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8년) 국가공간정보 표준화 연구. 1-4권 / 국토교통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국토교통부, 2018
청구기호
910.285 -19-3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4책 : 삽화, 도표, 서식 ; 30 cm
제어번호
MONO1201928830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국토정보공사
2권 부록: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 지적 모델
3권 부록: 공간정보표준 활용 매뉴얼
참고문헌 수록
내용: 1권. 국가공간정보 표준화 로드맵 작성 / 연구책임자: 장은미 -- 2권. 기본공간정보 데이터셋 표준 모델 개발 / 연구책임자: 이용호 -- 3권. 공간정보표준 활용 매뉴얼 작성 / 연구책임자: 최진무 -- 4권. 공간정보표준 인증제도 마련 / 연구책임자: 정영진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참여연구진

자문위원

목차

제1장 서론 1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3

2. 연구 범위 및 방법 14

제2장 공간정보표준 적용 사례 및 환경 분석 15

1. 국가 공간정보사업의 단계별 표준 사용 현황 조사 17

1) 기존 국내 표준화 관련 로드맵 분석 17

2) 국토교통부 상위계획 분석과 시사점 26

3) 해외의 공간정보 표준 로드맵 내용 검토와 시사점 31

2. 사용자, 수준별 표준 수요와 이해도 조사 및 개선 방안 제시 42

1) 표준수요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 42

2) 표준수요 분석을 위한 설문 분석 소결 61

3) 전문가 인터뷰 및 자문회의 62

3. 공간정보표준 개발과 활용의 비전, 목표, 전략 마련 65

1) 우리나라 공간정보표준의 SWOT분석 65

2) 우리나라 공간정보 표준의 SWOT분석을 통한 전략 도출 67

3) 표준화 비전 및 목표 설정 69

제3장 중장기 로드맵 작성 및 투자계획안 작성 73

1. 표준개발 및 활용 목표에 따른 과제도출 및 우선순위 결정 75

1) 표준개발 및 활용 목표에 따른 과제도출 75

2) 과제도출에 따른 우선순위 결정 88

3) 2안의 목표모델에 따른 과제 설명 90

4) 3안의 목표모델에 따른 과제 설명 92

2. 표준개발, 표준적용, 평가 등 단계별 과제도출 95

1) 표준개발, 표준적용, 평가 과정의 주요활동 95

2) 표준 개발 분야 과제 도출 96

3) 표준 적용관련 과제 98

4) 표준 평가와 관련된 과제 100

3. 연도별 투자계획 및 종합적 기대효과 제시 102

1) 연도별 투자계획 102

2) 종합적 기대효과 104

제4장 결론 및 정책제언 107

1. 요약 및 결론 109

2. 정책제언 및 향후 계획 111

참고문헌 113

별첨 114

별첨 1. 국가공간정보표준화연구 자문내용 114

별첨 2.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설문지 119

별첨 3. 설문지 (발주자용) 122

별첨 4. 설문지 (사업책임자용) 128

별첨 5. 설문지(실무자용) 133

표제지

제출문

참여연구진

자문위원

목차

제1장 서론 15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53

2. 연구 범위 및 방법 156

3. 용어의 정의 158

1) 기본공간정보 158

2) 프레임워크(Framework) 158

3)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NSDI Framework) 159

4) 데이터셋(Dataset) 159

5) 데이터 모델(Data Model) 159

6)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160

7) GIS파일 형식 160

8) 지적 (Cadastral) 161

제2장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 데이터셋 개발 동향 분석 163

1.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 필요성과 관련 표준 분석 165

1)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 관련 선행연구 165

2)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 관련 표준 180

2. 국외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 표준 현황 200

1) 미국 FGDC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 현황 200

2) 유럽 INSPIRE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 현황 212

3) 호주 ANZLIC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 현황 231

4) 해외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 현황 시사점 237

제3장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 데이터셋 표준 개발 243

