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 4차년도 / 국립공원연구원 인기도
발행사항
원주 :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18
청구기호
577.7 -19-4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310 p.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총서사항
NPRI ; 2018-33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7491964
제어번호
MONO1201937884
주기사항
연구책임: 이창래
부록: 1. 2018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마린저 조사) 정점 위·경도 좌표 ; 2. 2017년 추계∼2018년 하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식물플랑크톤 출현종 목록 ; 3. 2017년 추계∼2018년 하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종 목록 외
참고문헌: p. 256-267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15

Ⅰ. 조사개요 18

1. 조사배경 18

2. 조사목적 18

3. 조사분야 및 조사시기 19

4. 조사해역의 물리적 해황 21

Ⅱ. 분야별 조사결과 23

1. 해양물리 23

가. 서론 23

나. 조사내용 및 방법 24

다. 결과 25

라. 고찰 61

2. 해양지질 64

가. 서론 64

나. 조사내용 및 방법 65

다. 결과 69

라. 고찰 99

3. 식물플랑크톤 101

가. 서론 101

나. 조사내용 및 방법 101

다. 결과 103

라. 고찰 108

4. 중형동물플랑크톤 110

가. 서론 110

나. 조사내용 및 방법 111

다. 결과 112

라. 고찰 124

5. 해양 저서무척추동물 126

가. 서론 126

나. 조사내용 및 방법 126

다. 결과 130

라. 고찰 172

6. 해조류 174

가. 서론 174

나. 조사내용 및 방법 175

다. 결과 177

라. 고찰 190

7. 해초류 195

가. 서론 195

나. 조사내용 및 방법 195

다. 결과 198

라. 고찰 207

8. 해양어류 209

가. 서론 209

나. 조사내용 및 방법 210

다. 결과 213

라. 고찰 253

Ⅲ.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268

1. 기존 평가지표ㆍ방법 및 문제점 개선 268

2. 평가지표(저서오염지수) 270

3. 해양생태계 저서오염지수 평가 271

4. 토의 272

Ⅳ. 참고문헌 273

Ⅴ. 부록 285

[부록 1] 2018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마린저 조사) 정점 위ㆍ경도 좌표 285

[부록 2] 2017년 추계~2018년 하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식물플랑크톤 출현종 목록 286

[부록 3] 2017년 추계~2018년 하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종 목록 290

[부록 4] 2017년 추계~2018년 하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 목록 292

[부록 5] 2018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정점별 해조류 출현종 목록 307

[부록 6] 2017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추계 해조류 출현종 목록 및 생물량 312

[부록 7] 2018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동계 해조류 출현종 목록 및 생물량 316

[부록 8] 2018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춘계 해조류 출현종 목록 및 생물량 320

[부록 9] 2018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하계 해조류 출현종 목록 및 생물량 324

판권기 328

[표 Ⅰ.3.1]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조사분야 19

[표 Ⅰ.3.2] 국립공원 해양생태측 기본조사 각 분야별 조사시기 및 정점 수 21

[표 Ⅱ.1.1] 해양 9개 분야 조사시기 및 정점 수 24

[표 Ⅱ.1.2] SBE 9Plus 제원 25

[표 Ⅱ.1.3] 2017년 추계 표층과 저층의 수온, 염분 분석 결과 26

[표 Ⅱ.1.4] 2018년 동계 표층과 저층의 수온, 염분 분석 결과 35

[표 Ⅱ.1.5] 2018년 춘계 표층과 저층의 수온, 염분 분석 결과 44

[표 Ⅱ.1.6] 2018년 하계 표층과 저층의 수온, 염분 분석 결과 53

[표 Ⅱ.2.1] 해양퇴적물 분석방법 66

[표 Ⅱ.2.2] 해양퇴적물 입자크기 분류표 68

[표 Ⅱ.2.3] 해양퇴적물 분급도의 분류 및 그에 따른 각각의 표현법 68

[표 Ⅱ.2.4]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추계 해양퇴적물의 입도조직 및 조성 70

