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저영향개발기법을 고려한 비점오염저감시설 개발 = Development of stormwater best management practices considering low impact development / 연구책임자: 강희만 인기도
발행사항
화성 :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2018
청구기호
628.168 -19-14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viii, 214 p. : 삽화, 도표 ; 30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 2018
연구원 ; 2018-60-534.9607호
제어번호
MONO1201934909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07-214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16

ABSTRACT 18

제1장 서론 20

1.1. 연구 배경 및 목적 20

1.2. 연구 내용 및 범위 21

제2장 문헌적 고찰 22

2.1.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저영향 개발기법의 적용 22

2.2.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저영향개발 기법의 설계 인자 24

2.3. 저영향개발 기법의 고속도로 본선, 휴게소, 영업소 적용 방안 검토 30

제3장 강우유출수 모니터링 35

3.1. 재료 및 방법 35

3.1.1. 현장 선정 35

3.1.2. 모니터링 방법 37

3.2. 결과 및 고찰 40

3.2.1. 본선 40

3.2.2. 영업소 44

제4장 침투율 향상 방안 검토 및 실험 48

4.1. 저영향개발기법의 침투율 향상 방안 검토 48

4.2. 저영향개발기법의 침투율 향상 방안을 위한 Column Test 수행 방법 55

4.3. 저영향개발기법의 침투율 향상 방안을 위한 Column Test 수행 결과 60

4.4. 개발 시설에 대한 시험시공(Pilot Scale) 및 모니터링 66

4.4.1. 개발 시설의 시험시공(Pilot Scale) 설계 및 적용 66

4.4.2. 개발 시설의 시험시공(Pilot Scale) 모니터링 및 분석 방법 75

4.4.3. 개발 시설의 시험시공(Pilot Scale) 모니터링 결과 78

4.5. 채취된 시료의 오염도 실험 및 분석 85

4.5.1. 여재 시료 채취 및 분석 방법 85

4.5.2. 여재시료 오염도 평가 87

제5장 중금속 제거 향상 방안 검토 및 실험 88

5.1. 침투형 여과시설의 여과재료 개선 방안 검토 88

5.1.1. 고속도로 강우유출수 특성 88

5.1.2. 고속도로 강우유출수 처리시설 중금속 처리효율 조사 및 개선사항 도출 89

5.1.3. 고속도로 강우유출수 중금속 제거를 위한 흡착제 및 적용방안 도출 91

5.2. 적용 가능 소재 조사 및 문헌 연구 92

5.2.1. 고속도로 강우유출수 중금속 제거 흡착제 및 중금속 제거 특성 조사 92

5.2.2. 적용 가능 흡착제 선정 97

5.3. 여과재(흡착)별 오염물 제거능 평가 97

5.3.1. 등온흡착에 의한 평형흡착능 평가 97

5.3.2. 흡착속도 평가 101

5.3.3. 흡착제 비교 평가 103

5.3.4. 알칼리제 전처리 효과 평가 (추가) 104

5.4. 연속식 흡착능 평가 및 공정 조건 도출 107

5.4.1. 모래, NaCl-제올라이트 및 몰탈에 의한 연속식 Cu 제거능 평가 107

5.4.2.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에 의한 연속식 Cu 제거능 평가 110

5.4.3.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에 의한 연속식 혼합중금속 제거능 평가 112

5.5. 향상 기술의 현장 적용성 평가 124

5.5.1. 몰탈/NaCl-제올라이트 여과의 현장 중금속 및 타 오염물 제거능 평가 124

5.5.2.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의 현장 투수성 평가 144

제6장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에 따른 유량 및 수질 모델링 기법 147

6.1. 유량 및 수질 모델링 방법 조사: 유출량 및 비점오염 계산 모형조사 147

6.1.1. 유출량 및 비점오염 계산 모형 조사 및 분류 147

6.1.2. 모형의 상세 조사 149

6.1.3. 모형개발을 위한 활용 가능한 최적 모형 선정 163

6.1.4. 선정 모형에 대한 예비구축 모델링 165

6.2. 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에 따른 모델링 기법개발 168

6.2.1. 유역유출 계산 로직 적용 168

6.2.2. LID 시설의 홍수유출 계산 로직 개발 170

6.2.3. 유역 및 LID 시설 통과후 수질 계산 로직 적용 171

6.3. 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 해석 모형개발 : 고속도로 LID 해석 모형 174

