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 개발 최종보고서 / 농림축산식품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농림축산식품부, 2019
청구기호
632.12 -19-4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v, 527 p. : 삽화, 도표 ; 30 cm
총서사항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 최종보고서 ; 제3차연도
제어번호
MONO1201938587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전북대학교 ; 협동연구기관: 서울대학교, 한국농어촌공사
주관연구책임자: 손재권
부록: 1. 특허 부문 ; 2. 논문 부문 ; 3. 학술발표 부문 외
참고문헌: p. 489-493
공동발행: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

목차

제1장 서론 30

제1절 연구개발의 개요 30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30

2. 연구 내용 30

3. 연구개발의 중요성 32

제2장 국내 농업 가뭄 현황 및 시범지구 모니터링 36

제1절 국내 농업 가뭄 현황 36

1. 농업용수 공급 체계 분석 36

2. 농업 가뭄 분석 40

3. 가뭄지수 연구사례 55

제2절 시범지구 모니터링 61

1. 시범지구 선정 및 자료 수집 61

2. 시범지구 현황 및 모니터링 70

3. 시범유역의 물수지 분석 모델링 적용 86

제3절 수요자 중심 농업인 가뭄평가 98

1. 농업인 가뭄평가 설문조사 98

2. 수요자 중심의 농업가뭄 적용성 평가 114

제3장 가뭄대응능력 평가기술 개발 132

제1절 가뭄대응능력의 개념 및 목적 선정 132

1. 국내외 가뭄판단 및 가뭄대응능력 평가방법 조사 132

2.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의사결정 요소 항목 검토 및 선정 145

제2절 가뭄대응능력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148

1. 가뭄대응능력 평가지표 개발 148

2. 가뭄대응능력 평가지표에 의한 과거 가뭄사상 적용 157

제4장 선제적/사전대응 및 대책수립 기술 개발 166

제1절 선제적/사전대응 및 대책수립 평가 요소 선정 166

1. 선제적/사전대응 및 대책수립의 개념 정의 166

2. 선제적/사전대응 및 대책수립의 의사결정 요소 항목 검토 166

3. 선제적/사전대응 및 대책수립 알고리즘 개발 166

제2절 선제적/사전대응 및 대책에 대한 유용성 평가 지표 개발 175

1. 과거자료 및 실시간 자료를 활용한 수원공별 대응방안 개발 175

2. 수원공별 대책수립 가이드라인 개발 177

3. 농어촌용수 장기개발계획 180

제3절 선제적/사전대응 및 대책수립의 미래 가뭄사상 적용 181

1. 미래 기상 시나리오 기반 비관개기 모의 이월저수량 확률 분석 181

2. 농업용 저수지 미래 용수공급 확률 분석 186

제4절 선제적/사전대응 및 대책수립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개발 195

1. 선제적/사전대응 및 대책수립의 의사결정지원 파일럿 시스템 개발 195

2. 사전대응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203

3. 선제적/사전대응 및 대책수립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의 시범 적용 208

제5장 가뭄대응을 위한 최적관개 기술 개발 210

제1절 용수공급 모니터링 및 최적관개 시스템 개발 210

1. 저비용·고효율 계측 모니터링 기술 (RTU) 개발 210

2. 용수공급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228

3. 최적관개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시스템 개발 238

제2절 관개계획 수립 및 관개실적 관리시스템 개발 281

1. 농업용수 관련 계획 프로그램 현황 및 문제점 도출 281

2. 관개계획 수립을 위한 관개 해석 요소기술 분석 286

3. 관개계획 수립 및 관개실적 관리시스템의 구성 297

제3절 관개 네트워크 구성요소 표출시스템 개발 302

1. 관개 네트워크의 구성요소 분석 303

2. 관개 네트워크 구성요소 속성 정의 306

3. 관개 네트워크 구축 310

4. 사용자 인터페이스 320

제4절 물관리 자동화(TM/TC) 연계 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안 수립 322

1. 관측정보 수집 시스템 구성 환경 분석 323

2. 관측정보 수집 데이터 분석 336

3. 계측정보 연계 표준화 방안 정의 337

제6장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 342

제1절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 개발 342

1.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의 구성 342

2.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357

3. 모바일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 개발 및 적용성 평가 369

제2절 가뭄대응을 위한 시범지역의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 378

1. 유역별 농업가뭄 분석 378

2.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396

3. 시설별 농업가뭄 분석 409

제7장 가뭄피해 복구 시나리오 및 항구대책 의사결정 요소 분석 416

제1절 용수공급 환경 및 과거 농업 가뭄 분석 416

1. 농업용수 공급 체계 분석 416

2. 농업 가뭄 분석 425

제2절 국내 가뭄피해 복구 시나리오 및 항구대책 자료 조사 435

1. 가뭄피해 복구 시나리오 분석 435

2. 가뭄피해 복구 의사결정 요소 분석 445

제3절 항구대책 수립을 위한 우선순위 기술 개발 455

1. 항구대책 유형별 시행 지구 분석 455

2. 항구대책 수립 지역 기준 분석 462

3. 항구대책 수립 우선순위 기준 정립 487

4. 항구대책 우선순위 선정 체계 수립 495

5. 경제성 분석을 통한 파급효과에 따른 우선순위 시스템 개발 504

제8장 종합결론 508

제9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514

제1절 목표 514

제2절 목표 달성여부 514

1. 사업화성과 및 매출실적 514

2. 연구성과 및 달성도 515

제3절 기대효과 및 활용계획 516

1. 연구결과 활용방안 516

2. 기대성과 및 파급효과 516

참고문헌 518

부록 524

1. 특허 부문 524

가. 농업용 수로의 유속 및 수위 복합 측정장치(출원서) 524

나. 농업용 저수지의 농업용수 공급가능 일수 예측시스템 및 예측방법(출원서) 525

다. 저수지의 수혜지역의 가뭄 판단을 위한 최적 관개 방법 도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뭄 판단 시스템(출원서) 526

라. 저수지의 수혜지역의 가뭄 판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뭄 판단 방법(출원서) 527

마. 수위 측정 장치(출원서) 528

바. 유량 계측 장치, 유량 계측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출원서) 529

사. 수위 측정 장치(특허증) 530

아. 유량 계측 장치, 유량 계측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특허증) 531

자. 토양수분 감지장치(특허증) 532

차. 농작물 유체 공급장치(특허증) 533

2. 논문 부문 534

가. Regional climate change impacts on irrigation vulnerable season shifts in agricultural water availability for South Korea 534

나. A Wireless Sensor Network (WSN) application for irrigation facilities management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s) 535

다. How Angstrom-Prescott Coefficients Alter the Estimation of Agricultural Water Demand in South Korea 536

