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도축부산물의 처리 및 신소재 가공기술 개발 최종보고서 / 농림축산식품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농림축산식품부, 2019
청구기호
664.08 -19-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viii, 800 p. : 삽화, 도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937783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명: (주)한국육류연구소 ; 협동연구기관명: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에스씨아이, 삼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관연구책임자: 고경철
참고문헌: p. 741-743
공동발행: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국문 요약문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8

제1절 연구개발 개요 18

1. 제1세부과제 : 부산물의 위생적 유통 시스템화 및 제도개선 방안 연구 18

2. 제1협동과제 : 도축부산물의 안정성 관리기술 개발 19

3. 제2협동과제 : 국내 도축장 환경(축종별, 규모별)에 맞는 도축부산물 처리 기술 개발 20

4. 제3협동과제 : 내장부산물의 소재화 기술 개발 22

5. 제4협동과제 : 혈액부산물의 소재화 기술 개발 23

제2절 연구개발 대상의 국내 기술 수준 및 시장 현황 25

1. 제1세부과제 : 부산물의 위생적 유통 시스템화 및 제도개선 방안 연구 25

2. 제1협동과제 : 도축부산물의 안정성 관리기술 개발 28

3. 제2협동과제 : 국내 도축장 환경(축종별, 규모별)에 맞는 도축부산물 처리 기술 개발 29

4. 제3협동과제 : 내장부산물의 소재화 기술 개발 29

5. 제4협동과제 : 혈액부산물의 소재화 기술 개발 30

제3절 연구개발 대상의 국외 기술 수준 및 시장 현황 31

1. 제1세부과제 : 부산물의 위생적 유통 시스템화 및 제도개선 방안 연구 31

2. 제1협동과제 : 도축부산물의 안정성 관리기술 개발 32

3. 제2협동과제 : 국내 도축장 환경(축종별, 규모별)에 맞는 도축부산물 처리 기술 개발 32

4. 제3협동과제 : 내장부산물의 소재화 기술 개발 33

5. 제4협동과제 : 혈액부산물의 소재화 기술 개발 34

제4절 연구개발의 중요성 36

1. 제1세부과제 : 부산물의 위생적 유통 시스템화 및 제도개선 방안 연구 36

2. 제1협동과제 : 도축부산물의 안정성 관리기술 개발 37

3. 제2협동과제 : 국내 도축장 환경(축종별, 규모별)에 맞는 도축부산물 처리 기술 개발 37

4. 제3협동과제 : 내장부산물의 소재화 기술 개발 41

5. 제4협동과제 : 혈액부산물의 소재화 기술 개발 42

제2장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44

제1절 부산물의 위생적 유통 시스템화 및 제도개선 방안 연구 44

1. 서론 44

2. 국내외 도축 부산물 산업 현황 45

3. 도축 부산물 유통 제도개선 방안 및 유통단계별 의견수렴 81

4. 소규모 거점처리센터 도입 경제성 및 기대효과 분석 132

5. 정책제안 195

6. 요약 및 결론 201

[부록] 204

제2절 도축 부산물의 안정성 관리 기술개발 207

1. 도축 부산물 종류별 작업자, 시설 및 장비 등의 SSOP 개발(1차년도) 207

2. 도축장 생산 단계별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험물질 분석(2차년도) 224