6.3.1. 모형 개발 개요 174

6.3.2. 모형 적용 비점오염저감시설 선정 175

6.3.3. TEXT 기반 모형 입출력 자료 논리구조 작성 178

6.3.4. 개발모형 수행을 위한 기본 DB 작성 194

6.3.5. 모형구현을 위한 코딩 201

6.3.6. 개발모형 구현 203

6.4. 하류하천, 저수지 수질영향 평가방법 제시 210

6.4.1. 하류하천, 저수지 수질영향 평가를 위한 모형의 선정 211

6.4.2. 하류하천, 저수지 수질영향 평가를 위한 모형구축 212

6.4.3. 구축모형의 보정 및 검증 216

6.4.4. 모형의 결과 확인 및 후처리 기능 217

제7장 결론 218

7.1. 국내외 저영향개발기법 관련 문헌 조사/정리 218

7.2. 강우유출수 모니터링 218

7.3. 저영향개발기법의 침투율 향상 방안 검토 및 실험 219

7.4.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중금속 제거 향상 방안 검토 및 실험 221

7.5.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에 따른 유량 및 수질 모델링 기법 223

참고문헌 226

판권기 237

표 2.1.1. LID 기술의 분류 23

표 2.1.2. 국내ㆍ외 LID 기술의 적용 사례 24

표 2.2.1. 국내 적용되고 있는 여재의 종류 및 특징 26

표 2.2.2. 여재별 오염물질 저감효율 및 성능평가(문소연, 2015) 26

표 2.2.3. 사회인프라 시설의 설계 매뉴얼 현황 28

표 2.2.4. LID 기술 별 설계인자 조사 29

표 2.3.1. 도로노면에서 발생되는 유사 및 오염물질 발생 특성 32

표 2.3.2. 국내 영업소, 본선, 휴게소에 적용된 LID 적용 사례 33

표 2.3.3. 국외 영업소, 본선, 휴게소에 적용된 LID 적용 사례 34

표 3.1.1. 모니터링 현장 검토 35

표 3.2.1. 고속도로 본선 강우유출수 EMC 43

표 3.2.2. 고속도로 영업소 강우유출수 EMC 47

표 4.1.1. NRCS 수문학적 토양 그룹별 특징(USDA, 2007) 49

표 4.1.2. 토성에 의해 분류된 수문학적 토양 특징 (USDA, 1999) 50

표 4.1.3. 토양 치환 관련 국외 문헌 연구 53

표 4.2.1. Column Test 공정도 55

표 4.2.2. Column Test 분류 57

표 4.2.3. NRCS 수문학적 토양분류에 따른 함수량 58

표 4.3.1. 모니터링 수행 결과 60

표 4.3.2. 토양 Type 별 침투율 통계분석 61

표 4.4.1. 대조군과 실험군 시설의 제원 68

표 4.4.2. 적정 토양치환 깊이 도출을 위한 원지반 특성 분석 결과 71

표 4.4.3. Pilot Scale 시설의 적정 토양치환 깊이 산정 71

표 4.4.4. Pilot Scale 모니터링 방법 76

표 4.4.5. 강우시 모니터링 수행시 강우현황 78

표 4.4.6. Pilot Scale 시설의 유입 및 유출 EMC 농도 82

표 4.4.7. Pilot Scale 시설의 오염물질 부하량 저감효율 82

표 4.5.1. 화학적 분석 방법 86

표 4.5.2. 모래여과시설 내 오염분석 결과 87

표 5.1.1. 고속도로 강우유출수 수질과 타 용도 토지의 강우유출수 수질 비교 (평균값, Geosyntec Consultants 등, 2012) 88

표 5.1.2. 고속도로 강우유출수 일반 항목 농도 (Kayhanian , 2012; Hwang과 Weng 2015; Winston & Hunt 2017) 89

표 5.1.3. 고속도로 강우유출수 영양염류 농도 (Kayhanian 등, 2012; Hwang과 Weng 2015) 89

표 5.1.4. 고속도로 강우유출수 중금속 농도 (Kayhanian 등, 2012; Hwang과 Weng 2015) 89

표 5.1.5. 고속도로 강우유출수 오염물과 적용 가능한 BMPs (CalTrans, 2016) 90

표 5.2.1. Freundlich and Langmuir isotherm model constants for adsorption of heavy metals in different filter materials (Reddy 등, 2014) 95