라. AHP기법을 활용한 수요자 중심의 농업가뭄 영향 평가 기준 도출 연구 537

마. Evaluating the Agricultural Drought for Pre-Kharif Season in Bangladesh using Vegetation Health Index 538

바. The Fingerprint of Climate Change and Unbranization in South Korea 539

사. RCP 시나리오 기반 비관개기 강수량을 고려한 농업용 저수지의 용수공급 확률 분석 540

3. 학술발표 부문 541

가. Anticipatory defense for agricultural drought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541

나. 국내 가뭄정보시스템의 분석과 발전방안 542

다.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을 활용한 가뭄대응 평가 543

라. Probability Analysis of Carryover Storage to Evaluate Drought Response Capacity of Agricultural Reservoirs in Paddy Irrigation 544

마. AHP기법을 이용한 농업인 가뭄 주요 인자 분석 545

바. 동안 유역 물수지 문석 및 가뭄 통합 예경보 시스템 적용 546

사. A study of quality control on time series of water level in agricultural reservoir 547

아.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한 수요자 중심의 농업가뭄평가 분석 548

자. 가뭄상황별 농업인 농업가뭄인자 우선순위 분석 549

4. 기술실시 550

5. 사업화실적 551

6. 정책제안 554

7. 홍보실적 555

[표 2-1] 농촌용수 구역 현황 37

[표 2-2] 수자원 단위지도 현황 38

[표 2-3] 수자원 단위지도 Ver 3.0 구성 39

[표 2-4] 1990년대 이전의 가뭄 42

[표 2-5] 1990년대 이후의 가뭄 43

[표 2-6] 홍수 예·경보 시스템 현황 46

[표 2-7] 미국 가뭄과 기관별 역할 47

[표 2-8] 미국 가뭄 단계에 따른 상황 및 조치 48

[표 2-9] 예외적인 상황 단계별 내용 49

[표 2-10] 영국 가뭄 단계별 내용 51

[표 2-11] 일본의 갈수 대책 구분(건설교통부, 2007) 51

[표 2-12] 기관별 가뭄정보시스템 요약 52

[표 2-13] 가뭄지표 및 지수 구분 56

[표 2-14] EDI 가뭄구분 57

[표 2-15] EDI 가뭄지수 계산식 57

[표 2-16] WADI 가뭄분류 58

[표 2-17] SPI 가뭄분류 58

[표 2-18] PDSI 산정 요소 59

[표 2-19] PDSI 가뭄 분류 59

[표 2-20] 전국 물환경 측정망 현황 63

[표 2-21] 동안, 장계 피복현황 67

[표 2-22] 동안, 장계지구 논밭 현황 67

[표 2-23] 김청, 김금지구 피복현황 68

[표 2-24] 김청, 김금지구 논밭 현황 68

[표 2-25] 최종 시범지구 선정 69

[표 2-26] 대장지역 현황 70

[표 2-27] 동안, 장계 수리시설물 현황 71

[표 2-28] 동안, 장계 주요 수리시설물 현황 71

[표 2-29] 기상관측소별 지원 용수구역 72

[표 2-30] 오동저수지 계측시설 75

[표 2-31] 금덕저수지 계측시설 80

[표 2-32] 소프트웨어의 구성 86

[표 2-33] 농업가뭄 예경보 시스템 테이블 리스트 89

[표 2-34] 용담댐 유역 강우량, 유출량, 유출율 현황 93

[표 2-35] 용담댐 중권역 물수지 분석값과 계측값 결과 비교 93

[표 2-36] 2012년 용담댐 중권역 분석 결과 94

[표 2-37] 2013년 용담댐 중권역 분석 결과 95

[표 2-38] 2014년 용담댐 중권역 분석 결과 96

[표 2-39] 2015년 용담댐 중권역 분석 결과 97

[표 2-40] 협력기관 설문조사지 검토 의견 결과 101

[표 2-41] 설문조사 항목 103

[표 2-42] 가뭄 지수별 데이터 유무 조사 103

[표 2-43] 농업인과 전문가 일관성 분석 결과 104

[표 2-44] 사용자별 가중치 분석 결과 106

[표 2-45] 사용자별 세부 평가항목 가중치 분석 결과 107

[표 2-46] 지역특성별 가중치 분석 결과 108

[표 2-47] 지역특성별 세부 평가항목 가중치 분석 결과 109

[표 2-48] 농지이용별 가중치 분석 결과 109

[표 2-49] 농지이용별 세부 평가항목 가중치 분석 결과 110

[표 2-50] 사용자별 종합 가중치 분석 결과 111

[표 2-51] 지역특성별 종합 가중치 계산 112

[표 2-52] 농지이용별 종합 가중치 분석 결과 113

[표 2-53] 가뭄 지수별 평가기준 116

[표 2-54] 수정가중치 평가항목 118

[표 2-55] 가뭄평가 항목별 가뭄등급 현황 119

[표 2-56] 도별 가뭄평가 항목별 등급 현황(1) 120

[표 2-57] 도별 가뭄평가 항목별 등급 현황(2) 121

[표 2-58] 수정 가중치 적용 가뭄등급 현황 124

[표 2-59] 사용자별 농업가뭄 적용성 평가 125

[표 2-60] 지역특성별 농업가뭄 적용성 평가 126

[표 2-61] 농지이용별 농업가뭄 적용성 평가 127

[표 2-62] 현행 농업가뭄평가와 수요자 중심(사용자별) 농업가뭄평가의 상관분석 130

[표 2-63] 현행 농업가뭄평가와 수요자 중심(지역특성별) 농업가뭄평가의 상관분석 130

[표 2-64] 현행 농업가뭄평가와 수요자 중심(농지이용별) 농업가뭄평가의 상관분석 131

[표 3-1] SPI 산정식 133

