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신소재(고부가 경량금속 중심) 산업 육성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방안 / 고용노동부, 한국노동연구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한국노동연구원(KLI), 2018
청구기호
331.1192011 -19-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v, 207 p. : 삽화, 도표, 서식 ; 24 cm
총서사항
(2018) 고용영향평가 연구시리즈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26003082
제어번호
MONO1201933458
주기사항
연구시행기관: (사)한국노동경제학회
연구책임자: 조준모
부록: 1. 실태조사 설문지 ; 2. 정부정책의 고용증대방안 파악을 위한 FGI 가이드라인
참고문헌: p. 184-186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13

제1장 서론 38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8

1. 연구 배경 38

2. 고부가 경량금속 산업 특징 및 동향 44

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48

4. 주요 연구내용 및 고용연계성(일자리 창출 경로) 설정 49

제2장 고부가 금속소재 전문인력 양성사업 현황 53

제1절 목적 및 개요 53

제2절 추진 체계 54

제3절 세부 사업내용 56

제4절 개선 방향 58

제3장 국내외 산업 현안 및 노동시장 특성 59

제1절 산업 현안 및 동향 59

1. 산업 개요 59

2. 시장동향 및 전망 60

3. 산업특성 및 주요 관련 이슈 67

제2절 신소재 산업 인력의 양적, 질적 실태 73

1. 인력수급 현황 73

2. 금속산업의 주요 대기업 일자리 창출지수 84

3. 고용 안정도 89

4. 산업기술인력 현황 91

5. 금속산업 인력양성 및 공급현황 92

6. 금속산업 분야 일자리 전망 95

제3절 소재 분야 R&D 지원 방향 96

1. 투자현황 96

2. 주요정책 및 사업 97

3. 타 부처 투자동향 99

4. 투자성과 및 평가 100

제4절 소결 102

제4장 신소재 산업 전문인력 육성 시나리오 및 고용영향 분석 104

제1절 신소재 산업 전문인력 육성 시나리오 104

1. 시나리오 설정 배경 104

2. 신소재 산업의 전문인력 육성과 고용 극대화 시나리오 123

3. 시나리오별 분석에 따른 기대효과 128

제2절 미시적 고용효과의 질적 및 양적 분석 130

1. 분석개요 130

2. 분석방법론 131

3. 고용효과 분석 결과 131

제3절 실태조사를 통한 고용의 양적 및 질적 변화 추정 146

1. 조사 개요 및 업체 특성 146

2. 산업 동향 및 밸류체인 현황 151

3. 전문인력 고용 현황 및 구조 159

4. 신소재 전문인력 육성 정책의 경영 및 고용효과 174

5. 고용창출력 증대 방안 180

제5장 FGI 분석 결과 191

제1절 신소재 산업의 주요 현안 및 이슈 191

제2절 신소재 산업 밸류체인 간 상생 협력 필요 내용 193

제3절 경량 신소재 산업 전문인력의 고용 현안 194

제4절 신소재 산업 활성화를 위한 산업 정책 방향 195

제5절 신소재 산업 활성화를 위한 필요한 정책 지원 197

제6절 신소재 산업 내 벨류체인 강화 방안 199

제7절 바람직한 신소재 산업 전문인력 육성 체계 201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204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204

1. 신소재 산업육성을 위한 전문인력 육성 방안에 따른 예상 고용효과 205

2. 실태조사 분석결과와 시사점 207

제2절 고용효과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210

1. FGI 결과와 시사점 210

2. 신소재 산업육성을 위한 전문인력 육성 방안 212

참고문헌 221

부록 224

부록 1. 실태조사 설문지 224

부록 2. 정부정책의 고용증대방안 파악을 위한 FGI 가이드라인 237

판권기 245

〈표 1-1〉 금속소재 분야의 범위 41

〈표 1-2〉 금속소재 분야의 산업기술분류 41

〈표 1-3〉 경량 금속소재의 분류 42

〈표 1-4〉 알루미늄 시장 규모 및 전망 45

〈표 1-5〉 마그네슘 시장 규모 및 전망 47

〈표 1-6〉 타이타늄 합금 세계시장규모 및 전망 48

〈표 1-7〉 마그네슘·타이타늄 산업 인력수요 전망 49

〈표 1-8〉 고용의 질 지표 51

〈표 2-1〉 사업 추진체계 55

〈표 3-1〉 경량소재별 시장 규모 추이 60

〈표 3-2〉 금속소재 분야 산업연관구조 69

〈표 3-3〉 해외 선도기업 현황 71

〈표 3-4〉 주요 국내기업 현황 72

〈표 3-5〉 1차 비철금속 제조업 업종별·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 수(2016년) 75

