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생태계 기후변화 조사 연구 = Study of climate change research for ecosystem / 지은이: 이상훈, 한상학, 이창훈, 안나현 인기도
발행사항
서천군 : 국립생태원, 2018
청구기호
577.22 -19-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vi, 372 p. : 삽화, 도표 ; 26 cm
총서사항
NIE-기반연구 ; 2018-21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9730499
제어번호
MONO1201928919
주기사항
부록: 1. 식생 ; 2. 곤충 ; 3. 생물계절(조류)
참고문헌: p. 336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4

Abstract 28

Ⅰ. 서론 29

1. 육상생태계 29

가. 식생 29

나. 곤충 30

다. 물질순환 32

라. 관악산의 까치 34

2. 담수생태계 35

가. 소양호 35

나. 낙동강 36

3. 기수생태계 37

4. 도서생태계 39

5. 생물계절 39

Ⅱ. 연구내용 및 방법 42

1. 육상생태계 42

가. 식생 42

나. 곤충 48

다. 물질순환 51

라. 관악산의 까치 57

2. 담수생태계 64

가. 소양호 64

나. 낙동강 66

3. 기수생태계 69

가. 조사지개황 69

나. 연구내용 및 방법 70

4. 도서생태계 73

5. 생물계절 75

가. 식생 75

나. 곤충 76

다. 조류 78

Ⅲ. 결과 85

1. 육상생태계 85

가. 식생 85

나. 곤충 133

다. 물질순환 143

라. 관악산의 까치 191

2. 담수생태계 209

가. 소양호 209

나. 낙동강 234

3. 기수생태계 246

가. 기후요인 분석 246

나. 토양요인분석 249

다. 염생식물변화 255

4. 도서생태계 270

가. 상관우점군락 270

나. 너도밤나무군락 구조 특성(직경급 및 수고급 구조) 273

5. 생물계절 275

가. 식생 275

나. 곤충 278

다. 조류 288

Ⅳ. 결론 및 향후계획 339

1. 육상생태계 339

가. 식생 339

나. 곤충 345

다. 물질순환 347

라. 관악산의 까치 351

2. 담수생태계 354

가. 소양호 354

나. 낙동강 355

3. 기수생태계 356

4. 도서생태계 358

5. 생물계절 359

가. 식생 359

나. 곤충 360

다. 조류 362

Ⅴ. 참고문헌 364

Ⅵ/Ⅶ. 부록 376

판권기 401

〈표 Ⅱ-1〉 한라산, 지리산, 남산 장기생태 조사지역 지리정보 50

〈표 Ⅱ-2〉 각 조사지별 조사일 50

〈표 Ⅱ-3〉 Allometric equations for each biomass component against the diameter at the breast height and height in different tree 55

〈표 Ⅱ-4〉 Allometric equations of Abies koreana 55

〈표 Ⅱ-5〉 소양호의 주요 제원과 수문학적 특성 64

〈표 Ⅱ-6〉 수질측정항목 및 분석방법 65

〈표 Ⅱ-7〉 낙동강 수질 분석방법 68

〈표 Ⅱ-8〉 2018 인공새집조사일 80

〈표 Ⅱ-9〉 국립생태원 인공새집 설치지점정보 81

〈표 Ⅱ-10〉 희리산 자연휴양림 인공새집 설치지점정보 82

〈표 Ⅱ-11〉 장태산 인공새집 설치지점정보 83

〈표 Ⅱ-12〉 월별 조류상 조사일 84

〈표 Ⅱ-13〉 조류 군집 분석 방법 84

〈표 Ⅲ-1〉 남산 관속식물문 분포현황 87

〈표 Ⅲ-2〉 남산 국가적색목록, 기후변화지표종, 국가고유생물종, 생태계교란종, 귀화식물 현황 88

〈표 Ⅲ-3〉 남산 신갈나무림 구성목의 밀도, 크기 및 종조성 89

〈표 Ⅲ-4〉 남산 신갈나무림 연평균 고사율 95

〈표 Ⅲ-5〉 남산 신갈나무림 구성목의 중요치 95

〈표 Ⅲ-6〉 남산 소나무림 구성목의 밀도, 크기 및 종조성 97

〈표 Ⅲ-7〉 남산 소나무림 연평균 고사율 99

〈표 Ⅲ-8〉 지리산 관속식물문 분포현황 102

〈표 Ⅲ-9〉 지리산 국가적색목록, 기후변화지표종, 국가고유생물종, 생태계교란종, 귀화식물 현황 103

〈표 Ⅲ-10〉 지리산 소나무림 구성목의 밀도, 크기 및 종조성 105

〈표 Ⅲ-11〉 지리산 소나무림 연평균 고사율 112

〈표 Ⅲ-12〉 지리산 소나무림 구성목의 중요치 112

〈표 Ⅲ-13〉 지리산 구상나무림 구성목의 밀도, 크기 및 종조성 115

〈표 Ⅲ-14〉 지리산 구상나무림 연평균 고사율 121

〈표 Ⅲ-15〉 지리산 구상나무림 구성목의 중요치 121

〈표 Ⅲ-16〉 한라산 관속식물문 분포현황 124

〈표 Ⅲ-17〉 한라산 국가적색목록, 기후변화지표종, 국가고유생물종, 생태계교란종, 귀화식물 현황 125

〈표 Ⅲ-18〉 한라산 구상나무림 구성목의 밀도, 크기 및 종조성 127

〈표 Ⅲ-19〉 한라산 구상나무림 연평균 고사율 130

〈표 Ⅲ-20〉 한라산 구상나무림 구성목의 중요치 131

〈표 Ⅲ-21〉 2018년 조사지역별 채집된 종 수와 개체수 133

〈표 Ⅲ-22〉 지역별 우점종(2018년) 136

〈표 Ⅲ-23〉 남산, 지리산, 한라산 소나무림 지역 우점종(2018년) 137

〈표 Ⅲ-24〉 남산, 지리산, 한라산 신갈나무림 지역 우점종(2018년) 137

〈표 Ⅲ-25〉 지리산, 한라산 구상나무림 지역 우점종(2018년) 138

〈표 Ⅲ-26〉 2017년과 2018년 나방 다양성 비교 139

〈표 Ⅲ-27〉 Annual standing biomass of Q. mongolic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43