3. 도축 부산물 HACCP 일반 모델 개발(3차년도) 234

도축부산물 HACCP 도입을 위한 선행요건(SSOP) 240

식용 도축 부산물 위생관리지침(안)[원문불량;p.302] 242

식용 도축부산물 HACCP Plan(안) 430

제3절 국내 도축장 환경에 맞는 도축 부산물 처리 기술개발 602

1. 1차년도 602

2. 2차년도 606

3. 3차년도 619

4. 최종 연구 수행 내용 및 결과 632

제4절 내장 부산물의 소재화 기술개발 633

1. 1차년도 634

2. 2차년도 654

3. 3차년도 685

4. 최종 연구 수행 내용 및 결과 713

5. 향후 5년간 영업전략 713

제5절 혈액 부산물의 소재화 기술개발 714

1. 1차년도 714

2. 2차년도 723

3. 3차년도 732

4. 기업을 통한 산업화 746

제6절 연구개발성과 종합 747

1. 연구성과종합 747

제3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 기여도 751

제1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751

제2절 관련분야 기여도 755

제4장 연구결과의 활용 계획 등 756

1. 제1세부과제 : 부산물의 위생적 유통 시스템화 및 제도개선 방안 연구 756

2. 제1협동과제 : 도축부사물의 안정성 관리기술 개발 756

3. 제2협동과제 : 국내 도축장 환경(축종별, 규모별)에 맞는 도축부산물 처리 기술 개발 756

4. 제3협동과제 : 내장부산물의 소재화 기술 개발 756

5. 제4협동과제 : 혈액부산물의 소재화 기술 개발 757

붙임1. 참고문헌 758

붙임2. 연구성과 증빙 761

〈표 1〉 축산부산물 유통경로별 유통비율 27

〈표 2〉 지역별 식육부산물 전문판매업체 수 27

〈표 3〉 덴마크 돼지 및 돼지고기 수출 품목 추이 32

〈표 4〉 식품, 의료 및 산업적 이용에 사용되는 동물 혈액의 실예들(Clara 등, 2013) 35

〈표 5〉 연도별 어분 수입량 39

〈표 6〉 닭과 돼지에서 발생되는 폐기물량 및 아미노산 발생량 40

〈표 7〉 소 및 돼지 내 혈액 성분 42

〈표 8〉 식육부산물전문판매업 등록 현황 46

〈표 9〉 축산부산물 유통경로별 유통비율 47

〈표 10〉 소도체 연도별 등급판정 현황 48

〈표 11〉 돼지도체 연도별 등급판정 현황 48

〈표 12〉 소 연도별 두당 평균 생체중 49

〈표 13〉 돼지 연도별 두당 평균 생체중 49

〈표 14〉 중량에 따른 소·돼지 평균 부산물 수율 50

〈표 15〉 연도별 소 부산물 생산량 50

〈표 16〉 연도별 돼지 부산물 생산량 51

〈표 17〉 도축장 유형별 소(한우) 부산물 가격 52

〈표 18〉 소 부산물 1차 처리업체 거래가격 및 처리비용 53

〈표 19〉 소(한우 거세) 부산물 2차 처리업체 거래가격 및 처리비용 53

〈표 20〉 도축장 유형별 돼지 부산물 가격 54

〈표 21〉 돼지 부산물 1차 처리업체 거래가격 및 처리비용 54

〈표 22〉 국내 식용 도축 부산물의 분류 57

〈표 23〉 소 및 돼지 농축산물 표준코드 58

〈표 24〉 국내 소부산물 종류와 형태 및 범위 59

〈표 25〉 국내 돼지부산물 종류와 형태 및 범위 60

〈표 26〉 분류에 따른 도축 부산물의 분류 64

〈표 27〉 호주 축산물 유통 단계별 주요 제도 69

〈표 28〉 국가별 도축 부산물 관련 정책 71

〈표 29〉 도축부산물의 수의계약과 입찰경매의 장단점 비교 요약 72

〈표 30〉 국내 축산물 작업장 현황 75

〈표 31〉 식육부산물전문판매업 등록 현황 76

〈표 32〉 한우 부산물 유통마진 현황 80

〈표 33〉 돼지 부산물 유통마진 현황 81

〈표 34〉 도축장별 돼지 부산물 거래방식 87

〈표 35〉 우 부산물 판매가격(조견표) 91

〈표 36〉 우 내장 판매가격 적용표 91

〈표 37〉 우 두 판매가격 적용표 92

〈표 38〉 우 지방 판매가격 표 92

〈표 39〉 우 원피 판매가격 표 92

〈표 40〉 돈 부산물 판매가격(조견표) 92

〈표 41〉 돈 지방 판매가격 93

〈표 42〉 돈 원피 판매가격 93

〈표 43〉 우 내장 판매가격 적용표(2018년 6 1일 도축분부터) 94

〈표 44〉 우 내장 판매가격 적용표(2018년 10월 1일~ 2018년 11월 30일) 94

〈표 45〉 도축장 유형별 분포 현황 133

〈표 46〉 권역별 도축장 분포 현황 및 도축 비율 134

〈표 47〉 국내 도축장 가동률 현황 134

〈표 48〉 도축 규모별 분포 현황(2009년 도축실적 기준) 135

〈표 49〉 도축장 중 축산부산물 열처리 가공이 이루어지는 도축장 수 136

〈표 50〉 전국 권역별 도축장별 소 도축실적 136

〈표 51〉 전국 권역별 도축장별 돼지 도축실적 138

〈표 52〉 전국 권역별 규모별 도축장 현황 141

〈표 53〉 축산부산물 유통구조 및 단위 142

〈표 54〉 전국 권역별 식육부산물 전문 판매업체 현황 143