[표 3-2] SPI 분류기준 133

[표 3-3] SPEI 분류기준 134

[표 3-4] PDSI 분류기준 135

[표 3-5] WADI 분류기준 137

[표 3-6] SWSI 분류기준 137

[표 3-7] MSWSI 분류기준 139

[표 3-8] SMI 분류기준 141

[표 3-9] RDI 분류기준 143

[표 3-10] 가뭄지수 분석 144

[표 3-11] 가뭄지수 종합 분류기준표 145

[표 3-12] 도별 저수지 형태지수(공사관리) 146

[표 3-13] 도별 저수지 형태지수(시군관리) 146

[표 3-14] 농업가뭄 대응 지침 148

[표 3-15] 1994, 1995, 2012년 지역별 가뭄 대응 횟수 151

[표 3-16] 가뭄대응단계와 저수율 비교 154

[표 3-17] 가뭄대응단계와 저수율단계 비교 155

[표 3-18] 대상저수지 특성 160

[표 3-19] 기상 관측소 특성 161

[표 3-20] 선형 회귀 분석 결과 163

[표 3-21] 저수지 가뭄 대응 능력 164

[표 4-1] 기후변화 자료 특성 170

[표 4-2] Tank 모델 매개변수의 회귀식 171

[표 4-3] Tank 모형 입력 매개변수1 172

[표 4-4] Tank 모형 입력 매개변수2 173

[표 4-5] 추진 계획 및 추진 체계 175

[표 4-6] 가뭄백서 단계별 실천 계획 176

[표 4-7] 농림수산부 1단계 사전대책 및 주요 임무 177

[표 4-8] 농림수산부 2단계 사전대책 및 주요 임무 178

[표 4-9] 농림수산부 3단계 사전대책 및 주요 임무 179

[표 4-10] 농업진흥지역 세부 면적 180

[표 4-11] 대상저수지 그룹화 181

[표 4-12] 관개 시작시점 저수율 90% 이상 달성 확률(Baseline) 182

[표 4-13] 관개 시작시점 저수율 90% 이상 달성 확률(RCP 4.5, 2025s) 183

[표 4-14] 관개 시작시점 저수율 90% 이상 달성 확률(RCP 4.5, 2055s) 184

[표 4-15] 관개 시작시점 저수율 90% 이상 달성 확률(RCP 4.5, 2085s) 185

[표 4-16] PWS, IWR 의 특성 정보 196

[표 4-17] 대상저수지 특성 200

[표 5-1] 일반적인 무선송수신 방식 비교 211

[표 5-2] 최근 개발되는 유전율 토양수분 측정 센서의 비교 215

[표 5-3] 수위계의 비교 215

[표 5-4] 오동지구 기존 계측기 설치위치 및 정보 229

[표 5-5] 오동지구 신규 계측기 설치위치 및 정보 230

[표 5-6] 오동지구 신규 계측기 설치위치 및 정보 233

[표 5-7] SWMM 모형의 특징 241

[표 5-8] RUNOFF, TRANSPORT, EXTRAN 블록의 기능 비교 243

[표 5-9] EXTRAN 블록에서 LINK와 NODE의 특성 246

[표 5-10] 관개 네트워크 지형요소 모델링 253

[표 5-11] 수리시설별 수리답 면적 257

[표 5-12] 수리상태별 답면적 257

[표 5-13] 한발빈도별 관개 면적 258

[표 5-14] 수리시설 유형별·경과연수별 현황 259

[표 5-15] 농업용수로의 구조물화 현황 260

[표 5-16] 수리시설 연도별 설치 현황 261

[표 5-17] 수리시설 개보수사업의 예산현황 261

[표 5-18] 수로손실 발생 경우 및 원인 262

[표 5-19] 연도별 1인당 관리면적 변화(조합/공사관할) 263

[표 5-20] 유효우량 적용 기준표 270

[표 5-21] 수로 손실량 270

[표 5-22] 관개의사결정 절차 및 의사결정 항목 272

[표 5-23] 의사결정 단계별 세부내용 273

[표 5-24] 관개방식 분석 기능 세부내용 275

[표 5-25] 금덕저수지 최적관개방법 분석 결과 280

[표 5-26] 농촌용수공급체계재편계획 개발유형 282

[표 5-27] TM/TC 운영 프로그램 주요기능 284

[표 5-28] 작물계수 정보 292

[표 5-29] 관개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분석 305

[표 5-30] 관개 네트워크 구성요소에 적용 모델요소 308

[표 5-31] 관개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속성값 309

[표 5-32] 대상유역 상세정보 310

[표 5-33] 용담댐 중권역 수문관련 정보 311

[표 5-34] 농업용 수리시설물 현황 312

[표 5-35] 분석대상 시설물 및 수혜지역 현황 312

[표 5-36] 분석대상 시설물 현황 313

[표 5-37] 용담댐 중권역의 법정하천 현황 314

[표 5-38] 관개 네트워크 구성요소 아이콘 내용 320

[표 5-39] 한국농어촌공사 계측자료 수집관리 체계 322

[표 5-40] 행정구역 지사별 펌프가동현황 325

[표 5-41] 행정구역별 저수율 현황 325

[표 5-42] 연도별 용수구역별 공급량 현황 325

[표 5-43] TM/TC사업의 대상시설의 분류 326

[표 5-44] 연도별 TM/TC 사업 실적 327

[표 5-45] VHF 및 CDMA, 인터넷, SHF통신 방식 비교 328

[표 5-46] Polling & Selection 및 Contention Burst 통신방식의 장단점 비교 328

[표 5-47] 2006년까지 TM/TC VHF 통신방식 구성현황 329

[표 5-48] 2006년까지 MMI 및 OS, 통신프로토콜 현황 330

[표 6-1] 유역 관련 엔터티 분석 344

[표 6-2] 하위시설 관련 엔터티 분석 344

[표 6-3] 공간정보 관련 엔터티 분석 345

[표 6-4] 시나리오별 관개방식 409

[표 7-1] 수원공 현황 420

[표 7-2] 용배수로 현황 421

[표 7-3] 연도별 수원공 및 방조제 현황 421

