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제2차) 과학기술 기반 국민생활·사회문제 해결 종합계획 수립 및 문제해결형 R&D사업 활성화 지원 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2nd comprehensive plan for solving social problems based 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and supporting the activation of R&D projects for solving social problems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
청구기호
352.745 -19-47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viii, 437 p. : 삽화, 도표, 서식 ; 30 cm
총서사항
(2018년) 과학기술종합조정지원사업
과제번호 ; 2018-2-1
제어번호
MONO1201929083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명: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주관연구기관책임자: 황기하
참고문헌: p. 341-342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

목차

1부 제2차 과학기술 기반 국민생활(사회)문제 해결 종합계획('18~'22) 수립 연구 16

제1장 종합계획 개요 18

1. 추진 배경 20

2. 추진 체계 및 절차 22

3. 추진 경과 23

4. 법적 근거 및 관련 계획과의 관계 24

제2장 제1차 종합계획의 성과 및 환경변화 28

1. 1차 종합계획 성과 및 시사점 30

2. 국내외 주요동향 34

3. 국민생활 환경변화와 주요 사회문제 49

4. 정부R&D 예산 현황 51

제3장 제2차 종합계획 비전·목표와 주요 전략·추진 과제 58

1. 비전 및 목표 60

2. 전략 및 추진 과제 61

제4장 결론 98

1. 제2차 종합계획 수립 100

2. 개선사항 및 기대효과 105

3. 향후 계획 107

제5장 종합계획 후속 2019년도 국민생활(사회)문제 해결 시행계획 수립 사전연구 112

1. 계획 수립 개요 114

2. 추진 절차 및 조사 내용 115

3. 향후 계획 119

2부 국민생활(사회)문제 해결 R&D 활성화 지원 연구 138

제1장 국민생활(사회)문제 해결 민관협의회 운영 방안 140

1. 추진 배경 142

2. 협의회 구성 142

3. 협의회 운영 143

4. 주요 일정 및 계획 145

제2장 사회문제해결 솔루션 도출 시범연구(미세플라스틱) 152

1. 사회문제해결 솔루션 도출 추진체계 구축 154

2. 시범연구 추진내용 157

3. 향후 계획 175

제3장 사회문제해결형 다부처 R&D사업 이행 점검 200

1. 이행 점검 개요 202

2. 주요 추진 내용 206

3. 이행 점검 결과 249

4. 향후 계획 및 활용 방안 268

제4장 사회문제해결형 R&D 개념 정립 270

1. 추진 배경 272

2. 추진 내용 272

3. 추진 방향 273

4. 향후 일정 276

제5장 사회문제해결 생태계 구축 사전연구 294

1. 사회문제해결 온라인플랫폼 구축방향 296

2. 온라인플랫폼 구축 및 운영 계획 298

3. 향후 계획 306

3부 국민생활(사회)문제 해결 기반 구축 위탁 연구(요약) 326

제1장 제2차 과학기술 기반 사회문제해결 종합계획의 중점추진과제 후보군 현황조사 및 이슈분석 지원연구 328

1. 연구 개요 330

2. 연구 내용 330

3. 종합 및 정책 제언 332

제2장 R&SBD 개념을 접목한 사회문제해결형 다부처 R&D사업 시범과제 발굴 및 예비기획연구 334

1. 연구 개요 336

2. 시범사업 테마 도출 338

3. 기획방법론 설계 340

4. 기대효과 및 제언 347

제3장 사회문제해결형 R&D 리빙랩 가이드라인 마련·배포 및 범부처 확산방안 마련 연구 348

1. 가이드라인 개요 350

2. 가이드라인 구성 및 내용 351

참고문헌 356

별첨 358

별첨 1. 과학기술 기반 사회문제해결 관련 인식조사 360

별첨 2.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 안건 372

별첨 3. 카드뉴스 및 리플렛 380

별첨 4. 사회적 비즈니스 모델 유형화 402

별첨 5. 2018년도 다부처 R&D사업 공동기획 컨설팅 414

별첨 6. 국민생활(사회)문제 해결 민관협의회 1차 회의 안건(2018.12.6.) 주요 내용 438

1부 제2차 과학기술 기반 국민생활(사회)문제 해결 종합계획('18~'22) 수립 연구 11

〈표 2-1〉 QoLT의 주요 개발영역 및 과제 35

〈표 2-2〉 RISTEX의 R&D 지원사례 39

〈표 2-3〉 Societal Challenges의 7개 연구영역 43

