 경보기 컴파일 및 모니터링 환경 설정 64

4.3.2. 데이터 저장 및 추출 67

4.3.3. 오프셋 조정 및 샘플링 주기 조절 72

4.3.4. 필터 73

4.4. 평가 76

제5장 저가형 지진 가속도 계측장치의 활용 89

5.1. 상황별 지진행동요령 전송 서비스 90

5.2. 홈네트워크 연동 서비스 92

제6장 결론 95

6.1. 결론 96

6.2. 향후 연구 97

참고문헌 99

판권기 102

표 3.1. 지진가속도계 표준 규격 24

표 3.2. 스마트폰 가속도 센서 사양 비교표 26

표 3.3. 가속도 센서 사양 비교 27

표 3.4. IoT 장치 사양 비교 28

표 3.5. 가속도 센서의 장기 계측 실험 결과 46

표 3.6. 지진동 감지를 위하여 도출된 가속도 센서 사양 47

표 3.7. 도출된 지진동 경보기 사양(저사양, 고사양) 48

표 4.1. ANN 결과 61

표 4.2. 저사양 지진동 감지기의 소스코드 구조 62

표 4.3. 고사양 지진동 감지기의 소스코드 구조 63

표 4.4. 데이터 저장 파일명 69

표 4.5. 데이터 저장 시 가속도 데이터 포맷 70

표 4.6. 데이터 저장 시 이벤트 데이터 포맷 70

그림 1.1. 지진동 감지를 위해 개발한 지진동 경보기(좌: 외관, 우: 내부) 15

그림 1.2. 기계학습을 활용한 지진 분류 16

그림 1.3. 지진동 경보기를 활용한 지진대응 서비스 17

그림 2.1. ShakeAlert 조기경보 시스템(Given, 2014) 19

그림 2.2. NetQuakes의 지진관측 장치 21

그림 2.3. MyShake의 실행화면 과 스마 트폰 가속도 센서에 의해 관측된 지진 22

그림 3.1. 노이즈 테스트를 위한 가속도 센서 설정 29

그림 3.2. 노이즈 테스트 결과, X축(ADXL355, LIS3DHH, MPU9250) 29

그림 3.3. 노이즈 테스트 결과, Y축(ADXL355, LIS3DHH, MPU9250) 30

그림 3.4. 노이즈 테스트 결과, Z축(ADXL355, LIS3DHH, MPU9250) 30

그림 3.5. 노이즈 테스트 결과, X축(ADXL355, LIS3DHH, MMA8452) 31

그림 3.6. 노이즈 테스트 결과, Y축(ADXL355, LIS3DHH, MMA8452) 32

그림 3.7. 노이즈 테스트 결과, Z축(ADXL355, LIS3DHH, MMA8452) 32

그림 3.8. 주파수 변환을 통한 ADXL355의 노이즈 값 33

그림 3.9. 주파수 변환을 통한 LIS3DHH의 노이즈 값 34

그림 3.10. 주파수 변환을 통한 MPU9250의 노이즈 값 34

그림 3.11. 주파수 변환을 통한 MMA8452의 노이즈 값 35

그림 3.12. 주파수 변환을 통한 각 센서별 노이즈 비교. X축 기준 35

그림 3.13. 주파수 변환을 통한 각 센서별 노이즈 비교. Z축 기준 36

그림 3.14. 센서 노이즈 및 El Centro 지진의 PSD 비교. X축 기준 37

그림 3.15. 센서 노이즈 및 El Centro 지진의 PSD 비교. Z축 기준 37

그림 3.16. 센서 노이즈 및 2017년 포항 지진의 PSD 비교. X축 기준 38

그림 3.17. 센서 노이즈 및 2017년 포항 지진의 PSD 비교. Z축 기준 38

그림 3.18. MyShake 프로젝트에서 수행된 스마 트폰의 노이즈 비교 39

그림 3.19. El Centro, Pohang 지진의 PSD 40

그림 3.20. Box Flip 테스트 개념 41

그림 3.21. Box 테스트 결과, X축 41

그림 3.22. Box 테스트 결과, Y축 42

그림 3.23. Box 테스트 결과, Z축 42

그림 3.24. Box 테스트 결과, X축 43

그림 3.25. Box 테스트 결과, Y축 43

그림 3.26. Box 테스트 결과, Z축 44

그림 3.27. Random displacement 테스트 결과, X축, MPU9250 비교 45

그림 3.28. Random displacement 테스트 결과, X축, MMA8452 비교 45

그림 4.1. 보급형 지진동 경보기 보드-저사양 50

그림 4.2. 보급형 지진동 경보기 회로도-저사양 51