〈표 Ⅲ-28〉 Annual standing biomass of P. densiflor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44

〈표 Ⅲ-29〉 Annual standing biomass of R. pseudoacaci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44

〈표 Ⅲ-30〉 Annual standing biomass of each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45

〈표 Ⅲ-31〉 Annual standing biomass of A. korean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46

〈표 Ⅲ-32〉 Net primary production (ton ha-¹ yr-¹) of Q. mongolic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47

〈표 Ⅲ-33〉 Net primary production (ton ha-¹ yr-¹) of P. densiflor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47

〈표 Ⅲ-34〉 Net primary production (ton ha-¹ yr-¹) of R. pseudoacaci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48

〈표 Ⅲ-35〉 Net primary production (ton ha-¹ yr-¹) of A. koreana Community and Q. mongolic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49

〈표 Ⅲ-36〉 Net primary production (ton ha-¹ yr-¹) of A. korean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49

〈표 Ⅲ-37〉 Organic carbon of Q. mongolic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50

〈표 Ⅲ-38〉 Organic carbon of P. densiflor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51

〈표 Ⅲ-39〉 Organic carbon of R. pseudoacaci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51

〈표 Ⅲ-40〉 Organic carbon of each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52

〈표 Ⅲ-41〉 Organic carbon of A. korean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53

〈표 Ⅲ-42〉 Net primary production of organic carbon (ton C ha-¹ yr-¹) of Q. mongolic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54

〈표 Ⅲ-43〉 Net primary production of organic carbon (ton C ha-¹ yr-¹) of P. densiflor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54

〈표 Ⅲ-44〉 Net primary production of organic carbon (ton C ha-1 yr-¹) of R. pseudoacaci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55

〈표 Ⅲ-45〉 Net primary production of organic carbon (ton C ha-¹ yr-¹) of A. koreana Community and Q. mongolic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56

〈표 Ⅲ-46〉 Net primary production of organic carbon (ton C ha-¹ yr-¹) of A. korean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57

〈표 Ⅲ-47〉 Annual litter production of Q. mongolica community 157

〈표 Ⅲ-48〉 Annual litter production of P. densiflora community 158

〈표 Ⅲ-49〉 Annual litter production of R. pseudoacacia community 158

〈표 Ⅲ-50〉 Annual litter production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159

〈표 Ⅲ-51〉 Annual litter production of Abies koreana community 159

〈표 Ⅲ-52〉 Annual litter production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159

〈표 Ⅲ-53〉 Annual litter production of A. korean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60

〈표 Ⅲ-54〉 Annual amount of organic carbon (ton C ha-¹ yr-¹) returned to forest floor via litter of Q. mongolica forest in the study area 161

〈표 Ⅲ-55〉 Annual amount of organic carbon (ton C ha-¹ yr-¹) returned to forest floor via litter of P. densiflora forest in the study area 161

〈표 Ⅲ-56〉 Annual amount of organic carbon (ton C ha-¹ yr-¹) returned to forest floor via litter of R. pseudoacacia forest in the study area 162

〈표 Ⅲ-57〉 Annual amount of organic carbon returned to floor vial itterfall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162

〈표 Ⅲ-58〉 Annual amount of organic carbon returned to floor via litterfall of Abies koreana community 163

〈표 Ⅲ-59〉 Annual amount of organic carbon returned to floor via litterfall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163

〈표 Ⅲ-60〉 Annual amount of organic carbon (ton C ha-¹ yr-¹) returned to forest floor via litterfall of A. koreana forest in the study area 164

〈표 Ⅲ-61〉 Weight of litter on the forest floor of Q. mongolica forest in the study area 165

〈표 Ⅲ-62〉 Weight of litter on the forest floor of P. densiflora forest in the study area 165

〈표 Ⅲ-63〉 Weight of litter on the forest floor of R. pseudoacacia forest in the study area 166

〈표 Ⅲ-64〉 Weight of litter on the forest floor of Pinus densiflora, Abies koreana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167

〈표 Ⅲ-65〉 Weight of litter (ton ha-¹) on the forest floor of A. koreana forest in the study area 167

〈표 Ⅲ-66〉 Organic carbon on the forest floor of Q. mongolica forest in the study area 168

〈표 Ⅲ-67〉 Organic carbon on the forest floor of P. densiflora forest in the study area 169

〈표 Ⅲ-68〉 Organic carbon on the forest floor of R. pseudoacacia forest in the study area 169

〈표 Ⅲ-69〉 Organic carbon on the forest floor of Pinus densiflora, Abies koreana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170

〈표 Ⅲ-70〉 Organic carbon on the forest floor of A. korean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70

〈표 Ⅲ-71〉 Annual amounts of organic carbon along depth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178

〈표 Ⅲ-72〉 Annual amounts of organic carbon along depth of Abies koreana community 178