표 5.2.2. Heavy metals removal using 3 ft x 3 ft x 100 ft in-ground permeable filter system using different materials (Reddy 등, 2014) 96

표 5.3.1. 각 흡착제의 Cu 등온흡착 상수 101

표 5.3.2. 각 흡착제의 Cu 흡착속도 상수 103

표 5.3.3. 각 흡착제 경제성 비교 104

표 5.3.4. 몰탈 성분비 105

표 5.4.1. 모래, NaCl-제올라이트 및 몰탈에 의한 연속식 Cu 제거 실험 조건 108

표 5.4.2. 모래, NaCl-제올라이트 및 몰탈에 의한 연속식 Cu 제거능 평가 결과 109

표 5.4.3. EBCT에 따른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의 연속식 Cu 제거 실험 조건 111

표 5.4.4. EBCT에 따른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의 연속식 Cu 제거능 평가 결과 112

표 5.4.5. 여재 비율에 따른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의 연속식 혼합중금속 제거 실험 조건 113

표 5.4.6. 여재 비율에 따른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의 연속식 고농도 혼합중금속 제거 실험 결과 116

표 5.4.7. 여재 비율에 따른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 중, 몰탈 층의 연속식 저농도 혼합중금속 제거 실험 결과 119

표 5.4.8. 여재 비율에 따른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 층의 연속식 저농도 혼합중금속 제거 실험 결과 120

표 5.4.9.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에서, 각 여재의 중금속 제거 기여율 123