〈표 55〉 경기권역내 도축장 중 시범운영모델 적용후보 선정 145

〈표 56〉 소규모거점처리센터 시범운영 후보지역 선정 147

〈표 57〉 전국 권역별 소규모 거점처리센터 후보지역 선정결과 148

〈표 58〉 도축장 총매출 비중(2014년 기준) 150

〈표 59〉 도축장과 거래하는 부위별 부산물 도매상 현황(개소) 150

〈표 60〉 소와 돼지의 마리당 부산물 수율 151

〈표 61〉 연도별 축산부산물 생산(공급)량 151

〈표 62〉 부산물 도매상당 부위별 평균 거래량(년) 152

〈표 63〉 연도별 축산부산물 주요 부위별 수입 현황 153

〈표 64〉 소 축산부산물 도축장 유형별 도매가격 155

〈표 65〉 소 축산부산물 부위별 전문유통업체 판매가격 156

〈표 66〉 돼지 축산부산물 도축장 유형별 도매가격 157

〈표 67〉 돼지 축산부산물 부위별 전문유통업체 판매가격 158

〈표 68〉 도드람 LPC의 생산성 평가 160

〈표 69〉 도축장별 부산물 처리공정 조사 결과 162

〈표 70〉 유통경로 비용구조 164

〈표 71〉 유통비용 증감 추이 165

〈표 72〉 유통채널별 유통비용 구조 166

〈표 73〉 소규모거점처리센터 운영모델 설비 내역 173

〈표 74〉 소규모거점처리센터 경제성분석 예비모형 175

〈표 75〉 소규모거점처리센터 예비 경제적 타당성 분석 기본 가정 177

〈표 76〉 예비 경제적 타당성 분석 기본 가정 178

〈표 77〉 돼지 1두당 부위별 판매 가격 추정 180

〈표 78〉 소규모거점처리센터 연차별 편익 추정 181

〈표 79〉 소규모거점처리센터 기계설비 투자금액 183

〈표 80〉 2015년 발주분 공사유형별 단위면적당 공사비 184

〈표 81〉 소규모거점처리센터 건축비용 추정 결과 185

〈표 82〉 소규모거점처리센터 부지면적 추정을 위한 건폐율과 용적률 산정 186

〈표 83〉 전국 지역별 공시 지가평균 187

〈표 84〉 소규모거점처리센터 시설투자 비용 추정 결과 188

〈표 85〉 돼지 1두당 부위별 매입 단가 추정 189

〈표 86〉 소규모거점처리센터 연간 매출원가 추정 결과 190

〈표 87〉 소규모거점처리센터 연간 판매비 및 관리비 추정비율 191

〈표 88〉 소규모거점처리센터 연간 현금유입액 추정 192

〈표 89〉 소규모거점처리센터 시설투자 회수금액 산출 194

〈표 90〉 소규모거점처리센터 경제성분석 결과 194

〈표 91〉 국내 부처의 부산물 매뉴얼 비교 207

〈표 92〉 식육 중 미생물 모니터링 검사 기준(식품의약품안전처, 2014) 228

〈표 93〉 병원성 식중독세균 분석 결과 229

〈표 94〉 ICP-OES operating conditions 231

〈표 95〉 중금속 분석결과 232

〈표 96〉 식품공전 식육 중금속 규격 232

〈표 97〉 이물의 분류 233

〈표 98〉 돼지 부산물 5종의 잔류농약 분석결과 235

〈표 99〉 소 부산물 9종의 잔류농약 분석결과 235

〈표 100〉 분무 건조 조건 603

〈표 101〉 혈장단백질의 일반 성분 조성 604

〈표 102〉 혈장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 605

〈표 103〉 병원성 미생물 검출 결과 606

〈표 104〉 효소 종류에 따른 헤파린 분리 후 남은 부산물을 가수분해도 측정 607

〈표 105〉 각각의 단백질 원료에서 트립신 억제인자 활성도 조사 611

〈표 106〉 가수 분해된 각종 동물성 단백질의 펩타이드 분자량 측정 612

〈표 107〉 가수 분해된 돼지 내장 단백질의 아미노산 분포도 614

〈표 108〉 돼지 내장분의 일반 성분 분석 615

〈표 109〉 효소 가수분해 된 돼지 내장 액의 분무 건조 조건 615

〈표 110〉 각각의 Catalyst를 이용한 지방의 Saponification 616

〈표 111〉 7시간 동안 각각의 온도에서 Saponification한 후 색도 및 경도 조사 617

〈표 112〉 가수분해 된 돼지 내장분의 중금속 오염도 측정 619

〈표 113〉 효소 가수 분해된 돼지 내장분에서 병원성 균 오염도 측정 619

〈표 114〉 NaOH를 촉매제로 이용한 닭털의 가수분해도 조사 620

〈표 115〉 NaOH를 촉매제로 이용한 돼지털의 가수분해도 조사 621

〈표 116〉 HCl을 촉매제로 이용한 닭털의 가수분해도 조사 621

〈표 117〉 32%-HCl을 촉매제로 이용한 돼지털의 가수분해도 조사 621

〈표 118〉 KOH를 촉매제로 이용한 닭털의 가수분해도 조사 622

〈표 119〉 KOH를 촉매제로 이용한 돼지털의 가수분해도 조사 623

〈표 120〉 가수 분해된 닭털 돼지털의 펩타이드 분자량 측정 624

〈표 121〉 가수분해 된 돼지털과 닭털의 트립신 억제 인자 활성도 측정 627

〈표 122〉 가수분해 된 닭털과 돼지털을 건조하기 위한 분무 건조 조건 628

〈표 123〉 염산 가수 분해된 닭털과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닭털의 일반성분 비교 629

