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주거단지 내 유기성 폐자원의 활용촉진을 위한 실증연구 [전자자료] : 최종보고서(5차년도)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자원순환 주거단지 실증연구단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국토교통부, 2019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총서사항
국토교통부 R&D report
제어번호
MONO1201929627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관연구기관책임자: 김현수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9

제1절 연구개발 목적 19

1. 연구개발의 비전 19

2. 연구개발의 목표 19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21

1. 연구개발과제의 추진배경 21

2. 연구개발의 중요성 23

제3절 연구개발의 범위 28

1. 핵심기술 개발 28

2. 핵심기술 개발 목록 29

제2장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 30

제1절 관련 분야의 국내외 기술동향 및 학술적 성과 30

1. 국가 연구개발사업 유사연구 실적 30

2. 관련분야의 국내외 기술동향 및 학술적 흐름 분석 32

3. 국내외 자원순환 주거단지 현황 및 수준분석 37

제2절 국내외 관련 기술 특허 동향 39

1. 특허 동향 39

2. 연구성과와 관련되어 분쟁이 예상되는 특허 41

3. 특허의 세부사항 41

제3장 연구 수행 내용 및 성과 43

제1절 수송유형별 음식물쓰레기 분리/선별장치(1-가) 43

1. 음식물쓰레기 단지내 분리/선별 기술 현장조사 43

2. 고액분리/탈수 기술 현황 및 고형물 회수율 시험 44

3. 고액분리 장치의 성능 검증 및 시스템화 50

4. 실용화를 위한 고형물 회수율 기준에 대한 정책 제안 53

제2절 음식물 폐기물 분쇄 및 이송관리 시스템(1-나) 54

1. 음식물류폐기물 분쇄 시스템 54

2. 관망 유지관리 기법 59

제3절 음식물 쓰레기 발효소멸 처리장치음식물 쓰레기 발효소멸 처리장치(1-다) 63

1. 발효소멸 공정의 설계인자 도출 63

2. 발효 소멸 반응 제어 인자 분석 63

3. 발효소멸 장치의 설계 및 운전인자 예측 65

4. 발효소멸 장치의 업그레이드 67

5. 직접 접촉식 응축/악취 제거/열교환 복합 모듈 개발 75

6. 시제품 연속 운전 및 보완 83

제4절 비료의 숙성 및 저장 장치(1-라) 89

1. 숙성저장 개발 모델 89

2. 염분제거 실험 91

3. 시제품 제작 92

4. 퇴비 숙성 실험 93

5. 장치 보완 방안 제시 95

제5절 음식물 부산물의 연료화(1-마) 96

1. 음식물 쓰레기 부산물의 연료화 특성 96

2. 부산물의 연료시제품 제시 102

제6절 유기성 폐기물 혐기성 소화장치(1-바) 105

1. 혐기성 소화 실험 및 운전인자 최적화(G-1) 105

2. 파일럿 스케일 이상 중온 혐기성 소화장치 설계 및 운전(G-2) 106

3. 소형 혐기성 소화 장치(G-3) 108

4. 가용화조를 포함한 2상 중온 혐기성 소화 장치(기존 시스템) 109

5. 메탄생성조 교반효율 개선 110

6. 메탄생성조 SRT 조절(batch실험) 112

7. 시작품 설계 및 제작 114

8. 시제품 설계 및 운전매뉴얼 제작(G-4) 120

제7절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1-사) 123

1. 개요 123

2. 건조기 개발 123

3. 건조기 시제품 제작 및 업그레이드 기술 개발[원문불량;p.107] 124

4. 상용 시제품 제작 126

제8절 탄화시설 구축 및 실험·분석(1-아) 129

1. 탄화처리를 위한 통합모델 기술개발 129

2. 최적화 플라즈마 반응로 개발 130

3. 플라즈마 토치 제어용 정류기(시제품) 132

4. 자동화를 위한 시스템 설계 133

5. 음식물 반입량에 따른 계량방안 및 과금체계 확립 135

6. 최적 방지시설 설계 및 시스템 운전 136

7. 건조탄화기기를 이용한 주거단지 시범사업 137

제9절 자원순환 주거단지 모델 수립(1-자) 140

1. 자원순환 주거단지 개념 정립 140

2. 자원순환 주거단지 법제도 개선안 142

3. 자원순환 주거단지 조성관련 주요 법령에 대한 검토 148

4. 검토결과 및 개선방향 150

5. 자원순환 주거단지 조성을 위한 정보시스템 구축 153

6. 자원순환 주거단지 모델 수립 -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도입방향 155