표 5.5.1. 모래 여과조의 강우사상별 유입수 EMC, 유출수 EMC 및 EMC 제거율 140

표 5.5.2. 몰탈/NaCl-제올라이트 여과조의 강우사상별 유입수 EMC, 유출수 EMC 및 EMC 제거율 140

표 5.5.3. 모래 여과장치의 유입수 EMC 및 유출수 EMC (4회 강우사상) 141

표 5.5.4. 몰탈/NaCl-제올라이트 여과장치의 유입수 EMC 및 유출수 EMC (4회 강우사상) 141

표 5.5.5. 모래 여과조와 몰탈/NaCl-제올라이트 여과조의 EMC 제거율 (4회 강우사상) 143

표 5.5.6. 모래 여과조와 몰탈/NaCl-제올라이트 여과조의 투수계수 (4회 강우사상) 146

표 6.1.1. 모형형태에 따른 모형 분류 및 특징 147

표 6.1.2. 설계항목에 따른 모형 분류 및 특징 148

표 6.1.3. 스프레드시트형 모델의 특징 및 계산항목 149

표 6.1.4. 단순형 모델의 특징 및 계산항목 154

표 6.1.5. 복합형 모델의 특징 및 계산항목 159

표 6.1.6. 모형별 계산가능 항목 및 적용 범위 164

표 6.1.7. 유출량 및 비점오염발생 모형의 LID 시설물 입력 제원 생성 165

표 6.1.8. 식생수로 전후 첨두 유출량 저감효과 비교 166

표 6.1.9. 침투도랑 전후 첨두 유출량 저감효과 비교 167

표 6.1.10. 식생수로 + 침투도랑 전후 첨두 유출량 저감효과 비교 167

표 6.2.1. 토지계 지목별 연평균 발생부하원단위 171

표 6.2.2. 강우처리비 산정 172

표 6.2.3. 삭감대상부하비 산정 172

표 6.2.4. 비점오염저감시설 저감효율(국립환경과학원, 2014) 173

표 6.3.1. 장치형 비점오염저감시설 175

표 6.3.2.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176

표 6.3.3. 저감시설의 특징 176

표 6.3.4. 저감시설의 선정표 (SMRC) 177

표 6.3.5. SWMM 입력 매개변수 178

표 6.3.6. 유역관련 매개변수 179

표 6.3.7. 지표흐름에 대한 추정 조도계수 180

표 6.3.8. 유역 조도계수 적용 181

표 6.3.9. 시설별 LID 레이어 입력항목 181

표 6.3.10. LID 레이어별 매개변수 182

표 6.3.11. 입력카드 구조설명서 : OPTION 183

표 6.3.12. 기상카드 설명 184

표 6.3.13. 기상카드 구조설명서 : EVAPORATION 185

표 6.3.14. 유역카드 설명 185

표 6.3.15. 유역카드 구조설명서 : SUBCATCHMENTS 186

표 6.3.16. 유역카드 구조설명서 : SUBAREAS 187

표 6.3.17. 유역카드 구조설명서 : INFILTRATION 188

표 6.3.18. 유역카드 구조설명서 : RAINGAGES 188

표 6.3.19. LID카드 구조설명서 : LID_CONTROLS 189

표 6.3.20. LID카드 구조설명서 : LID_USAGE 191

표 6.3.21. LID카드 구조설명서 : TIMESERIES 192

표 6.3.22. LID카드 구조설명서 : REPORT 193

표 6.3.23. DB 구조설명서 : 확률강우 194

표 6.3.24. DB 구조설명서 : 장기강우(시강우량) 195

표 6.3.25. 지표 흐름 조도계수 196

표 6.3.26. 지표 흐름에 대한 추정 조도계수 196

표 6.3.27. 침투 매개변수 DB 197

표 6.3.28. 저류깊이 DB 197

표 6.3.29. LID 매개변수 DB 198

표 6.3.30. LID 시설 매개변수 정의 구조설명 198

표 6.3.31. 토지계 지목별 연평균 발생부하원단위 200

표 6.3.32. 비점오염저감시설 삭감부하비 200

표 6.3.33. 비점오염저감시설 저감효율 200

표 6.3.34. 강우조건 입력 항목 204

표 6.3.35. 수질조건 입력 항목 205

표 6.3.36. 유역(도로구역)조건 입력 항목 206

표 6.3.37. 모형 분석 가능 시설 및 시설별 입력 레이어 207

표 6.3.38. LID 시설 입력 항목 207

표 6.4.1. 수질영향 평가 모형의 선정 211

표 6.4.2. WASP 7 수행조건 및 입력인자 211

표 6.4.3. WASP 지형자료 구성 212

그림 1.1. 연도별 비점오염저감시설 증가 추이 20

그림 1.2. 시설 형식별 비점오염저감시설 비율 20

그림 2.2.1. 시설의 주요 구성요소 및 기능 25

그림 2.2.2. LID 기술의 구성요소 27

그림 2.2.3. 광합성과 호흡 과정 27

그림 2.2.4. 국내 LID 기술 정책 및 매뉴얼 28

그림 2.3.1. 토지이용별 EMC 비교(Mean+S.D) 31

그림 2.3.2. 통행량과 TSS EMC와의 상관관계 (최지연 등, 2016) 32

그림 3.1.1. 검토 대상 Pilot plant 설치 위치 36

그림 3.1.2. 강우유출수 모니터링 현장 준비 (본선) 37

그림 3.1.3. 강우유출수 모니터링 (본선) 37

그림 3.1.4. 실 강우 발생 시 현장 점검 및 문제점 도출 (영업소) 38

그림 3.1.5. 모니터링을 위한 시설 개선 (영업소) 39

그림 3.2.1. 고속도로 본선 강우유출수 특성 41

그림 3.2.2. 고속도로 영업소 강우유출수 특성 45

그림 4.1.1. LID 시설 내 침강지에 따른 강우유출수의 입자크기 변화 (한국도로공사, 2016) 48

그림 4.1.2. 토양 치환 방법 50

그림 4.1.3. 강우유출수 토양 침투 시스템에서의 오염물질 거동(Grebel et al., 2013) 51

그림 4.2.1. 여재 선정 55

그림 4.2.2. Column Test 모식도 56

그림 4.2.3. 토양 체거름 및 압축방법 57

그림 4.2.4. Column test 수행과정 58

그림 4.2.5. Column Test를 위한 제작 및 설계 과정 59