〈표 2-4〉 예산 현황 조사 개요 51

〈표 3-1〉 실무협의회 및 전문가 자문단의 역할 62

〈표 3-2〉 민관협의회 체계 및 구성 63

〈표 3-3〉 다부처 R&D사업 개선방향 64

〈표 3-4〉 통합적 예산 배분·조정 검토 및 예산심의 절차(예시) 65

〈표 3-5〉 사회문제해결형 R&D사업 패키지 요건 66

〈표 3-6〉 리빙랩 연구지원 사업(사례) 66

〈표 3-7〉 사회문제해결형 비즈니스 모델을 고려한 R&D사업 유형화 기준 및 유형 68

〈표 3-8〉 미국의 긴급대응연구프로그램 지원 사례 71

〈표 3-9〉 긴급대응연구사업 운영 절차(예시) 73

〈표 3-10〉 사회문제해결형 비즈니스 모델 적용시 고려사항 75

〈표 3-11〉 일반시민·연구자 네트워크 조직(안, 예시) 78

〈표 3-12〉 과학기술 기반 사회문제해결 교육 프로그램 84

〈표 3-13〉 개도국 과학기술지원사업 내용 95

〈표 4-1〉 종합계획 개선 방향 및 효과 105

〈표 4-2〉 과학기술을 활용한 국민 삶의 질 향상 기대효과 106

2부 국민생활(사회)문제 해결 R&D 활성화 지원 연구 11

〈표 2-1〉 사회문제 선정 단계 업무 흐름도 155

〈표 2-2〉 사회문제 후보 27개 158

〈표 2-3〉 설문항목별 상위 이슈 159

〈표 2-4〉 전문가 의견수렴 결과 160

〈표 2-5〉 이슈별 과학기술적 해결가능 내용에 대한 전문가 주요 의견 161

〈표 2-6〉 미세플라스틱 관련 세부이슈 163

〈표 2-7〉 원인단계 연구맵 개선방향 168

〈표 2-8〉 진행단계 연구맵 개선방향 169

〈표 2-9〉 결과단계 연구맵 개선방향 170

〈표 2-10〉 영향단계 연구맵 개선방향 171

〈표 2-11〉 국민청원게시판 모니터링 176

〈표 3-1〉 사회문제해결형 다부처 R&D사업 점검 대상 실천과제 리스트 203

〈표 3-2〉 사회문제해결형 다부처 R&D사업 실태조사 항목 206

〈표 3-3〉 사회문제해결형 다부처 R&D사업별 투자 현황('14년 추진 4개 사업) 207

〈표 3-4〉 사회문제해결형 다부처 R&D사업별 투자 현황('15년 추진 10개 사업) 208

〈표 3-5〉 사회문제해결형 다부처 R&D사업별 투자 현황('16년 추진 1개 사업) 210

〈표 3-6〉 사회문제해결형 다부처 R&D사업별 투자 현황('17년 추진 2개 사업) 210

〈표 3-7〉 전문가자문단 서면 점검 항목 228

〈표 3-8〉 실천과제별 부처 참여 변동 현황 252

〈표 3-9〉 기 추진 사회문제해결형 다부처 R&D사업 협업 현황 254

〈표 3-10〉 실천과제별 협업 주요 내용 255

〈표 3-11〉 사회문제해결형 다부처 R&D사업 특성 반영 현황 257

〈표 3-12〉 사회문제해결형 다부처 R&D사업 특성 반영 주요 내용 258

〈표 3-13〉 사회문제해결형 성과 실증 및 실용화·사업화 현황 261

〈표 3-14〉 사회문제해결형 성과 주요 내용 262

〈표 4-1〉 기존 R&D와 사회문제해결형 R&D 비교 273

〈표 4-2〉 R&D사업 구성요소 관점의 고려요인(예시) 274

〈표 4-3〉 비R&D중심영역 구성 275

〈표 5-1〉 사회문제 관련 정보 분석 제공 DB 구성(안) 298

〈표 5-2〉 시민, 연구자·공무원, 사회적경제조직 등 교육대상별 교육내용(예시) 301

〈표 5-3〉 S-네트워크 구성(안) 302

〈표 5-4〉 사용자 유형별 수요 및 서비스 추진(안) 308

3부 국민생활(사회)문제 해결 기반 구축 위탁 연구(요약) 12

〈표 1-1〉 연구 추진 프로세스 330

〈표 2-1〉 시범사업 테마 338

〈표 2-2〉 평가항목 기준 339

〈표 2-3〉 시범사업 테마 평가 결과 339

〈표 2-4〉 가치청사진 작성법 342

〈표 2-5〉 'IoT 기반의 악취 감지 통합시스템 개발' 사회적 비즈니스 모델 요약 346

〈표 3-1〉 길잡이 구성 항목 351

〈표 3-2〉 리빙랩 운영과정 354

1부 제2차 과학기술 기반 국민생활(사회)문제 해결 종합계획('18~'22) 수립 연구 13

[그림 1-1] 민관협의회 추진체계 22

[그림 2-1] 1차 종합계획 개요 30

[그림 2-2] 온라인 공모 플랫폼 Chanllenge.gov 36

[그림 2-3] RISTEX의 기초 분야 관리 프레임워크 38

[그림 2-4] 일본 사회기술연구개발센터 조직 구조(2017년 기준) 40

[그림 2-5] RISTEX의 R&D 프로세스와 사회적 활용 구성도 41

[그림 2-6] 전략적혁신창조프로그램 추진체계도 42

[그림 2-7]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비전과 미래모습 46

[그림 2-8] 국민생활연구 추진전략의 위상 46

[그림 2-9]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의 비전 및 목표 47

[그림 2-10] 사회혁신 주요 업무 추진계획의 비전 및 목표 47

[그림 2-11] 생활환경 변화와 40개 주요 사회문제 49

[그림 2-12] 10대 분야 및 40개 주요 사회문제 50