[표 7-4] 지역별 강수현황 대비 422

[표 7-5] 지역별 강수량 및 무강우일수 현황 422

[표 7-6] 지역별 폭염일수 현황 423

[표 7-7] 겨울시기 지역별 저수율 현황 424

[표 7-8] 여름시기 지역별 저수율 현황 424

[표 7-9] 2015년 지역별 가뭄발생 현황 425

[표 7-10] 2016년 지역별 가뭄발생 현황 426

[표 7-11] 2017년 지역별 가뭄발생 현황 428

[표 7-12] 2018년 지역별 가뭄발생 현황 430

[표 7-13] 최근 연도별 논·밭가뭄 면적 현황 433

[표 7-14] 최근 2개월 강수량 현황(18년 8월 기준) 435

[표 7-15] 전국 평균 저수지 저수율 현황(18년 8월 기준) 435

[표 7-16] 평년대비 60%미만 저수지 현황 436

[표 7-17] 저수지 저수율 전망 분석 436

[표 7-18] 지역별 가뭄 피해 복구 시나리오(2018년 기준) 442

[표 7-19] 충남지역 평년대비 저수율 60%미만 저수지 현황(2018년 기준) 443

[표 7-20] 농식품부 가뭄재난위기관리 실무매뉴얼(2018) 447

[표 7-21] 가뭄우심지역 의사결정 개선 기준 447

[표 7-22] 수리불안전답 기준 가뭄취약지역 448

[표 7-23] 현재 상습가뭄재해지구(1,029ha) 449

[표 7-24] 유역배율 등급기준 450

[표 7-25] 유역배율 등급별 배점기준 450

[표 7-26] 강수량 등급별 배점기준 450

[표 7-27] 저수율 등급별 배점기준 450

[표 7-28] 물수지분석 등급별 배점기준 451

[표 7-29] 예산 투입현황 등급별 배점기준 451

[표 7-30] 저수지별 대책유형 구분현황 예시 451

[표 7-31] 가뭄대책 방법 분석 예시 452

[표 7-32] 저수지별 소요사업비 및 지자체 의견 453

[표 7-33] 우선순위 의사결정 기준 453

[표 7-34] 시도별 기초자료 현황 454

[표 7-35] 2017년 저수지 물채우기 추진실적 457

[표 7-36] 2018년 지역본부별 저수지 물채우기 추진실적 458

[표 7-37] 2018년 지역본부별 저수지 물채우기 추진실적 459

[표 7-38] 사업추진절차 460

[표 7-39] 이동저수지 현황 460

[표 7-40] 경기지역 용수공급 시설 현황 463

[표 7-41] 강원지역 용수공급 시설 현황 464

[표 7-42] 충북지역 용수공급 시설 현황 465

[표 7-43] 충남지역 용수공급 시설 현황 466

[표 7-44] 전북지역 용수공급 시설 현황 467

[표 7-45] 전남지역 용수공급 시설 현황 468

[표 7-46] 경북지역 용수공급 시설 현황 469

[표 7-47] 경남지역 용수공급 시설 현황 470

[표 7-48] 특별시 및 광역시 평년강수량 이하 발생수 현황 471

[표 7-49] 경기도 평년강수량 이하 발생수 현황 472

[표 7-50] 강원도 평년강수량 이하 발생수 현황 473

[표 7-51] 충북도 평년강수량 이하 발생수 현황 474

[표 7-52] 충남도 평년강수량 이하 발생수 현황 474

[표 7-53] 전북도 평년강수량 이하 발생수 현황 475

[표 7-54] 전남도 평년강수량 이하 발생수 현황 475

[표 7-55] 전남도 평년강수량 이하 발생수 현황 476

[표 7-56] 경남도 평년강수량 이하 발생 수 현황 477

[표 7-57] 특별시 및 광역시 지역 가뭄발생 현황 478

[표 7-58] 경기 지역 가뭄발생 현황 479

[표 7-59] 강원 지역 가뭄발생 현황 480

[표 7-60] 충북 지역 가뭄발생 현황 481

[표 7-61] 충남 지역 가뭄발생 현황 482

[표 7-62] 전북 지역 가뭄발생 현황 483

[표 7-63] 전남 지역 가뭄발생 현황 484

[표 7-64] 경북 지역 가뭄발생 현황 485

[표 7-65] 경남 지역 가뭄발생 현황 486

[표 7-66] 항구대책 우선순위 등급 구분 487

[표 7-67] 특별시 및 광역시 지역 488

[표 7-68] 경기 지역 489

[표 7-69] 강원 지역 490

[표 7-70] 충북 지역 490

[표 7-71] 충남 지역 491

[표 7-72] 전북 지역 491

[표 7-73] 전남 지역 492

[표 7-74] 경북 지역 493

[표 7-75] 경남 지역 494

[표 7-76] 제주 지역 494

[표 7-77] 주수원공 현황 495

[표 7-78] 저수량 현황 495

[표 7-79] 관측소별 유출율 현황 496

[표 7-80] 용수심 현황 496

[표 7-81] 저수지별 시기별 유입량 추정 496

[표 7-82] 시기별 부족수량 분석결과 497

[표 7-83] 가뭄상황 및 급수대책 체크 리스트 총괄 497

[표 7-84] 시도별 가뭄면적 및 급수대책면적 관리 498

[표 7-85] 시도별 용수원 개발 현황 관리 499

[표 7-86] 시도별 장비지원 현황 관리 499

[표 7-87] 시도별 인력지원 현황 관리 500

[표 7-88] 시도별 예산지원 현황 관리 500

[표 7-89] 가뭄우려지역 항구대책 체계도(안) 502

[표 7-90] 상습가뭄지역 항구대책 체계도(안) 503

[표 7-91] 가뭄예산 투입에 따른 경제파급 효과 506

〈그림 1-1〉 1974년 이후 가뭄 발생사례(대부분 농업가뭄) 30

〈그림 1-2〉 가뭄 위기 대응 및 위험관리 시스템 구성도 31

〈그림 1-3〉 연구 주제 및 세부 연구내용 연관도 33

〈그림 2-1〉 우리나라 강우량을 통한 가뭄주기 40

〈그림 2-2〉 우리나라의 계절별 가뭄발생 41

〈그림 2-3〉 미국과 일본의 예·경보 시스템 구성 44

〈그림 2-4〉 DRR 운영 과정 45

〈그림 2-5〉 태풍 위원회 재난 정보 서비스체계 및 관련자료 45