그림 4.3.1. 평균 침투율 분석 63

그림 4.3.2. 토양 치환 Column Test의 침투 증가율 분석 64

그림 4.3.3. 토양치환 깊이 산정을 위한 회귀분석 65

그림 4.4.1. 시험시공(Pilot Scale) 대상지점 66

그림 4.4.2. 기존 모래여과시설 현황 67

그림 4.4.3. 시험시공(Pilot Scale)의 조감도 68

그림 4.4.4. 시험시공(Pilot Scale)의 토양치환 깊이 산정 방법 69

그림 4.4.5. 현장투수계수 실험 69

그림 4.4.6. 시험시공(Pilot Scale) 원지반 토양 입도분석 결과 70

그림 4.4.7. 시험시공(Pilot Scale)의 상세도면 72

그림 4.4.8. 시험시공(Pilot Scale)의 적용 73

그림 4.4.9. 시험시공(Pilot Scale)의 모니터링 지점 75

그림 4.4.10. Pilot plnat 시설의 물질수지 및 흐름 개념도 77

그림 4.4.11. Pilot plant 유지보수 79

그림 4.4.12. 시간에 따른 유입수 수리수문곡선 80

그림 4.4.13. 물수지 분석 81

그림 4.4.14. Pilot scale 유출 발생 시 낙엽 및 이물질 유출 82

그림 4.4.15. 시간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곡선 83

그림 4.4.16. 시간에 따른 침투율 변화 곡선 84

그림 4.5.1. 시료 채취지점 및 현장시료채취 85

그림 5.1.1. Vertical profile of heavy metal content in soil (error bar = SD) (Hossain 등, 2007) 90

그림 5.1.2. Urban vault system (7) (typ = typical; min = minimum; max = maximum; O.C. = on center; STD = standard) (Barrett 등, 2014) 91

그림 5.2.1. (a) Cu(II); (b) Zn(II) breakthrough curves for MnO2 and GFH media at pH = 7(Ernst 등, 2016) 93

그림 5.2.2. Comparison of (a) Cu(II) and (b) Zn(II) breakthrough behavior as a function of TOC (Ernst 등, 2016) 94

그림 5.2.3. Effect of crab waste preceding iron oxide on (a) copper; (b) zinc breakthrough(Ernst 등, 2016) 94

그림 5.2.4. Comparison of (a) copper(II); (b) zinc(II) breakthrough profiles between high(2.15 meq/L) and low (~0 meq/L) alkalinity (Ernst 등, 2016) 95

그림 5.3.1. 흡착제 98

그림 5.3.2. 각 흡착제의 Cu 등온흡착 실험 결과 100

그림 5.3.3. 각 흡착제의 Cu 흡착속도 실험 결과 102

그림 5.3.4. 몰탈 시료 105

그림 5.3.5. 몰탈 칼럼 실험 장치 105

그림 5.3.6. 몰탈 성분지에 따른 연속식 칼럼 유출수 pH 106

그림 5.3.7. 각 몰탈 시료의 시멘트 함량과 OH- 공급량 상관관계 106

그림 5.4.1. 연속식 실험 장치 108

그림 5.4.2. 모래, NaCl-제올라이트, 몰탈/NaCl-제올라이트 여재의 연속식 흡착실험 유출수 Cu 농도 108

그림 5.4.3.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에 의한 연속식 칼럼 실험장치 110

그림 5.4.4. EBCT에 따른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의 연속식 흡착실험 유출수 Cu 농도 111

그림 5.4.5. 모래 여재와 여재 비율에 따른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의 연속식 고농도 중금속 흡착실험 유출수 중금속 농도와 pH 114

그림 5.4.6. 여재 비율에 따른 몰탈/NaCl-제올라이트 몰탈층의 연속식 저농도 중금속 흡착실험 몰탈 층 유출수 중금속 농도와 pH 117

그림 5.4.7. 여재 비율에 따른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의 연속식 저농도 중금속 흡착실험 이중여재 유출수 중금속 농도와 pH 121

그림 5.4.8.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에서, 각 여재의 중금속 제거량 124

그림 5.5.1. Pilot plant 125

그림 5.5.2. 몰탈 여재 제조 126

그림 5.5.3. Pilot plant 도면 127

그림 5.5.4. Pilot plant 설치 127

그림 5.5.5. Pilot plant 효율 평가 (강우사상 2, 2018년 9월 3일) 128

그림 5.5.6. 모래 여과장치와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 여과장치의 현장 성능평가 결과 (강우사상 2) 129

그림 5.5.7. 모래 여과장치와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 여과장치의 현장 성능평가 결과 (강우사상 3) 131

그림 5.5.8. 모래 여과장치와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 여과장치의 현장 성능평가 결과 (강우사상 4) 134

그림 5.5.9. 모래 여과장치와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 여과장치의 현장 성능평가 결과 (강우사상 5) 136