1. 우리나라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에 필요한 표준 데이터셋 245

1) 국내 기본공간정보 운영현황 245

2)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 데이터셋 도입 258

3) 국외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 데이터셋 공통요소 263

2. 행정구역, 지적, 도시계획 등을 융복합한 기본프레임워크 생산을 위한 표준모델 개발 265

1) 융복합 표준모델 사례 개요 265

2) 용어 및 정의 266

3) 요구사항 268

4) 융복합 데이터 사례 271

제4장 결론 및 정책제언 273

1. 요약 및 결론 275

2. 정책제언 및 향후 계획 276

참고문헌 277

부록 279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 지적 모델 280

1. 개요 284

2. 범위, 목적, 응용 285

3. 인용표준 285

4. 유지관리기관 286

5. 용어 및 정의 287

6. 요구사항 291

[첨부] 295

표제지

제출문

참여연구진

자문위원

목차

제1장 서론 306

1. 연구 배경 및 목적 308

2. 연구 범위 및 방법 309

3. 매뉴얼의 구성 310

제2장 공간정보표준 적용 매뉴얼 작성 312

1. 공간정보사업 분류 및 업무흐름 분석 314

1) 공간정보사업 분류 314

2) 표준화를 위한 공간정보사업 업무 프로세스 324

2. 공간정보사업 분야별 표준 332

1) 선정기준 332

2) 선정결과 334

3. 표준의 구성 및 내용 336

1) 분석과정 336

2) 분석결과 337

4. 표준 적용을 위해 알아야 할 기초개념 설명 339

제3장 공간정보표준 연계 매뉴얼 작성 342

1. 국내 공간정보표준 연계 현황 344

1) 국가표준 간 연계 확인 방법 344

2) 국가표준 간 연계관계 도식화 350

2. 표준 적용을 위한 프로파일 표준 설명 354

제4장 결론 및 정책제언 356

1. 요약 및 결론 358

2. 정책제언 및 향후 계획 358

1) 정책제언 358

2) 향후 계획 359

참고문헌 360

부록 : 공간정보표준 활용 매뉴얼 364

제1장 개요 369

1. 매뉴얼의 목적 및 적용범위 371

2. 공간정보표준이란? 374

3. 국내 공간정보 표준화 기관 376

4. 국내 공간정보표준의 제정 절차(국제표준의 국가표준화 절차) 377

제2장 공간정보사업 분류 및 업무흐름 379

1. 공간정보사업 분류 381

2. 공간정보사업의 전반적인 업무 흐름 383

제3장 공간정보사업 분야별 표준 391

1. 선정기준 393

2. GIS 일반 사업 394

3. DB구축 사업 394

4. 시스템·서비스 사업 395

5. 표준관리 396

제4장 표준의 구성 및 내용 397

1. 표준문서의 일반적인 구성 399

2. 표준별 내용 요약 401

3. 통합 모델링 언어(UML) 402

4. 추상 시험 스위트 보는 방법 404

제5장 국내 공간정보표준 연계 현황 405

1. 국가표준 간 연계 확인 방법 407

2. 국가표준 간 연계관계 도식 409

제6장 공간정보사업의 표준 적용을 위한 프로파일 표준(KS X ISO 19106 지리정보-프로파일) 411

1. 프로파일의 개념 및 목적 413

2. 프로파일의 내용 414

3. 프로파일 적합성 요건 416

[첨부] 417

표제지

제출문

참여연구진

자문위원

목차

제1장 서론 501

1. 연구 배경 및 목적 503

2. 연구 범위 및 방법 506

제2장 국내외 표준 인증관련 현황 분석 509

1. 국내 표준 인증제도 관련 법 및 기관 현황 분석 511

1) 타 분야 표준 및 인증관련 법령 분석 511

2) 타 분야 표준 인증기관의 운영현황 분석 519

3) 공공측량 성과심사와 공간정보표준의 비교 529

2. 국외 표준 인증기관 현황 분석 및 사례 조사 534

1) 해외 표준 인증기관의 제도 및 운영 현황 분석 534

2) 인증을 위한 표준 적합성 테스트 사례 조사 542

3. 시사점 도출 549

1) 표준 적합성 평가 용어의 사용 549

2) 표준 적합성 평가의 필요성 549

3) 표준 적합성 평가제도의 인센티브 부여 551

4) 국내외 인증기관의 운영현황 비교 552

제3장 표준 적합성 평가제도 도입방안 및 단계별 전략 553

1. 표준 적합성 평가제도 도입방안 마련 555

1) 표준 적합성 평가제도 일반 555

2) 표준 적합성 평가제도 도입을 위한 고려 사항 557

3) 표준 적합성 평가제도 도입방안 558

2. 표준 적합성 평가제도 도입을 위한 단계별 전략 569

1) 표준 적합성 평가제도 단계별 전략 마련을 위한 고려요소 569

2) 표준 적합성 평가제도 도입의 단계별 전략 571

3. 표준 적합성 평가제도의 활성화 방안 579

1) 단기적 방안 579

2) 중기적 방안 581

3) 장기적 방안 582

제4장 표준 적합성 평가절차 마련 585

1. 표준 적합성 평가를 위한 인력 및 업무 분석 587

1) 적합성 평가기관의 운영을 위한 조직 구성 및 역할 587

2) 표준 적합성 평가를 위한 인력의 자격 요건 및 업무 601

2. 표준 적합성 평가절차 마련 및 평가기관 운영 방안 605

1) 표준 적합성 평가절차 마련 605

2) 표준 적합성 평가기관 운영 방안 수립 610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617