[표 Ⅱ.2.5] 2018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동계 해양퇴적물의 입도조직 및 조성 71

[표 Ⅱ.2.6] 2018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춘계 해양퇴적물의 입도조직 및 조성 72

[표 Ⅱ.2.7] 2018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하계 해양퇴적물의 입도조직 및 조성 73

[표 Ⅱ.2.8] 2017년 추계와 2018년 동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해양퇴적물의 강열감량, COD 77

[표 Ⅱ.2.9] 2018년 춘계와 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해양퇴적물의 강열감량, COD 78

[표 Ⅱ.2.10] 2018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춘계 해양퇴적물 내 중금속 원소 농도 84

[표 Ⅱ.2.11] 해양환경관리법 제8조에 따른 해양환경기준(해저퇴적물) 86

[표 Ⅱ.2.12] 한국 연안의 미량금속(As, Cd, Cr, Cu, Hg, Pb, Zn, Mn) 평균농도 100

[표 Ⅱ.3.1] 2017년 추계~2018년 하계 각 공원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출현종 수 105

[표 Ⅱ.3.2] 2017년 추계~2018년 하계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107

[표 Ⅱ.3.3] 유해성 적조종의 계절별 출현종 수 및 평균 출현 비율 109

[표 Ⅱ.4.1] 2017년 추계~2018년 하계 4개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12

[표 Ⅱ.4.2] 2017년 추계~2018년 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내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14

[표 Ⅱ.4.3] 2017년 추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별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15

[표 Ⅱ.4.4] 2018년 동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별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17

[표 Ⅱ.4.5] 2018년 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별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18

[표 Ⅱ.4.6] 2018년 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별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20

[표 Ⅱ.4.7] 2017년 추계에 출현한 주요 우점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 121

[표 Ⅱ.4.8] 2018년 동계에 출현한 주요 우점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 122

[표 Ⅱ.4.9] 2018년 춘계에 출현한 주요 우점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 122

[표 Ⅱ.4.10] 2018년 하계에 출현한 주요 우점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 123

[표 Ⅱ.4.11] 2015~2018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내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25

[표 Ⅱ.4.12] 2015~2018년 해상ㆍ해안공원별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25

[표 Ⅱ.5.1] 저서무척추동물 분야 조사시기 및 조사 정점수 127

[표 Ⅱ.5.2] AMBI와 BPI 저서 건강도 지수의 분류 기준 130

[표 Ⅱ.5.3] 2017년 추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수 132

[표 Ⅱ.5.4] 2017년 추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정점당 평균 출현종수 132

[표 Ⅱ.5.5] 2017년 추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서식밀도 132

[표 Ⅱ.5.6] 2017년 추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내ㆍ외해역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36

[표 Ⅱ.5.7] 2018년 동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수 141

[표 Ⅱ.5.8] 2018년 동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정점당 평균 출현종수 141

[표 Ⅱ.5.9] 2018년 동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서식밀도 141

[표 Ⅱ.5.10] 2018년 동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내ㆍ외해역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45

[표 Ⅱ.5.11] 2018년 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수 150

[표 Ⅱ.5.12] 2018년 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정점당 평균 출현종수 150

[표 Ⅱ.5.13] 2018년 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서식밀도 150

[표 Ⅱ.5.14] 2018년 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내ㆍ외해역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54

[표 Ⅱ.5.15] 2018년 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수 159

[표 Ⅱ.5.16] 2018년 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정점당 평균 출현종수 159

[표 Ⅱ.5.17] 2018년 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서식밀도 159

[표 Ⅱ.5.18] 2018년 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내ㆍ외해역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63

[표 Ⅱ.5.19] 조사기간(2017년 추계부터 2018년 하계까지) 동안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수 167

[표 Ⅱ.5.20] 조사기간(2017년 추계부터 2018년 하계까지) 동안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정점당 평균 출현종수 168

[표 Ⅱ.5.21] 조사기간(2017년 추계부터 2018년 하계까지) 동안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서식밀도 168