〈표 124〉 염산 가수 분해된 돼지털의 일반 성분 629

〈표 125〉 가수분해 된 닭털과 돼지털을 건조하기 위한 분무 건조 조건 629

〈표 126〉 고형화한 면역 단백질 + 각종 비타민 혼합 제품의 성분 631

〈표 127〉 가수 분해된 닭털과 돼지털 그리고 면역 단백질에서의 중금속 분석 631

〈표 128〉 효소 가수 분해된 돼지 내장분에서 병원성 균 오염도 측정 632

〈표 129〉 연구범위 및 연구수행 방법 633

〈표 130〉 내장 부산물의 도축 후 sampling 과정 634

〈표 131〉 내장 부산물의 수분 함량 635

〈표 132〉 내장 부산물의 조지방 함량 637

〈표 133〉 내장 부산물의 조단백 함량 638

〈표 134〉 내장 부산물의 조회분 함량 639

〈표 135〉 내장 부산물의 저장 품질 특성 분석 주요결과 639

〈표 136〉 내장 부산물의 콜라겐 수율 649

〈표 137〉 내장 부산물의 헤파린 수율 652

〈표 138〉 내장 부산물의 아미노산 조성 653

〈표 139〉 내장 부산물의 지방산 조성 654

〈표 140〉 저장기간 별 pH 659

〈표 141〉 내장 부산물 저장기간 별 육색(L*, a*, b*) 변화 660

〈표 142〉 내장 부산물 저장기간별 단백질 변패도(VBN) 변화 664

〈표 143〉 내장 부산물 저장기간 별 지방변패도(TBA) 변화 665

〈표 144〉 홍화씨유 사용 합성 CLA 지방산 분석 결과 677

〈표 145〉 간 추출 지방 사용 합성 CLA 지방산 분석 결과 678

〈표 146〉 허파 추출 지방 사용 합성 CLA 지방산 분석 결과 678

〈표 147〉 심장 추출 지방 사용 합성 CLA 지방산 분석 결과 679

〈표 148〉 위 추출 지방 사용 합성 CLA 지방산 분석 결과 679

〈표 149〉 소장 추출 지방 사용 합성 CLA 지방산 분석 결과 680

〈표 150〉 대장 추출 지방 사용 합성 CLA 지방산 분석 결과 680

〈표 151〉 돼지부산물 1kg당 헤파린 추출량 687

〈표 152〉 연구에 사용된 병원성 균주 목록 716

〈표 153〉 기능성 도축 혈액 소재들을 3주 동안 섭취한 실험쥐들의 성장효율 724

〈표 154〉 기능성 도축 혈액 소재들을 3주동안 섭취한 실험쥐들의 장기 및 empty body... 725

〈표 155〉 Real-time PCR 기법을 이용한 대장 소화물 내 대표적인 미생물 균수 측정... 726

〈표 156〉 Real-time PCR 기법을 이용한 소장 소화물 내 대표적인 미생물 균수 측정... 727

〈표 157〉 Cloning 및 BLAST search 기법을 이용한 PCR-DGGE 밴드의 박테리아 동정 728

〈표 158〉 도축 혈액 기능성 소재를 섭취한 실험쥐의 혈장 내 면역단백질 및 사이토카... 731

〈표 159〉 도축 혈액 기능성 소재를 섭취한 실험쥐의 소화물 내 면역단백질 및 사이토... 732

〈표 160〉 도축 혈액 기능성 소재들의 분말화에 사용된 분무 건조 조건 733

〈표 161〉 도축 혈액 기능성 소재들의 일반 성분 및 pH 측정 결과 738

〈표 162〉 도축 혈액 기능성 소재들의 미생물 잔존 검사 739

〈표 163〉 실험 사료 배합표(Phase I) 741

〈표 164〉 실험 사료 배합표(Phase II) 742

〈표 165〉 생산 국가가 다른 혈장 분말이 이유 자돈의 혈중 인자에 미치는 영향 746

[그림 1] 가수분해 공정 20

[그림 2] 여과 및 유수분리 공정 21

[그림 3] 스프레이 드라이공정 21

[그림 4] 화학적 가수분해 후 SD 22

[그림 5] 축산부산물 유통구조 26

[그림 6]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어분 요구량 분석 40

[그림 7] 부산물 유통경로 모식도 46

[그림 8] 한우 두, 내장, 족 가격 추이 51

[그림 9] 돼지 두, 내장과 족 가격 추이 51

[그림 10] 도축 부산물 관련 국내 축산 정책 기본 구조 55

[그림 11] 농림수산식품부 국정과제계획 56

[그림 12] 농림축산식품부 축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 4대분야 11대 주요과제 61