1. 요약 및 결론 619

2. 정책제언 및 향후 연구 621

1) 정책제언 621

2) 향후 계획 622

참고문헌 624

vol.1 7

〈표 2-1〉 2006년 표준화로드맵 19

〈표 2-2〉 2011년 공간정보 중장기 계획의 분야별 과제 목록과 이행여부 분석 20

〈표 2-3〉 2013년 표준화 중장기 계획내 과제 목록과 이행여부 분석 22

〈표 2-4〉 2014년 표준화 중장기 로드맵과제의 세부 과제목록과 이행여부 분석 23

〈표 2-5〉 JPGIS와 KS 표준대비표 41

〈표 2-6〉 사업 발주자의 KS X ISO 19100 표준의 인지여부 설문 결과 43

〈표 2-7〉 사업 발주자의 표준 관련 정보를 얻는 곳 설문 결과 43

〈표 2-8〉 사업 발주자의 표준 포털의 활용 설문 결과 44

〈표 2-9〉 사업 발주자의 표준 필요성에 대한 이해 설문 결과 44

〈표 2-10〉 적합한 표준 선정에 대한 판단 가능성 여부 설문 결과 44

〈표 2-11〉 표준용어 이해 설문 결과 45

〈표 2-12〉 기술규정과 표준의 관계 이해 설문 결과 45

〈표 2-13〉 산출물 표준 적용 판단 가능정도 설문 결과 46

〈표 2-14〉 제안요청서에 표준을 명시여부 설문 결과 46

〈표 2-15〉 제품사양서 요청 여부 설문 결과 46

〈표 2-16〉 메타데이터 확보 여부 설문 결과 47

〈표 2-17〉 품질관련 자료 확보 여부 설문 결과 47

〈표 2-18〉 스키마 확보 여부 설문 결과 47

〈표 2-19〉 산출물 표준 적용 판단 가능 정도 설문 결과 48

〈표 2-20〉 공공정보 포털에 정보 제공 여부 설문 결과 48

〈표 2-21〉 자료 공개정보 비율 설문 결과 48

〈표 2-22〉 웹맵서비스(WMS) 표준 사용 여부 설문 결과 49

〈표 2-23〉 웹피처서비스(WFS) 표준 사용 여부 설문 결과 49

〈표 2-24〉 각 단계별 주요 사용 표준 49

〈표 2-25〉 사업 책임자의 국가 표준에 대한 인지여부 설문 결과 50

〈표 2-26〉 사업 책임자의 표준 관련 정보를 얻는 곳 설문 결과 50

〈표 2-27〉 사업 책임자의 표준 포털의 활용 설문 결과 50

〈표 2-28〉 사업 책임자의 표준 필요성에 대한 이해 설문 결과 51

〈표 2-29〉 필요한 표준에 대한 인식 설문 결과 51

〈표 2-30〉 사업 책임자의 표준용어에 대한 이해도 설문 결과 51

〈표 2-31〉 데이터와 기술표준에 대한 차이 이해 여부 설문 결과 52

〈표 2-32〉 사업 책임자의 산출물 적용 표준설명 가능 여부 설문 결과 52

〈표 2-33〉 공간정보 사업분야 설문 결과 53

〈표 2-34〉 제안시 고려된 표준 준수 의지표명 여부 설문 결과 53

〈표 2-35〉 사업수행 협의 시 표준 준수 요청을 받은 적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 설문 결과 53