〈표 Ⅲ-73〉 Annual amounts of organic carbon along depth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179

〈표 Ⅲ-74〉 Annual soil respiration (ton CO₂ ha-¹ yr-¹) and organic carbon (ton C ha-¹ yr-¹) of the Q. mongolic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84

〈표 Ⅲ-75〉 Annual soil respiration (ton CO₂ ha-¹ yr-¹) and organic carbon (ton C ha-1 yr-¹) of the P. densiflor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85

〈표 Ⅲ-76〉 Annual soil respiration (ton CO₂ ha-¹ yr-¹) and organic carbon (ton C ha-¹ yr-¹) of the R. pseudoacaci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85

〈표 Ⅲ-77〉 Annual soil respiration (ton CO₂ ha-¹ yr-¹) and organic carbon (ton C ha-¹ yr-¹) of the and Q. mongolica and A. korean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86

〈표 Ⅲ-78〉 Annual soil respiration (ton CO₂ ha-¹ yr-¹) and organic carbon (ton C ha-¹ yr-¹) of the A. korean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87

〈표 Ⅲ-79〉 Nitrogen (ton N ha-¹ yr-¹) of Tree layer of each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89

〈표 Ⅲ-80〉 Phosphorus (ton P ha-¹ yr-¹) of Tree layer of each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90

〈표 Ⅲ-81〉 연도별 추이 자료 요약(개체군 평균치) 191

〈표 Ⅲ-82〉 번식 지표 간 상관성(연별 개체군 평균치) 193

〈표 Ⅲ-83〉 개체군 연별 자료에 대해 각 시기별 추출한 주성분의 조성 200

〈표 Ⅲ-84〉 개체군 연간 번식성공도 자료분석(새끼수) 201

〈표 Ⅲ-85〉 개체군 연간 번식성공도 자료분석(새끼 건강상태) 201

〈표 Ⅲ-86〉 개체군 연간 번식성공도 자료분석(성공한 둥지의 비율) 201

〈표 Ⅲ-87〉 둥지 단위 분석에 포함된 자료의 요약 204

〈표 Ⅲ-88〉 둥지별 자료에 대해 각 단계별로 추출한 주성분의 조성 205

〈표 Ⅲ-89〉 둥지별 번식성공도 자료분석(새끼수) 206

〈표 Ⅲ-90〉 둥지별 번식성공도 자료분석(새끼의 건강상태) 206

〈표 Ⅲ-91〉 둥지별 번식성공도 자료분석(산란일) 206

〈표 Ⅲ-92〉 둥지별 번식성공도 자료분석(한배 알 수) 206

〈표 Ⅲ-93〉 소양호 조사 시기별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현황 223

〈표 Ⅲ-94〉 소양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군집지수 224

〈표 Ⅲ-95〉 소양호 동물플랑크톤의 총 출현종 수 및 점유율(체적비) 226

〈표 Ⅲ-96〉 소양호 동물플랑크톤의 조사시기별 출현종수 226

〈표 Ⅲ-97〉 소양호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Individual) 227

〈표 Ⅲ-98〉 소양호 동물플랑크톤의 탄소량(Biomass) 228

〈표 Ⅲ-99〉 소양호 동물플랑크톤의 우점종 229

〈표 Ⅲ-100〉 소양호 동물플랑크톤의 군집지수 231

〈표 Ⅲ-101〉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식물종 목록 255

〈표 Ⅲ-102〉 현화리 지역의 염생식물 군락 종합표 259

〈표 Ⅲ-103〉 염생식물 군락의 면적변화 269

〈표 Ⅲ-104〉 고정조사구 내 너도밤나무 상관우점군락의 요약 270

〈표 Ⅲ-105〉 고정조사구 내 황벽나무 상관우점군락의 요약 271

〈표 Ⅲ-106〉 고정조사구 내 고로쇠나무 상관우점군락의 요약 272

〈표 Ⅲ-107〉 채집된 나방의 각 과별 종수와 개체수 요약 278

〈표 Ⅲ-108〉 채집된 나방의 각 과별 종수와 개체수 요약 283

〈표 Ⅲ-109〉 지역별 인공새집 이용률 288

〈표 Ⅲ-110〉 종별 인공새집 이용현황 290

〈표 Ⅲ-111〉 종별 번식이용 현황 291

〈표 Ⅲ-112〉 인공새집의 번식성공여부 현황 292

〈표 Ⅲ-113〉 년도별 둥지형성기간 293

〈표 Ⅲ-114〉 년도별 포란기간 294

〈표 Ⅲ-115〉 년도별 육추기간 295

〈표 Ⅲ-116〉 년도별 산란, 부화, 유조이소수 296

〈표 Ⅲ-117〉 년도별 번식성공계수 297

〈표 Ⅲ-118〉 남산 조류상 조사결과 330

〈표 Ⅲ-119〉 국립생태원 조류상 조사결과 332

〈표 Ⅲ-120〉 완도수목원 조류상 조사결과 335

〈표 Ⅲ-121〉 위도별 여름철새 출현 목록 337

〈표 Ⅲ-122〉 위도별 월간 여름철새 출현 목록 338

〈표 Ⅳ-1〉 까치 번식성공도의 연간 변동과 연내 변동 분석 결과 요약 353

〈표 Ⅳ-2〉 서천과 완도에서 공통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종 361

〈그림 Ⅰ-1〉 무척추동물의 전지구적 감소 현황과 나비와 나방에 인간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다양성이 줄어든 것을 확인한 결과(Dirzo et al., 2014) 31

