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3

Ⅰ. 연구의 개요 16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7

2. 연구 내용 22

3. 연구 방법 23

Ⅱ. 지역교육공동체와 지역발전 논의 25

1. 지역교육공동체의 개념 26

가. 지역공동체의 개념 26

나. 교육공동체 및 지역교육공동체의 개념 30

2. 지역교육공동체의 유형 35

가. 지역교육공동체 연구별 사례 유형 및 분석 요소 35

나. 본 연구의 지역교육공동체 유형 41

3. 지역교육공동체와 지역발전 45

가. 지역교육공동체와 교육 45

나. 지역교육공동체와 지역발전 47

Ⅲ. 지역교육공동체 연구동향 분석 51

1. 지역교육공동체 활동의 시작과 이론적 기반 52

가. 지역공동체 활동의 시작과 발전 52

나. 교육공동체 관련 이론 55

2. 지역교육공동체의 연구동향 66

가. 연구 주제의 동향 66

나. 연구 방법의 동향 69

다. 지역교육공동체의 효과 69

3. 지역교육공동체 연구의 사례 분석틀 분석 81

Ⅳ. 지역교육공동체 우수사례 분석 86

1. 초ㆍ중등학교 주도형 87

가. 폐교 위기를 넘긴 세월초등학교 88

나. 마을의 공동체 역사를 담고 있는 홍동 풀무학교 89

2. 대학 주도형 95

가. 지역밀착형 건양대학교 95

3. 지역주민 주도형 99

가. 교육을 중심으로 한 주민들의 공동체 '서종면 교육포럼' 99

나. 아이들 교육을 위해 뭉친 지역교육주체, 고산향교육공동체 104

4. 공공기관 주도형 107

가. 한국교육개발원과 서전고의 교육협력 107

5. 산업체 주도형 112

가. 복합문화공간 스페이스 씨(space c) 112

나. 성남 고령친화종합체험관과 한국시니어리빙랩 113

6. 종합 논의 및 시사점 115

가. 초ㆍ중등학교 주도형 115

나. 대학 주도형 116

다. 지역주민 주도형 117

라. 공공기관 주도형 118

마. 산업체 주도형 119

Ⅴ. 충북의 지역교육공동체 관련 현황 진단 120

1. 충북의 여건 및 지역발전 방향 121

가. 충북의 여건 121

나. 충북의 지역발전 방향 135

2. 충북의 교육공동체 관련 정책동향 분석 139

가. 충북교육청 정책동향 139

나. 교육공동체 관련 정책동향 145

3. 충북의 거버넌스 현황 및 발전 방향 152

가. 거버넌스 현황 152

나. 발전 방향 157

Ⅵ. 충북의 지역교육공동체 구축 전략 159

1.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기본 모형 160

2. 지역교육공동체 유형별 구축 전략 165

가. 초ㆍ중등학교 주도형 165

나. 대학 주도형 171

다. 지역주민 주도형 178

라. 공공기관 주도형 183

마. 산업체 주도형 188

3.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의 중장기 전략 및 향후 추진 방향 194

가.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중장기 전략 195

나. 향후 연구 추진 방향 200

참고문헌 203

Abstract 215

판권기 224

표목차

〈표 Ⅱ-1〉 지역공동체의 개념에 대한 논의 27

〈표 Ⅱ-2〉 지역공동체의 구성요소 30

〈표 Ⅱ-3〉 지역교육공동체 연구별 사례 유형 36

〈표 Ⅱ-4〉 지역교육공동체 연구별 사례 분석 요소 38

〈표 Ⅱ-5〉 마을교육공동체 유형 구분과 실천사례 41

〈표 Ⅱ-6〉 교육공동체의 역할 논의 46

〈표 Ⅲ-1〉 듀이의 교육공동체의 요소 55

〈표 Ⅲ-2〉 지역교육공동체의 효과 70

〈표 Ⅲ-3〉 센게(Senge)의 학습조직 구축요인 71

〈표 Ⅲ-4〉 '산복도로 르네상스' 지역사회교육 프로그램의 특성 74

〈표 Ⅲ-5〉 공동체 네트워크를 통한 효과 78

〈표 Ⅲ-6〉 지역교육공동체 연구별 사례 분석 요소 83

〈표 Ⅲ-7〉 지역교육공동체 연구간 사례 분석 요소 비교 85

〈표 Ⅳ-1〉 홍동 지역사회 현황표 90

〈표 Ⅳ-2〉 KEDI 협력학교 추진을 위한 초기 논의 과정 108

〈표 Ⅳ-3〉 서전고 중장기 발전 계획 109

〈표 Ⅴ-1〉 충청북도 시ㆍ군 면적 123

〈표 Ⅴ-2〉 충북의 인구동태 126

〈표 Ⅴ-3〉 시ㆍ군별 세대수, 총인구, 인구밀도 현황 127

〈표 Ⅴ-4〉 시ㆍ군별 노령화 지수, 고령화율 128

〈표 Ⅴ-5〉 시ㆍ군별 출생자수 129

〈표 Ⅴ-6〉 충북의 대학교 및 학생 수 129

〈표 Ⅴ-7〉 충북 지역 내 총생산 변화 131

