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 역량의 교육정책적 적용 과제 탐색 / 연구책임자: 이상은 ; 공동연구자: 김은영, 김소아, 유예림, 최수진, 소경희 ; 연구원: 신연재 인기도
발행사항
진천군 : 한국교육개발원(KEDI), 2018
청구기호
379.155 -19-16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i, 269 p. : 도표, 서식 ; 26 cm
총서사항
연구보고 ; RR 2018-08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6663423
제어번호
MONO1201929476
주기사항
부록: 1. 국내 역량 교육 정책의 단계적 적용 과정 분석을 위한 FGI 질문지 ; 2. 국내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교사 인식 조사를 위한 설문조사
참고문헌: p. 235-242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4

Ⅰ.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6

가. 연구의 필요성 16

나. 연구의 목적 19

2. 연구 내용 20

가.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의 도입맥락 및 진행과정 분석 20

나. OECD 교육 2030에서 새롭게 규명된 '역량'교육의 의미와 설계 방향 20

다. OECD 교육 2030에 비추어 본 국내 역량 교육정책의 적용 실태 분석: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나타난 쟁점을 중심으로 21

라. 현행 국내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분석 22

3. 연구 방법 23

가. 문헌 연구 및 문서 분석 23

나. 초점집단면담(FGI: Focus Group Interview) 23

다. 설문조사 27

라. OECD 회의 참석 및 해당국 관계자 면담 30

마. 전문가 협의회 31

바. 생명윤리심의 요청 및 승인 31

Ⅱ. 이론적 배경 33

1. 21세기 학교교육 개혁을 위한 역량 교육정책 동향과 실행 모형 34

가.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역량 교육의 등장 34

나. 외국의 역량 교육정책 모형 35

2. 국내 역량 교육정책의 전반적 구조, 현황 및 쟁점 40

가. 국내 역량 정책의 전반적 구조 분석 40

나. 국내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 현황과 쟁점 49

3.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 관련 연구 동향 및 본 연구의 차별성 57

Ⅲ.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의 도입 맥락 및 진행 과정 62

1. OECD의 교육 2030 프로젝트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의식: DeSeCo의 한계를 중심으로 63

가. DeSeCo의 한계 1: 역량에 대한 이론적이고 추상적인 접근 64

나. DeSeCo의 한계 2: 역량 평가 준거 개발에 초점을 둔 협소한 틀 65

2.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의 추진 과정 및 내용 68

가. 추진 경과 68

나. 제7차 및 제8차 비공식작업반 회의 내용 72

Ⅳ. OECD 교육 2030에서 새롭게 규명된 '역량' 교육의 의미와 설계 방향 87

1. OECD 교육 2030에서 제시된 '역량' 개념의 특징과 의미: DeSeCo 프로젝트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88

가.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에서 전망한 미래 사회의 특징과요구되는 역량 89

나. 교육 2030 프로젝트의 '학습 틀'에 나타난 역량의 의미와 특징 92

2. OECD 교육 2030에 나타난 역량 교육의 설계 방향 103

가. 역량을 발달시키기 위한 설계 원리 104

나. 미래지향적 역량교육에서 학생과 교사의 역할 107

다.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교육 내용 110

Ⅴ. OECD 교육 2030에 비추어 본 국내 역량 교육 정책의 적용 실태 119

1. 국가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개발 단계에서의 역량의 적용 121

가.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와 방향에 대한 비전 공유 현황 121

나. 역량기반 교과 교육과정 재설계: 교과 내용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129

다. 역량기반 교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의 숙의: 개발자들 간의 조정 과정을 중심으로 137

2. 교과서 집필 단계에서의 역량의 적용 142

가. 역량을 반영한 교과서 집필 과정의 특징과 한계 142

나. 역량이 반영된 새 교과서에 대한 우려 145

다. 향후 역량기반 교과서 개발의 개선 과제 146

3. 교사의 수업 실행 단계에서의 역량의 적용 148

가. 역량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148

나. 교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변화에 대한 이해와 경험 153

다. 학교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실천 양상 158

라. 교사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연수 경험 165

Ⅵ. 현행 국내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172

1. 설문조사의 개요 173

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175

가. 교육과정 총론에 대한 인식 175

나. 교과 교육과정(각론)에 대한 인식 177

다. 교과서에 대한 인식 183

3.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교사 전문성 개발 188

가. 연수 참여 여부 188

나. 연수 유형별 경험 양상 188

다. 역량기반 교육과정 관련 연수의 효과에 대한 인식 195

라. 역량기반 교육과정 관련 연수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와 개선 과제 196