7. 자원순환 주거단지 조성을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설계 및 유지관리 161

8. 자원순환 주거단지 통합실증 사례 구축(건조탄화기기 시범사업) 164

9. 통합실증센터 구축 166

제10절 세대형 음식물 자원화 바이오 시스템을 이용한 자원순환 주거단지 실증(2-가) 170

1. 기술개요 170

2. 실증단지 171

3. 보네르빌리지 172

4. LH도안 20BL 행복주택 178

5. LH공릉 행복주택 180

제11절 맞춤형 음식물 자원화 바이오 시스템을 이용한 자원순환 주거단지 실증(2-나) 181

1. 기술개요 181

2. 실증단지 182

3. LH수서단지 183

4. 동천 스마트타운 186

5. LH송림마을 188

6. 해군교육사령부 190

7. 육군22사단 190

제12절 음식폐기물 자원화 기술 및 적용효과 분석 191

1. 특허기술(5건) 191

2.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디자인(11건) 193

제13절 특수·복합지구 실증(2-라) 194

1. 연구 개요 194

2. 실증 사이트 선정 195

3. 스마트박스 기술 운영결과 199

제14절 자원순환 주거단지 커뮤니티(공동체 실증)(2-마) 206

1. LH수서단지(2,650세대, 영구임대 공동주택) 206

2. 동천 스마트타운(32세대, 민간분양 단독주택) 207

3. LH송림마을(861세대, 국민임대 공동주택) 207

4. 보네르빌리지(634세대, 민간분양 공동주택) 208

5. 소망교도소 208

제15절 자원순환 주거단지 맞춤형 비즈니스 모델(2-바) 209

1. 자원순환 기술의 최적 비용 효과 및 사업화 전략 209

제4장 목표 달성 및 관련 분야 기여도 214

제5장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221

제6장 연구 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 정보 228

제7장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236

제8장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236

제9장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 실적 236

제10장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 실적 237

[별첨] 향후 연구성과 전망 243

제11장 참고문헌 249

부록 258

표 1.1. 생산량 대비 음폐수의 처리비율 21

표 1.2. 선진국 대비 국내 바이오·폐기물에너지 기술수준 및 국산화율(2010년 기준) 25

표 1.3. 핵심기술 개발 내용 29

표 2.1. 자족형 자원순환단지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 30

표 2.2. 중복성 검토 결과 30

표 2.3. 유기성 폐자원 에너지화 사업단 주요 연구분야 및 세부과제 31

표 2.4. 환경부 사업단 과제 대비 차별성 31

표 2.5. 유기성폐기물에 대한 외국 기술개발 사례 32

표 2.6. 국내외 폐기물에너지 세부기술별 개발 현황 비교 33

표 2.7. 자원순환단지 사업타당성 분야 연구동향 34

표 2.8. 말뫼 자원순환 주거단지 현황 분석 37

표 2.9. 하마비 허스타드 자원순환 주거단지 현황 분석 37

표 3.1.1. 이물질분리선별기 비교 분석 44

표 3.1.2. 고액분리기 탈수기 특성 47

표 3.2.1. 디스포저 성능평가결과 비교 54

표 3.2.2. 시험결과 55

표 3.3.1. 자원화시뮬레이션에 사용된 투입물질 특성 65

표 3.3.2. 수분조절제의 밀도 측정결과 69

표 3.3.3. 수분조절재의 기공률 측정 결과 69