〈표 2-36〉 표준 관리 조직 보유 여부 설문 결과 54

〈표 2-37〉 품질 평가 조직 보유 여부 설문 결과 54

〈표 2-38〉 사업 책임자 표준 수요 설문 결과 54

〈표 2-39〉 사업실무자의 국가 표준에 대한 인지여부 설문 결과 55

〈표 2-40〉 사업실무자가 표준 관련 정보를 얻는 곳 설문 결과 55

〈표 2-41〉 사업 실무자의 표준 포털의 활용 설문 결과 56

〈표 2-42〉 사업 책임자의 표준 필요성에 대한 이해 설문 결과 56

〈표 2-43〉 실무자의 적용 표준에 대한 이해도 설문 결과 56

〈표 2-44〉 사업 실무자의 표준용어에 대한 이해도 설문 결과 57

〈표 2-45〉 사업 실무자의 표준문서 이해도 설문 결과 57

〈표 2-46〉 산출물에 적용된 표준에 대한 사업 실무자의 설명 능력 설문 결과 57

〈표 2-47〉 사업 실무자의 업무 영역 설문 결과 58

〈표 2-48〉 표준 적용 실무자들이 개발 경험에 대한 설문 결과 58

〈표 2-49〉 DB 구축 단계에서 표준요청을 어떻게 받았는가에 대한 설문 결과 59

〈표 2-50〉 DB 구축 단계에서 표준에 따른 관련 문서 작성 경험 여부 설문 결과 59

〈표 2-51〉 타부처 자료 활용시 받은 표준 자료의 수준에 대한 설문 결과 59

〈표 2-52〉 내부 작업 지침서 보유 여부 설문 결과 60

〈표 2-53〉 내부 작업 지침서 표준 포함 여부 60

〈표 2-54〉 사업 실무자의 작업 보고 방법 설문 결과 60

〈표 2-55〉 작업 결과 보고서에 메타데이터 포함 여부 설문 결과 61

〈표 2-56〉 사업 실무자의 DB 품질관리 방법 설문 결과 61

〈표 2-57〉 중간보고 자문사항 및 대응방안 62

〈표 2-58〉 비전-목표-과제 목표모델 1안 (결정안) 70

〈표 2-59〉 비전-목표-과제 목표모델 2안 71

〈표 2-60〉 비전-목표-과제 목표모델 3안 72

〈표 3-1〉 공간정보표준의 경제적 산업적 효과분석 과업지시서 76

〈표 3-2〉 데이터 생산자용 표준 정립 사례 발굴(1차년도) 77

〈표 3-3〉 데이터 생산자용 표준 정립 사례 발굴(2차년도) 77

〈표 3-4〉 표준 적합성 평가제도 시행을 위한 기반 연구 78

〈표 3-5〉 국제표준 및 OGC표준 번역과 표준 프로파일 작업 79

〈표 3-6〉 NSDI 표준 서브페이지의 개선 및 확대 연구와 개발 80

〈표 3-7〉 메타데이터 편집기/수집기 개발 및 보급 81

〈표 3-8〉 어플리케이션 스키마정립과 공유를 위한 기반연구 및 시행 82

〈표 3-9〉 표준 현황 모니터링 및 표준 준수 실태조사 82

〈표 3-10〉 미래 세대에 맞는 표준교육 및 홍보자료의 개발 83

〈표 3-11〉 부처 및 공사 등의 표준담당 네트워크 구축 및 역량강화 84

〈표 3-12〉 로드맵의 수정보완 및 이행과제평가 및 개선 84

〈표 3-13〉 국가 R&D 사업과 협력체계 구축 85

〈표 3-14〉 정보화 관련 기관과 협업을 통한 공간정보 표준 확산 86

〈표 3-15〉 고유표준 개발과 국제표준화 진행 87

〈표 3-16〉 민간분야 공간정보 표준 협력체계 마련 87

〈표 3-17〉 국가표준정책의 민간표준 관여 수준 비교 88

〈표 3-18〉 각 실행과제별 예산 필요여부와 지속성 여부 89

〈표 3-19〉 제안된 과제 중 표준개발과 관련된 것 98

〈표 3-20〉 표준의 적용단계와 필요 인프라 99

〈표 3-21〉 제안된 과제 중 표준 적용과 관련된 것 99

〈표 3-22〉 표준의 평가의 수준 100

〈표 3-23〉 평가와 관련된 과제 101

〈표 3-24〉 소극적 방안(5년 총계 - 17.1억 규모) 102

〈표 3-25〉 적극적 방안(1~4전략 총계 5년간 26.4억) 103

vol.2 147

〈표 2-1〉 NSDI 공간정보정책관리 분야 중 거버넌스 부문 171

〈표 2-2〉 NSDI 공간정보정책관리 분야 중 비즈니스 부문 172

〈표 2-3〉 NSDI 공간정보정책관리 분야 중 인프라 부문 172

〈표 2-4〉 공간정보 공급과 수요측면 173

〈표 2-5〉 국제표준 기반의 디지털지적 표준모델 구축 연구에서 도출된 지적 데이터 개선방안 179

〈표 2-6〉 LADM 기본 클래스와 우리나라 지적 매핑정보 179

〈표 2-7〉 아키텍처 참조모델의 약어명 및 내용 183

〈표 2-8〉 응용 스키마에 대한 적합성 옵션 3가지 기준 184

〈표 2-9〉 핵심권고 메타데이터 항목 195

〈표 2-10〉 미국 FGDC 기관의 변화 연혁 201

〈표 2-11〉 FGDC 프레임워크 표준 데이터셋의 종류와 담당기관 203

〈표 2-12〉 FGDC 프레임워크 기반문서의 항목과 주요 내용 204

〈표 2-13〉 FGDC UML 클래스 일반 설명 데이터 사전 206

〈표 2-14〉 FGDC 프레임워크 지적표준을 위한 데이터 사전 210

〈표 2-15〉 지적표준에서 OwnerType 클래스를 위한 코드리스트 211

〈표 2-16〉 EU INSPIRE에서 정의하는 공간 데이터 레이어 214

〈표 2-17〉 EU INSPIRE 데이터 제품사양 개발의 단계 218

〈표 2-18〉 EU INSPIRE 기반표준의 전체 부문의 요구사항 219

〈표 2-19〉 EU INSPIRE 기반표준의 용어 및 참조모델 부문의 요구사항 220

〈표 2-20〉 EU INSPIRE 응용 스키마를 위한 규칙 부문의 요구사항 220

〈표 2-21〉 EU INSPIRE 시공간 부문의 요구사항 222

〈표 2-22〉 EU INSPIRE 다중어 및 문화 채택 부문의 요구사항 222

〈표 2-23〉 EU INSPIRE 측정 모델의 공간참조 및 단위 부문의 요구사항 223

〈표 2-24〉 EU INSPIRE 식별자 관리 부문의 요구사항 223

〈표 2-25〉 EU INSPIRE 묘화 부문의 요구사항 224

〈표 2-26〉 EU INSPIRE 메타데이터 및 품질 부문의 요구사항 224

〈표 2-27〉 EU INSPIRE 데이터 전송 부문의 요구사항 224

〈표 2-28〉 EU INSPIRE 데이터 사이의 유기성의 요구사항 224

〈표 2-29〉 EU INSPIRE 다양한 표현 및 데이터 획득의 요구사항 225

〈표 2-30〉 EU INSPIRE 부합성의 요구사항 225

〈표 2-31〉 EU INSPIRE 지적 필지의 클래스별 내용 228

〈표 2-32〉 호주 및 뉴질랜드의 ANZLIC 회원 현황 및 담당기관 231

〈표 2-33〉 ANZLIC의 프레임워크 데이터셋의 클래스 이름과 형식 233

〈표 2-34〉 ANZLIC 지적 정의 그림 예시 236

〈표 2-35〉 ANZLIC 프레임워크 지적 데이터셋의 클래스 이름과 속성 237

〈표 2-36〉 미국, 유럽, 호주의 기본공간정보 필지모델별 장단점 240

〈표 2-37〉 거버넌스 체계 비교 241

〈표 3-1〉 국토교통부에서 구축하는 기본공간정보 246

〈표 3-2〉 국토교통부에서 구축하는 기본공간정보관련 수집 가능한 데이터셋 조사 246

〈표 3-3〉 3차원 건물데이터 세밀도 및 가시화정보 제작기준 247

〈표 3-4〉 행정안전부에서 구축하는 기본공간정보 248

〈표 3-5〉 국가공간정보포털 오픈마켓에서 검색한 행정경계(행정동 경계) 데이터셋 조사 249

〈표 3-6〉 통계청에서 구축하는 기본공간정보 249

〈표 3-7〉 통계청에서 구축하는 기본공간정보관련 수집 가능한 데이터셋 조사 249

〈표 3-8〉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구축하는 기본공간정보 250

〈표 3-9〉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구축하는 기본공간정보관련 수집 가능한 데이터셋 조사 251

〈표 3-10〉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구축하는 기본공간정보 252

〈표 3-11〉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구축하는 기본공간정보관련 수집 가능한 데이터셋 조사 253

