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책을 내면서

서론

제1부 교육과정의 변천

1장 미군정의 교육정책과 국사교육
1. 사회생활과의 도입
2. 미군정의 국사교육정책과 국사교과서 편찬
2장 교육과정의 변천과 국사교육
1. 반공주의 교육체제의 성립
2. 반공주의적 한국사 교육의 강화

제2부 국사교과서의 편찬과 발행제도의 변천

1장 국사교과서 발행제도의 변천
1. 교수요목기(1945~1955) : 국정·검정제도 수립기
2. 제1차~제2차 교육과정기(1956~1973) : 초등=국정, 중등=검정 교과서 발행기
1) 제1차 교육과정기
2) 제2차 교육과정기
3. 중등교과서의 국정발행기(1973~2002) : 제3차~제6차 교육과정기
1) 제3차 교육과정기
2) 제4차 교육과정~제6차 교육과정기
2장 국사교과서 저자의 성격
1. 교수요목기의 국사교육론(1945~1955)
2. 국사교과서 저자의 성격

제3부 단원 전개과정과 서술 용어의 변천

1장 교과서의 단원 전개과정
1. 교수요목기~제2차 교육과정기의 서술체제
1) 교수요목기
2) 제1차 교육과정기
3) 제2차 교육과정기
2. 제3차 교육과정~제6차 교육과정기의 서술체제
1) 제3차 교육과정기
2) 제4차 교육과정기~제7차 교육과정기
2장 국사교과서 서술 용어의 변천
1. 편수용어로서의 역사용어
2. 역사용어의 변천
1) 교수요목기~제2차 교육과정기의 역사용어
2) 제3차 교육과정~제6차 교육과정기의 역사용어

제4부 국사교과서 근대사 서술의 변천

1장 해방 이후 한국사 교과서의 전주화약 서술의 변천
1. 전주화약에 대한 연구사 정리
2. 교육과정별 국사교과서의 전주화약 서술
1) 교수요목기~제2차 교육과정기의 서술
2) 제3차 교육과정~제6차 교육과정기의 서술
3) 제7차 교육과정기~2009 수정교육과정기의 서술
2장 해방 이후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신간회 서술 변천
1. 교수요목기~제2차 교육과정기의 신간회 서술
2. 제3차 교육과정~제7차 교육과정기의 신간회 서술
3. 2009 개정 교육과정기~2009 수정 교육과정기의 신간회 서술
3장 국사교과서에 소개된 인물들의 성격
1. 교육과정별 근대사 분야 수록 인물의 수 변천
2. 근대사 분야 수록 인물의 성격

결론

부록 민족 주체성 확림을 위한 교육 과정 운영 지침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대한민국의 국사교과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17486 375.951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17487 375.951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이 책은 제1부 교육과정의 변천, 제2부 국사교과서의 편찬과 발행제도의 변천, 제3부 교과서 서술의 변천, 제4부 국사교과서의 근대사 서술의 변화의 총 4부로 구분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미군정기의 국사교육정책을 사회생활과의 도입과 관련한 연구와 반공주의적 국사교육이 자리잡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2부에서는 국사교과서의 발행제도의 변천을 제6차 교육과정까지 한정하여 살핀 연구와 미군정기부터 국사교과서가 국정화된 제3차 교육과정기 이전인 제2차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의 저자들의 성격을 정리하였다. 제3부에서는 미군정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의 단원 전개과정과 국사교과서 서술 용어의 변천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4부에서는 전주화약, 신간회를 사례로 국사교과서의 근대사 서술의 변화를 천착하였고, 국사교과서에 소개된 인물들의 변천을 살펴보았다.
이 책의 저술 과정에서 저자는 ??관보??에 공포된 교육과정은 원칙에 불과하며, 오히려 문교부에서 필요에 따라 수시로 내려 보내는 교육과정 운영지침이나 방침 혹은 교과서 검정과 관련된 내부지침 등이 실제 교과서 집필이나 학교 현장의 교육과정 운영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자료를 충분히 구하지 못하여 이를 이 책에 반영하지 못하였다. 이외에도 저자가 인식하지 못하거나 잘 알지 못하여 잘못 서술한 부분도 적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향후 이를 보완할 기회가 있기를 기대한다. (책을 내면서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