표 3.3.4. 수분조절재의 수분흡수율 측정 시험 결과 69

표 3.3.5. 악취 제거 실험을 위한 실험 조건 78

표 3.3.6. 퇴비 분석 결과 85

표 3.4.1. 퇴비세척수의 성상 92

표 3.4.2. 여과 실험에 사용된 흡착탑 특성 92

표 3.4.3. 퇴비 분석 결과 94

표 3.4.4. 솔비타 부숙도 측정값 단계별 설명 95

표 3.5.1. 음식물 쓰레기의 기본물성 97

표 3.6.1. 교반조건에 따른 가스 발생량 112

표 3.6.2. SRT조절에 따른 가스 발생량(강영준 외 1(2016)) 113

표 3.6.3. 시작품 설계 사양 및 운전 조건 115

표 3.6.4. 소화 효율 비교 120

표 3.7.1. 고형물회수 및 건조자원화 시스템 연계 공사 126

표 3.8.1. 반응로 효율 132

표 3.8.2. 성능 제원표 133

표 3.9.1. 음식물쓰레기 관리대책의 변화 144

표 3.9.2. 자원순환 주거단지 조성 관련 법령 및 주요내용 145

표 3.9.3. 정책방향 부문 147

표 3.9.4. 도시의 지속가능성 및 생활인프라 평가지표(74개) 중 도시환경부문 151

표 3.9.5. 자원순환 주거단지 조성 가이드라인 구성 156

표 3.9.6. 관망이송 시스템 설계기준 160

표 3.10.1. 시스템 설치 전·후의 주방오수와 고액분리여액의 TS 농도 비교 172

표 3.10.2. 시스템 설치 전·후의 주방오수와 고액분리여액의 SS 농도 비교 173

표 3.10.3. 시스템 설치 전·후의 주방오수와 고액분리여액의 COD 농도 비교 173

표 3.10.4. 시스템 설치 전·후의 주방오수와 고액분리여액의 TN 농도 비교 173

표 3.10.5. 시스템 설치 전·후의 주방오수와 고액분리여액의 TP 농도 비교 174

표 3.10.6. 보네르빌리지와 인근 단지 하수의 수질 비교 175

표 3.10.7. 보네르빌리지 101동, 104동의 고형물 회수율 예측 176

표 3.10.8. 입주민에게 시설 양도 시 예상 운영비 177

표 3.10.9. 보네르빌리지 입주민 대상 설문조사 결과 177

표 3.10.10. LH도안 20BL의 고형물 회수율 예측 179

표 3.10.11. LH도안 20BL 입주민 대상 설문조사 결과 179

표 3.11.1. LH수서단지 음식폐기물 처리 현황 183

표 3.11.2. LH수서단지 입주민 대상 설문조사 결과 184

표 3.11.3. LH수서단지 장치 호기 및 위치별 악취물질 분석 결과 185

표 3.11.4. 동천 스마트타운 음식폐기물 처리 현황 186

표 3.11.5. 동천 스마트타운 입주민 대상 설문조사 결과 186

표 3.11.6. 동천 스마트타운 장치 위치별 악취물질 분석 결과 187

표 3.11.7. LH송림마을 음식폐기물 처리 현황 188

표 3.11.8. LH송림마을 입주민 대상 설문조사 결과 188

표 3.11.9. LH송림마을 장치 4호기 및 위치별 악취물질 분석 결과 189

표 3.15.1. LCC 고려항목 및 수집 Data 210

표 3.15.2. 지자체 측면의 비용-편익 분석 항목 211

표 3.15.3. 입주민 측면의 비용-편익 분석 항목 212

그림 1.1. 연구개발 비전 및 최종목표 19

그림 1.2. 연구목표-핵심적용기술 개발을 통한 자원순환 주거단지 모델 개발 20

그림 1.3. 세계의 1차 에너지 수요 증가량 21

그림 1.4. 전 세계 폐자원 에너지화 시장규모(2001-2016) 예측 22

그림 1.5. 자족형 자원순환단지 개발 필요성 22

그림 1.6. EU의 폐기물관리 우선순위(hierarchy) 23

그림 1.7. 일본의 Eco-Town 개발승인 현황(2007.10) 23

그림 1.8. 자원순환사회로의 패러다임 변화와 비전 24

그림 1.9. 중국 농촌지역이 가정용 바이오가스 시스템의 구조 25

그림 1.10. 세부 기술별 연구성과 및 연구범위 28

