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실시간 침수위험지역 분석기반 구축 = Developing an analytic framework for real-time inundated hazard area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울산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8
청구기호
363.3493 -19-9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ix, 180 p. : 삽화, 도표 ; 26 cm
총서사항
딥러닝기반 도시침수 예측 및 분석 기반기술 개발
주요연구 ; 2018-09-01-02
제어번호
MONO1201937524
주기사항
연구수행기관: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한건연
참고문헌: p. 175-180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 최제용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16

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7

1.1.1. 연구배경 17

1.1.2. 연구 필요성 18

1.2. 연구목적 19

1.3. 연구 수행 계획 21

1.3.1. 침수예상도 구축을 위한 최적 시나리오 개발 21

1.3.2. 위험지역 자동추출을 위한 데이터 수집·분석 및 알고리듬 개발 31

1.3.3. 당해연도 연구개발 계획 36

1.4. 기대효과 38

제2장 침수예상도 구축을 위한 최적 시나리오 개발 41

2.1. 시나리오 분석 및 시나리오 구성에 따른 침수예상도 분석 43

2.1.1. 최적 시나리오 개발을 위한 HSD 기법 적용 43

2.1.2. 부산 지점에 대한 HSD 강우 생산 45

2.1.3. 울산 지점에 대한 HSD 강우 생산 56

2.1.4. 서울 지점에 대한 HSD 강우 생산 67

2.1.5. HSD 강우첨두값 형태에 관한 보완 77

2.1.6. 시나리오에 따른 침수예상도 분석 81

2.2. Deep learning 기반 침수예상도 분석을 위한 최적 시나리오 구성 118

2.2.1. 최적 입력 자료의 조합 118

2.3. 소결론 133

제3장 위험지역 자동추출을 위한 데이터 수집 분석 및 알고리듬개발 137

3.1. 대상지역 데이터 수집 및 구축 가능한 데이터 분석 139

3.1.1. 대상지역 데이터 수집 139

3.1.2. 알고리듬을 위한 구축 가능한 데이터 분석 139

3.2. 침수예상도에 따른 위험정보 자동추출 알고리듬 개발 162

3.2.1. 시나리오별 침수예상도에 따른 위험정보의 산정 162

3.2.2. 위험정보의 자동추출 알고리듬 개발 164

3.3. 소결론 178

제4장 결론 179

참고문헌 189

서지자료 195

REPORT DOCUMENTATION PAGE 196

판권기 197

연구책임자 198

참여연구진 198

과제자문위원 198

표 2.1. 시단위 극치강우사상의 시간변화특성 분석(부산) 46

표 2.2. 분위별 첨두강우 발생 빈도(부산) 47

표 2.3. 집중지속시간별 극치강우사상에 대한 강우량 비율(부산) 49

표 2.4. 집중지속시간별 극치강우사상에 대한 강우량 비율(지속시간 1시간, 부산) 54

표 2.5. 집중지속시간별 극치강우사상에 대한 강우량 비율(지속시간 2시간, 부산) 54

표 2.6. 집중지속시간별 극치강우사상에 대한 강우량 비율(지속시간 3시간, 부산) 55

표 2.7. 시단위 극치강우사상의 시간변화특성 분석(울산) 57

표 2.8. 분위별 첨두강우 발생 빈도(울산) 58

표 2.9. 집중지속시간별 극치강우사상에 대한 강우량 비율(울산) 60

표 2.10. 집중지속시간별 극치강우사상에 대한 강우량 비율(지속시간 1시간, 울산) 65

표 2.11. 집중지속시간별 극치강우사상에 대한 강우량 비율(지속시간 2시간, 울산) 65

표 2.12. 집중지속시간별 극치강우사상에 대한 강우량 비율(지속시간 3시간, 울산) 65

표 2.13. 시단위 극치강우사상의 시간변화특성 분석(서울) 68