〈그림 Ⅱ-1〉 남산 조사지 위치 43

〈그림 Ⅱ-2〉 지리산 조사지 위치 44

〈그림 Ⅱ-3〉 한라산 조사지 위치 45

〈그림 Ⅱ-4〉 지리산 소나무림 49

〈그림 Ⅱ-5〉 지리산 신갈나무림 49

〈그림 Ⅱ-6〉 지리산 구상나무림 49

〈그림 Ⅱ-7〉 한라산 구상나무림 49

〈그림 Ⅱ-8〉 남산 소나무림 49

〈그림 Ⅱ-9〉 남산 아카시나무림 49

〈그림 Ⅱ-10〉 조사에 사용한 UV bucket light trap 51

〈그림 Ⅱ-11〉 A map showing the study area. The red circle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P. densiflora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and R. pseudoacacia community 53

〈그림 Ⅱ-12〉 A map showing the study area. The close circle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P. densiflora, A. koreana and Q. mongolica community 53

〈그림 Ⅱ-13〉 A map showing the study area. The red circle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A. korean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54

〈그림 Ⅱ-14〉 2018년에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조사된 까치 둥지 위치 58

〈그림 Ⅱ-15〉 2018년에 KAIST 캠퍼스에서 조사된 까치 둥지 위치 59

〈그림 Ⅱ-16〉 대략적인 까치 번식 스케쥴 60

〈그림 Ⅱ-17〉 고가사다리로 둥지에 접근하는 모습(왼쪽), 부화 후 까치 둥지 내 존재하는 새끼와 알의 모습(오른쪽)/오른쪽 사진의 숫자는 새끼의 나이 (부화 후 일 수)의 추정치 61

