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보체계 구축 기초연구 = A study on establishing an information system for agri-environmental resource management / 연구담당: 손학기, 김홍상, 이현정 인기도
발행사항
나주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8
청구기호
338.18 -19-1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i, 131 p. : 삽화 ; 25 cm
총서사항
연구보고 ; R845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1492216
제어번호
MONO1201937578
주기사항
참고문헌: p. 125-131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5

ABSTRACT 13

제1장 서론 23

1. 연구의 배경 23

2. 연구의 목적 24

3. 선행연구 검토 24

3.1. 농업환경정책 관련 연구 24

3.2. 농업환경자원 관리 사례 연구 25

3.3. 농업 관련 환경자원관리 정보시스템 구축 현황 검토 26

3.4.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27

4. 연구 내용과 방법 27

4.1. 연구 내용 27

4.2. 연구 방법 28

제2장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보체계의 개념적 이해 30

1. 농업환경자원과 관리 30

1.1. 농업환경자원의 정의 30

1.2. 농업환경자원 관리의 특성 31

2.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보 및 정보체계 36

2.1. 농업환경자원 관리를 위한 정보 36

2.2.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보체계 47

제3장 현행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보체계의 구축 현황과 한계 49

1. 토양ㆍ토질 보전 부문 정보체계의 구축 현황과 한계 분석 50

1.1. 토양ㆍ토질 부문 정보체계의 현황 50

1.2. 토양 및 토질 보전 부문의 한계 분석 68

2. 수량ㆍ수질 관리 부문 정보체계의 구축 현황과 한계 분석 75

2.1. 농업용수 수량ㆍ수질 관련 정보체계의 현황 75

2.2. 농업용수 수량ㆍ수질 관리 부문의 한계 분석 79

3. 생물다양성ㆍ서식지 보전 부문 정보체계의 구축 현황과 한계 분석 84

3.1. 생물다양성ㆍ서식지 관련 정보체계 현황 84

3.2. 생물다양성ㆍ서식지 보전 부문의 한계 분석 87

4. 농촌경관 관리 부문 정보체계의 구축 현황과 한계 분석 89

4.1. 농촌경관 관련 정보체계 현황 89

4.2. 농촌경관 관리 부문의 한계 분석 92

5.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보체계의 구축 현황 및 한계 종합 93

5.1. 구축 현황 종합 93

5.2. 현행 정보체계의 한계점 종합 95

제4장 해외 농업환경자원 관리와 정보통신기술 발전 동향 98

1. 해외 농업환경자원 관리 동향 98

1.1. 영국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책의 발전 과정 98

1.2. 영국 농업환경자원 관리의 구체적 내용과 정보 현황 101

2. 농업환경자원 관리 관련 정보통신기술 발전 동향 108

2.1. 정보통신기술 발전 동향 108

2.2 농업환경자원 관리 관련 정보통신기술 발전 동향 109

3. 시사점 118

제5장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보체계의 구축 기본 방향과 과제 120

1. 정보체계 구축의 기본 방향 120

2. 정보체계 구축의 추진 전략과 과제 122

2.1. 정보체계 구축의 추진 전략 122

2.2. 기존 정보의 내실화 부문 세부 추진 과제 125

2.3. 새로이 요구되는 정보의 신규 구축 부문 세부 추진 과제 130

2.4. 미래지향적인 정보 고도화 부문 세부 추진 과제 135

제6장 요약 및 결론 139

1. 요약 139

2. 기대효과 140

3.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141

참고문헌 142

판권기 3

〈표 2-1〉 농업환경 공공재 예시 33

〈표 2-2〉 OECD 농업환경 공공재와 농업환경활동 37

〈표 2-3〉 농업환경보전 프로그램의 농업환경활동(예시) 38

〈표 2-4〉 영국 농촌환경시책(CS)의 농업환경활동 옵션(Options) 39

〈표 2-5〉 토양 및 토질 보전 관련 농업환경활동에서 요구되는 정보 43

〈표 2-6〉 농업용수 수량ㆍ수질 관련 농업환경활동에서 요구되는 정보 44

〈표 2-7〉 생물다양성과 서식지 보전에서 요구되는 정보 45

〈표 2-8〉 농촌경관 관리 관련 농업환경활동에서 요구되는 정보 46

〈표 2-9〉 농업환경자원 관리에서 요구되는 정보 46

〈표 3-1〉 토양조사 방법 간 비교 51

〈표 3-2〉 토양환경변동조사(농업환경변동조사) 조사항목 53

〈표 3-3〉 제5차 농업환경변동조사 수행 실적 및 계획 53

〈표 3-4〉 토양환경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공간정보 10종 55

〈표 3-5〉 농업경영체 등록정보 내용 57

〈표 3-6〉 농업경작ㆍ토지이용 관련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보체계의 내용 58

〈표 3-7〉 농업환경변동조사의 비료ㆍ농약 조사 기준 및 항목 61

〈표 3-8〉 비료ㆍ농약 관련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보체계의 내용 62

〈표 3-9〉 가축분뇨배출시설 허가대상 배출시설 63

〈표 3-10〉 가축분뇨배출시설 신고대상 배출시설 63

〈표 3-11〉 가축두수ㆍ분뇨 관련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보체계의 내용 66

〈표 3-12〉 토양ㆍ토질 부문 시기별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보체계 구축 현황 요약 67

〈표 3-13〉 토양ㆍ토질 부문 주체별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보체계 구축 현황 요약 67

〈표 3-14〉 토양ㆍ토질 보전 부문 정보체계의 한계점 요약 74

〈표 3-15〉 농업용수 수질조사 조사항목 76

〈표 3-16〉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공간정보 9종 77

〈표 3-17〉 농업용수 수질변동조사(농업환경변동조사) 조사항목 78

〈표 3-18〉 농업용수 수량ㆍ수질 부문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보체계의 요약 79