[표 Ⅱ.5.22] 해양수산부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 결과와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 비교 172

[표 Ⅱ.6.1] 해조류 조사일정 및 지점 177

[표 Ⅱ.6.2] 2018년 정점별 해조류 출현종수 177

[표 Ⅱ.6.3] 2017년 추계 정점별 중요종(Ⅳ〉10이상) 182

[표 Ⅱ.6.4]/[표 Ⅲ.6.4] 2018년 동계 정점별 중요종(Ⅳ〉10 이상) 184

[표 Ⅱ.6.5] 2018년 춘계 정점별 중요종(Ⅳ〉10이상) 187

[표 Ⅱ.6.6] 2018년 하계 정점별 중요종(Ⅳ〉10이상) 188

[표 Ⅱ.6.7] 조사 정점에 따른 계절별 군집지수 변화 189

[표 Ⅱ.6.8] 태안해안국립공원 유사조사 정점 해조류 출현종수 비교(2017년도) 191

[표 Ⅱ.7.1] 해초류 조사일정 및 지점 196

[표 Ⅱ.7.2] 해초류 분포 및 생육환경 199

[표 Ⅱ.7.3] 해양생태축 조사 거머리말의 평균(± 표준편차) 생육밀도와 생물량 200

[표 Ⅱ.7.4] 해양생태축 조사 거머리말의 형태적 특징(평균 ± 표준편차) 202

[표 Ⅱ.7.5] 거머리말의 생물계절학적 변동 양상 207

[표 Ⅱ.8.1] 해상ㆍ해안국립공원 내 어류 조사지점 212

[표 Ⅱ.8.2] 태안해안국립공원 내 어류 조사지점 및 개황 214

[표 Ⅱ.8.3] 태안해안국립공원(연포해안)의 분류군별 어류 출현 현황 214

[표 Ⅱ.8.4] 태안해안국립공원(연포해안)의 어류 출현 현황(2016~2018년) 215

[표 Ⅱ.8.5]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어류 조사지점 및 개황 216

[표 Ⅱ.8.6] 변산반도국립공원의 분류군별 어류 출현 현황 217

[표 Ⅱ.8.7] 변산반도국립공원의 어류 출현 현황(2016~2018) 218

[표 Ⅱ.8.8] 다도해해상국립공원(비금도초/홍도지구) 내 어류 조사지점 및 개황 219

[표 Ⅱ.8.9] 다도해해상국립공원(비금도초지구)의 어류 출현 현황 220

[표 Ⅱ.8.10] 다도해해상국립공원(홍도지구)의 어류 출현 현황 221

[표 Ⅱ.8.11] 다도해해상국립공원(비금도초/홍도지구)의 어류 출현 현황 222

[표 Ⅱ.8.12] 다도해해상국립공원(조도지구) 내 어류 조사지점 및 개황 223

[표 Ⅱ.8.13] 다도해해상국립공원(조도지구)의 분류군별 어류 출현 현황 226

[표 Ⅱ.8.14] 다도해해상국립공원(조도지구)의 어류 출현 현황(2016~2018) 227

[표 Ⅱ.8.15] 다도해해상국립공원(소안도ㆍ청산도지구) 내 어류 조사지점 및 개황 229

[표 Ⅱ.8.16] 다도해해상국립공원(소안도ㆍ청산도지구)의 분류군별 어류 출현 현황 231

[표 Ⅱ.8.17] 다도해해상국립공원(소안도ㆍ청산도지구) 내 어류 출현 현황(2016~2018) 232

[표 Ⅱ.8.18] 다도해해상국립공원(나로도지구) 내 어류 조사지점 및 개황 235

[표 Ⅱ.8.19] 다도해해상국립공원(나로도지구)의 분류군별 어류 출현 현황 236

[표 Ⅱ.8.20] 다도해해상국립공원(나로도지구)의 어류 출현 현황 236

[표 Ⅱ.8.21] 다도해해상국립공원(거문도ㆍ백도지구) 내 어류 조사지점 및 개황 239

[표 Ⅱ.8.22] 다도해해상국립공원(거문도ㆍ백도지구)의 분류군별 어류 출현 현황 240

[표 Ⅱ.8.23] 다도해해상국립공원(거문도ㆍ백도지구)의 어류 출현 현황 241

[표 Ⅱ.8.24] 다도해해상국립공원(금오도지구) 내 어류 조사지점 및 개황 243

[표 Ⅱ.8.25] 다도해해상국립공원(금오도지구)의 분류군별 어류 출현 현황 244

[표 Ⅱ.8.26] 다도해해상국립공원(금오도지구)의 어류 출현 현황(2016~2018) 244

[표 Ⅱ.8.27]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어류 조사지점 및 개황 247

[표 Ⅱ.8.28] 한려해상국립공원의 분류군별 어류 출현 현황 249

[표 Ⅱ.8.29]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어류 출현 현황(2016~2018) 250

[표 Ⅱ.8.30] 본 연구에서 확인된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지역의 공원미기록종 및 확증표본 현황 253

[표 Ⅲ.1.1] 2018년도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결과 및 점수 환산 269