〈표 3-12〉 지적공부 분류 255

〈표 3-13〉 국가공간정보포털 연속지적도 다운로드 링크 256

〈표 3-14〉 연속지적도 기본제공 메타정보 256

〈표 3-15〉 연속지적도 테이블 정의서 258

〈표 3-16〉 연속지적도형정보 조회서비스 - 응답메시지 명세 258

〈표 3-17〉 기본공간정보 가이드라인 작성 항목과 주요 내용 261

〈표 3-18〉 프레임워크 기반의 기본공간정보 가이드라인 공통항목 도출 262

〈표 3-19〉 프레임워크 지적 데이터 모델 적용 263

〈표 3-20〉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 지적 모델 자료 사전 269

〈표 3-21〉 구역경계 - 읍면동구역경계(ARB_EupMyeonDongAreaBoundary) 자료사전 270

〈표 3-22〉 도시계획 - 용도지역 자료사전 270

〈표 3-23〉 용도지역 내 포함된 지적을 클립한 공간정보 자료사전 270

〈표 3-24〉 도시계획 공간정보에 포함된 지적 필지 추출 사례 272

vol.3 304

〈표 1-1〉 공간정보표준 연계 매뉴얼의 목차 310

〈표 2-1〉 「공간정보산업 진흥법」제2조제3항 315

〈표 2-2〉 공간정보사업 분야 분류(국토해양부, 2010) 316

〈표 2-3〉 공간정보사업 분류(국토교통부, 2010. p.5) 317

〈표 2-4〉 '공간정보표준 분류 체계 및 요약(TTAK.KO-10.0177/R4)'의 표준 분류 319

〈표 2-5〉 공간정보사업 분류(국토교통부, 2014) 319

〈표 2-6〉 공간정보표준 분류(국토교통부, 2015) 319

〈표 2-7〉 기존연구들의 공간정보사업 분류 매칭 320

〈표 2-8〉 통계청의 공간정보산업 특수목적분류 321

〈표 2-9〉 공간정보표준 활용 매뉴얼의 표준분류체계 323

〈표 2-10〉 공간정보 사업 발주자의 업무 프로세스(국토해양부, 2010) 324

〈표 2-11〉 공간정보 사업 수행자의 업무 프로세스(국토해양부, 2010) 325

〈표 2-12〉 국토지리정보원의 표준 적용 실무 프로세스(국토지리정보원, 2018) 326

〈표 2-13〉 표준 적용을 위한 사업발주자의 업무 흐름 327

〈표 2-14〉 표준 적용을 위한 사업수행자의 업무 흐름 330

〈표 2-15〉 사업 분야별 표준 선정 과정 333

〈표 2-16〉 GIS 일반 사업에 적용할 표준 334

〈표 2-17〉 DB구축 사업에 적용할 표준 334

〈표 2-18〉 시스템·서비스 사업에 적용할 표준 335

〈표 2-19〉 표준관리를 위한 표준 336

vol.4 497

〈표 2-1〉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의 표준 준수 의무 511

〈표 2-2〉 집행실적평가를 위한 공간정보사업 자체평가서의 표준 부분 514

〈표 2-3〉 표준인증심사제에 대한 국가표준기본법 및 동법 시행령 515

〈표 2-4〉 인증기관 지정 및 운영의 권한 위임 516

〈표 2-5〉 국토교통분야 KS인증기관 및 제품인증 등에 관한 지침 517

〈표 2-6〉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의 표준 인증 518

〈표 2-7〉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시행규칙 지능형교통체계 표준 준수 여부 확인 518