그림 5.5.10. 모래 여과조와 몰탈/NaCl-제올라이트 여과조의 유입 및 유출 평균 EMC 142

그림 5.5.11. 모래 여과조와 몰탈/NaCl-제올라이트 여과조의 평균 EMC 제거율 143

그림 5.5.12. 중금속 유입 EMC와 제거율 상관관계 144

그림 5.5.13. 모래 여과조와 몰탈/NaCl-제올라이트 여과조의 수두 측정 144

그림 5.5.14. 모래 여과장치와 몰탈/NaCl-제올라이트 이중여재 여과장치의 투수계수 변화 145

그림 6.1.1. Virgininina Runoff Reduction Method Spreadsheet (2012) 150

그림 6.1.2. WLC 모형 151

그림 6.1.3. Green Long Term Control (LTCP)-EZ Template 152

그림 6.1.4. BMP-REALCOST 엑셀시트 153

그림 6.1.5. EPA National Stormwater Calculator (NSC) 155

그림 6.1.6. BMPs SELECT 모형 화면 156

그림 6.1.7. BMPs SELECT 모형의 의사결정지원 과정 156

그림 6.1.8. GreenSave Calculator 홈페이지 모델링 예시 157

그림 6.1.9. RECARGA 모형 158

그림 6.1.10. .Long-Term Hydrologic Impact Assessment Model 158

그림 6.1.11. SWMM-LID 유출 개념도 및 구상도 160

그림 6.1.12. SWMM LID 모듈 모식도 160

그림 6.1.13. SUSTAIN 모형의 적용 예시 161

그림 6.1.14. MicroDrainage SUDS 모델링 예시 162

그림 6.1.15. K-LIDM 모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163

그림 6.1.16. 비점오염저감시설 설계 및 해석프로그램 : (a) 조건입력, (b) 설계 제원 출력 165

그림 6.1.17. 모형 구축 화면 166

그림 6.1.18. 홍수저감 곡선 - A유역 식생수로 166

그림 6.1.19. 홍수저감 곡선 - B유역 침투도랑 167

그림 6.1.20. 홍수저감 곡선 - 전체유역 식생수로 + 침투도랑 167

그림 6.2.1. SWMM-LID 유출 개념도 및 구상도 170

그림 6.2.2. LID 시설적용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효과 (예시) 173

그림 6.3.1. 프로그램 개발의 절차 174

그림 6.3.2. OPTION 카드 예시 184

그림 6.3.3. EVAPORATION 카드 예시 185

그림 6.3.4. SUBCATCHMENTS 카드 예시 186

그림 6.3.5. SUBAREAS 카드 예시 187

그림 6.3.6. INFILTRATION 카드 예시 188

그림 6.3.7. RAINGAGES 카드 예시 188

그림 6.3.8. LID_CONTROLS 카드 예시 191

그림 6.3.9. LID_USAGE 카드 예시 192

그림 6.3.10. TIMESERIES 카드 예시 192

그림 6.3.11. REPORT 카드 예시 193

그림 6.3.12. 확률강우 DB (부산 기상관측소) 194

그림 6.3.13. 장기강우(시강우) DB 195

그림 6.3.14. 강우자료 입력 코드 개발 화면 201

그림 6.3.15. 유역자료 입력 코드 개발 화면 201

그림 6.3.16. LID 시설 자료 입력 코드 개발 화면 202

그림 6.3.17. 결과도출 코드 개발 화면 202

그림 6.3.18. 고속도로 LID 해석 모형 화면 203

그림 6.3.19. 시나리오 설정 204

그림 6.3.20. 유역(도로구역)정보 입력 화면 205

그림 6.3.21. LID 시설정보 입력 화면 206

그림 6.3.22. 모형수행 화면 208

그림 6.3.23. 결과보기 화면 208

그림 6.3.24. 결과 그래프 및 테이블 화면 209

그림 6.4.1.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 전ㆍ후 비교 210

그림 6.4.2. 기상자료 수집 방법 (기상청 상청 방재기상정보시스템) 213

그림 6.4.3. 수질자료 수집 방법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정보시스템) 213

그림 6.4.4. 수체의 Segment 결정 (유역분할 예시) 214

그림 6.4.5. 모의 대상 수체의 모식도 (DYNHYD5, EUTRO5) 215

그림 6.4.6. 모의 대상 수체의 시나리오별 장래예측 결과 (예시) 215

그림 6.4.7. 모형의 보정 및 검증 평가 예시(Scatter plots) 216

그림 6.4.8. 모의 대상 수체의 시나리오별 장래예측 결과 (예시) 216

그림 6.4.9. 수질개선효과 분석 (예시) 217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22238 628.168 -19-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22239 628.168 -19-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