[표 Ⅲ.2.1] 저서오염지수 값에 따른 상태 및 점수 기준표 271

[표 Ⅲ.3.1] 저서오염지수의 평가 변동 271

[그림 Ⅰ.3.1] 2018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조사 정점 20

[그림 Ⅰ.4.1] 한국 인근의 수심도 및 해류 분포 22

[그림 Ⅱ.1.1] 해양생태축 연구해역 및 해양물리 조사 정점 24

[그림 Ⅱ.1.2] 2017년 추계 표층 수온(a), 염분(b) 수평분포 26

[그림 Ⅱ.1.3] 2017년 추계 저층 수온(a), 염분(b) 수평분포 27

[그림 Ⅱ.1.4] 2017년 추계 각 정점 수심별 수온 분포 28

[그림 Ⅱ.1.5] 2017년 추계 각 정점 수심별 염분 분포 29

[그림 Ⅱ.1.6] 2017년 추계 각 정점 수심별 Sigma-t(밀도_σt) 분포 30

[그림 Ⅱ.1.7] 2017년 추계 수온-염분도(TS diagram, 국립공원 구역 내 38개) 32

[그림 Ⅱ.1.8] 2017년 추계 수온-염분도(TS diagram, 국립공원 구역 외 43개) 33

[그림 Ⅱ.1.9] 2018년 동계 표층 수온(a), 염분(b) 수평분포 35

[그림 Ⅱ.1.10] 2018년 동계 저층 수온(a), 염분(b) 수평분포 36

[그림 Ⅱ.1.11] 2018년 동계 각 정점 수심별 수온 분포 37

[그림 Ⅱ.1.12] 2018년 동계 각 정점 수심별 염분 분포 38

[그림 Ⅱ.1.13] 2018년 동계 각 정점 수심별 Sigma-t(밀도_σt) 분포 39

[그림 Ⅱ.1.14] 2018년 동계 수온-염분도(TS diagram, 국립공원 구역 내 38개) 41

[그림 Ⅱ.1.15] 2018년 동계 수온-염분도(TS diagram, 국립공원 구역 외 43개) 42

[그림 Ⅱ.1.16] 2018년 춘계 표층 수온(a), 염분(b) 수평분포 44

[그림 Ⅱ.1.17] 2018년 춘계 저층 수온(a), 염분(b) 수평분포 45

[그림 Ⅱ.1.18] 2018년 춘계 각 정점 수심별 수온 분포 46

[그림 Ⅱ.1.19] 2018년 춘계 각 정점 수심별 염분 분포 47

[그림 Ⅱ.1.20] 2018년 춘계 각 정점 수심별 Sigma-t(밀도_σt) 분포 48

[그림 Ⅱ.1.21] 2018년 춘계 수온-염분도(TS diagram, 국립공원 구역 내 38개) 50

[그림 Ⅱ.1.22] 2018년 춘계 수온-염분도(TS diagram, 국립공원 구역 외 43개) 51

[그림 Ⅱ.1.23] 2018년 하계 표층 수온(a), 염분(b) 수평분포 53

[그림 Ⅱ.1.24] 2018년 하계 저층 수온(a), 염분(b) 수평분포 54

[그림 Ⅱ.1.25] 2018년 하계 각 정점 수심별 수온 분포 55

[그림 Ⅱ.1.26] 2018년 하계 각 정점 수심별 염분 분포 56

[그림 Ⅱ.1.27] 2018년 하계 각 정점 수심별 Sigma-t(밀도_σt) 분포 57

[그림 Ⅱ.1.28] 2018년 하계 수온-염분도(TS diagram, 국립공원 구역 내 38개) 59

[그림 Ⅱ.1.29] 2018년 하계 수온-염분도(TS diagram, 국립공원 구역 외 43개) 60

[그림 Ⅱ.1.30] 2017년 추계(a), 2018년 동계(b), 춘계(c), 하계(d) 표층 밀도(σt) 수평분포 62

[그림 Ⅱ.1.31] 2017년 추계(a), 2018년 동계(b), 춘계(c), 하계(d) 저층 밀도(σt) 수평분포 63

[그림 Ⅱ.2.1]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해양퇴적물 조사 정점 65

[그림 Ⅱ.2.2]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해양퇴적물의 평균입도(Ø) 분포도 74

[그림 Ⅱ.2.3]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해양퇴적물의 분급도(Ø) 분포도 76