〈표 2-8〉 KS인증기관 현황 519

〈표 2-9〉 KS인증업무의 범위 520

〈표 2-10〉 KS 서비스 심사사항 중 사업장 심사 523

〈표 2-11〉 KS 서비스 심사사항 중 서비스 심사 523

〈표 2-12〉 KS인증의 인증혜택 법적 근거 524

〈표 2-13〉 한국상하수도협회 KS인증품목 525

〈표 2-14〉 한국상하수도협회 KS인증 법적 근거 526

〈표 2-15〉 ITS 표준적용검증 평가절차 527

〈표 2-16〉 한국관광 품질인증 대상 528

〈표 2-17〉 한국관광 품질인증 평가방법 529

〈표 2-18〉 공공측량 성과심사(수치주제도 제작)와 데이터 품질 표준의 세부항목 및 판정기준 533

〈표 2-19〉 OGC 적합성 테스트 항목 535

〈표 2-20〉 OGC 라이선스 비용 기준 541

〈표 3-1〉 국가표준인증 통합정보시스템 인증제도 등록 현황 556

〈표 3-2〉 국토교통분야 KS 인증기관 및 제품인증 등에 관한 지침의 인증기관 요건 560

〈표 3-3〉 적합성 평가기관 및 적합성 평가활동에 대한 원칙-국가표준 KS X ISO/IEC 17065 560

〈표 3-4〉 공간정보 국가표준 목록 563

〈표 3-5〉 적합성 평가 가능한 공간정보표준 목록 565

〈표 3-6〉 공간정보산업 분류 566

〈표 3-7〉 공간정보표준 적합성 평가제도 대상 사업 568

〈표 3-8〉 공간정보표준 적합성 평가제도 단계별 추진전략의 고려사항 569

〈표 3-9〉 국가공간정보 표준화 연구로 개발된 표준 적합성 평가 도구 573

〈표 3-10〉 도입기 표준 적합성 평가 대상 573

〈표 3-11〉 적합성 평가의 예산 확보 574

〈표 3-12〉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개정안 예 576

〈표 3-13〉 집행실적평가의 표준 적용 적정여부 평가양식 580

〈표 3-14〉 표준전문기관 지정을 위한 공간정보사업 관리규정 개정 581

〈표 4-1〉 데이터인증센터에서 적합성 평가하는 심사 대상 591

〈표 4-2〉 콘텐츠 거래사실 적합성 평가제도의 세부사업 592

〈표 4-3〉 시험 판정의 종류 599

〈표 4-4〉 IUT 적합성 상태에 대한 전체적인 요약 601

〈표 4-5〉 인증심사원 자격 및 심사업무 범위를 제시 602

〈표 4-6〉 적합성 평가 심사원의 자격기준 602

〈표 4-7〉 인증심사원의 자격 유지 603

〈표 4-8〉 적합성 평가 심사원 세부기준 604

〈표 4-9〉 적합성 평가를 위한 경력 요건 604

〈표 4-10〉 인증심사의 신청 및 절차_산업표준화법 시행규칙 605

〈표 4-11〉 인증심사의 신청 및 절차_국토교통분야 KS인증기관 및 제품인증 등에 관한 지침 606

〈표 4-12〉 인증처리 절차_지능형교통체계 표준화 및 인증 업무 규정 606

〈표 4-13〉 국가표준 KS Q ISO/IEC 17065 적합성 평가의 절차 및 내용 608

〈표 4-14〉 표준 적합성 평가절차 610

〈표 4-15〉 인증기관 지정기준_산업표준화법 시행규칙 610

〈표 4-16〉 단체표준 인증기관 지정요건_산업표준화법 시행규칙 611

〈표 4-17〉 인증기관 지정기준_국토교통분야 KS인증기관 및 제품인증 등에 관한 지침 611

〈표 4-18〉 지능형교통체계 표준화 및 인증 업무 규정의 인증기관 지정기준 612

〈표 4-19〉 표준개발협력기관 지정요건_국토교통분야 표준개발협력기관 운영 지침 612

〈표 4-20〉 지능형교통체계 표준화 및 인증업무규정 614

vol.2 282

〈표 1〉 지목 구분 내용 288

〈표 2〉 연속지적도 클래스 항목 293

〈표 3〉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 지적 모델 자료 사전 294

〈표 4〉 지목코드(JIMOK_Code) 295

〈표 5〉 법정동코드(BJD_CD) 296

〈표 6〉 소유구분코드(OWNERSHIP_CD) 296

vol.3 365

〈표 1〉 공간정보 분야 KS표준 목록(2018.11.25. 기준) 372

〈표 2〉 공간정보사업 분야별 표준의 역할과 적용시기 382

〈표 3〉 연계 발주자의 표준화 업무 흐름 383

〈표 4〉 공간정보 사업 수행자의 표준화 업무 흐름 388

〈표 5〉 GIS 일반 사업에 적용할 표준 394

〈표 6〉 DB구축 사업에 적용할 표준 394

〈표 7〉 시스템·서비스 사업에 적용할 표준 395

〈표 8〉 표준관리를 위한 표준 396

〈표 9〉 프로파일의 구조 415

vol.1 10

[그림 2-1] 2006년도의 표준화 추진조직(안) 18

[그림 2-2] 국가공간정보정책과 표준정책 방향 27

[그림 2-3] 제6차 공간정보 기본계획의 표준 28

[그림 2-4] 2018년 공간정보 실행계획 분석 30

[그림 2-5] 공간정보 R&D로드맵과 표준연계부분의 연계 31

[그림 2-6] ISO-TC 211의 비즈니스 플랜(2017)에 나타난 표준화 비전 33

[그림 2-7] 국제표준화 기구 기술위원회의 2030 공간정보 비즈니스 플랜 34

[그림 2-8] 공간정보의 가치 상승 모멘텀 35

[그림 2-9] 환경변화에 대한 정량적 지표 35

[그림 2-10] 공간정보 산업분야에 일자리에 대한 공식 문서 36

[그림 2-11] 도메인 표준과 기타 IT 표준 가운데 공간정보표준의 위상 36

[그림 2-12] 미래 비즈니스 성취와 표준 유지 관리를 위한 워킹그룹 37

[그림 2-13] 공간정보 활용에 관한 행동 계획문서 37

[그림 2-14] 표준규격, 실용규격의 차이점 38

[그림 2-15] 표준을 적용한 클리어링 하우스 개념 40

[그림 2-16] 표준 수요분석 설문조사 개요 42

[그림 2-17] 공간정보 표준 로드맵 관련 자문회의 (2018년 9월 10일) 64

[그림 2-18] 우리나라 공간정보 표준의 SWOT분석 67

[그림 2-19] 표준화 비전 및 목표 설정 69

[그림 3-1] 과제별 우선순위 결정 90