〈표 3-19〉 농업용수 수량 및 수질 보전 부문 정보체계의 한계점 83

〈표 3-20〉 도시생태현황지도의 비오톱 유형화 86

〈표 3-21〉 생물다양성ㆍ서식지 부문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보체계의 요약 87

〈표 3-22〉 생물다양성ㆍ서식지 보전 부문 정보체계의 한계점 요약 89

〈표 3-23〉 농촌다움 자원 조사 항목 90

〈표 3-24〉 농어촌자원조사 대상 및 항목 91

〈표 3-25〉 경관보전직접지불금 대상작물 예시 92

〈표 3-26〉 농촌경관 부문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보체계의 요약 92

〈표 3-27〉 농촌경관 관리 부문 정보체계의 한계점 요약 93

〈표 3-28〉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보체계 구축 현황 요약 94

〈표 4-1〉 영국 농업환경정책 변화 과정 99

〈표 4-2〉 물과 토양 관리를 위한 우선 관리지역 및 농업활동 옵션(예시) 103

〈표 4-3〉 매직 시스템의 CS Targeting & Scoring 레이어 구조 103

〈표 4-4〉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 109

〈표 4-5〉 빅데이터 분석기법 115

〈표 5-1〉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보체계의 추진 전략과 과제 124

〈표 5-2〉 인천광역시 남동구 녹지비오톱 위계별 분류지표 및 분류 Key 127

〈표 5-3〉 매직 시스템의 CS Targeting & Scoring 레이어 구조 137

〈그림 1-1〉 연구의 흐름 29

〈그림 2-1〉 농업환경자원의 범위 31

〈그림 2-2〉 농업생산과 외부효과 32

〈그림 2-3〉 공간 규모에 따른 농업환경 공공재 구분 34

〈그림 2-4〉 보전경운하(下)에서 퇴적물 감소의 공간 분포(공간 이질성 예시) 35

〈그림 2-5〉 정보시스템의 구성 요소 48

〈그림 3-1〉 흙토람의 토양특성과 농경지 화학성(예시) 52

〈그림 3-2〉 토양환경변동조사(농업환경변동조사) 체계 53

〈그림 3-3〉 ICT 기반 농업환경자원조사 자료관리 화면(예시) 54

〈그림 3-4〉 농가의 농경지 토양침식 가능성의 사전 파악 요구 정보 56

〈그림 3-5〉 화학비료의 유통경로 59

〈그림 3-6〉 유기질비료의 유통경로 59

〈그림 3-7〉 농약의 유통경로 60

〈그림 3-8〉 국가동물방역시스템 구성도 64

〈그림 3-9〉 가축분뇨 전자인계관리시스템 운영 과정 65

〈그림 3-10〉 가축분뇨의 생산과 처리과정 66

〈그림 3-11〉 시ㆍ군ㆍ구별 농경지 토양에서의 유기물ㆍ유효인산 평균농도(g/kg:mg/kg) 69

〈그림 3-12〉 범용토양침식량공식에 의한 토양침식량 산정(예시) 70

〈그림 3-13〉 시ㆍ군별 2013년 축산계 TN(총 질소) 발생부하량과 양분수지 73

〈그림 3-14〉 오염총량관리 시행절차 79

〈그림 3-15〉 (a) 국가수자원관리종합시스템의 유역체계와 (b) 농촌용수구역도 82

〈그림 3-16〉 자연환경조사 지도 활용 예시(멸종위기종 발견 빈도, 생태자연도 구축) 85

〈그림 3-17〉 비오톱지도 예시 87

〈그림 4-1〉 환경관리시책(ES)의 개관(예시) 100

〈그림 4-2〉 전원관리시책의 개관 101

〈그림 4-3〉 영국의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책의 운영 방식 102

〈그림 4-4〉 매직 시스템 화면과 필지 확인 결과 104

〈그림 4-5〉 북동잉글랜드 NCA(National Character Area) 지도 예시 105

〈그림 4-6〉 농촌지불금 사이트에 등록된 필지 현황과 신청이 필요한 오류 상황 106

〈그림 4-7〉 농업환경기록과 필드 자료 시트(예시) 107

〈그림 4-8〉 농업환경기록과 옵션 맵(예시) 107

〈그림 4-9〉 스마트폰과 AI를 이용한 토양검정 111

〈그림 4-10〉 드론을 이용해 제작한 하천 녹조 지도 112

〈그림 4-11〉 시민참여형 로드킬 신고 등록을 위한 스마트폰 App 화면 114

〈그림 4-12〉 빅데이터 분석의 구성도 115

〈그림 4-13〉 빅데이터 분석의 구성도 116

〈그림 4-14〉 OneSoil사의 스마트 농장관리 117

〈그림 4-15〉 AR 게임과 AR을 이용한 현장에서 필요한 농업활동 정보 제공 예시 118

〈그림 5-1〉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보체계 구축의 기본방향과 추진 과제 121

〈그림 5-2〉 스마트폰과 AI를 이용한 토양검정 126

〈그림 5-3〉 상위유역과 하위 유역 간의 내포 관계(nested sub-watershed) 132

〈그림 5-4〉 수질오염총량제의 단위유역과 측정망(영산강ㆍ섬진강수역 예시) 133

〈그림 5-5〉 양분 관련 지표의 예시 134

〈그림 5-6〉 시ㆍ군별 농업환경성 평가 종합과 농업환경변동조사 하천조사 위치 13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23737 338.18 -19-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23738 338.18 -19-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