〈그림 Ⅱ-18〉 낙동강 수계와 조사 지점 개황 67

〈그림 Ⅱ-19〉 함평만 현화리 조사지역 69

〈그림 Ⅱ-20〉 현장조사 및 내부분석 사진 70

〈그림 Ⅱ-21〉 울릉도 너도밤나무군락 조사지역 위치 74

〈그림 Ⅱ-22〉 식물계절 연구지소 및 digital camera 연구 요약 75

〈그림 Ⅱ-23〉 조사지 위치(A : 생태원, B : 완도수목원) 76

〈그림 Ⅱ-24〉 유인등 트랩과 채집된 곤충 77

〈그림 Ⅱ-25〉 인공새집 조사지역 및 번식이용 상황 78

〈그림 Ⅱ-26〉 위도별 조류상 조사 지역 79

〈그림 Ⅱ-27〉 인공새집조사장비 및 조사사진 80

〈그림 Ⅲ-1〉 남산 신갈나무림 생태계 기후변화 모니터링 방형구 모식도 85

〈그림 Ⅲ-2〉/〈그림 Ⅲ-1〉 남산 소나무림 생태계 기후변화 모니터링 방형구 모식도 86

〈그림 Ⅲ-3〉/〈그림 Ⅲ-2〉 남산 조사지 현황 86

〈그림 Ⅲ-4〉/〈그림 Ⅲ-3〉 남산 조사지 현존식생 88

〈그림 Ⅲ-5〉/〈그림 Ⅲ-4〉 남산 신갈나무림 층위별 종수 90

〈그림 Ⅲ-6〉/〈그림 Ⅲ-5〉 남산 신갈나무림 수종별 직경급 분포 92

〈그림 Ⅲ-7〉/〈그림 Ⅲ-6〉 남산 신갈나무림 수관활력도 93

〈그림 Ⅲ-8〉/〈그림 Ⅲ-7〉 남산 신갈나무림 수간건강상태 94

〈그림 Ⅲ-9〉/〈그림 Ⅲ-8〉 남산 신갈나무림 종다양도 97

〈그림 Ⅲ-10〉/〈그림 Ⅲ-9〉 남산 소나무림 층위별 종수 98

〈그림 Ⅲ-11〉/〈그림 Ⅲ-10〉 지리산 신갈나무림 생태계 기후변화 모니터링 방형구 모식도 100

〈그림 Ⅲ-12〉/〈그림 Ⅲ-11〉 지리산 소나무림 생태계 기후변화 모니터링 방형구 모식도 100

〈그림 Ⅲ-13〉/〈그림 Ⅲ-12〉 지리산 구상나무림 생태계 기후변화 모니터링 방형구 모식도 101

〈그림 Ⅲ-14〉/〈그림 Ⅲ-13〉 지리산 조사지 현황 101

〈그림 Ⅲ-15〉/〈그림 Ⅲ-14〉 지리산 조사지 현존식생 104

〈그림 Ⅲ-16〉/〈그림 Ⅲ-15〉 지리산 소나무림 층위별 종수 106

〈그림 Ⅲ-17〉/〈그림 Ⅲ-16〉 지리산 소나무림 수종별 직경급 분포 109

〈그림 Ⅲ-18〉/〈그림 Ⅲ-17〉 지리산 소나무림 수관활력도 110

〈그림 Ⅲ-19〉/〈그림 Ⅲ-18〉 지리산 소나무림 수간건강상태 111

〈그림 Ⅲ-20〉/〈그림 Ⅲ-19〉 지리산 소나무림 종다양도 114

〈그림 Ⅲ-21〉/〈그림 Ⅲ-20〉 지리산 구상나무림 층위별 종수 116

〈그림 Ⅲ-22〉/〈그림 Ⅲ-21〉 지리산 구상나무림 수종별 직경급 분포 118

〈그림 Ⅲ-23〉/〈그림 Ⅲ-22〉 지리산 구상나무림 수관활력도 119

〈그림 Ⅲ-24〉/〈그림 Ⅲ-23〉 지리산 구상나무림 수간건강상태 120

〈그림 Ⅲ-25〉/〈그림 Ⅲ-24〉 지리산 구상나무림 종다양도 123

〈그림 Ⅲ-26〉/〈그림 Ⅲ-25〉 한라산 구상나무림 생태계 기후변화 모니터링 방형구 모식도 123

〈그림 Ⅲ-27〉/〈그림 Ⅲ-26〉 한라산 조사지 현황 124

〈그림 Ⅲ-28〉/〈그림 Ⅲ-27〉 한라산 조사지 현존식생 126

〈그림 Ⅲ-29〉/〈그림 Ⅲ-28〉 한라산 구상나무림 층위별 종수 127

〈그림 Ⅲ-30〉/〈그림 Ⅲ-29〉 한라산 구상나무림 수관활력도 129

〈그림 Ⅲ-31〉/〈그림 Ⅲ-30〉 한라산 구상나무림 수간건강상태 130

〈그림 Ⅲ-32〉/〈그림 Ⅲ-31〉 한라산 구상나무림 종다양도 132

〈그림 Ⅲ-33〉/〈그림 Ⅲ-32〉 각 산림별 나방 다양성 양상(2018년) 134

〈그림 Ⅲ-34〉/〈그림 Ⅲ-33〉 각 산림별 나방 다양성 양상(2018년) 135

〈그림 Ⅲ-35〉/〈그림 Ⅲ-34〉 나방 과별 다양성 양상(2018년) 135

〈그림 Ⅲ-36〉/〈그림 Ⅲ-35〉 남산, 한라산, 지리산에서 채집된 과병 종수 분포 136

〈그림 Ⅲ-37〉/〈그림 Ⅲ-36〉 한라산, 지리산, 남산에서 채집된 과별 개체수 분포 136

〈그림 Ⅲ-38〉/〈그림 Ⅲ-37〉 월별 나방 종 다양성 출현 양상(2018년) 139

〈그림 Ⅲ-39〉/〈그림 Ⅲ-38〉 월별 나방 종 다양성 출현 양상(2017년) 140

〈그림 Ⅲ-40〉/〈그림 Ⅲ-39〉 한라산(hl), 지리산(jr), 남산(nam)의 세가지 숲 유형(구상나무림 akk, 신갈나무림 qmm, 소나무림 pd, 아카시나무림 ac)에서 378종의 나방 출현을... 141

〈그림 Ⅲ-41〉/〈그림 Ⅲ-40〉 한라산(HS), 지리산(JS), 남산(NS)의 세가지 숲 유형(구상나무림 Ak, 신갈나무림 Qm, 소나무림 P, 아카시나무림 Ac)에서 61종의 나방 출현을... 142

〈그림 Ⅲ-42〉/〈그림 Ⅲ-41〉 Soil organic carbon content along the soil depth at the Q. mongolica forest in the study area 171

〈그림 Ⅲ-43〉/〈그림 Ⅲ-42〉 Soil organic carbon content along the soil depth at the P. densiflora forest in the study area 172

〈그림 Ⅲ-44〉/〈그림 Ⅲ-43〉 Soil organic carbon content along the soil depth at the R. pseudoacacia forest in the study area 172

〈그림 Ⅲ-45〉/〈그림 Ⅲ-44〉 Soil organic carbon content along the soil depth at the P. densiflora forest in the study area 173

〈그림 Ⅲ-46〉/〈그림 Ⅲ-45〉 Soil organic carbon content along the soil depth at the Q. mongolica forest in the study area 174

〈그림 Ⅲ-47〉/〈그림 Ⅲ-46〉 Soil organic carbon content along the soil depth at the Q. mongolica forest in the study area 174

〈그림 Ⅲ-48〉/〈그림 Ⅲ-47〉 Soil organic carbon content along the soil depth at the A. koreana forest in the study area 175

〈그림 Ⅲ-49〉/〈그림 Ⅲ-48〉 Soil organic carbon along the soil depth at the R. pseudoacacia forest in the study area 176

〈그림 Ⅲ-50〉/〈그림 Ⅲ-49〉 Soil organic carbon along the soil depth at the P. densiflora forest in the study area 176

〈그림 Ⅲ-51〉/〈그림 Ⅲ-50〉 Soil organic carbon along the soil depth at the R. pseudoacacia forest in the study area 177

〈그림 Ⅲ-52〉/〈그림 Ⅲ-51〉 Soil organic carbon (ton C ha-¹) along the soil depth at the A. korean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80

〈그림 Ⅲ-53〉/〈그림 Ⅲ-5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respiration and the soil temperature of the Q. mongolica forest in the study area 180

〈그림 Ⅲ-54〉/〈그림 Ⅲ-5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respiration and the soil temperature of the P. densiflora forest in the study area 181

〈그림 Ⅲ-55〉/〈그림 Ⅲ-5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respiration and the soil temperature of the R. pseudoacacia forest in the study area 182

〈그림 Ⅲ-56〉/〈그림 Ⅲ-5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respiration and the soil temperature of the Q. mongolica forest in the study area 182

〈그림 Ⅲ-57〉/〈그림 Ⅲ-5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respiration and the soil temperature of the A. koreana forest in the study area 183

〈그림 Ⅲ-58〉/〈그림 Ⅲ-5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respiration and the soil temperature of the A. koreana forest in the study area(Mt. halla) 184

〈그림 Ⅲ-59〉/〈그림 Ⅲ-58〉 Monthly changes of CO₂ efflux (g CO₂ m-²month-¹) of the Q. mongolica and A. korean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87