〈그림 2-6〉 한국수자원공사 홍수예측 시스템 구성[원문불량;p.17] 46

〈그림 2-7〉 국민안전처 사이트와 재난안전에 대한 정보 46

〈그림 2-8〉 국립가뭄경감센터에서 제공하는 가뭄 모니터링 지도 48

〈그림 2-9〉 소방방재청 중앙재난관리시스템 구성 53

〈그림 2-10〉 한국수자원공사 국가가뭄정보분석 시스템 구성 53

〈그림 2-11〉 한국농어촌공사 RAWRIS시스템 구성과 사이트 54

〈그림 2-12〉 기상청 가뭄정보 54

〈그림 2-13〉 MSWSI지수 산정과정 60

〈그림 2-14〉 농업가뭄 예‧경보시스템 시범지구 선정 기준 61

〈그림 2-15〉 농업가뭄 통합 예·경보 시스템 시범지구 선정 절차 62

〈그림 2-16〉 물환경 측정망 현황 지도 62

〈그림 2-17〉 한국수자원공사 용담시험유역 시스템 구성 64

〈그림 2-18〉 한국농어촌공사 동진사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 구성 65

〈그림 2-19〉 후보지별 외부 유입수 유입 현황 66

〈그림 2-20〉 동안, 장계 피복현황 지도 67

〈그림 2-21〉 동안, 장계 논밭 현황 67

〈그림 2-22〉 김청, 김금 피복현황 지도 68

〈그림 2-23〉 김청, 김금 논밭 현황 68

〈그림 2-24〉 동안, 장계 용수구역도 70

〈그림 2-25〉 유역 물수지 분석 절차 74

〈그림 2-26〉 오동저수지 계측장치 설치 위치도 74

〈그림 2-27〉 오동 현장 모니터링 계측 전경 75

〈그림 2-28〉 오동 간선별 시점부 수위-유량 76

〈그림 2-29〉 오동 양삼지선 분기 전후 수위-유량 76

〈그림 2-30〉 오동 가곡지선 수위-유량 76

〈그림 2-31〉 오동 간선별 수위변화 77

〈그림 2-32〉 오동 양삼지선 분기전후 수위변화 77

〈그림 2-33〉 오동 지선별 수위변화 77

〈그림 2-34〉 오동 2간선 수위변화 및 토양수분 함량 변화 78

〈그림 2-35〉 금덕 저수지 용수계통도(한국농어촌공사) 79

〈그림 2-36〉 금덕 저수지 용수공급 체계 79

〈그림 2-37〉 금덕 저수지 계측시설 위치 80

〈그림 2-38〉 금덕 용수간선 및 1호 용수지선 80

〈그림 2-39〉 금덕 1호 용수지선 분기점 및 2호 용수지선 81

〈그림 2-40〉 금덕 용수간선 종점 및 포장1 81

〈그림 2-41〉 금덕 포장 2, 3 81

〈그림 2-42〉 금덕 현장 모니터링 전경 82

〈그림 2-43〉 금덕 유속측정 전경 82

〈그림 2-44〉 금덕 용수간선 시점부 및 1호 용수지선 수위-유량 82

〈그림 2-45〉 금덕 1호 용수지선 분기점 및 2호 용수지선 수위-유량 82

〈그림 2-46〉 금덕 포장3 수위-유량 83

〈그림 2-47〉 금덕 용수간선 시점부 수위변화 83

〈그림 2-48〉 금덕 1호 용수지선 수위변화 83

〈그림 2-49〉 금덕 용수간선 분기점 수위변화 84

〈그림 2-50〉 금덕 2호 용수간선 수위변화 84

〈그림 2-51〉 금덕 포장1 수위변화 84

〈그림 2-52〉 금덕 포장3 수위변화 84

〈그림 2-53〉 금덕 용수간선 종점 수위변화 85

〈그림 2-54〉 네트워크의 구성 86

〈그림 2-55〉 검색 조건을 이용한 중권역 조회 흐름도 86

〈그림 2-56〉 GIS를 이용한 중권역 조회 흐름도 87

〈그림 2-57〉 검색 조건을 이용한 농업용 수리시설물 정보 조회 흐름도 87

〈그림 2-58〉 GIS를 이용한 농업용 수리시설물 정보 조회 흐름도 87

〈그림 2-59〉 검색조건을 이용한 소유역 정보 조회 흐름도 88

〈그림 2-60〉 GIS를 이용한 소유역 정보 조회 흐름도 88

〈그림 2-61〉 유역-유출량 물수지 분석 기능 흐름도 88

〈그림 2-62〉 소유역 물수지 분석 기능 흐름도 89

〈그림 2-63〉 농업가뭄 예경보 프로그램 ERD 90

〈그림 2-64〉 2012년 용담댐 중권역 물수지 분석 및 계측값 비교[원문불량;p.65] 94

〈그림 2-65〉 2013년 용담댐 중권역 물수지 분석 및 계측값 비교[원문불량;p.66] 95

〈그림 2-66〉 2014년 용담댐 중권역 물수지 분석 및 계측값 비교[원문불량;p.67] 96

〈그림 2-67〉 2015년 용담댐 중권역 물수지 분석 및 계측값 비교[원문불량;p.68] 97

〈그림 2-68〉 가뭄평가 항목 설정 과정 101

〈그림 2-69〉 농업인 가뭄평가 설문조사 104

〈그림 2-70〉 사용자별 농업가뭄평가 계층구조 105

〈그림 2-71〉 지역특성별 농업가뭄평가 계층구조 105

〈그림 2-72〉 농지이용별 농업가뭄평가 계층구조 106

〈그림 2-73〉 사용자별 가중치 비율 107

〈그림 2-74〉 지역특성별 가중치 비율 108

〈그림 2-75〉 농지이용별 가중치 비율 109

〈그림 2-76〉 저수지 저수율, 용수공급체감율 가뭄평가 122

〈그림 2-77〉 강수량, 기온 가뭄평가 122

〈그림 2-78〉 무강우일수, 시들음 가뭄평가 123

〈그림 2-79〉 고사율, 지온 가뭄평가 123

〈그림 2-80〉 사용자별 농업가뭄 적용성 평가 128

〈그림 2-81〉 지역특성별 농업가뭄 적용성 평가 128

〈그림 2-82〉 농지이용별 농업가뭄 적용성 평가 129

〈그림 3-1〉 SPI 가뭄지수 산정 예시 - 90일 SPI 산정 132

〈그림 3-2〉 SPEI 가뭄지수 산정 예시 - 90일 SPEI 산정 133

〈그림 3-3〉 서울 기상 관측소의 시계열 PDSI 비교 135

〈그림 3-4〉 중첩 순서 및 적용 지역 136

〈그림 3-5〉 수리시설물별 표준화 결과와 2008년 WADI 분포도 136

〈그림 3-6〉 2008년도의 MSWSI 분포도 138

〈그림 3-7〉 가뭄 분석 모델의 흐름도 139

〈그림 3-8〉 월별 SMI (1994/4, 1995/7, 2000/4, 2001/5, 2001/4 ~ 2001/7)[원문불량;p.141] 141