〈표 3-6〉 산업별·규모별 종사자, 채용자, 입직자 추이 76

〈표 3-7〉 업종별 인원 현황 78

〈표 3-8〉 KECO 분류 상 금속관련 직종 현원·부족인원·부족률 추이 80

〈표 3-9〉 산업별 부족인원 발생 사유 82

〈표 3-10〉 1차 금속제조업 월평균 근로일수 및 근로시간 83

〈표 3-11〉 산업별 연간 입직률 추이 84

〈표 3-12〉 금속산업 내 고용창출 저해요인 84

〈표 3-13〉 업종별 소속 외 근로자 비율 90

〈표 3-14〉 업종별 소속 외 근로자 비율 91

〈표 3-15〉 12대 산업의 산업기술인력 추이 92

〈표 3-16〉 금속산업 연도별 전공생 배출 현황 93

〈표 3-17〉 대(소) 계열별 학과 수 94

〈표 3-18〉 2017년 계열별 학생수(졸업 및 학위취득 현황) 95

〈표 3-19〉 주력산업별 채용·퇴사인력 96

〈표 3-20〉 정부 및 민간 R&D 투자규모 비교 97

〈표 4-1〉 CSV 요인 109

〈표 4-2〉 매출액 상위 5개 기업의 총 연구개발비 및 연구원 집중도 111

〈표 4-3〉 미스매치가 가장 크다고 응답한 직무 비중(1/2/3순위 중복 응답) 119

〈표 4-4〉 업종별 분석표본 현황 132

〈표 4-5〉 신소재 전문인력 육성 시나리오별 예상 고용증가량 132

〈표 4-6〉 신소재 전문인력 육성 시나리오별 예상 고용증가량:남성표본 133

〈표 4-7〉 신소재 전문인력 육성 시나리오별 예상 고용증가량:여성표본 133

〈표 4-8〉 신소재 전문인력 육성 시나리오별 예상 고용증가량:마그네슘합금 종사자 표본 134

〈표 4-9〉 신소재 전문인력 육성 시나리오별 예상 고용증가량:알루미늄합금 종사자 표본 134

〈표 4-10〉 신소재 전문인력 육성 시나리오별 예상 고용증가량:타이타늄합금 종사자 표본 135

〈표 4-11〉 신소재 전문인력 육성 시나리오별 예상 고용증가량:경량금속 종사자 표본 135

〈표 4-12〉 종사자 수 증가율 예상(시나리오 1) 136

〈표 4-13〉 임금상승률 변화 예상(시나리오 1) 137

〈표 4-14〉 근로시간 감소율 예상(시나리오 1) 138

〈표 4-15〉 종사자 수 증가율 예상(시나리오 2) 139

〈표 4-16〉 임금상승률 변화 예상(시나리오 2) 140

〈표 4-17〉 근로시간 감소율 예상(시나리오 2) 141

〈표 4-18〉 종사자 수 증가율 예상(시나리오 3) 142

〈표 4-19〉 임금상승률 변화 예상(시나리오 3) 143

〈표 4-20〉 근로시간 감소율 예상(시나리오 3) 144

〈표 4-21〉 신소재 전문인력 육성 시나리오별 고용증가효과 분석 145

〈표 4-22〉 신소재 전문인력 육성 시나리오별 고용질적효과 분석 146

〈표 4-23〉 재무적 현황 150

〈표 4-24〉 투자 현황 150

〈표 4-25〉 특성별 시장 구조 151

〈표 4-26〉 기술 수준 152

〈표 4-27〉 글로벌 경쟁력 수준 153

〈표 4-28〉 특성별 수입 의존도 154

〈표 4-29〉 경량금속 신소재 산업의 주요 현안(복수응답) 155

〈표 4-30〉 밸류체인 간 상생협력 필요 영역(복수응답) 156

〈표 4-31〉 IT기반 네트워크에 대한 요구 157

〈표 4-32〉 원청 대기업의 밸류체인관리 필요 분야(복수응답) 157

〈표 4-33〉 육성 필요 인력 유형(복수응답) 158

〈표 4-34〉 필요 HRD 정책(복수응답) 159

〈표 4-35〉 특성별 성별 고용 현황 160

〈표 4-36〉 연령별 고용 현황 161

〈표 4-37〉 고용형태별 고용 현황 162

〈표 4-38〉 직종별 고용 현황 163

〈표 4-39〉 특성별 취업계수 164

〈표 4-40〉 성별 인력 부족률 현황 165

〈표 4-41〉 직종별 인력 부족률 현황 166

〈표 4-42〉 연령별 인력 부족률 현황 166

〈표 4-43〉 월평균 임금액 167

〈표 4-44〉 주간근로시간 168

〈표 4-45〉 특성별 CSV 측면 전문인력 부족 원인 심각 정도 169

