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2______ 한국의 언론을 탄생시킨 이들을 기억하며 이재진 | 한국언론학회장 ㆍ 한양대 교수
한국 언론인들의 스승, 우당 곽복산 이상철 | 중앙대 명예교수
한국 언론사 연구의 시작, 야농 최준 정진석 | 한국외대 명예교수
신문학을 위해 태어난 인물, 우범 이해창 안광식 | 이화여대 명예교수
한 눈 팔지 말고 공부나 하시게, 희관 임근수 차배근 | 서울대 명예교수
전환 시대 여성 언론인이 걸어온 길, 정충량 이종선 | 전 이화여대 기획처 부처장
외길 50년 한국 방송계 거목, 노정팔 김성호 | 전 광운대 정보콘텐츠대학원장
독일 신문학 연구의 선구자, 인석 박유봉 김학천 | 전 건국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새로운 세상을 찾아 말처럼 달린, 동호 장용 정대철 | 한양대 명예교수
작은 오케스트라의 지휘자, 소암천 황기오 이광재 | 경희대 명예교수
우리 시대의 언관(言官) 사관(史官), 후석 천관우 최정호 | 연세대 명예교수
한국 방송의 개척자, 최창봉 강현두 | 서울대 명예교수
출판 사랑, 남애 안춘근 이종국 | 전 대전과학기술대 교수
한국 매스컴학의 이정표를 세운, 남정 김규환 오두범 | 청주대 명예교수
사실 보도를 넘어서 진실 탐사로의 여정, 박권상 김정기 | 한국외대 명예교수
에필로그_____ 이 책을 기획하고 출간하며 : 승어부(勝於父)하는 마음으로 김성호 | 한국언론연구회 총무 ㆍ 전 광운대 정보콘텐츠대학원장
이용현황보기
한국 언론학 설계자들 : 한국언론학회 60주년 기념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18816
071.1 -19-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18817
071.1 -19-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41134
071.1 -19-5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0002541135
071.1 -19-5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한국 언론학의 탄생과 발전을 이끈 ‘설계자 14인’을 호명하다
우리나라 언론학계 대표적 학회인 ‘한국언론학회’가 창립된 것은 1959년(당시는 ‘한국신문학회’). 이 학회를 중심으로 한국 언론학의 토대를 닦고 발전을 이끌어온 초기 인물들을 흔히 ‘언론학계 원로’라고 불렀다. 그러나 한국 언론학이 발달한지 반세기가 지난 지금에 이르러서는 그들을 ‘언론학의 설계자들’이라 명명한다.
한국 언론학의 탄생과 발전을 주도한 ‘설계자 14인’의 업적을 재조명하고 알려지지 않았던 그들의 일대기와 그 밖의 사료적 가치가 있는 귀중한 스토리를 소개한 ‘인물 에세이 모음집’이 단행본으로 나왔다. 각각 창립 20주년과 60주년을 맞은 한국언론연구회와 한국언론학회가 공동으로 출간한『한국 언론학 설계자들』이다. 이전에도 이 인물들을 학문적 관점에서 다룬 논문은 여러 편 나왔지만, 사회적으로나 언론사(言論史)적으로나 격변의 시대를 살았던 이들의 상세한 활동상과 인간적 면모를 모두 집약한 것은 이 책이 처음이다. 김동철 이화여대 명예교수(한국언론연구회 창설 멤버)는 서문(프롤로그1)에서 “20, 30대 언론학 전공 학생들뿐 아니라 40, 50대 전공 학자들이 이 설계자들에게 가벼운 마음으로 쉽게 접근하여 친근감을 느끼고, 나아가 이들을 기리도록 하기 위해” 이 책을 펴냈다고 밝혔다. 그러나 언론학도나 언론계 현업 종사자들 뿐 아니라 한국 언론, 언론사 발전에 관심 있는 일반 독자들도 쉽고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설계자 14인은 언론학자 및 대학에서뿐만 아니라 신문?방송 현업에서도 활약한 이들로 선정하여, 언론학과 언론 현장에 대한 이들의 애정과 헌신을 두루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설계자들의 고민과 노력, 헌신이 우리나라 언론학 발전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한국 언론학을 지금의 세계적 수준까지 끌어올렸는지 그 노고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에세이들이다. 책에 소개된 인물은 이 땅에 학문 분야로서의 언론학을 처음 탄생시켜 ‘언론학의 4비조(四鼻祖)’라 불린 곽복산, 최준, 이해창, 임근수를 비롯해 모두 14인. 한국 언론학 설계자 14인은 다음과 같다.