그림 2.1. 폐자원을 이용한 에너지화 기술의 학술적 흐름 35

그림 2.2. 폐자원을 이용한 에너지화 기술 중 제어 시스템이 차지하는 비율 36

그림 2.3. 폐자원을 이용한 에너지화 기술의 특허 동향 39

그림 3.1.1. 중력침전 고액분리기 설계도 45

그림 3.1.2. 시제품 45

그림 3.1.3. 원심탈수기 부분 설계도 46

그림 3.1.4. 스크류 탈수기 부분 설계도 46

그림 3.1.5. 탈수시스템 시제품 제작 후 실험주택내 설치 된 모습 46

그림 3.1.6. 2015년 11월 13일 표준시료 시험 47

그림 3.1.7. 메쉬 사이즈에 따른 고형물 회수율 경향 48

그림 3.1.8. 스크류 탈수기 메쉬사이즈에 따른 배출수내 입도 분포 50

그림 3.1.9. 고형물회수율 향상 위한 탈수기 스크린 개선 51

그림 3.1.10. 배수전처리 자원화시스템 구축 52

그림 3.1.11. 전처리시스템의 회수율 및 함수율 시험 결과 52

그림 3.2.1. 디스포저 성능평가장치 54

그림 3.2.2. 시간별 소비전력 평균값 55

그림 3.2.3. 시간별 진동 평균값 55

그림 3.2.4. 분쇄기 소음측정 결과 56

그림 3.2.5. 진동 측정 결과 56

그림 3.2.6. 분쇄기별 진동 비교 56

그림 3.2.7. 분쇄기별 소음 비교 56

그림 3.2.8. 음식물류 폐기물 분쇄기 시작품 57

그림 3.2.9. 밥의 분쇄날 분당회전수별 입도분포 58

그림 3.2.10. 사과의 분쇄날 분당회전수별 입도분포 58

그림 3.2.11. 배추의 분쇄날 분당회전수별 입도분포 58

그림 3.2.12. 고기의 분쇄날 분당회전수별 입도분포 58

그림 3.2.13. 표준시료의 분쇄날 분당회전수별 입도분포 58

그림 3.2.14. 음식물류폐기물 분쇄기 시제품 설계 및 제작 59

그림 3.2.15. 관망이송 종합 시뮬레이터 59

그림 3.2.16. 표면 및 평균유속 60

그림 3.2.17. 이론적 분석에 의한 유속분포 60

그림 3.2.18. 횡지관내 유속분포 [16 LPM] 60

그림 3.2.19. 횡주관 유동시험 결과 61

그림 3.2.20. 관 단면 내부 속도분포 61

그림 3.2.21. 애플관 최적설계 및 제작 62

그림 3.2.22. 애플관 및 원형 횡지관 유량별 유속 분포 62

그림 3.3.1. 수분제거를 위한 공기 요구량 64

그림 3.3.2. 발생열량 제거를 위한 공기공급량 64

그림 3.3.3. 발효소멸 장치에서 분해율 67

그림 3.3.4. 숙성도 및 비산소요구량 67

그림 3.3.5. 생분해물질 잔존량 67

그림 3.3.6. 발효소멸 업그레이드 모델 모식도 68

그림 3.3.7. 악취 저감 실험 장치 70

그림 3.3.8. 트리메틸아민 제거 실험 결과 70

그림 3.3.9. 황화수소 제거 실험 결과 70

그림 3.3.10. 활성탄 흡착탑의 제거율 변화 70

그림 3.3.11. 유기물 감량율 71

그림 3.3.12. 소요공기 공급량 71

그림 3.3.13. NH₃ 발생농도 71

그림 3.3.14. 장치의 공기 순환 개념도 예시 75

그림 3.3.15. 응축/악취제거/열교환 복합 모듈 개발을 위한 실험장치 계통도 78

그림 3.3.16. 암모니아 제거율 79

그림 3.3.17. 황화수소 제거율 79

그림 3.3.18. 입/출구 공기의 절대 습도 79

그림 3.3.19. 실험 장치 형상의 격자 모델 81

그림 3.3.20. 주 관에서의 벡터 분석을 통한 미시적인 유동 현상 관찰 82

그림 3.3.21. VF(volume fraction)를 통한 각 유체의 분포 확인 82

그림 3.3.22. 주 관에서의 유속 분포 그림 82

그림 3.3.23. 시제품 투입조(발효/숙성) 83

그림 3.3.24. 혼합 음식물쓰레기 83

그림 3.3.25. 공기투입 및 시료배출구 83

그림 3.3.26. 반응조 내부 온도 모니터링 83

그림 3.3.27. 발효 초기 단계 및 수분조절제에 따른 내부 온도 변화 84