〈표 4-46〉 HRD 측면 전문인력 부족 원인 심각 정도 171

〈표 4-47〉 HRM 측면 전문인력 부족 원인 172

〈표 4-48〉 기타 전문인력 부족 원인 173

〈표 4-49〉 매출액 증가율 예상(시나리오 1) 175

〈표 4-50〉 매출액 증가율 예상(시나리오 2) 176

〈표 4-51〉 매출액 증가율 예상(시나리오 3) 177

〈표 4-52〉 고부가 금속소재 전문인력 육성 사업의 효과 179

〈표 4-53〉 CSV 측면 개선 방안별 양적 고용증대 효과 181

〈표 4-54〉 CSV 측면 개선 방안별 고용의 질 개선 효과 182

〈표 4-55〉 HRD 측면 개선 방안별 양적 고용증대 효과 184

〈표 4-56〉 HRD 측면 개선 방안별 고용의 질 개선 효과 186

〈표 4-57〉 HRM 측면 개선 방안별 고용증대 효과 188

〈표 4-58〉 HRM 측면 개선 방안별 고용의 질 개선 효과 189

〈표 6-1〉 신소재 전문인력 육성 시나리오별 고용증가효과 분석 206

〈표 6-2〉 신소재 전문인력 육성 시나리오별 고용질적효과 분석 207

[그림 1-1] 생산 단계에서의 금속산업의 위치 39

[그림 1-2] 세계 경량 금속소재 시장 현황 및 전망 44

[그림 1-3] 일자리 창출 경로 50

[그림 3-1] 금속소재 산업의 Value-Chain 68

[그림 3-2] 후방연쇄효과와 네트워크효과가 큰 20대 산업(2014년) 70

[그림 3-3] 1차 금속 제조업 종사자 수 추이 74

[그림 3-4] 1차 금속 내 대기업(3사) 매출액·고용 비중 85

[그림 3-5] 대기업(3사) 매출액·근로자 현황 86

[그림 3-6] 연도별 근로지수 및 전년대비 증감률, 주요 이슈[원문불량;p.50] 87

[그림 3-7] 기업별 매출액고용지수 88

[그림 3-8] 기업별 고용규모지수 88

[그림 3-9] 금속산업 하도급 비중 추이(2000~2014)[원문불량;p.52] 89

[그림 3-10] 생산품목별 자사·하청 활용 현황 90

[그림 4-1] 금속소재 산업 제품구조 106

[그림 4-2] 소재업종별 및 종업원규모별 생산액 비중(2015년) 107

[그림 4-3] 금속산업의 Value Chain과 기업 구조 111

[그림 4-4] POSCO의 공급사슬체계에 따른 동반성장 프로그램의 분류 112

[그림 4-5] 추진목표 및 전략 114

[그림 4-6] 직업능력개발 사업 체계 115

[그림 4-7] 광역·지역×산업×HR 육성의 통합적 정책 122

[그림 4-8] 금속소재 및 전후방 산업분야의 공급망 및 HR 전략 128

[그림 4-9] 금속소재 산업 생태계 강화 및 확장 130

[그림 4-10] 업종별 분포 148

[그림 4-11] 기업규모별 분포 148

[그림 4-12] 밸류체인별 분포 149

[그림 4-13] 수입 의존도 154

[그림 4-14] 성별 고용 현황 160

[그림 4-15] CSV 측면 전문인력 부족 원인 심각 정도 169

[그림 4-16] HRD 측면 전문인력 부족 원인 심각 정도 170

[그림 4-17] HRM 측면 전문인력 부족 원인 172

[그림 4-18] 기타 전문인력 부족 원인 173

[그림 4-19] 필요 인력 확보 방안 174

[그림 4-20] 금속소재 기술개발 전문인력 육성 및 공급체계 178

[그림 4-21] CSV 측면 개선 방안별 고용효과 Matrix 분석 183

[그림 4-22] HRD 측면 개선 방안별 고용효과 Matrix 분석 187

[그림 4-23] HRM 측면 개선 방안별 고용효과 Matrix 분석 189

[그림 4-24] 기타 개선 방안별 고용효과 190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18856 331.1192011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18857 331.1192011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