[그림 13] 농림축산검역본부 식육 부산물 위생관리 매뉴얼 추진 배경 63

[그림 14] AMS 소 및 돼지 부산물 유통 보고 방식의 차이점 65

[그림 15] FSIS 도축장 소 및 돼지 부산물 처리 공정 66

[그림 16] HACCP 식용가능한 내장 처리 기준 67

[그림 17] 호주 소, 돼지 부산물 표준 분류 68

[그림 18] HAM에 기재된 소 창자(예시) 69

[그림 19] 호주 축산물 라벨 표시 정보 70

[그림 20] 부산물 유통경로 모식도 73

[그림 21] 소 부산물 유통 경로 77

[그림 22] 돼지 부산물 유통경로 79

[그림 23] 거점처리센터 개념도 82

[그림 24] 부산물의 생성 및 이동경로 86

[그림 25] 소규모거점처리센터 시범 운영지역 선정 144

[그림 26] 소규모거점처리센터 시범운영 후보지역 구분 146

[그림 27] 소규모 거점처리센터 권역별 후보지역[원문불량;p.131] 148

[그림 28] 축산부산물 유통구조 149

[그림 29] 월별 도축 두수 현황 153

[그림 30] 도축공정 기본 흐름도[원문불량;p.142] 159

[그림 31] 도축장 도축공정 조사 결과 161

[그림 32] 경기지역 소재 축산물종합처리장 부산물 처리공정 조사 결과 163

[그림 33] 순현재가치법(net present value method : NPV법) 168

[그림 34] 내부수익률법(internal rate of return:IRR법) 168

[그림 35] 비용편익분석법(benefit / cost ratio : B/C) 169

[그림 36] 소규모거점처리센터 경제적 타당성 분석 절차 170

[그림 37] 소규모거점처리센터 예비모형을 위한 운영방안 171

[그림 38] 소규모거점처리센터 운영모델 설비 배치방안 172

[그림 39] 부산물 유통 실태 212

[그림 40] 소 부산물(소창, 대창, 막창) 사진 224

[그림 41] 소 부산물(간, 허파, 천엽, 소창, 막창, 위)사진 225

[그림 42] 시료 동결건조 전(왼쪽)과 동결건조 후(오른쪽) 230

[그림 43] ㈜화인 외관 및 단체사진(왼쪽)과 회의 사진(오른쪽) 236

[그림 44] 안성도드람LPC의 외관(왼쪽)과 회의 사진(오른쪽) 236

[그림 45] 김천 롯데푸드 회의 사진(왼쪽)과 보담 회의 사진(오른쪽) 237

[그림 46] HACCP 전문가 자문회의 238

[그림 47] 도축부산물 종합발표회 사진 239

[그림 48] Spray Dry 모식도 및 조건 602

[그림 49] 최종 완성된 제품 모습 603

[그림 50] Rambach 평판배지 배양 결과 606

[그림 51] 각각의 종류에 다른 단백질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도 측정 608