그림 3.3.28. 음식물쓰레기 발효 단계 시 성상 변화 84

그림 3.3.29. 배출 입자 Size에 따른 퇴비 성상 84

그림 3.3.30. 수직형 직접 접촉식 응축기 86

그림 3.3.31. 물 유량 별 평균 응축 효율 비교 86

그림 3.3.32. 물 높이 별 평균 응축 효율 비교 87

그림 3.3.33. 물 유량에 따른 황화수소 및 암모니아 검출량 88

그림 3.4.1. 숙성과정에서 부산물 및 흡착성 여재의 재생방법 91

그림 3.4.2. 시제품 93

그림 3.4.3. 배출구 및 포장기기 93

그림 3.5.1. 연료화의 기술범위 96

그림 3.5.2. 수분함량 별 곡식류의 발열량 변화 98

그림 3.5.3. 수분함량 별 육류의 발열량 변화 98

그림 3.5.4. 수분함량 별 채소류의 발열량 변화 99

그림 3.5.5. 수분함량 별 혼합음식물의 발열량 변화 99

그림 3.5.6. 곡류의 열분해 잔류율 100

그림 3.5.7. 탄화온도에 따른 곡류의 발열량 100

그림 3.5.8. 육류의 열분해 잔류율 100

그림 3.5.9. 탄화온도에 따른 육류의 발열량 100

그림 3.5.10. 채소류의 열분해 잔류율 101

그림 3.5.11. 탄화온도에 따른 채소류의 발열량 101

그림 3.5.12. 혼합음식물의 열분해 잔류율 101

그림 3.5.13. 탄화온도에 따른 혼합음식물의 발열량 101

그림 3.5.14. 탄화온도 250℃의 탄화시제품(곡류, 채소류, 육류, 혼합) 102

그림 3.5.15. 탄화온도 300℃의 탄화시제품(곡류, 채소류, 육류, 혼합) 103

그림 3.5.16. 탄화온도 350℃의 탄화시제품(곡류, 채소류, 육류, 혼합) 103

그림 3.5.17. 탄화온도 400℃의 탄화시제품(곡류, 채소류, 육류, 혼합) 104

그림 3.6.1. 파쇄된 음식물쓰레기 성상 105

그림 3.6.2. 시간에 따른 가용화 효율 그래프 105

그림 3.6.3. 파일럿 스케일 이상 중온 혐기성 소화장치 모식도 106

그림 3.6.4. 파일럿 스케일 소화장치 운전 결과 비교 107

그림 3.6.5. 개선인자 적용시 바이오가스 발생량 108

그림 3.6.6. 기계식 교반에서 다양한 형태의 임펠러 111

그림 3.6.7. 장방형 반응조에서 유속에 따른 체적 유동장의 형성 114

그림 3.6.8. 가용화조 고형물 및 유기물 농도 변화 117

그림 3.6.9. 산생성조 고형물 및 유기물 농도 변화 117

그림 3.6.10. 가용화조 고형물 및 유기물 농도 변화 118

그림 3.6.11. 각 반응조 내 TVFA농도 118

그림 3.6.12. 메탄생성조 가스 발생량 119

그림 3.6.13. 원심분리 전(effluent)과 후(Supernatant)의 입자분포도 121

그림 3.6.14. Stirred cell에 적용된 선속도의 변화에 따른 flux 122

그림 3.7.1. 건조기술 최적화 및 실용화를 위한 프로세스 123

그림 3.7.2. 건조기 시작품[원문불량;p.107] 125

그림 3.7.3. 실제 설치 전경 126

그림 3.7.4. KICT 음식물류폐기물 전처리 및 건조자원화 시스템(시제품) 127

그림 3.7.5. 건조기 시작품과 시제품의 외형 비교 127

그림 3.7.6. 건조기 시제품의 냉각구조 128

그림 3.8.1. 플라즈마 건조기 성능 129

그림 3.8.2. 전시용 장비모습 130

그림 3.9.1. 동탄2신도시 친환경 건축 시스템 140

그림 3.9.2. 자원순환 주거단지 조성관련 주요 법령에 대한 검토 개념도 150

그림 3.9.3. 자원순환 주거단지 계획과정 157

그림 3.9.4.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구성 161

그림 3.9.5. 전처리 설비 주요기준 163

그림 3.9.6. 전처리 설비 3D 조성도 163

그림 3.9.7. 현장에서 소음/악취 측정 165