〈그림 Ⅲ-60〉/〈그림 Ⅲ-59〉 Monthly changes of CO₂ efflux (g CO₂ m-²month-¹) of the A. koreana community in the study area 188

〈그림 Ⅲ-61〉/〈그림 Ⅲ-60〉 까치 개체군의 번식성공도 연간 추이(파란선 : SNU/주황색선 : KAIST) 194

〈그림 Ⅲ-62〉/〈그림 Ⅲ-61〉 까치 개체군에서 새끼를 성공적으로 한 마리라도 이소시킨 둥지의 비율의 연간 변동(파란선 : SNU/주황색선 : KAIST) 195

〈그림 Ⅲ-63〉/〈그림 Ⅲ-62〉 까치 번식쌍의 번식 실패 요인과 그 관찰비율의 연간 변동 196

〈그림 Ⅲ-64〉/〈그림 Ⅲ-63〉 산란일의 개체군 평균 연간 추이(파란선 : SNU/주황색선 : KAIST) 196

〈그림 Ⅲ-65〉/〈그림 Ⅲ-64〉 한배 알 수의 개체군 평균 연간 추이(파란선 : SNU/주황색선 : KAIST) 197

〈그림 Ⅲ-66〉/〈그림 Ⅲ-65〉 까치개체군 번식성공도 지표의 연간변동과 기후인자와의 상관성 202

〈그림 Ⅲ-67〉/〈그림 Ⅲ-66〉 까치 번식생태의 연내 변동과 기후인자와의 상관성 207

〈그림 Ⅲ-68〉/〈그림 Ⅲ-67〉 소양호에서 투명도의 변화 209

〈그림 Ⅲ-69〉/〈그림 Ⅲ-68〉 소양호에서 수온의 수직 분포 211

〈그림 Ⅲ-70〉/〈그림 Ⅲ-69〉 소양호에서 SS의 수직 분포 212

〈그림 Ⅲ-71〉/〈그림 Ⅲ-70〉 소양호에서 TP의 수직 분포 213

〈그림 Ⅲ-72〉/〈그림 Ⅲ-71〉 소양호에서 TN의 수직 분포 214

〈그림 Ⅲ-73〉/〈그림 Ⅲ-72〉 소양호에서 TOC의 수직 분포 216

〈그림 Ⅲ-74〉/〈그림 Ⅲ-73〉 소양호에서 Chl.a의 수직 분포 217

〈그림 Ⅲ-75〉/〈그림 Ⅲ-74〉 소양호에서 투명도의 장기변동 218

〈그림 Ⅲ-76〉/〈그림 Ⅲ-75〉 소양호에서 수질의 장기변동(한강수계관리위원회, 2015(2008~2015)) 220

〈그림 Ⅲ-77〉/〈그림 Ⅲ-76〉 소양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221

〈그림 Ⅲ-78〉/〈그림 Ⅲ-77〉 소양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세포수 222

〈그림 Ⅲ-79〉/〈그림 Ⅲ-78〉 소양호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장기변동(한강수계관리위원회, 2015(2008~2015)) 225

〈그림 Ⅲ-80〉/〈그림 Ⅲ-79〉 분류군별 개체수 및 탄소량의 상대적 우점 227

〈그림 Ⅲ-81〉/〈그림 Ⅲ-80〉 소양호에서의 동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 230

〈그림 Ⅲ-82〉/〈그림 Ⅲ-81〉 소양호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장기변동(한강수계관리위원회, 2015(2008~2015)) 233

〈그림 Ⅲ-83〉/〈그림 Ⅲ-82〉 연 평균 기온과 경향성(왼 : 양산시, 오 : 대구 기상 관측소) 234

〈그림 Ⅲ-84〉/〈그림 Ⅲ-83〉 연 강수량과 여름 장마 기간(6~9월)의 강수 집중률(왼 : 양산시, 오 : 대구 기상 관측소) 235

〈그림 Ⅲ-85〉/〈그림 Ⅲ-84〉 연 평균 수온과 경향성(왼 : 양산시, 오 : 대구 기상 관측소) 235

〈그림 Ⅲ-86〉/〈그림 Ⅲ-85〉 낙동강 물금 지점에 인접한 양산시 측정소의 일사량, 기온, 일강수량, 연강수량 및 여름 강우 집중률의 연간 변동 237