[그림 3-2] 표준의 생애주기 96

[그림 3-3] 표준이 개발되는 방식 97

[그림 3-4] 정보시스템 차원 표준의 편익 104

[그림 3-5] 표준화관련 일반 편익 105

[그림 3-6] 특정 커뮤니티의 편익 106

vol.2 149

[그림 1-1] 기본공간정보 기본법 근거 연구 필요성 154

[그림 1-2] 기본공간정보 데이터셋 모델 개발 필요성 155

[그림 1-3] 기본공간정보 데이터셋 표준모델 개발 연구방향 157

[그림 1-4] 연구흐름도 157

[그림 2-1] FGDC의 NSDI 구성요소 168

[그림 2-2] NSDI 공간정보정책 관리 분야 170

[그림 2-3] 상이한 기준으로 인한 건물 공간정보 위치·모양 차이 173

[그림 2-4] 공간정보 활용 서비스 종류 174

[그림 2-5] 공간정보 관련 매출액 및 종사자 수 현황(변화 추이) 175

[그림 2-6] 기본모델 구성안 180

[그림 2-7] NSDI 기반 어플리케이션 스키마에 필요한 관련 ISO 표준 180

[그림 2-8] 지리정보 도메인에 대한 상위 수준 모델 181

[그림 2-9] ISO19101 아키텍처 참조모델 183

[그림 2-10] 특수 연관을 갖는 기하 기본 클래스 185

[그림 2-11] 위상 클래스 다이어그램 186

[그림 2-12] 시간 객체 187

[그림 2-13] 시간 기하 프리미티브 188

[그림 2-14] 시간의 위상 189

[그림 2-15] 시간참조시스템 189

[그림 2-16] 일반 피처 모델에서 추출 191

[그림 2-17] 좌표참조시스템의 개념적 모델 193

[그림 2-18] 좌표에 의한 공간 참조를 위한 개념적 모델 193

[그림 2-19] ISO19115 메타데이터 패키지 194

[그림 2-20] 커버리지 스키마의 패키지 197

[그림 2-21] 모바일과 비모바일 서비스의 동등한 개념적 아키텍처 199

[그림 2-22] FGDC 프레임워크 개념도 202

[그림 2-23] FGDC NSDI COMPONENTS 203

[그림 2-24] 개념 프레임워크 피처 모델과 일반 클래스 205

[그림 2-25] 미국 FGDC 프레임워크 지적 모델 209

[그림 2-26] 유럽 INSPIRE 공간정보 개념적 프레임워크 212

[그림 2-27] EU INSPIRE 기본 유형 클래스 215

[그림 2-28] EU INSPIRE 응용 스키마 기본으로서 일반개념모델 216

[그림 2-29] EU INSPIRE 데이터 사양 개발 프레임워크의 일반개념모델 부분 217

[그림 2-30] EU INSPIRE의 데이터 생산사양 개발절차 217

[그림 2-31] INSPIRE 지적 필지의 어플리케이션 스키마 226

[그림 2-32] ISO LADM에서 상속한 INSPIRE 지적필지 모델 227

[그림 2-33] ANZLIC 기초 공간 데이터 233

[그림 2-34] ANZLIC 전략 범위 내용(~2019) 235

[그림 2-35] ANZLIC의 프레임워크 지적 데이터셋 모델 236

[그림 3-1] 행정경계 검색결과 248

[그림 3-2] 국토기본정보 기반모델과 분야별 데이터모델간 관계 254

[그림 3-3] 국토기본정보 기반모델 254

[그림 3-4] 연속지적도 도형정보(.SHP) 257

[그림 3-5] 연속지적도 속성정보(.DBF) 257

[그림 3-6] 미국 FGDC 프레임워크 데이터 지적 기반문서 259

[그림 3-7] 지적 데이터 모델 정의 및 활용방안 260

[그림 3-8] 기본공간정보 기본 표준 261

[그림 3-9]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 데이터셋 공통요소 263

[그림 3-10] 지적 데이터 공통요소 264

[그림 3-11] KSXISO19125 9-IM 공간연산 모델 267

[그림 3-12] 융복합 응용 패키지 268

[그림 3-13] 도시계획 공간정보에 포함된 지적 필지 추출 사례 271

vol.3 305

[그림 1-1] 연구 방법 309

[그림 2-2] 과업발주서 표준 적용 예시 328

[그림 2-3] 표준적용계획서 서식 331

[그림 2-4] 「지리정보-메타데이터-제1부: 기본 원칙」의 목차 337

[그림 2-5] 표준별 내용 요약 사례 338

[그림 2-6] 국내 공간정보 표준화 기관 339

[그림 2-7] 국제표준의 국가표준(KS표준)화 절차 340

[그림 2-8] 국가표준(KS표준) 자체개발 절차(안) 341

[그림 3-1] 국가 공간정보표준의 구성 사례(KS X ISO/TR19120) 345

[그림 3-2] 공간정보표준의 "명시 인용 표준" 사례(KS X ISO 19111) 345

[그림 3-3] 공간정보표준의 "기타 인용 표준" 사례(KS X ISO 19111) 346

[그림 3-4] 표준의 자기 인용 사례(KS X ISO 19134) 347

[그림 3-5] 인용 확인 사례(KS X ISO 6709) 348

[그림 3-6] 참조된 부분을 명확히 알 수 있는 경우 - 용어 간 연계(KS X ISO 19108) 349

[그림 3-7] 참조된 부분을 명확히 알 수 없는 경우 - 포괄적인 인용 예(KS X ISO 19132) 350

[그림 3-8] 표준 간 연계 확인 및 종합 모식도 350

[그림 3-9] 연계 관계에 대한 표현 사례 1 351

[그림 3-10] 연계 관계에 대한 표현 사례 2 352

[그림 3-11] 참조된 부분을 명확히 알 수 없는 경우 - 포괄적인 인용 사례(KS X ISO 19132) 352

[그림 3-12] KS X ISO 19101-1표준의 연계 도식화 353

[그림 4-1] 공간정보표준 활용 매뉴얼을 사용하는 교육 커리큘럼(안) 359

vol.4 499

[그림 1-1] 공간정보 표준화 운영체계 504

[그림 1-2] 표준 적합성 평가제도 도입을 위한 필요 요소 506

[그림 2-1] 공간정보사업 관리규정의 사전검토 및 집행실적평가 513

[그림 2-2] KS인증절차 521

[그림 2-3] KS 서비스 인증 분야 522