〈그림 3-9〉 RDI 산정 방법 142

〈그림 3-10〉 1973년 - 2011년 RDI 시계열 변화 143

〈그림 3-11〉 만수면적 대비 저수지 형태지수 분포 (공사관리) 147

〈그림 3-12〉 만수면적 대비 저수지 형태지수 분포 (시군관리) 147

〈그림 3-13〉 가뭄대응 횟수 및 내용의 시간적 분포 152

〈그림 3-14〉 저수율(%)과 가뭄단계 상관성 154

〈그림 3-15〉 저수지 가뭄대응 능력 산정 과정 158

〈그림 3-16〉 대상 저수지 159

〈그림 3-17〉 선형 회귀 분석 결과 162

〈그림 4-1〉 Tank 모형 모식도 171

〈그림 4-2〉 그룹별 유역면적 대비 저수량 비 186

〈그림 4-3〉 관개 시작 시점 PDF 곡선(고구, 길정 저수지) 187

〈그림 4-4〉 관개 시작 시점 PDF 곡선(냉정, 덕우, 두창 저수지) 188

〈그림 4-5〉 관개 시작 시점 PDF 곡선(마장, 산정, 어은저수지) 189

〈그림 4-6〉 관개 시작 시점 PDF 곡선(어천, 용설, 하점 저수지) 190

〈그림 4-7〉 저수율 90% 이상 달성 확률(고구, 길정 저수지) 191

〈그림 4-8〉 저수율 90% 이상 달성 확률(냉정, 하점 저수지) 192

〈그림 4-9〉 저수율 90% 이상 달성 확률(두창, 마장, 용설 저수지) 192

〈그림 4-10〉 저수율 90% 이상 달성 확률(덕우, 산정, 어은, 어천 저수지) 193

〈그림 4-11〉 평균 변화와 분산 변화에 따른 확률분포형 변화 197

〈그림 4-12〉 용수공급 취약성과 위험도의 관계 모식도 199

〈그림 4-13〉 용수공급 취약성 곡선(고삼, 고잔 저수지) 201

〈그림 4-14〉 용수공급 실패확률 곡선(금광, 단석 저수지) 202

〈그림 4-15〉 2013년 실제 저수위를 반영한 용수공급 취약성 곡선(고삼 저수지) 203

〈그림 4-16〉 2013년 실제 저수위를 반영한 용수공급 취약성 곡선(고잔, 금광, 단석 저수지) 204

〈그림 4-17〉 관개량 감소시 용수공급 취약성 분석(고삼, 고잔 저수지) 205

〈그림 4-18〉 관개량 감소시 용수공급 취약성 분석(금광, 단석 저수지) 206

〈그림 4-19〉 용수공급 취약성 곡선의 활용 (예) 207

〈그림 4-20〉 금덕 저수지 용수공급 취약성 그래프의 시스템 표출 208

〈그림 4-21〉 금덕 저수지 용수공급 취약성 그래프의 시스템 표출(확률값 표시) 209

〈그림 5-1〉 태양발전 시스템의 개념 212

〈그림 5-2〉 전도형 강우량계 213

〈그림 5-3〉 중량형 우량계 구조 213

〈그림 5-4〉 RTU의 구성 218

〈그림 5-5〉 현장 설치를 위한 외함 설계 도면[원문불량;p.190] 219

〈그림 5-6〉 저비용·고효율 데이터 전송 시스템 구성도 220

〈그림 5-7〉 강우량계의 구성 220

〈그림 5-8〉 강우량계 외형 및 규격 221

〈그림 5-9〉 강우량계 내부의 구성 221

〈그림 5-10〉 토양수분 및 염도계의 구성 222

〈그림 5-11〉 토양수분 및 염도 센서의 결선도 223

〈그림 5-12〉 저비용·고효율 모니터링 시스템 적용 수위 센서 224

〈그림 5-13〉 저비용·고효율 모니터링 시스템 적용 수위 센서의 구성 224

〈그림 5-14〉 RTU의 외형 225

〈그림 5-15〉 RTU 메인 보드 227

〈그림 5-16〉 RTU 디스플레이 및 컨트롤 부분 228

〈그림 5-17〉 오동지구 기존 계측기 설치위치도 228

〈그림 5-18〉 오동지구 신규 계측기 설치위치도 229

〈그림 5-19〉 계측자료 데이터 전송 시스템 구성도 230

〈그림 5-20〉 금덕지구 계측기 설치위치도 233

〈그림 5-21〉 용담댐 권역 내 신반월 저수지 저수율 자료 조회 화면 237

〈그림 5-22〉 시설내 계측정보 모니터링 화면 237

〈그림 5-23〉 계측자료 조회 화면 238

〈그림 5-24〉 농업용수 공급 체계 239

〈그림 5-25〉 SWMM의 개념도 240

〈그림 5-26〉 SWMM의 구성 240

〈그림 5-27〉 SWMM 모형의 구성 242

〈그림 5-28〉 EXTRAN 블럭의 격자망 구성 249

〈그림 5-29〉 관개 네트워크의 노드-링크 개념도 250

〈그림 5-30〉 관개 네트워크의 Junction 입력변수 251

〈그림 5-31〉 관개 네트워크의 위어와 오리피스 251

〈그림 5-32〉 관개 네트워크의 PUMP 적용방식 252

〈그림 5-33〉 Orifice 유출의 자유유출(좌)과 수중유출(우) 254

〈그림 5-34〉 분기점의 관개 네트워크 모델링 254

〈그림 5-35〉 포장(논)에서의 물수지 255

〈그림 5-36〉 포장(논) 물수지 개념 255

〈그림 5-37〉 포장(논)의 관개 네트워크 모델링 256

〈그림 5-38〉 유말공의 관개 네트워크 모델링 256

〈그림 5-39〉 토사 및 오물 퇴적으로 통수장애가 있는 수로 262

〈그림 5-40〉 비탈면이 붕괴된 토공수로(좌) 및 수초가 자란 토공수로(우) 263

〈그림 5-41〉 농업용수 관리 방법(한국농어촌공사 2012) 265

〈그림 5-42〉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구성 268

〈그림 5-43〉 단위 논에서의 생육단계별 물 관리 269

〈그림 5-44〉 의사결정 지원기능 연계 프로세스 273

〈그림 5-45〉 관개방식 모의 기능 구성도 274

〈그림 5-46〉 유역 유출량 산정 기능 구성도 275

〈그림 5-47〉 포장소비수량 산정 기능 구성도 276

〈그림 5-48〉 수문조절 계획 기능 구성도 277

〈그림 5-49〉 수로 수리해석 모의 기능 구성도 278

〈그림 5-50〉 모의결과 제공 기능 구성도 278

〈그림 5-51〉 금덕저수지 용수계통 흐름도 279

〈그림 5-52〉 농촌용수공급체계재편계획 검토 흐름도 281

〈그림 5-53〉 HOMWRS 모형의 구조 283

〈그림 5-54〉 TM/TC 운영 프로그램 시스템 구성도 283

〈그림 5-55〉 탱크모델 모식도 288

〈그림 5-56〉 저수지에서의 물수지 구성 289

〈그림 5-57〉 Tank 모형의 개념도 291

〈그림 5-58〉 이앙재배시 작물 재배 기간(농식품부, 1998) 293

〈그림 5-59〉 비관개기 운영 294

〈그림 5-60〉 관개기 운영 295

〈그림 5-61〉 영농기별 용수공급 계획수립 수립 기능 구성도 298

〈그림 5-62〉 가뭄시 용수공급 계획수립 기능 구성도 299