〈그림 Ⅲ-87〉/〈그림 Ⅲ-86〉 낙동강 물금과 적포 지점에서의 수온(왼)과 pH(오)의 변동 238

〈그림 Ⅲ-88〉/〈그림 Ⅲ-87〉 낙동강 물금과 적포 지점에서의 용존산소량(왼)과 포화도(오)의 변동 239

〈그림 Ⅲ-89〉/〈그림 Ⅲ-88〉 낙동강 물금과 적포 지점에서의 전기전도도(왼)와 알칼리도(오)의 변동 240

〈그림 Ⅲ-90〉/〈그림 Ⅲ-89〉 낙동강 물금(왼)과 적포(오) 지점에서의 탁도의 변동 241

〈그림 Ⅲ-91〉/〈그림 Ⅲ-90〉 물금과 적포 지점에서의 총 질소(왼)와 질산성 질소(오) 농도의 변동 242

〈그림 Ⅲ-92〉/〈그림 Ⅲ-91〉 물금과 적포 지점에서의 총 인(왼)과 인산성 인(오) 농도의 변동 243

〈그림 Ⅲ-93〉/〈그림 Ⅲ-92〉 낙동강 물금(왼)과 적포(오) 지점에서의 이산화 규소 농도의 변동 244

〈그림 Ⅲ-94〉/〈그림 Ⅲ-93〉 낙동강 물금(왼)과 적포(오) 지점에서의 클로로필 a 농도의 변동 244

〈그림 Ⅲ-95〉/〈그림 Ⅲ-94〉 낙동강 물금 지점의 월별 식물플랑크톤 세포수(왼)와 종수(오) 245

〈그림 Ⅲ-96〉/〈그림 Ⅲ-95〉 2004년부터 2018년까지의 평균기온 변화 246

〈그림 Ⅲ-97〉/〈그림 Ⅲ-96〉 2004년부터 2018년까지의 3개월 평균 기온변화(1-3월) 247

〈그림 Ⅲ-98〉/〈그림 Ⅲ-97〉 2004년부터 2018년까지의 강수량 변화 247

〈그림 Ⅲ-99〉/〈그림 Ⅲ-98〉 2004년부터 2018년까지의 상대습도 변화 248

〈그림 Ⅲ-100〉/〈그림 Ⅲ-99〉 2004년부터 2018년까지의 평균퐁속 변화 248

〈그림 Ⅲ-101〉/〈그림 Ⅲ-100〉 현화리 염생식물 군락별 수분함량 측정값(Pc(갈대) : Phragmites communis, Zs(갯잔디) : Zoysia sinica, Sm(해홍나물) : Suaeda maritima,... 251

〈그림 Ⅲ-102〉/〈그림 Ⅲ-101〉 현화리 염생식물 군락별 PH 측정값(Pc(갈대) : Phragmites communis, Zs(갯잔디) : Zoysia sinica, Sm(해홍나물) : Suaeda maritima,... 251

〈그림 Ⅲ-103〉/〈그림 Ⅲ-102〉 현화리 염생식물 군락별 염도 측정값(Pc(갈대) : Phragmites communis, Zs(갯잔디) : Zoysia sinica, Sm(해홍나물) : Suaeda maritima,... 252

〈그림 Ⅲ-104〉/〈그림 Ⅲ-103〉 현화리 염생식물 군락별 전기전도도 측정값(Pc(갈대) : Phragmites communis, Zs(갯잔디) : Zoysia sinica, Sm(해홍나물) : Suaeda maritima,... 252

〈그림 Ⅲ-105〉/〈그림 Ⅲ-104〉 현화리 염생식물 군락별 토양 유기물함량 측정값(Pc(갈대) : Phragmites communis, Zs(갯잔디) : Zoysia sinica, Sm(해홍나물) : Suaeda maritima,... 253

〈그림 Ⅲ-106〉/〈그림 Ⅲ-105〉 2009년~2018년까지의 염생식물 군락별 토양입도분석(Phragmites communis : 갈대, Zoysia sinica : 갯잔디, Suaeda maritima : 해홍나물,... 254

〈그림 Ⅲ-107〉/〈그림 Ⅲ-106〉 2004년~2018년까지의 염생식물 유묘출현률(Phragmites communis : 갈대, Zoysia sinica : 갯잔디, Suaeda maritima : 해홍나물,... 261

〈그림 Ⅲ-108〉/〈그림 Ⅲ-107〉 2004년~2018년까지의 염생식물 생물량(Phragmites communis : 갈대, Zoysia sinica : 갯잔디, Suaeda maritima : 해홍나물, Limonium tetragonum:... 262

〈그림 Ⅲ-109〉/〈그림 Ⅲ-108〉 2016년, 2018년 조사지역 군락변화 비교 264

〈그림 Ⅲ-110〉/〈그림 Ⅲ-109〉 현화리 지역의 현존식생도 268

〈그림 Ⅲ-111〉/〈그림 Ⅲ-110〉 너도밤나무군락 직경급 구조 273

〈그림 Ⅲ-112〉/〈그림 Ⅲ-111〉 너도밤나무군락 수고급 구조 274

〈그림 Ⅲ-113〉/〈그림 Ⅲ-112〉 PhenoCam 요약 276

〈그림 Ⅲ-114〉/〈그림 Ⅲ-113〉 식물계절 이미지 분석 및 데이터 자료 변환 요약 277

〈그림 Ⅲ-115〉/〈그림 Ⅲ-114〉 국립생태원 밤나무 군락 과별 종 구성 비율 279

〈그림 Ⅲ-116〉/〈그림 Ⅲ-115〉 국립생태원 밤나무 군락 과별 개체수 구성 비율 280

〈그림 Ⅲ-117〉/〈그림 Ⅲ-116〉 주별 나방의 생물량 변화 280

〈그림 Ⅲ-118〉/〈그림 Ⅲ-117〉 국립생태원 밤나무군락에서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출현한 나방 종 및 개체수 변동 281

〈그림 Ⅲ-119〉/〈그림 Ⅲ-118〉 2017년과 2018년 생물량과 기온 변화 비교 282

〈그림 Ⅲ-120〉/〈그림 Ⅲ-119〉 완도수목원 붉가시나무 군락 과별 종 구성 비율 284

〈그림 Ⅲ-121〉/〈그림 Ⅲ-120〉 완도수목원 붉가시나무 군락 과별 개체수 구성 비율 285

〈그림 Ⅲ-122〉/〈그림 Ⅲ-121〉 월별 나방 생물량 변화 286

〈그림 Ⅲ-123〉/〈그림 Ⅲ-122〉 완도수목원 붉가시나무군락에서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출현한 나방 종 및 개체수 변동 286