4.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수업 및 평가 실천 198

가.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의 수업 운영 198

나.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의 평가 실천 202

5.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위한 학교의 학습 환경 변화 206

가.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학교 학습 환경의 적합성 206

나.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학교 학습 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 207

다.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소속 학교 교사에 대한 인식 209

Ⅶ. 미래지향적 교육개혁 비전으로서 '역량'의 교육정책적 적용을 위한 과제 211

1. OECD 교육 2030에 비추어 본 한국 역량 교육정책의 특징 212

2. 역량의 교육정책적 적용을 위한 개선 과제 216

가. 교육정책 방향 및 추진 방식 216

나. 교육과정 설계 및 실행 219

다. 수업 및 평가 실천 226

라. 교사 전문성 개발 230

참고문헌 239

Abstract 247

[부록 1] 국내 역량 교육 정책의 단계적 적용 과정 분석을 위한 FGI 질문지 252

[부록 2] 국내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교사 인식 조사를 위한 설문조사 255

판권기 273

[표 Ⅰ-1] FGI 조사 참여자 현황 및 특징 25

[표 Ⅰ-2] 연구 참여자별 주요 면담 내용 26

[표 Ⅰ-3] 학교급별 지역규모별 회수 표본 수 28

[표 Ⅰ-4] 설문 문항 개요 29

[표 Ⅰ-5]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 도입 배경 관련 면담의 초점 질문 30

[표 Ⅱ-1] 전통적인 평가와 핵심 역량 도입이후의 평가 방향 38

[표 Ⅱ-2] 2015 개정교육과정의 6개 핵심역량 41

[표 Ⅱ-3] 2015 개정교육과정 교과역량 41

[표 Ⅱ-4]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기존 교육과정의 비교 53

[표 Ⅱ-5] 문서화된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실행과정에서의 주요 쟁점 57

[표 Ⅲ-1] OECD 교육 2030 추진 경과(2015-2017) 69

[표 Ⅲ-2] 각 국가에서 활용된 CCM 관련 교육과정 문서 예시 76

[표 Ⅲ-3] OECD 교육 2030에서 제시한 교육과정 설계 원리 76

[표 Ⅲ-4] OECD 교육 2030에서 논의된 수학 교육과정 분석 틀 80

[표 Ⅲ-5] New Vision for New Normal in Education 81

[표 Ⅳ-1] 교육 2030 프로젝트에서 제시한 역량 개념을 구성하는 요소 95

[표 Ⅳ-2] 'DeSeCo' 프로젝트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의 범주와 하위 역량 99

[표 Ⅳ-3] 교육 2030 프로젝트에서 제시한 변혁적 역량 100

[표 Ⅵ-1] 응답자 배경 변인별 분포 174

[표 Ⅵ-2]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개발 목표(학생들의 역량 함양)에 대한 인지 여부 175

[표 Ⅵ-3]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 인식 176

[표 Ⅵ-4] 교과 역량을 반영하여 새롭게 개발된 교과 교육과정을 살펴본 경험 여부 177

[표 Ⅵ-5] 수업 준비시 새롭게 개발된 교과 교육과정의 활용도 178

[표 Ⅵ-6] 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 계획시 새로운 교과 교육과정의 기여도 178

[표 Ⅵ-7] 이전 교육과정 대비 새 교과 교육과정의 변화 정도 179

[표 Ⅵ-8]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교과 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 180

[표 Ⅵ-9] 역량기반 교과 교육과정 설계 원리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 182

[표 Ⅵ-10] 새롭게 개발된 교과서를 살펴본 경험 여부 184

[표 Ⅵ-11] 수업 준비시 새롭게 개발된 교과서의 활용도 184

[표 Ⅵ-12] 새 교과서의 변화 정도 및 수업 운영에 대한 기여도 185

[표 Ⅵ-13]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 측면에서의 교과서 특성에 대한 인식 186