[그림 2-4] KS 서비스 인증 심사 방법 524

[그림 2-5] ITS 표준적용검증 절차 527

[그림 2-6] 한국관광 품질인증 528

[그림 2-7] 공간정보표준의 분류 530

[그림 2-8] 공간정보사업 단계별 관련 표준 530

[그림 2-9] 공공측량 유형 분류 및 성과물 531

[그림 2-10] 메타데이터 표준 구성 532

[그림 2-11] 적합성 테스트 평가 절차 537

[그림 2-12] 적합성 제품 기록 샘플 538

[그림 2-13] 테스트 요약 보고서 539

[그림 2-14] OGC 적합성 인증서 540

[그림 2-15] OGC 적합성 인증마크 540

[그림 2-16] OGC Validator 초기화면 542

[그림 2-17] OGC Validator 로그인 화면 543

[그림 2-18] OGC Validator 테스트 항목 설정 화면 543

[그림 2-19] OGC Validator 테스트 옵션 지정 화면 544

[그림 2-20] OGC Validator 테스트 결과(통과) 화면 544

[그림 2-21] OGC Validator 테스트 결과(실패) 화면 545

[그림 2-22] INSPIRE Validator 초기화면 545

[그림 2-23] INSPIRE Validator 테스트 항목 설정 화면 546

[그림 2-24] 테스트 제품 업로드 화면 546

[그림 2-25] INSPIRE Validator 테스트 진행 화면 547

[그림 2-27] INSPIRE Validator 테스트 결과(총괄) 화면 547

[그림 2-28] INSPIRE Validator 테스트 상세결과(통과) 화면 548

[그림 2-29] INSPIRE Validator 테스트 상세결과(실패) 화면 548

[그림 2-30] 타 분야와 공간정보 분야의 표준인증제도 성격 비교 549

[그림 2-31] 공간정보사업 발주에 따른 표준 적용 평가의 필요성 550

[그림 2-32] 미래 기술 및 도시발전에 대비한 공간정보표준의 준비 551

[그림 3-1] 공간정보표준 적합성 평가기관 운영 및 절차 562

[그림 3-2] 공간정보표준 적합성 평가제도 단계별 전략 571

[그림 3-3] 「공간정보사업 관리규정」의 활성화를 위한 부서간 협력체계 강화 580

[그림 3-4] 공간정보사업 관리규정 개정 통한 표준 적합성 평가 수행 582

[그림 3-5] 미래 사회 데이터의 다양성 및 중요성_다보스 포럼 2016 583

[그림 4-1] TTA 정보통신시험인증연구소 588

[그림 4-2] 적합성 평가체계도 589

[그림 4-3] 한국데이터진흥원 조직도 591

[그림 4-4] 한국인정기구 KOLAS 조직도 593

[그림 4-5] 공간정보표준 적합성 평가기관의 구성 596

[그림 4-6] 적합성 평가 과정 599

[그림 4-7] 적합성 평가 분석 및 결과 도출 단계 600

[그림 4-8] 인증 처리절차 605

[그림 4-9] KS인증기관협의회 인증절차 607

[그림 4-10] 공간정보분야 표준 적합성 평가절차 609

[그림 4-11] 적합성 평가 전문기관의 요건 613

[그림 5-1] 공간정보표준 적합성 평가제도의 비전 및 목표 620

[그림 5-2] 표준 활성화를 위한 기관 간 협력체계 강화 622

vol.2 282

[그림 1] 기본공간정보 프레임워크 지적 모델간 관계 284

[그림 2] 지적 모델 컨텍스트 다이어그램 291

[그림 3] 지적 데이터 모델 개념도 292

[그림 4] 연속지적도 클래스 모델 292

[그림 5] 연속지적도 응용 모델 293

vol.3 366

[그림 1] 국제표준의 국가표준(KS표준)화 절차 378

[그림 2]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공간정보표준 목록 확인 방법 384

[그림 3] 과업발주서 표준 적용 예시 385

[그림 4] 표준적용계획서 서식 385

[그림 5] 표준적용평가의 검토결과 서식 387

[그림 6] 「지리정보-메타데이터-제1부: 기본 원칙」의 목차 399

[그림 7] 표준 내용 요약 사례 401

[그림 8] 클래스간의 관계 표현 402

[그림 9] 클래스 연관 사례들 403

[그림 10] 추상 시험 스위트 사례(KS X ISO 19108 지리정보-시간스키마) 404

[그림 11] 공간정보표준의 "명시인용표준" 사례(KS X ISO 19111) 407

[그림 12] 공간정보표준의 "기타인용표준" 사례(KS X ISO 19111) 408

[그림 13] 참조된 부분을 명확히 알 수 있는 경우 - 용어 간 연계(KS X ISO 19113) 408

[그림 14] 표준 연계 현황 사례(KS X ISO 6709 지리정보-좌표에 의한 지리적 점 위치의 표준표시) 409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14398 910.285 -19-3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14399 910.285 -19-3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14400 910.285 -19-3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14401 910.285 -19-3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14402 910.285 -19-3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14403 910.285 -19-3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14404 910.285 -19-3 v.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14405 910.285 -19-3 v.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