[그림 2-13] 사회문제 관련 R&D사업 총예산 추이 및 부처별 예산규모·비중 52

[그림 2-14] 10대 분야 사회문제 관련 R&D사업 예산 추이 52

[그림 3-1] 계획계약제도 운영체계 69

[그림 3-2] 사회문제해결형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안) 70

[그림 3-3] BRT 예산 배정 흐름도 72

[그림 3-4] The RRT Draft Operating Model 73

[그림 3-5] 다부처R&D전주기멘토단 운영(안) 74

[그림 3-6] 한국형온라인공개강좌 추진체계 85

[그림 3-7] 주민주도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혁신 추진체계도 90

[그림 3-8]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추진체계도 91

[그림 3-9] 사회적경제 인재양성 종합계획 추진체계도 92

[그림 4-1] 40개 주요 사회문제 102

2부 국민생활(사회)문제 해결 R&D 활성화 지원 연구 13

[그림 1-1] 과학기술 기반의 사회문제해결 솔루션 발굴 추진체계 143

[그림 1-2] 사회문제 선정 단계 업무 흐름도 144

[그림 2-1] 사회문제해결 솔루션 도출 추진체계(안) 154

[그림 2-2] 사회문제 발굴 및 선정 프로세스 157

[그림 2-3] 뉴스와 국민청원 후보군 도출 개요 157

[그림 2-4] 사회적 이슈별 응답결과 분석 159

[그림 2-5] 문제맵 분석틀 161

[그림 2-6] 일반시민의 소망성을 반영한 미세플라스틱 문제맵 164

[그림 2-7] 미세플라스틱 관련 R&D과제 현황1 165

[그림 2-8] 미세플라스틱 관련 R&D과제 현황2 165

[그림 2-9] 미세플라스틱 연구맵 166

[그림 2-10] 문제맵과 연구맵 매칭 분석 개요 166

[그림 2-11] 미세플라스틱 문제맵과 연구맵 비교 167

[그림 2-12] 미세플라스틱 토론회 해커톤 추진개요 172

[그림 2-13] 17개 세부문제간 시스템적 관계도 174

[그림 3-1] 사회문제해결형 다부처 R&D사업 점검 절차 204

[그림 3-2] 실천과제별 투자 금액 추이 253

[그림 3-3] 부처별 투자 금액 추이 253

[그림 5-1] 사회문제해결 온라인플랫폼 개념(안) 296

[그림 5-2] 사회문제해결 온라인플랫폼 구성 296

[그림 5-3] 사회문제해결 온라인플랫폼 활용방안 297

[그림 5-4] 정보·분석 활용(안) 300

[그림 5-5] 개방형 수요조사 활동순서 및 대상 303

[그림 5-6] 문제중심 지식공유 활동순서 및 대상 303

[그림 5-7] 연구회 커뮤니티 활동순서 및 대상 304

[그림 5-8] 회의체 커뮤니티 활동순서 및 대상 304

[그림 5-9] 참여형 커뮤니티 활동순서 및 대상 305

[그림 5-10] 온라인플랫폼 체계(안) 307

[그림 5-11] 온라인플랫폼 제공서비스(안) 307

[그림 5-12] 일반국민 대상 수요 및 서비스 추진(안) 309

[그림 5-13] 문제 유관기관 대상 수요 및 서비스 추진(안) 309

[그림 5-14] 시민사회단체 대상 수요 및 서비스 추진(안) 310

[그림 5-15] 연구자 대상 수요 및 서비스 추진(안) 310

[그림 5-16] 부처·기관 대상 수요 및 서비스 추진(안) 311

[그림 5-17] 이슈 분석 및 해결방안 모색 절차 315

[그림 5-18] 단일형/복합형 서비스 조합 319

[그림 5-19] 소셜리빙랩 '상상테이블' 활동사항 공유 사례 322

[그림 5-20] 국민해결 2018 홈페이지 323

[그림 5-21] 국민해결 2018 홍보페이지 323

[그림 5-22] 도전가능한 사회문제의 분류 324

3부 국민생활(사회)문제 해결 기반 구축 위탁 연구(요약) 15

[그림 2-1] R&SD 개념을 접목한 사회문제해결형 다부처 R&D사업 프레임워크 336

[그림 2-2] 시범사업 테마 도출 프로세스 338

[그림 2-3] 기획 프로세스 340

[그림 2-4] 가치청사진 기본형 구조 343

[그림 2-5] 사회적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작성 요령 343

[그림 2-6] 'IoT 기반 악취 감지 통합시스템 개발' 가치청사진 345

[그림 2-7] 'IoT 기반의 악취 감지 통합시스템 개발' 사회적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346

[그림 3-1] 리빙랩 길잡이의 구성 35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15170 352.745 -19-4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15171 352.745 -19-4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EM0000147640 352.745 -19-47 전자자료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