표 2.14. 분위별 첨두강우 발생 빈도(서울) 69

표 2.15. 집중지속시간별 극치강우사상에 대한 강우량 비율(서울) 71

표 2.16. 집중지속시간별 극치강우사상에 대한 강우량 비율(지속시간 1시간, 서울) 76

표 2.17. 집중지속시간별 극치강우사상에 대한 강우량 비율(지속시간 2시간, 서울) 76

표 2.18. 집중지속시간별 극치강우사상에 대한 강우량 비율(지속시간 3시간, 서울) 76

표 2.19. 대저지구 Huff 분포에 따른 Gamma 해석 결과 123

표 2.20. 대저지구 2시간 HSD 분포에 따른 Gamma 해석 결과 124

표 2.21. 대저지구 3시간 HSD 분포에 따른 Gamma 해석 결과 126

표 2.22. 다대지구 Huff 분포에 따른 Gamma 해석 결과 127

표 2.23. 다대지구 2시간 HSD 분포에 따른 Gamma 해석 결과 128

표 2.24. 다대지구 3시간 HSD 분포에 따른 Gamma 해석 결과 129

표 2.25. 우정지구 Huff 분포에 따른 Gamma 해석 결과 130

표 2.26. 우정지구 2시간 HSD 분포에 따른 Gamma 해석 결과 131

표 2.27. 우정지구 3시간 HSD 분포에 따른 Gamma 해석 결과 132

표 3.1. 대상지역 선정 139

표 3.2. 시범지역 연속수치지형도 정보 140

표 3.3. 수치지형도 레이어 목록 141

표 3.4. 도로중심선 데이터 베이스 설계 145

표 3.5. 도로경계 데이터 베이스 설계 149

표 3.6. 건물 데이터 베이스 설계 152

표 3.7. 교량 데이터 베이스 설계 156

표 3-8. 교차로 데이터 베이스 설계 157

표 3.9. 입체교차부 데이터 베이스 설계 158

표 3.10. 수치지도 공간정보 DB 용량 및 레코드 개수 160

표 3.10. 등고선 세분류 항목 161

표 3.11. 용도에 따른 건물 가중치 163

표 3.12. 구분에 따른 도로 가중치 163

표 3.13. 구분에 따른 입체교차부 가중치 164

표 3.14. PostgreSQL / PostGIS 개요 165

표 3.15. 기본 제한 사항 168

표 3.16. PostGIS 공간정보 분석 기능 172

표 3.17. 도로명주소 건물 테이블 정의 174

표 3.18. 도로명주소 도로구간 테이블 정의 176

그림 1.1. 최근 주요 도시침수양상 (2016, 2017년) 18

그림 1.2. Deep learning 기법을 활용한 강우 및 침수 예측 모형 20

그림 1.3. 재난안전연구원에서 작성된 침수예상도 샘플[원문불량;p.7] 21

그림 1.4. 분위별 강우시간누적분포와 HSD Type3-2 샘플 23

그림 1.5. 서울지역 호우샘플 및 주요 기법별 200년 빈도 호우분포 23

그림 1.6. Neyman Scott pulse 강우 생성 모형 개념도 24

그림 1.7. 강우 구조 변화에 따른 호우 분포 변화 개념도 25

그림 1.8. 시나리오 구성에 따른 침수예상도 생산[원문불량;p.12] 26

그림 1.9. Deep learning 기반 침수 특성 분석[원문불량;p.13] 27

그림 1.10. RNN(Recurrent Neural Network)의 구조도 28

그림 1.11. Gamma Test를 통한 예측 모형의 입력자료 검토[원문불량;p.16] 30

그림 1.12. 모델링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 31

그림 1.13. 실시간 침수위험 지역 표출을 위한 입력자료 32

그림 1.14. 수치지형도의 도로중심선 정보 33

그림 1.15. 수치지형도의 건물 정보 34

그림 1.16. 수치지형도의 도로 및 건물과 침수지역 오버레이 예시 화면 34

그림 1.17. 위험정보 선정을 위한 다차원 평가 기법 35

그림 1.18. 공간 조회의 흐름 36

그림 1.19. 당해연도 연구 개발 흐름도 37

그림 1.20. 연구결과에 대한 Data 공유[원문불량;p.23] 37

그림 2.1. 집중강우기간 특성을 반영한 극치강우분포 생산 흐름도 43

그림 2.2. 극치강우사상의 시간별 강우 비율(부산) 47

그림 2.3. 무차원 확률누가곡선 및 SCS Type 곡선(부산) 48