[그림 Ⅱ.2.4]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표층퇴적물의 강열감량 분포도 79

[그림 Ⅱ.2.5]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표층퇴적물의 COD 분포도 80

[그림 Ⅱ.2.6] 2018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해양퇴적물의 중금속 원소(As) 농도 분포도 86

[그림 Ⅱ.2.7] 2018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해양퇴적물의 중금속 원소(Pb) 농도 분포도 87

[그림 Ⅱ.2.8] 2018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해양퇴적물의 중금속 원소(Cd) 농도 분포도 88

[그림 Ⅱ.2.9] 2018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해양퇴적물의 중금속 원소(Cu) 농도 분포도 89

[그림 Ⅱ.2.10] 2018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해양퇴적물의 중금속 원소(Cr) 농도 분포도 90

[그림 Ⅱ.2.11] 2018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해양퇴적물의 중금속 원소(Co) 농도 분포도 91

[그림 Ⅱ.2.12] 2018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해양퇴적물의 중금속 원소(Zn) 농도 분포도 92

[그림 Ⅱ.2.13] 2018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해양퇴적물의 중금속 원소(Fe) 농도 분포도 93

[그림 Ⅱ.2.14] 2018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해양퇴적물의 중금속 원소(Al) 농도 분포도 94

[그림 Ⅱ.2.15] 2018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해양퇴적물의 중금속 원소(Mn) 농도 분포도 95

[그림 Ⅱ.2.16] 2018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해양퇴적물의 중금속 원소(Li) 농도 분포도 96

[그림 Ⅱ.2.17] 2018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해양퇴적물의 중금속 원소(Ni) 농도 분포도 97

[그림 Ⅱ.2.18] 2018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퇴적물 내 중금속 원소 농도 비교 98

[그림 Ⅱ.3.1] 식물플랑크톤의 조사 정점 102

[그림 Ⅱ.3.2] 2017년 추계~2018년 하계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변동 104

[그림 Ⅱ.3.3] 2017년 추계~2018년 하계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 106

[그림 Ⅱ.4.1] 중형동물플크톤 조사 정점 111

[그림 Ⅱ.4.2] 2017년 추계에 출현한 주요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 야광충, b : 전체 중형동물플랑크톤, c : 요각류, d : 출현종수) 116

[그림 Ⅱ.4.3] 2018년 동계에 출현한 주요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 야광충, b : 전체 중형동물플랑크톤, c : 요각류, d : 출현종수) 117