[그림 52] SDS-PAGE를 이용한 트립신 억제 인자 확인 610

[그림 53] 한외 여과 Kit 611

[그림 54] MALDI-TOF를 이용한 가수분해 된 돼지 장관 단백질의 펩타이드 분포도 조사 613

[그림 55] 펩신 농도에 따른 소화율 분석 614

[그림 56] 분무 건조된 돼지 내장분 616

[그림 57] 돼지 내장으로부터 분리한 CLA의 파이롯트 생산 제품 617

[그림 58] PCR을 이용한 바이러스 검출 618

[그림 59] 단순 건조 시킨 우모분(닭털)과 염산 가수분해 된 닭털의 수용화 상태 622

[그림 60] 단순 건조시킨 돼지털(A)과 염산 가수분해 시킨 돼지털(B)의 수용화 상태 623

[그림 61] 가수분해 된 돼지털에서 MALDI-TOF를 이용한 분자량 측정 625

[그림 62] 가수 분해된 닭털에서 MALDI-TOF를 이용한 분자량 측정 626

[그림 63] 가수 분해된 닭털과 돼지털의 분무 건조 최종 제품 628

[그림 64] 면역단백질 분리 액상(A)과 분무 건조 후(B) 모습 630

[그림 65] 면역 단백질인 Ig-G를 고형화한 모습 630

[그림 66] 내장 부산물 4일차 경과 사진 640

[그림 67] 세척 미실시 및 4℃ 저장기간 별 총균수 변화 641

[그림 68] 세척 미실시 및 4℃ 저장기간 별 대장균수 변화 641

[그림 69] 세척 실시 및 0℃ 저장기간 별 총균수 변화 642

[그림 70] 세척 실시 및 0℃ 저장기간 별 대장균수 변화 643

[그림 71] 세척 미실시 및 0℃ 저장기간 별 총균수 변화 644

[그림 72] 세척 미실시 및 0℃ 저장기간 별 대장균수 변화 644

[그림 73] 세척 미실시 및 4℃ 저장기간별 TBA 변화 646

[그림 74] 세척 실시 및 0℃ 저장기간별 TBA 변화 647

[그림 75] 세척 미실시 및 0℃ 저장기간별 TBA 변화 648

[그림 76] 저장 0일차 부산물 655

[그림 77] 저장 3일차 부산물 655

[그림 78] 저장 6일차 부산물 656

[그림 79] 저장 9일차 부산물 656

[그림 80] 저장 12일차 부산물 657

[그림 81] 내장 부산물 저장기간 별 총균(TPC) 변화 658

[그림 82] 내장 부산물 저장기간 별 대장균(VRB) 변화 658

[그림 83] 내장 부산물 저장기간 별 pH 변화 659

[그림 84] 내장 부산물 저장기간 별 육색(L*, a*, b*) 변화 661

[그림 85] 내장 부산물 저장기간별 단백질 변패도(VBN) 변화 664

[그림 86] 내장 부산물 저장기간 별 지방변패도(TBA) 변화 666

[그림 87] 콜라겐 정량 stanadard curve 670

[그림 88] 0.2% 효소 처리 샘플 콜라겐 정량 670

[그림 89] 0.5% 효소 처리 샘플 콜라겐 정량 671

[그림 90] 0.2% 효소 처리 샘플 SDS-PAGE 673

[그림 91] 0.5% 효소 처리 샘플 SDS-PAGE 674

[그림 92] 홍화씨유 사용 합성 CLA gas chromatography 677

[그림 93] Sodium heparin HPLC standard 683

[그림 94] Ammonium heparin HPLC standard 683

[그림 95] 대장 추출 heparin HPLC 결과 683

[그림 96] 정제 실시한 대장 추출 heparin HPLC 결과 684

[그림 97] 돼지부산물의 탈지/탈수 건물 수율 686

[그림 98] 추출한 헤파린 1g당 pure heparin의 양 688

[그림 99] 추출된 헤파린 1mg의 unit 양 688

[그림 100] 돼지 내장 부산물 Batch processing 689

[그림 101] 간 첨가율 별 완성제품 만두 702

[그림 102] HMR 근원섬유단백질햄의 저장기간 동안 총 균(TPC) 수의 변화 707

[그림 103] HMR 근원섬유단백질 완자의 저장기간 동안 총 균(TPC) 수의 변화 708