★★★★★
한국 최초의 언론인 교육 기관 ‘서울신문학원’을 설립한 우당 곽복산(1911-1971) 우리나라 언론사 연구를 개척한 야농 최준(1913-1995) 신문학을 위해 존재한 학자이자 언론학 교육을 제도화한 학자 우범 이해창(1916-1987) 한국 언론사 연구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 희관 임근수(1916-1979) 양반가 종부였지만 기자가 되어 치열한 삶을 족적을 남긴 여성 언론학자 정충량(1916-1991) 50년 동안 방송 한 길을 걸어온 거목 노정팔(1919-2002) 독일 신문학을 처음 소개하고 우리나라 언론학 이론 정립에 기여한 학자 인석 박유봉(1920-1994) 엄격한 스승이지만 교육의 열정이 깊은 학자이자 언론법제 영역을 개척한 동호 장용(1926-1977) 군인이자 음악인이었으나 방송인이자 언론학자로 변신한 이색 이력의 소유자 소암천 황기오(1924-1986) 뛰어난 언론인이지만 끝내 역사의 풍랑을 비껴가지 못한 비운의 인물 후석 천관우(1925-1991) ‘한국 텔레비전의 황금시대’를 연 방송 개척자 최창봉(1925-2016) ‘서치(書癡)’라 불릴 만큼 책을 좋아한 출판학자 남애 안춘근(1926-1993) 언론학 교육과 연구에 남다른 비전을 가진 학자 남정 김규환(1929-1985) 언론의 사명은 ‘진실 탐사’라는 굳은 신념의 인물 박권상(1929-2014)
★★★★★
집필진은 위 인물들과 함께 대학에 재직했거나 언론사 선후배 관계였거나 사제지간의 인연을 맺어 그들의 공로와 인간적 면모를 두루 소개할 수 있는 이들로 이루어졌다. 70, 80대의 필자들 역시 현역에서 물러난 은퇴 학자들로, 고령에도 불구하고 선학(先學)을 기리고 한국 방송역사의 중요 인물들에 대해 증언한다는 사명감으로 열정적으로 집필했다는 후문이다.
책속에서
곽복산은 1947년 2월 18일 자로 미 군정청 학무국으로부터 조선신문학원으로 인가를 받아 비로소 한국에서 최초로 본격적인 언론학 교육사업을 벌이기 시작했다. … 또한 나의 논문이 생각보다 늦어지자 “논문이 별거냐”면서 격려해 주었다. 이 말은 논문을 아무렇게나 써도 된다는 말은 아니고,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쉽게 생각해 빨리 쓰라는 말이었다. 나는 이후 스승이란 제자에게 단순히 지식이나 기술을 전수하는 단순한 전달자가 아니라, 제자가 학문과 관련해 할 일을 일깨워주고 이를 이행하도록 용기를 심어주는 조언자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 곽복산 교수는 동아일보에 대한 애정이 남달랐다. 일장기 말소 사건으로 동아일보가 무기정간을 당했다가 복간되자 5명의 자녀를 집안의 돌림자가 아닌 동아일보의 동자를 돌림으로 해서 지은 것을 아주 자랑스럽게 이야기했다. - ‘한국 언론인들의 스승, 우당 곽복산’ 중에서
야농 선생은 “이 당시 한국의 신문은 오로지 침략주의의 배격에 있었고, 신문기자는 모두 애국자였다. 참으로 한국 신문의 구호는 애국과 독립 그것이었다”라면서도 이렇듯 치열한 한국 신문계의 투쟁도 ‘한일합병’이란 일제의 압도적인 군사 행동에는 당할 도리가 없었다고 설명한다. 식민지의 질곡 속에서 온갖 제약을 박차가면서, 한국의 현대화를 꾀한 신문의 업적은 찬연할 것이라고 서술했다. 한국의 신문사는 글자 그대로 민족의 투쟁사요, 근대사로부터 현대사를 꿰뚫는 민족 이면사이기도 하다는 평가였다. 또한 언론자유를 비롯한 출판·집회 및 결사의 자유를 부르짖는 언론 투쟁사였으며, 실로 온갖 자유와 해방과 독립의 전취 기록임에 틀림이 없다고 말했다. - ‘한국 언론사 연구의 시작, 야농 최준’ 중에서
이해창은 1930년대 후반에 일본에 건너가서 당시 생소했던 신문학을 전공하고, 1940년대에는 신문사 기자 생활을 통해서 학문적 이론을 실제로 경험하는 한편, 학문의 이론과 현실적 실무 사이에서 생기는 괴리와 문제점을 연구 대상으로 하면서 해방 후 처음으로 신문에 관한 전문지『신문평론(新聞評論)』을 발간했다. 그는 1950년대에 우리나라 대학에서 처음으로 신문학 과목을 개설, 강의하기 시작했으며 1960년대 이래 이화여자대학교에 신문학과를 창설, 대학에서 언론학 전공의 위치를 다져 놓는데 선구적 역할을 수행했다. “왜 당신은 신문학을 전공했느냐”는 질문을 받을 때마다 그는 언제나 “신문학 이외에는 하고 싶은 과목이 없기 때문”이라고 답했다고 한다. - ‘신문학을 위해 태어난 인물, 우범 이해창’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