그림 2.4. HSD Type 3-3에 따른 무차원 확률누가곡선(부산) 49

그림 2.5. 실제 극치강우사상과 HSD 기법 적용 및 타기법 적용 비교(부산) 50

그림 2.6. HSD Type 3-3에 따른 강우시간분포(부산) 51

그림 2.7. 200년 빈도 강우시간분포 기법별 비교(부산) 52

그림 2.8. 지속시간 1시간~3시간 무차원 확률곡선 산정(부산) 54

그림 2.9. 지속시간 1시간~3시간 강우시간분포(HSD, Huff 3Q) 55

그림 2.10. 극치강우사상의 시간별 강우 비율(울산) 58

그림 2.11. 무차원 확률누가곡선 및 SCS Type 곡선(울산) 59

그림 2.12. HSD Type 4-3에 따른 무차원 확률누가곡선(울산) 60

그림 2.13. 실제 극치강우사상과 HSD 기법 적용 및 타기법 적용 비교(울산) 61

그림 2.14. HSD Type 4-3에 따른 강우시간분포(울산) 62

그림 2.15. 200년 빈도 강우시간분포 기법별 비교(울산) 63

그림 2.16. 지속시간 1시간~3시간 무차원 확률곡선 산정(울산) 64

그림 2.17. 지속시간 1시간~3시간 강우시간분포(HSD, Huff 3Q) 66

그림 2.18. 극치강우사상의 시간별 강우 비율(서울) 69

그림 2.19. 무차원 확률누가곡선 및 SCS Type 곡선(서울) 70

그림 2.20. HSD Type 3-3에 따른 무차원 확률누가곡선(서울) 71

그림 2.21. 실제 극치강우사상과 HSD 기법 적용 및 타기법 적용 비교(서울) 72

그림 2.22. HSD Type 3-3에 따른 강우시간분포(서울) 73

그림 2.23. 200년 빈도 강우시간분포 기법별 비교(서울) 74

그림 2.24. 지속시간 1시간~3시간 무차원 확률곡선 산정(서울) 75

그림 2.25. 지속시간 1시간~3시간 강우시간분포(HSD, Huff 3Q) 77

그림 2.26. 스플라인 보간법을 이용한 HSD 방법의 강우시간분포 79

그림 2.27. 확률곡선에 관한 가중치를 이용한 HSD 방법의 강우시간분포 80

그림 2.28. 연구 대상지역(대저지구) 82

그림 2.29. 연구 대상지역(다대지구) 82

그림 2.30. 지속시간 1시간의 확률강우량 83

그림 2.31. 지속시간 2시간의 확률강우량 84

그림 2.32. 지속시간 3시간의 확률강우량 84

그림 2.33. 1시간 확률강우량 HSD Type 2-3 분포 85

그림 2.34. 1시간 확률강우량 HSD Type 3-3 분포 85

그림 2.35. 2시간 확률강우량 HSD Type 3-5 분포 86

그림 2.36. 3시간 확률강우량 HSD Type 2-7 분포 87

그림 2.37. 6시간 지속시간을 가지는 실제호우[원문불량;p.74] 88

그림 2.38. SWMM 구축 결과(대저지구) 91

그림 2.39. SWMM 구축 결과(다대지구) 92

그림 2.40. 2차원 해석을 위한 연구유역의 지형 데이터 자료(부산)[원문불량;p.79] 93

그림 2.41. 기상청(ASOS) 관측 강우자료(08월25일) 94

그림 2.42. 대저 지구에서의 침수구역에 대한 NDMS와의 비교 95

그림 2.43. 1시간 Huff 분포 확률강우량에 따른 침수예상도 96

그림 2.44. 2시간 Huff 분포 확률강우량에 따른 침수예상도 96

그림 2.45. 3시간 Huff 분포 확률강우량에 따른 침수예상도 97

그림 2.46. 1시간 HSD 분포 확률강우량에 따른 침수예상도(첨두발생 20~40분) 97

그림 2.47. 2시간 HSD 분포 확률강우량에 따른 침수예상도(첨두발생 30~70분) 98

그림 2.48. 3시간 HSD 분포 확률강우량에 따른 침수예상도(첨두발생 50~110분) 98

그림 2.49. 기상청(ASOS) 관측 강우자료(07월 15일) 99

그림 2.50. 다대 지구 침수흔적도와의 비교 100

그림 2.51. 1시간 Huff 분포 확률강우량에 따른 침수예상도 101

그림 2.52. 2시간 Huff 분포 확률강우량에 따른 침수예상도 102

그림 2.53. 3시간 Huff 분포 확률강우량에 따른 침수예상도 103

그림 2.54. 1시간 HSD 분포 확률강우량에 따른 침수예상도(첨두발생 20~40분) 104

그림 2.55. 2시간 HSD 분포 확률강우량에 따른 침수예상도(첨두발생 30~70분) 105