[그림 Ⅱ.4.4] 2018년 춘계에 출현한 주요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 야광충, b : 전체 중형동물플랑크톤, c : 요각류, d : 출현종수) 119

[그림 Ⅱ.4.5] 2018년 하계에 출현한 주요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 야광충, b : 전체 중형동물플랑크톤, c : 요각류, d : 출현종수) 120

[그림 Ⅱ.5.1] 저서무척추동물의 조사 정점도 128

[그림 Ⅱ.5.2] 2017년 추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공간분포 134

[그림 Ⅱ.5.3] 2017년 추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서식밀도 공간분포 135

[그림 Ⅱ.5.4] 2017년 추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변동 138

[그림 Ⅱ.5.5] 2017년 추계 국립공원 지구별 AMBI 지수(저서생태계 건강도) 분포(종수가 5종 이하, 개체수가 100개체/㎡이하는 계산에서 제외) 139

[그림 Ⅱ.5.6] 2017년 추계 국립공원 지구별 BPI 지수(저서생태계 건강도) 분포(종수가 5종 이하, 개체수가 100개체/㎡이하는 계산에서 제외) 139

[그림 Ⅱ.5.7] 2018년 동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공간분포(● : 공원 내, ○ : 공원 외) 142

[그림 Ⅱ.5.8] 2018년 동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서식밀도 공간분포(● : 공원 내, ○ : 공원 외) 143

[그림 Ⅱ.5.9] 2018년 동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변동 147

[그림 Ⅱ.5.10] 동계 국립공원 지구별 AMBI 지수(저서생태계 건강도) 분포(종수가 5종 이하, 개체수가 100개체/㎡이하는 계산에서 제외) 148

[그림 Ⅱ.5.11] 2018년 동계 국립공원 지구별 BPI 지수(저서생태계 건강도) 분포(종수가 5종 이하, 개체수가 100개체/㎡이하는 계산에서 제외) 148

[그림 Ⅱ.5.12] 2018년 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공간분포(● : 공원 내, ○ : 공원 외) 152

[그림 Ⅱ.5.13] 2018년 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서식밀도 공간분포(● : 공원 내, ○ : 공원 외) 153

[그림 Ⅱ.5.14] 2018년 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변동 156

[그림 Ⅱ.5.15] 2018년 춘계 국립공원 지구별 AMBI 지수(저서생태계 건강도) 분포(종수가 5종 이하, 개체수가 100개체/㎡이하는 계산에서 제외) 157

[그림 Ⅱ.5.16] 2018년 춘계 국립공원 지구별 BPI 지수(저서생태계 건강도) 분포(종수가 5종 이하, 개체수가 100개체/㎡이하는 계산에서 제외) 157

[그림 Ⅱ.5.17] 2018년 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공간분포(● : 공원 내, ○ : 공원 외) 161

[그림 Ⅱ.5.18] 2018년 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서식밀도 공간분포(● : 공원 내, ○ : 공원 외) 162

[그림 Ⅱ.5.19] 2018년 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변동 165

[그림 Ⅱ.5.20] 2018년 하계 국립공원 지구별 AMBI 지수(저서생태계 건강도) 분포(종수가 5종 이하, 개체수가 100개체/㎡이하는 계산에서 제외) 166

[그림 Ⅱ.5.21] 2018년 하계 국립공원 지구별 BPI 지수(저서생태계 건강도) 분포(종수가 5종 이하, 개체수가 100개체/㎡이하는 계산에서 제외) 166

[그림 Ⅱ.5.22] 각 국립공원별 저서무척추동물의 연도별 출현종수 변동 170

[그림 Ⅱ.5.23] 각 국립공원별 저서무척추동물의 연도별 평균 출현종수 변동 170

[그림 Ⅱ.5.24] 각 국립공원별 저서무척추동물의 연도별 평균 서식밀도 변동 170

[그림 Ⅱ.5.25] 각 국립공원별 저서무척추동물의 연도별 종다양도 지수 변동 171

[그림 Ⅱ.5.26] 각 국립공원별 저서무척추동물의 연도별 AMBI 지수 변동 171

[그림 Ⅱ.5.27] 각 국립공원별 저서무척추동물의 연도별 BPI 지수 변동 171

[그림 Ⅱ.5.28] 저서무척추동물의 각 공원별 출현종수, 단위면적당 출현종수, 서식밀도, 종다양도지수, BPI지수, AMBI 지수 변동(2015~2018년) 173

