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출문 2
경고문 3
CHAPTER 1. 사이버 교육훈련 4
목차 5
1. 서론 10
1.1. 연구 목적 및 배경 10
1.2. 연구 내용 11
2. 국내외 사이버 인력양성 사례분석 12
2.1. 개요 12
2.2. 미국 사이버보안 인력양성 추진 현황 13
2.2.1. 추진 경위 13
2.2.2. NICE 협력 및 지원 프로그램 15
2.3. 미국 첨단기술교육(ATE) 17
2.3.1. ATE 추진 경위 17
2.3.2. ATE 프로그램 세부내용 18
2.4. 국내 정부지원 프로그램 현황 25
2.5. 미군 사이버 인력양성 체계 28
2.6. 시사점 33
3. 군 사이버 인력양성 교육 현황 분석 35
3.1. 사이버사령부 35
3.1.1. 2018년 전군 대상교육 35
3.1.2. 추가 보수교육 주요 현황(위탁, 강사초빙) 38
3.2. 육군 39
3.3. 해군 42
3.4. 공군 43
3.5. 분석 47
4. 국가 직무능력 표준(NCS) 분석 49
4.1. 국가직무 능력표준 개요 49
4.2. 국가직무 능력표준(NCS) 정보보호 분야적용 가능성 검토 50
4.2.1. 개요 50
4.2.2. NCS 체계 정보보호 직무기술서 51
4.3. NCS 적용 가능성 검토 58
4.4. NCS 과정 평가형 자격제도 60
5. NCS 기반 국방 사이버 보안 교육과정 66
5.1. 2017년 사이버 전문인력 관련 연구결과 분석 66
5.2. 국방 사이버 인력 직무 개요 67
5.3. 국방 사이버 인력 직무별 NCS 적용방안 69
5.3.1. 사이버 작전 인력 71
5.3.2. 사이버 방호 인력 72
5.3.3. 사이버획득 인력 73
5.3.4. 사이버 정보인력 74
5.3.5. 사이버 IT 인력 75
5.3.6. 사이버 교육훈련 인력 76
5.3.7. 사이버 연구개발 인력 76
5.3.8. 사이버 사용자 인력 77
5.3.9. NCS 기반 사이버 보안 교육 커리큘럼 78
5.4. 비 NCS 과목 직무기술서 80
5.4.1. 군 특화과목 81
5.4.2. 일반 정보기술 과목 85
6. 사이버 인력양성 추진 로드맵 98
6.1. 교육시간 및 소요예산 판단 98
6.1.1. 교육시간 소요판단 98
6.1.2. 교육예산 소요판단 101
6.2. 사이버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방안 106
6.2.1. 교육과정 운영방안 106
6.2.2. 타 추진사항 107
7. 추진 로드맵 114
8. 결론 115
참고문헌 116
CHAPTER 2. 사이버 훈련장 117
목차 118
1. 서론 123
1.1. 연구 목적 및 배경 123
1.2. 연구내용 124
2. 국내외 사이버 훈련장 사례 및 선행연구 조사 126
2.1. 국외 사이버 훈련장 사례 조사 126
2.1.1. DARPA의 National Cyber Range 126
2.1.2. DARPA Plan-X 127
2.1.3. CAMEO 127
2.1.4. CORONA 128
2.1.5. 이스라엘 CyberGym 129
2.1.6. CyberBit 교육훈련 체계 129
2.1.7. 이스라엘 TIME RANGE 시스템 129
2.1.8. Network Defense Trainer 130
2.1.9. 팔로알토 사이버 레인지 131
2.1.10. 국외 사이버 훈련장 조사분석에 따른 시사점 132
2.2. 국내 사이버 훈련장 구축 및 운영 동향 133
2.2.1. 국가보안기술연구소 133
2.2.2. 한국인터넷진흥원의 Security Gym 134
2.2.3. 육군 사이버 훈련장 135
2.2.4. 국내 사이버 훈련장 조사 분석에 따른 시사점 135
2.3. 국내 사이버 훈련장 선행연구 조사 137
2.3.1. Cyber Warefare Modeling Technology using LVC 137
2.3.2. LIG Nex 1의 사이버전 모의 훈련장 모델 및 요구 성능 연구 137
3. 사이버 훈련장 구축 및 발전 정책 138
3.1. 사이버 훈련장 정책 기본방향 138
3.1.1. 기본 정책방향 도출과정 138
3.1.2. 각 군의 사이버 훈련장 관련 현황 및 검토의견 139
3.1.3. 주요 기본 정책방향 논의 결과 정리 140
3.1.4. 사이버 훈련장 기본 정책방향 제안 144
3.2. 사이버 훈련장 개념설계 148
3.2.1. 사이버 훈련장 구성 148
3.2.2. 사이버 훈련장 팀 분장 및 임무 149
3.2.3. 사이버 공방 훈련장 개념설계 151
3.2.4. 사이버 방호 훈련장 개념설계 154
3.3. 사이버 훈련장 운영 158
3.3.1. 사이버 훈련장 운영 기본방향 158
3.3.2. 사이버공방·방호 훈련장 운영 개념 158
3.4. 합동훈련과 연합훈련(안) 160
3.4.1. 각 군과 사이버사령부 간 합동훈련 160
3.4.2. 연합사 및 미 사이버사와의 연합훈련 방안 검토 162
3.5. 사이버 훈련장 발전방향 163
3.5.1. LVC 개념 163
3.5.2. LVC 개념을 적용한 사이버훈련장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167