〈그림 5-63〉 관개실적 관리 기능 구성도 299

〈그림 5-64〉 관개계획 수립 설정 화면 300

〈그림 5-65〉 관개계획 수립 상세 설정 화면 300

〈그림 5-66〉 관개계획 수립 결과 화면 301

〈그림 5-67〉 관개실적 조회 화면 301

〈그림 5-68〉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 구성도 302

〈그림 5-69〉 관개네트워크 표준화 및 표출 연구 흐름도 303

〈그림 5-70〉 농업용수 공급 및 배수 네트워크 체계 개념도 303

〈그림 5-71〉 용수공급 시설의 네트워크 구성요소 표준 304

〈그림 5-72〉 관개네트워크 모델요소 속성자료 표준화 작업 흐름도 306

〈그림 5-73〉 관개 네트워크 구성 모델링 308

〈그림 5-74〉 용담댐 중권역 용수구역 구성 310

〈그림 5-75〉 각 용수구역의 소유역 구분도 311

〈그림 5-76〉 용담댐 권역 네트워크 구축 결과[원문불량;p.288] 317

〈그림 5-77〉 금덕저수지 현장조사용 도면 작성 318

〈그림 5-78〉 DEM과 수로중심선 중첩에 의한 지반고 추출 318

〈그림 5-79〉 수로 바닥고 추정 319

〈그림 5-80〉 금덕저수지 용수계통도 및 관개 네트워크 구축 결과 319

〈그림 5-81〉 관개 네트워크 구성요소 입력 아이콘 320

〈그림 5-82〉 관개 네트워크 구성요소 표출 시스템 속성정보 입력 화면 321

〈그림 5-83〉 관개 네트워크 구성요소 표출 시스템 구성요소 편집 화면 321

〈그림 5-84〉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RAWRIS) 시스템 구성도 323

〈그림 5-85〉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RAWRIS) 사업의 주요 내용 324

〈그림 5-86〉 수리시설물현황과 행정구역 연관관계 324

〈그림 5-87〉 저수율현황과 저수율통계 연관관계 324

〈그림 5-88〉 펌프가동현황과 지사정보, 행정구역정보 연관관계 324

〈그림 5-89〉 저수율통계와 계측지정보의 연관관계 324

〈그림 5-90〉 무선 VHF통신에 의한 TM/TC 시스템 구성도 327

〈그림 5-91〉 자동화장비 통합운영체계 구축 경과 331

〈그림 5-92〉 TOMS 구축 목표 332

〈그림 5-93〉 TOMS 시스템 구성도 333

〈그림 5-94〉 TOMS 계측자료 통합을 위한 연계[원문불량;p.305] 334

〈그림 5-95〉 용수관리 계측정보 수집 구성도 336

〈그림 5-96〉 표준 태그 구성 방안 339

〈그림 5-97〉 주요 데이터 339

〈그림 5-98〉 주요 데이터 표준화 방안 340

〈그림 6-1〉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 구성도 342

〈그림 6-2〉 금덕 저수지 계측정보 조회 화면 343

〈그림 6-3〉 논리적 구성 ERD 345

〈그림 6-4〉 물리적 구성 ERD 346

〈그림 6-5〉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 메뉴의 구성 357

〈그림 6-6〉 기상정보 조회 화면 358

〈그림 6-7〉 하천정보 조회 화면 358

〈그림 6-8〉 유역 내 저수지의 저수율 정보 조회 화면 359

〈그림 6-9〉 유역별 유출량 분석 결과 화면 360

〈그림 6-10〉 유역별 유출량 분석 설정 화면 360

〈그림 6-11〉 생육기별 담수심 조회 화면 361

〈그림 6-12〉 최적관개방법 조회 화면 361

〈그림 6-13〉 관개모의 설정 중 기본설정 화면 362

〈그림 6-14〉 관개모의 설정 중 관개조건 설정 화면 362

〈그림 6-15〉 관개모의 설정 시 수문 상세 설정 화면 363

〈그림 6-16〉 관개모의 분석 결과 화면 363

〈그림 6-17〉 관개모의 분석 결과의 애니메이션 화면 364

〈그림 6-18〉 관개계획 수립을 위한 설정 화면 364

〈그림 6-19〉 관개계획 수립 결과 화면 365

〈그림 6-20〉 수립된 관개계획 조회 화면 365

〈그림 6-21〉 관개실적 조회 화면 366

〈그림 6-22〉 계측자료 조회 화면 366

〈그림 6-23〉 들녘단위 농업용수 분석 결과 화면 367

〈그림 6-24〉 확률 분포 농업용수 분석 결과 화면 367

〈그림 6-25〉 관개 네트워크 구성요소 표출 화면 368

〈그림 6-26〉 가뭄 대책 수립시 개략 사업비 산출 화면 368

〈그림 6-27〉 모바일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 메뉴구성도 369

〈그림 6-28〉 모바일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 메인화면 370

〈그림 6-29〉 모바일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 저수율 정보 조회 화면 371

〈그림 6-30〉 모바일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 들녘단위 농업용수 분석 정보 조회 화면 372

〈그림 6-31〉 모바일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 가뭄체감 설문조사 화면 374

〈그림 6-32〉 모바일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 가뭄체감 가뭄심도 표출 화면 374

〈그림 6-33〉 모바일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 시설내 분석정보 조회 화면 375

〈그림 6-34〉 모바일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 계측정보 조회 화면 376

〈그림 6-35〉 모바일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 관개계획 및 관개실적 조회 화면 377

〈그림 6-36〉 유역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 흐름도 378

〈그림 6-37〉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 메인 화면의 유역물수지 분석 아이콘 380