[그림 Ⅱ.6.1] 해조류 조사 정점 176

[그림 Ⅱ.6.2] 2017년 추계 정점별 해조류 출현종수 178

[그림 Ⅱ.6.3] 2018년 동계 정점별 해조류 출현종수 179

[그림 Ⅱ.6.4] 2018년 춘계 정점별 해조류 출현종수 179

[그림 Ⅱ.6.5] 2018년 하계 정점별 해조류 출현종수 180

[그림 Ⅱ.6.6] 계절별 해조류 생물량 181

[그림 Ⅱ.6.7] 2017년 추계 정점별 해조류 생물량 183

[그림 Ⅱ.6.8] 2018년 동계 정점별 해조류 생물량 185

[그림 Ⅱ.6.9] 2018년 춘계 정점별 해조류 생물량 186

[그림 Ⅱ.6.10] 2018년 하계 정점별 해조류 생물량 189

[그림 Ⅱ.6.11] 해조류 정점별 유사도(2018년 3계절 평균) 190

[그림 Ⅱ.6.12] 해조류 출현종 변화(2015-2018년) 191

[그림 Ⅱ.6.13] 해조류 생물량 변화(2015-2018년) 192

[그림 Ⅱ.6.14] 종균등도 지수(J') 변화(2015-2018년) 193

[그림 Ⅱ.6.15] 종풍부도 지수(R) 변화(2015-2018년) 194

[그림 Ⅱ.6.16] 종다양도 지수(H') 변화(2015-2018년) 194

[그림 Ⅱ.7.1] 해초류 조사 정점 196

[그림 Ⅱ.7.2] 거머리말 외부 형태 197

[그림 Ⅱ.7.3] 계절별 거머리말 생육 밀도 및 생물량(A : '17 추계, B : '18 동계, C : '18 춘계, D : '18 하계) 201

[그림 Ⅱ.7.4] 계절별 거머리말 형태학적 특성(A : '17 추계, B : '18 동계, C : '18 춘계, D : '18 하계) 203

[그림 Ⅱ.7.5] 거머리말 평균 생육 밀도 및 정점별 평균 생육 밀도 변화 204

[그림 Ⅱ.7.6] 거머리말 평균 생물량 및 정점별 생물량 변화 205

[그림 Ⅱ.7.7] 거머리말 개체군의 잎 수 및 식물체 길이 변화 206

[그림 Ⅱ.7.8] 거머리말 개체군의 잎 너비 및 지하경 길이 변화 206

[그림 Ⅱ.7.9] 해초 서식지 유형분석(좌,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제공) 및 연포 해초지 면적 측정(우) 208

[그림 Ⅱ.8.1] 해양어류 조사 방법. A. 손뜰망; B. 수중조사; C. 투망; D. 족대; E. 낭장망; F. 유인어망; G. 자망; H. 어시장조사; I. 소형트롤조사; J. 낚시 K. 이각망; L. 확증표본제작 212

[그림 Ⅱ.8.2] 본 연구에서 확인된 해상해안국립공원 내 출현한 어류 A. 청상아리; B. 무태상어; C. 가숭어; D. 누루시볼락; E. 줄동갈돔; F. 점동갈돔; G. 줄도화돔; H. 벤자리; I. 두줄촉수... 256

[그림 Ⅲ.1.1]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지표 269

[그림 Ⅲ.1.2]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 표시 269

[그림 Ⅲ.1.3] 해양생태계 변동 모식도, 부영양화에 의한 조류 대발생(algal bloom)과 저층 빈산소수괴(hypoxia) 270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29530 577.7 -19-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29531 577.7 -19-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