3.5.3.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비교 176
3.5.4. 사이버 훈련장 발전방향 178
4. 국방 사이버 발전을 위한 향후 추가 연구용역 제안 182
4.1. LVC 기반 사이버 훈련장 구축 방향 연구 182
4.2. 사이버 공격 시나리오 개발 182
5. 결론 183
참고문헌 184
부록 185
[부록 #1]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직무수행 요건 186
[부록 #2] KISA 실전형 사이버 훈련장 235
I. 실전형 사이버훈련장(Securoty-Gym) 236
II. 일방향 침해사고 훈련 238
III. 양방향 설전 공방 훈련 239
IV. 정보보호제품군 실습 훈련 240
V. '17년 훈련 결과 241
VI. 18년 실전형 사이버 훈련장 운영(안) 243
[부록 #3] NATO 다국적 CYBER 훈련 244
[부록 #4] TAME RANGE 소개 249
CHAPTER 1. 사이버 교육훈련 9
[그림 2-1] NICE 프로그램 컴포넌트 15
[그림 2-2] ATE 센터 미국 분포도 19
[그림 2-3] 미군 사이버 전문인력 개념 및 범위 30
[그림 2-4] 미국 국가 사이버인력 프레임워크(NCWF) 구조 31
[그림 2-5] 미 사이버사령부 합동 사이버훈련 및 인증표준 프레임워크(JCT-CS) 32
[그림 4-1]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전체구조 50
[그림 4-2] NCS체계 정보보호 구조 51
[그림 4-3] NCS체계 능력단위, 학습모듈, 교과과정 관계 53
[그림 4-4] NCS 과정평가형 자격제도 업무수행 체계 61
[그림 4-5] NCS 과정평가형 선정절차 62
[그림 4-6] NCS 과정평가형 자격 현황 및 추진계획 64
[그림 4-7] 공군 NCS 과정평가형 자격제도 도입사례 65
[그림 5-1] 한국군 사이버전문인력 직무 구분 및 설계 과정 67
[그림 5-2] DoDD 8140 문서 중 사이버 전문인력 관련 주요 내용 70
[그림 5-3] 사이버작전 인력 직무/직급/수준 별 교육과정 72
[그림 5-4] 사이버획득 인력 직무/직급/수준 별 교육과정 74
[그림 5-5] 사이버정보 인력 직무/직급/수준 별 교육과정 75
[그림 5-6] 사이버IT 인력 직무/직급/수준 별 교육과정 76
[그림 5-7] 사이버 연구개발 인력 직무/직급/수준별 교육과정 77
[그림 5-8] 사이버 사용자 인력 직무/직급/수준 별 교육과정 78
[그림 5-9] 국방 사이버보안 교육과정 커리큘럼 79
[그림 6-1] 사이버 보안 MOOC 운영개념 110
CHAPTER 2. 사이버 훈련장 121
[그림 2-1] NCR 개요 127
[그림 2-2] CAMEO 운영개념 128
[그림 2-3] DoD CORONA 128
[그림 2-4] CyberBit의 Cyber Range 초기화면 129
[그림 2-5] TIME RANGE 환경 개요 130
[그림 2-6] Network Defense Trainer의 모의 네트워크 환경 131
[그림 2-7] KISA Security Gym 훈련장 개념 134
[그림 2-8] Security Gym 훈련장 구성도 134
[그림 2-9] 육군 사이버 훈련장 구성도 135
[그림 3-1] 국방부 주관 사이버 훈련장 구성 148
[그림 3-2] 사이버 훈련장 팀 분장 및 임무 150
[그림 3-3] 사이버 방호 훈련장 개념도 156
[그림 3-4] 육군의 가상 네트워크 및 정보보호 체계 구축 사례 157
[그림 3-5] 국방 M&S 적용 분야 163
[그림 3-6] L-V-C 연동 훈련의 효과 165
[그림 3-7] LVC Integrating Architecture 165
[그림 3-8] LVC 훈련체계의 도입 필요성 166
[그림 3-9] 지휘통제(C2) ↔ 사이버전 ↔ LVC 연동 훈련 개념도 168
[그림 3-10] 중·장기적 구축 대상의 사이버 레인지 체계 구조 169
[그림 3-11] 사이버 레인지 사용자 유형 및 훈련 방안 170
[그림 3-12] 사이버 레인지에 포함되어 있는 LVC 모의 장비 171
[그림 3-13] LVC 기반의 사이버전 모의분석 도구(CMT) 운용개념 및 시스템 구성 172
[그림 3-14] CMT에서의 LVC 활용 개념 173
[그림 3-15] Cyber-Kinetic(Cyber-LVC) 연동훈련 개념도 174
[그림 3-16] Cyber/Kinetic 훈련체계 개념도 175
[그림 3-17] Cyber/Kinetic 훈련체계 176
[그림 3-18] Cyber/Kinetic 훈련체계 구성 179
[그림 3-19] 차세대 사이버훈련장 체계구성도 18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519812 | 355.3432 -19-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519813 | 355.3432 -19-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