그림 4.3. 보급형 지진동 경보기 회로도-저사양 52

그림 4.4. 보급형 지진동 경보기-고사양 53

그림 4.5. 지진동 경보기 케이스 디자인 54

그림 4.6. 제작된 케이스 외부 및 내부 55

그림 4.7. 보급형 지진동 경보기의 동작 모델 56

그림 4.8. 지진동 감지를 위한 순서도 58

그림 4.9. ANN 모델 60

그림 4.10/그림 4.11. ZC와 IQR 특징의 관계 60

그림 4.11/그림 4.10. IQR, CAV, ZC와의 관계 61

그림 4.12. 삼성 아틱 IDE 64

그림 4.13. 아틱 IDE에 프로젝트 추가 화면 65

그림 4.14. 삼성전자 아틱 개발 보드와 고사양 지진동 경보기 65

그림 4.15. 아틱 개발보드 연결 방법 66

그림 4.16. 지진동 감지기 Native USB 포트 위치 67

그림 4.17. PC용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USB 연결 화면 68

그림 4.18. PC용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69

그림 4.19. 모 니터링 프로그램 71

그림 4.20. 10-10Hz Low-pass 필터를 적용한(적) 주파수 응답 73

그림 4.21. 0-10Hz Low-pass 필터를 적용한 주파수 응답 74

그림 4.22. 0-25Hz Low-pass 필터 적용(E1 Centro 100%) 75

그림 4.23. 0-25Hz Low-pass 필터 적용(포항 100%) 75

그림 4.24. 진동대 실험(부산대학교) 76

그림 4.25. 진동대 실험(부산대학교) 77

그림 4.26. 입력으로 주어진 포항 지진(100%) 78

그림 4.27. 입력으로 주어진 El Centro 지진(100%) 78

그림 4.28. El Centro 100%, 센서별 X 축 비교 79

그림 4.29. 센서 및 El Centro 지진과의 PSD 비교. X축 기준 80

그림 4.30. 센서 및 El Centro 지진과의 PSD 비교. Z축 기준 80

그림 4.31. 센서 및 2017년 포항 지진의 PSD 비교. X축 기준 81

그림 4.32. 센서 및 2017년 포항 지진의 PSD 비교. X축 기준 81

그림 4.33. El Centro 입력 및 ADXL355 관측값 비교. X축 기준 82

그림 4.34. 포항 입력 및 ADXL355 관측값 비교. X축 기준 83

그림 4.35. El Centro 입력 및 LIS3DHH 관측값 비교. X축 기준 83

그림 4.36. 포항 입력 및 LIS3DHH 관측값 비교. X축 기준 84

그림 4.37. El Centro 입력 및 MPU9250 관측값 비교. X축 기준 84

그림 4.38. 포항 입력 및 MPU9250 관측값 비교. X축 기준 85

그림 4.39. El Centro 입력 및 MMA8452 관측값 비교. X축 기준 85

그림 4.40. 포항 입력 및 MMA8452 관측값 비교. X축 기준 86

그림 4.41. 지진동 감지 횟수(E1 Centro 100%) 86

그림 4.42. ADXL355에서 감지된 지진동 횟수 87

그림 4.43. LIS3DHH에서 감지된 지진동 횟수 87

그림 4.44. MMA8452에서 감지된 지진동 횟수 88

그림 5.1. 지진 행동요령의 이미지화 90

그림 5.2. 스마트폰을 통한 흔들림 1단계 알림 91

그림 5.3. 스마트폰을 통한 흔들림 2단계 알림 91

그림 5.4. 스마트폰을 통한 흔들림 3단계 알림 91

그림 5.5. 보급형 지진동 경보기를 사용한 댁내 스마 트기기와의 연동 92

그림 5.6. TV 셋탑박스와 지진동 경보기와의 연동 시나리오 93

그림 5.7. 지진대응 인공지능 스피커 시나리오 94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23699 363.3495 -19-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23700 363.3495 -19-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