〈표 Ⅴ-8〉 충북의 고용 현황 131

〈표 Ⅴ-9〉 충북 지역 청년층 역외유출 현황 132

〈표 Ⅴ-10〉 충북의 주요기업 132

〈표 Ⅴ-11〉 충청북도 협동조합 업종별 현황 134

〈표 Ⅴ-12〉 충청북도 사회적 기업 목적별 현황 134

〈표 Ⅴ-13〉 충청북도 종합계획(2011∼2020) 비전 및 목표 135

〈표 Ⅴ-14〉 충청북도 종합계획 8대 부문별 계획 136

〈표 Ⅴ-15〉 국정운영 5개년계획 충북 발전 비전 및 공약 138

〈표 Ⅴ-16〉 충북 행복교육지구 사업내용 및 추진계획 141

〈표 Ⅴ-17〉 충북 행복교육지구 단계별 추진사업 141

〈표 Ⅴ-18〉 지역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추진계획 142

〈표 Ⅴ-19〉 지역교육문화 복합공간 추진계획 142

〈표 Ⅴ-20〉 지역특성과 연계한 인문학 체험학습망 조성사업 추진계획 143

〈표 Ⅴ-21〉 충청북도 공공도서관 현황 143

〈표 Ⅴ-22〉 충청북도 평생교육진흥원 운영계획 147

〈표 Ⅴ-23〉 충청북도 마을공동체 활성화 로드맵 149

〈표 Ⅴ-24〉 마을공동체 활성화 사례 현황 151

〈표 Ⅴ-25〉 충북 행복교육지구 시ㆍ군별 위원회 등 추진체계 153

〈표 Ⅴ-26〉 충청북도 지역공동체과 업무내용 154

〈표 Ⅴ-27〉 충청북도 시ㆍ군별 지역공동체 담당부서 현황 156

〈표 Ⅵ-1〉 참여주체들의 역할 및 과제 167

〈표 Ⅵ-2〉 충북의 산업관광 프로그램 사례 193

〈표 Ⅵ-3〉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중장기 전략 199

그림목차

[그림 Ⅲ-1] 교육공동체의 관점 56

[그림 Ⅲ-2] 학습활동의 제약과 생활세계로 확장 59

[그림 Ⅲ-3] 지역교육공동체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의 흐름 62

[그림 Ⅲ-4] 공동체학습에 대한 연구 흐름 65

[그림 Ⅲ-5] 주요단어 네트워크의 클러스터 지도 67

[그림 Ⅲ-6] 학습공동체와 학습조직의 효과 70

[그림 Ⅲ-7] 학습공동체와 학습조직의 관계 73

[그림 Ⅲ-8] 사회연결망의 구조 76

[그림 Ⅲ-9] 구조적 위치 특성의 차이 76

[그림 Ⅲ-10] 마을만들기를 통한 마을공동체의 과정과 성과 79

[그림 Ⅳ-1] 지역사회 수요분석 절차 및 내용 96

[그림 Ⅳ-2] 대학의 장기발전계획 97

[그림 Ⅳ-3] 건양대 지역사회 협력ㆍ기여 지원체제와 활동실적 98

[그림 Ⅳ-4] KEDI 협력학교 학습생태계 110

[그림 Ⅳ-5] 서전고 비전 및 목표 111

[그림 Ⅳ-6] 스페이스 씨 활동 사진 113

[그림 Ⅳ-7] 한국시니어리빙랩의 비전과 운영체계 114

[그림 Ⅴ-1] 충청북도 위치도 121

[그림 Ⅴ-2] 충북의 지형 및 수계 122

[그림 Ⅴ-3] 충북의 도로망 계획도 124

[그림 Ⅴ-4] 충북의 철도망 계획도 125

[그림 Ⅴ-5] 충청북도 연령별 인구구조 127

[그림 Ⅴ-6] 충청북도 시ㆍ군별 생산가능인구 구성비 128

[그림 Ⅴ-7] 충청북도 종합계획의 3+1 프로젝트 개념도 137

[그림 Ⅴ-8] 충청북도 발전계획의 공간구상 138

[그림 Ⅴ-9] 충북교육 기본방향 140

[그림 Ⅴ-10] KEDI 협력학교 단계별 추진계획 145

[그림 Ⅴ-11] 충청북도 평생교육진흥원의 비전 146

[그림 Ⅴ-12] 충북마을지원센터(가칭) 관계도 155

[그림 Ⅵ-1] 충북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기본 모형 162

[그림 Ⅵ-2] 초ㆍ중등학교 주도형 구축 및 활성화 전략 단계 170

[그림 Ⅵ-3] 지역대학-지자체-공공기관 연계 클러스터 운영모형 175

[그림 Ⅵ-4] 대학 주도형 구축 및 활성화 전략 단계 176

[그림 Ⅵ-5] 지역주민 주도형의 발전 단계 179

[그림 Ⅵ-6] 지역주민 주도형 구축 및 활성화 전략 단계 182

[그림 Ⅵ-7] 공공기관 주도형 구축 및 활성화 전략 단계 187

[그림 Ⅵ-8] 산업체 주도형 구축 및 활성화 전략 단계 192

초록표목차

〈Table 1〉 A Mid-and Long-term Strategy for Establishment of Local Education Community 219

초록그림목차

[Picture 1] The Basic Model for Establishment of Local Education Community in Chungbuk 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