[그림 104] HMR 근원섬유 단백질 산 분해 간장의 저장기간 동안 총 균(TPC) 수의 변화 708

[그림 105] HMR 간고추장의 저장기간 동안 총 균(TPC) 수의 변화 709

[그림 106] HMR 간쌈장의 저장기간 동안 총 균(TPC) 수의 변화 709

[그림 107] HMR 간스프레드의 저장기간 동안 총 균(TPC) 수의 변화 710

[그림 108] HMR 간만두의 저장 기간 동안 총 균(TPC) 변화 710

[그림 109] HMR 간소시지의 저장 기간 동안 총 균(TPC) 수의 변화 711

[그림 110] HMR 피순대의 저장 기간 동안 총 균(TPC) 수의 변화 711

[그림 111] HMR 소장 젓갈의 저장 기간 동안 총 균(TPC) 수의 변화 712

[그림 112] 염화칼슘 및 황산암모늄 처리를 통해 제조된 면역단백질 용액의... 714

[그림 113]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한 헤모글로빈 가수분해물의 적색 감소 양상 715

[그림 114] Alcalase 처리를 통해 생산된(A) 헤모글로빈 가수분해물 분말 및(B) 헴철... 716

[그림 115] C. perfringenes 및 E. coli 균주에 대한 도축 혈액 기능성 소재들의 성장... 718

[그림 116] 병원성 균주들에 대한 도축 혈액 기능성 소재들의 Crossreactivity 720

[그림 117] E. coli 및 S.typhimurium의 LPS에 대한 도축 혈액 기능성 소재들의 부착... 721

[그림 118] E. coli 및 S.typhimurium의 LPS에 대한 도축 혈액 기능성 소재들의 부착... 722

[그림 119] Cell viability 측정을 통한 도축 혈액 기능성 소재들의 항독소 효과 723

[그림 120] 도축 혈액 기능성 소재들을 섭취한 실험쥐의 대장 소화물 내 미생물 균총 변화 양상 728

[그림 121] Metagenomics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실험쥐의 장내 미생물 균총 양상 변... 729

[그림 122] Metagenomics 기법을 이용한 실험쥐의 장내 대표적인 유익균 및 유해균 분... 730

[그림 123] 도축 혈액 기능성 소재를 섭취한 실험쥐 혈액 내 peripheral blood... 730

[그림 124] 도축 혈액 기능성 소재들(4종)의 제조 방법 733

[그림 125] Ammonium sulfate 처리 조건(농도, 시간)에 따른 면역단백질 소재 내 면... 734

[그림 126] 효소 처리 조건에 따른 헤모글로빈 가수분해물 소재의 적색 제거 양상 조사 결과 735

[그림 127] 효소 처리 조건에 따른 헴철 강화 혈구 분말의 철 함량 변화 결과 736

[그림 128] 본 연구과제를 통해 개발된 도축 혈액 기능성 소재들의 시제품 737

[그림 129] 도축 혈액 기능성 소재들의 바이러스 잔존 검사 결과 740

[그림 130] 생산 국가가 다른 혈장 분말의 첨가가 이유 자돈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1)... 744

[그림 131] 생산 국가가 다른 혈장 분말의 첨가가 이유 자돈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2)... 745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24308 664.08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24309 664.08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EM0000148807 664.08 -19-1 전자자료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