그림 3.9.8. 건조탄화기기 사용에 대한 기기 만족도 조사 165

그림 3.9.9.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통합실증센터 166

그림 3.9.10. 실증센터 내 음식물분쇄기 설치 층 평면 167

그림 3.9.11. 실증센터 주요 도면 168

그림 3.9.12. 통합제어시스템 블럭다이어그램 169

그림 3.10.1. 보네르빌리지 최종 부산물 분석성적서 176

그림 3.10.2. LH도안 20BL 최종 부산물 분석성적서 178

그림 3.10.3. LH공릉 행복주택 세대형 음식물 자원화 바이오 시스템 시설구축 현황 180

그림 3.11.1. LH수서단지 음식물 자원화 바이오 시스템 부품교체 및 수리 184

그림 3.11.2. 해군교육사령부 맞춤형 음식물 자원화 바이오 시스템 시설 설치현황 190

그림 3.11.3. 육군22사단 맞춤형 음식물 자원화 바이오 시스템 시설 설치현황 190

그림 3.13.1. 스마트박스 기술 개념도 194

그림 3.13.2. 혐기성소화 및 바이오가스 활용 모식도 194

그림 3.13.3. 실증 설비 운영 목표 195

그림 3.13.4. 현황도 작성 결과물 196

그림 3.13.5. 공정별 공사 현황 198

그림 3.13.6. 준공식 현황 199

그림 3.13.7. 음식물반입량 대비 퇴비 생산량 199

그림 3.13.8. 음식물반입량 대비 바이오가스 생산량 200

그림 3.13.9. 메탄농도 측정 결과 203

그림 3.13.10. 오수처리장 슬러지 주입 실험 204

그림 3.13.11. 소음도 측정 현황 204

그림 3.14.1. LH수서단지 음식폐기물 발효퇴비 활용 자원순환 커뮤니티 운영 현황 206

그림 3.14.2. 동천 스마트타운 음식폐기물 발효퇴비 활용 자원순환 커뮤니티 운영 현황 207

그림 3.14.3. LH송림마을 음식폐기물 발효퇴비 활용 자원순환 커뮤니티 운영 현황 207

그림 3.14.4. 보네르빌리지 음식폐기물 발효퇴비 활용 자원순환 커뮤니티 운영 현황 208

그림 3.14.5. 소망교도소 음식폐기물 발효퇴비 활용 자원순환 커뮤니티 운영 현황(그림없음) 208

그림 3.15.1. 단지내 자원순환 시스템의 비용-편익 분석 범위 209

그림 3.15.2. LCC 분석 절차 209

그림 3.15.3. 지자체 측면의 비용-편익 분석 결과 211

그림 3.15.4. 지자체 20년 누적 운영시 재무성 분석 결과 212

그림 3.15.5. 입주민 측면의 비용-편익 분석 결과 213

그림 3.15.6. 입주민 20년 누적 운영시 재무성 분석 결과 213

그림 6.1. 단열성능 향상을 위한 장치(특수유리, 바닥난방 시스템, 태양광 판넬) 229

그림 6.2. 홍콩 City Univ. 음식폐기물 발효·처리장치 및 악취제거용 플라즈마 장치현황 229

그림 6.3. 마스다르 프로젝트 계획도 230

그림 6.4. 밀도·일조를 고려한 인동간격 계획 231

그림 6.5. 밀도를 고려한 주거지의 기본그리드 231

그림 6.6. 보봉의 버스 노선과 정류장 및 도로 232

그림 6.7. 주거동의 남향 배치 232

그림 6.8. 공용차량과 전기자동차 충전소 232

그림 6.9. 스마트리사이클링 에코타운 현황(Limeil Brevannes) 233

그림 6.10. 폐기물 분리 및 투입구 현황, 폐기물 투입시연 사례 233

그림 6.11. 폐기물 투입구 하부 배출라인 현황 233

그림 6.12. 실규모 이송배관 실험현장 233

그림 6.13. 폐기물 집하탱크 유형 233

그림 6.14. 집하장 내부 집하배관 현황 234

그림 6.15. 집하장 운영 제어반 234

그림 6.16. 함므르비 모델 개념도 234

그림 6.17. 스웨덴 하마르비 쓰레기 이송관로 배치현황 235

그림 6.18. 주거단지 내 폐기물 분리수거 및 리사이클링 현황 235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