그림 2.56. 3시간 HSD 분포 확률강우량에 따른 침수예상도(첨두발생 50~110분) 106

그림 2.57. 연구 대상지역(우정지구) 107

그림 2.58. SWMM 구축 결과(우정지구) 108

그림 2.59. 2차원 해석을 위한 연구유역의 지형 데이터 자료(울산) 109

그림 2.60. 기상청(ASOS) 관측 강우자료(08월25일) 109

그림 2.61. 우정지구에서의 침수구역에... 110

그림 2.62. 1시간 Huff 분포 확률강우량에 따른 침수예상도 111

그림 2.63. 2시간 Huff 분포 확률강우량에 따른 침수예상도 112

그림 2.64. 3시간 Huff 분포 확률강우량에 따른 침수예상도 113

그림 2.65. 1시간 HSD 분포 확률강우량에 따른 침수예상도(첨두발생 20~40분) 114

그림 2.66. 2시간 HSD 분포 확률강우량에 따른 침수예상도(첨두발생 30~70분) 115

그림 2.67. 3시간 HSD 분포 확률강우량에 따른 침수예상도(첨두발생 50~110분) 116

그림 2.68. 강우시나리오 별 침수예상도 DB 구축 117

그림 2.69. 시나리오 별 불확실성 검토를 위한 Gamma 해석과정[원문불량;p.105] 119

그림 2.70. Gamma Test의 흐름도 122

그림 2.71. 대저 지구의 Huff 입력 자료에 대한 Gamma 해석 결과 124

그림 2.72. 대저 지구의 2시간 HSD 입력 자료에 대한 Gamma 해석 결과 125

그림 2.73. 대저 지구의 3시간 HSD 입력 자료에 대한 Gamma 해석 결과 127

그림 2.74. 다대 지구의 Huff 입력 자료에 대한 Gamma 해석 결과 128

그림 2.75. 다대 지구에의 2시간 HSD 입력 자료에 대한 Gamma 해석 결과 129

그림 2.76. 다대 지구의 3시간 HSD 입력 자료에 대한 Gamma 해석 결과 130

그림 2.77. 우정 지구의 2시간 HSD 입력 자료에 대한 Gamma 해석 결과 131

그림 2.78. 우정 지구의 3시간 HSD 입력 자료에 대한 Gamma 해석 결과 132

그림 3.1. 전국데이터에서 연구대상지역에 대한 데이터 추출 142

그림 3.2. 대상지역 도로중심선 추출... 143

그림 3.3. 수치지형도 도로중심선 테이블 내용[원문불량;p.130] 144

그림 3.4. 대상지역 도로경계 추출(대저지구, 다대지구, 우정지구) 147

그림 3.5. 수치지형도 도로경계 테이블 내용 148

그림 3.6. 대상지역 건물 추출(대저지구, 다대지구, 우정지구) 150

그림 3.7. 수치지형도 건물 테이블 내용 151

그림 3.8. 대상지역 교차로, 교량, 입체교차부 추출(대저지구, 다대지구, 우정지구) 154

그림 3.9. 대상지역 교차로, 교량, 입체교차부 테이블 내용 155

그림 3.10.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DEM 작성 161

그림 3.11. PostGIS 구조 166

그림 3.12. GIST 인덱싱 방식 167

그림 3.13. PostgreSQL 프로세스 구조 169

그림 3.14. query를 이용한 좌표계 수정[원문불량;p.156] 170

그림 3.15. PostGIS를 이용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시각화과정[원문불량;p.157] 171

그림 3.16. 공간쿼리 예시 화면 172

그림 3.17. 반경 200m 주변 3층 이상 건물 데이터 시각화 예시 화면 173

그림 3.18. 도로명주소를 이용한 역지오코딩 177

그림 4.1. 강우-침수심에 대한 Deep learning 적용 187

그림 4.2. Pixel을 이용한 Deep learning 적용 방법 188

그림 4.3. 연차별 연구계획 Road Map 18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23703 363.3493 -19-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23704 363.3493 -19-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