〈그림 Ⅲ-124〉/〈그림 Ⅲ-123〉 2017년과 2018년 생물량과 기온 변화 비교 287

〈그림 Ⅲ-125〉/〈그림 Ⅲ-124〉 국립생태원 인공새집 조사결과 289

〈그림 Ⅲ-126〉/〈그림 Ⅲ-125〉 종별 번식요소 비교(2017-2018) 299

〈그림 Ⅲ-127〉/〈그림 Ⅲ-126〉 국립생태원 인공새집 정밀조사 결과(2017-2018) 299

〈그림 Ⅲ-128〉/〈그림 Ⅲ-127〉 둥지별 조사결과 ID : A41 300

〈그림 Ⅲ-129〉/〈그림 Ⅲ-128〉 둥지별 조사결과 ID : A71 301

〈그림 Ⅲ-130〉/〈그림 Ⅲ-129〉 둥지별 조사결과 ID : A18 302

〈그림 Ⅲ-131〉/〈그림 Ⅲ-130〉 둥지별 조사결과 ID : A16 303

〈그림 Ⅲ-132〉/〈그림 Ⅲ-131〉 둥지별 조사결과 ID : A21 304

〈그림 Ⅲ-133〉/〈그림 Ⅲ-132〉 둥지별 조사결과 ID : A22 305

〈그림 Ⅲ-134〉/〈그림 Ⅲ-133〉 둥지별 조사결과 ID : A29 306

〈그림 Ⅲ-135〉/〈그림 Ⅲ-134〉 둥지별 조사결과 ID : A27 307

〈그림 Ⅲ-136〉/〈그림 Ⅲ-135〉 둥지별 조사결과 ID : A31 308

〈그림 Ⅲ-137〉/〈그림 Ⅲ-136〉 둥지별 조사결과 ID : A38 309

〈그림 Ⅲ-138〉/〈그림 Ⅲ-137〉 둥지별 조사결과 ID : A35 310

〈그림 Ⅲ-139〉/〈그림 Ⅲ-138〉 둥지별 조사결과 ID : A141 311

〈그림 Ⅲ-140〉/〈그림 Ⅲ-139〉 둥지별 조사결과 ID : A131 312

〈그림 Ⅲ-141〉/〈그림 Ⅲ-140〉 둥지별 조사결과 ID : A111 313

〈그림 Ⅲ-142〉/〈그림 Ⅲ-141〉 둥지별 조사결과 ID : B221 314

〈그림 Ⅲ-143〉/〈그림 Ⅲ-142〉 둥지별 조사결과 ID : B241 315

〈그림 Ⅲ-144〉/〈그림 Ⅲ-143〉 둥지별 조사결과 ID : B321 316

〈그림 Ⅲ-145〉/〈그림 Ⅲ-144〉 둥지별 조사결과 ID : B331 317

〈그림 Ⅲ-146〉/〈그림 Ⅲ-145〉 둥지별 조사결과 ID : B351 318

〈그림 Ⅲ-147〉/〈그림 Ⅲ-146〉 둥지별 조사결과 ID : B171 319

〈그림 Ⅲ-148〉/〈그림 Ⅲ-147〉 둥지별 조사결과 ID : B161 320

〈그림 Ⅲ-149〉/〈그림 Ⅲ-148〉 둥지별 조사결과 ID : B151 321

〈그림 Ⅲ-150〉/〈그림 Ⅲ-149〉 둥지별 조사결과 ID : B71 322

〈그림 Ⅲ-151〉/〈그림 Ⅲ-150〉 둥지별 조사결과 ID : B121 323

〈그림 Ⅲ-152〉/〈그림 Ⅲ-151〉 둥지별 조사결과 ID : B41 324

〈그림 Ⅲ-153〉/〈그림 Ⅲ-152〉 둥지별 조사결과 ID : C51 325

〈그림 Ⅲ-154〉/〈그림 Ⅲ-153〉 둥지별 조사결과 ID : C61 326

〈그림 Ⅲ-155〉/〈그림 Ⅲ-154〉 둥지별 조사결과 ID : B110 327

〈그림 Ⅲ-156〉/〈그림 Ⅲ-155〉 남산조류의 생활형비율 및 우점종 현황 328

〈그림 Ⅲ-157〉/〈그림 Ⅲ-156〉 남산조류의 목별 출현 현황 329

〈그림 Ⅲ-158〉/〈그림 Ⅲ-157〉 국립생태원 조류의 생활형비율 및 우점종 현황 331

〈그림 Ⅲ-159〉/〈그림 Ⅲ-158〉 국립생태원 조류의 목별 출현 현황 331

〈그림 Ⅲ-160〉/〈그림 Ⅲ-159〉 완도수목원 조류의 생활형비율 및 우점종 현황 333

〈그림 Ⅲ-161〉/〈그림 Ⅲ-160〉 완도수목원 조류의 목별 출현 현황 334

〈그림 Ⅲ-162〉/〈그림 Ⅲ-161〉 조류 생활형 비교 336

〈그림 Ⅳ-1〉 서천에서 우점하는 종(A : 잔점박이혹나방, B : 창나방) 360

〈그림 Ⅳ-2〉 완도에서 우점하는 종(A : 털뿔가지나방, B : 푸른나방) 360

〈표 부록-1〉 2018년 남산, 지리산, 한라산에서 채집한 대형나방 데이터베이스 자료 379

〈표 부록-2〉 남산 조류 목록 390

〈표 부록-3〉 국립생태원 조류 목록 393

〈표 부록-4〉 완도수목원 조류 목록 397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14428 577.22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14429 577.22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