[표 Ⅵ-14] 역량 함양을 목표로 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관련 연수 참여 여부 188

[표 Ⅵ-15] 연수 경험 여부: 주관 기관별(복수응답) 189

[표 Ⅵ-16] 연수 경험 여부: 연수 형식별 190

[표 Ⅵ-17] 연수에 대한 만족도: 연수 형식별 192

[표 Ⅵ-18] 연수 경험 여부: 연수 내용별 193

[표 Ⅵ-19] 연수 참여 시간: 연수 내용별 194

[표 Ⅵ-20] 역량기반 교육과정 관련 연수의 효과에 대한 인식 정도 196

[표 Ⅵ-21] 역량기반 교육과정 관련 연수에 참여하지 않는 주 이유 197

[표 Ⅵ-22]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우선적인 개선 과제 197

[표 Ⅵ-23] 수업 계획 시 역량 함양을 수업의 목표로 반영하는 정도 198

[표 Ⅵ-24] 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 전문성 및 학생 참여형 수업에 대한 자신감 인식 수준 199

[표 Ⅵ-25] 학생 역량 함양 측면에서의 본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 199

[표 Ⅵ-26] 역량기반 교육과정 도입 이후 수업 방식의 변화 201

[표 Ⅵ-27] 역량기반 교육과정 도입 이후 수업 운영의 어려움 202

[표 Ⅵ-28] 역량 함양을 위한 평가 전문성 인식 및 학생 참여형 수업에 대한 자신감 203

[표 Ⅵ-29] 역량기반 교육과정 도입 이후 평가 방식의 변화 204

[표 Ⅵ-30] 역량기반 교육과정 도입 이후 평가 운영의 어려움 206

[표 Ⅵ-31]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학교 학습 환경의 적합성 207

[표 Ⅵ-32]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학교 학습 환경 변화 208

[표 Ⅵ-33]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소속 학교 교사에 대한 인식 209

[표 Ⅶ-1] 본 연구의 역량의 교육정책적 적용을 위한 개선 과제 238

[그림 Ⅰ-1] 역량이 반영된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 절차 24

[그림 Ⅰ-2]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 개요 32

[그림 Ⅱ-1] 역량 교육 정책 모형 36

[그림 Ⅱ-2] 2015 개정교육과정과 역량 함양 체계 42

[그림 Ⅱ-3] 현행 교원연수의 대상 및 종류 45

[그림 Ⅱ-4] 교사학습공동체 운영방향 47

[그림 Ⅲ-1] OECD 교육 2030 제6차 IWG 회의에서 발표된 학습 개념틀 71

[그림 Ⅲ-2] OECD 교육 2030의 '협력적 행위주체성' 74

[그림 Ⅳ-1] OECD 'DeSeCo'와 '교육 2030'에서 그려낸 미래 사회의 도전 91

[그림 Ⅳ-2] 'DeSeCo' 프로젝트에서 제시한 개인적 및 집단적 목표와 역량 93

[그림 Ⅳ-3] 교육 2030 프로젝트에서 제시한 '학습 틀' 97

[그림 Ⅳ-4] 'DeSeCo' 프로젝트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의 틀 98

[그림 Ⅳ-5] 'DeSeCo'와 '교육 2030'에서 제시한 역량의 의미와 특징 102

[그림 Ⅵ-1]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교과 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 영역별 비교 180

[그림 Ⅵ-2]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설계 원리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 영역별 비교 183

[그림 Ⅵ-3]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 측면에서의 교과서 특성에 대한 인식: 영역별 비교(전체) 186

[그림 Ⅵ-4] 역량기반 교육과정 도입 이후 수업 방식의 변화: 영역별 비교(전체) 200

[그림 Ⅵ-5] 역량기반 교육과정 도입 이후 평가 방식의 변화: 영역별 비교(전체) 205

[그림 Ⅵ-6]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학교 학습 환경 변화: 영역별 비교(전체) 207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16017 379.155 -19-1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16018 379.155 -19-1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