〈그림 6-38〉 유역물수지 분석 화면 380

〈그림 6-39〉 유역물수지 분석에서 용수구역 권역 및 구성정보 381

〈그림 6-40〉 장계 소유역 1의 유출량과 예측 유출량 범위 381

〈그림 6-41〉 장계 소유역 1의 빈도별 누적 유출량과 예측 누적 유출량 범위 382

〈그림 6-42〉 유역물수지 분석 그래프에서 특정일의 유출량 확인 기능 382

〈그림 6-43〉 장계 소유역 2의 유출량과 예측 유출량 범위 383

〈그림 6-44〉 장계 소유역 2의 빈도별 누적 유출량과 예측 누적 유출량 범위 383

〈그림 6-45〉 장계 소유역 3의 유출량과 예측 유출량 범위 384

〈그림 6-46〉 장계 소유역 3의 빈도별 누적 유출량과 예측 누적 유출량 범위 384

〈그림 6-47〉 장계 소유역 4의 유출량과 예측 유출량 범위 385

〈그림 6-48〉 장계 소유역 4의 빈도별 누적 유출량과 예측 누적 유출량 범위 385

〈그림 6-49〉 동안 소유역 1의 유출량과 예측 유출량 범위 386

〈그림 6-50〉 동안 소유역 1의 빈도별 누적 유출량과 예측 누적 유출량 범위 386

〈그림 6-51〉 동안 소유역 2의 유출량과 예측 유출량 범위 387

〈그림 6-52〉 동안 소유역 2의 빈도별 누적 유출량과 예측 누적 유출량 범위 387

〈그림 6-53〉 동안 소유역 3의 유출량과 예측 유출량 범위 388

〈그림 6-54〉 동안 소유역 3의 빈도별 누적 유출량과 예측 누적 유출량 범위 388

〈그림 6-55〉 진상 소유역 1의 유출량과 예측 유출량 범위 389

〈그림 6-56〉 진상 소유역 1의 빈도별 누적 유출량과 예측 누적 유출량 범위 389

〈그림 6-57〉 진상 소유역 2의 유출량과 예측 유출량 범위 390

〈그림 6-58〉 진상 소유역 2의 빈도별 누적 유출량과 예측 누적 유출량 범위 390

〈그림 6-59〉 진상 소유역 3의 유출량과 예측 유출량 범위 391

〈그림 6-60〉 진상 소유역 3의 빈도별 누적 유출량과 예측 누적 유출량 범위 391

〈그림 6-61〉 진부 소유역 1의 유출량과 예측 유출량 범위 392

〈그림 6-62〉 진부 소유역 1의 빈도별 누적 유출량과 예측 누적 유출량 범위 392

〈그림 6-63〉 진부 소유역 2의 유출량과 예측 유출량 범위 393

〈그림 6-64〉 진부 소유역 2의 빈도별 누적 유출량과 예측 누적 유출량 범위 393

〈그림 6-65〉 진안 소유역 1의 유출량과 예측 유출량 범위 394

〈그림 6-66〉 진안 소유역 1의 빈도별 누적 유출량과 예측 누적 유출량 범위 394

〈그림 6-67〉 진안 소유역 2의 유출량과 예측 유출량 범위 395

〈그림 6-68〉 진안 소유역 2의 빈도별 누적 유출량과 예측 누적 유출량 범위 395

〈그림 6-69〉 들녘단위 가뭄분석 흐름도 396

〈그림 6-70〉 농업가뭄 위험 및 대응관리 시스템 메인 화면의 들녘단위 가뭄분석 아이콘 397

〈그림 6-71〉 들녘단위 가뭄분석 기능 398

〈그림 6-72〉 들녘단위 가뭄분석의 저수율 예측 기능 398

〈그림 6-73〉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군상 저수지) 399

〈그림 6-74〉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구룡 저수지) 400

〈그림 6-75〉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황금 저수지) 400

〈그림 6-76〉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봉암 저수지) 401

〈그림 6-77〉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대불(진안) 저수지) 401

〈그림 6-78〉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용덕 저수지) 402

〈그림 6-79〉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궁항 저수지) 402

〈그림 6-80〉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신반월 저수지) 403

〈그림 6-81〉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덕산 저수지) 403

〈그림 6-82〉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공정 저수지) 404

〈그림 6-83〉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노곡 저수지) 404

〈그림 6-84〉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동촌 저수지) 405

〈그림 6-85〉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개정 저수지) 405

〈그림 6-86〉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단평 저수지) 406

〈그림 6-87〉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천천(와룡) 저수지) 406

〈그림 6-88〉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벽남 저수지) 407

〈그림 6-89〉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지소(양악) 저수지) 407

〈그림 6-90〉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금덕 저수지) 408

〈그림 6-91〉 들녘단위 농업가뭄 분석 및 예측(오동 저수지) 408

〈그림 6-92〉 시나리오1 시스템 분석 결과 410

〈그림 6-93〉 시나리오2 시스템 분석 결과 410

〈그림 6-94〉 시나리오3 시스템 분석 결과 411

〈그림 6-95〉 시나리오4 시스템 분석 결과 411

〈그림 6-96〉 시나리오5 시스템 분석 결과 412

〈그림 6-97〉 시나리오6 시스템 분석 결과 412

〈그림 6-98〉 시나리오1 관개방식에 의한 관개계획 수립 결과 413

〈그림 6-99〉 시나리오2 관개방식에 의한 관개계획 수립 결과 413

〈그림 6-100〉 시나리오3 관개방식에 의한 관개계획 수립 결과 414

〈그림 6-101〉 시나리오4 관개방식에 의한 관개계획 수립 결과 414

〈그림 6-102〉 시나리오5 관개방식에 의한 관개계획 수립 결과 415

〈그림 6-103〉 시나리오6 관개방식에 의한 관개계획 수립 결과 415

〈그림 7-1〉 우리나라 수자원 이용 현황 416

〈그림 7-2〉 강원도 총면적 대비 수리답 비율 417

〈그림 7-3〉 경기도 총면적 대비 수리답 비율 417

〈그림 7-4〉 충청북도 총면적 대비 수리답 비율 418

〈그림 7-5〉 충청남도 총면적 대비 수리답 비율 418

〈그림 7-6〉 전라북도 총면적 대비 수리답 비율 419

〈그림 7-7〉 전라남도 총면적 대비 수리답 비율 419

〈그림 7-8〉 경상북도 총면적 대비 수리답 비율 419

〈그림 7-9〉 경상남도 총면적 대비 수리답 비율 420

〈그림 7-10〉 2018년 월별 누적강수량 421

〈그림 7-11〉 2018년 월별 저수지 저수율 현황 423

〈그림 7-12〉 논물마름 가뭄 발생 현황 분석 434

〈그림 7-13〉 밭작물 시듦 가뭄 발생 현황 분석 434

〈그림 7-14〉 평년·2016년·2018년 저수율 현황 437

〈그림 7-15〉 지역별 평년·2016년·2018년 저수율 현황 441

〈그림 7-16〉 2016년 사업현황 455

〈그림 7-17〉 2018년 나주시 사업지구 전경 456

〈그림 7-18〉 2016년 저수지 물채우기 추진현황 456

〈그림 7-19〉 강화군 저수율 현황('15.9~'16.6월) 457

〈그림 7-20〉 2016년 저수지 준설 추진실적 458

〈그림 7-21〉 이동저수지 가뭄대책 사업현황 위치도 461

〈그림 7-22〉 강화군 가뭄대책 현장 전경 461

〈그림 7-23〉 농업용저수지 준설 사업 경제성 분석 505

〈그림 7-24〉 공주예산지역 하천수 활용 및 상주지역 하천수 활용 용수공급 효과 분석 505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26400 632.12 -19-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26401 632.12 -19-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EM0000148834 632.12 -19-4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