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글로벌/로컬 : 문화 생산과 초국적 상상계 / 롭 윌슨, 위말 디싸나야케 엮음 ; 김용규 옮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에코리브르, 2019
청구기호
303.482 -19-15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형태사항
615 p. ; 24 cm
총서사항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 번역총서 ; L17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2631944
ISBN: 9788962630336(세트)
제어번호
MONO1201941462
주기사항
원표제: Global/local : cultural production and the transnational imaginary
필자: 롭 윌슨, 위말 디싸나야케, 데이나 폴런, 랴오빙후이, 로버트 스탬, 마이크 페더스톤, 미요시 마사오, 백낙청, 아리프 딜릭, 엘라 쇼하트 외
색인 수록
2007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목차보기더보기


서문: 글로벌/로컬 추적하기(롭 윌슨·위말 디싸나야케)

1부 전 지구화
01 로컬적인 것 속의 글로벌적인 것(아리프 딜릭)
02 로컬주의, 글로벌주의 그리고 문화적 정체성(마이크 페더스톤)
03 경계 없는 세계? 식민주의에서 초국적주의로의 전환과 국민국가의 쇠퇴(미요시 마사오)
04 현실적 가상성(요시모토 미츠히로)
05 공포증적 공간과 경계적 공포: 초국적 독립 영화 장르(하미드 나피시)
06 제국의 가족에서 초국적 상상계로: 전 지구화 시대의 미디어 관객성(엘라 쇼하트·로버트 스탬)

2부 로컬적 접속
07 이국적인 것과의 불장난: 일본의 국제화 시대 타 인종과의 섹스(카렌 켈스키)
08 비의지적인 것 욕망하기: 들뢰즈와 〈로보캅 2〉에 나타난 기계적 배치와 초국적주의(조너선 L. 벨러)
09 누구를 위한 것인가? 초국적 자본과 캐나다 다문화주의의 생산(캐서린 미첼)
3부 글로벌/로컬의 분열
10 글로벌주의의 로컬주의(데이나 폴런)
11 대양감과 지역적 상상계(크리스토퍼 L. 코너리)
12 굿바이 파라다이스: 아메리칸 태평양에서의 글로벌/로컬주의(롭 윌슨)
13 타이완 신문문학 별호의 신생 문화 비평 칼럼의 사례: 현대 타이완 공적 문화의 글로벌/로컬 변증법(랴오빙후이)
14 사회 공간으로서 한국(프레드릭 제임슨과 백낙청의 대담)

후기: ‘글로벌/로컬’ 기억과 사고(폴 A. 보베)

옮긴이의 글
찾아보기
[로컬리티 번역총서]를 펴내며

이용현황보기

조회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27516 303.482 -19-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27517 303.482 -19-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61265 303.482 -19-15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글로벌/로컬의 관계를 다룬 최초의 저작이자 고전

    롭 윌슨과 위말 디싸나야케가 엮은 이 책은 영미 학계에서 글로벌/로컬의 관계를 다룬 거의 최초의 저작으로 이후 관련 저작이 많이 쏟아졌음에도 글로벌/로컬 간 모순과 갈등을 탐구한 이 분야의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이는 이 책이 전 지구화라는 세계적 물결이 국민국가의 매개를 통하지 않고, 혹은 그것을 우회해 로컬에 끼치는 영향을 이론적·실천적 차원에서 분석하는 새로운 길을 열었을 뿐만 아니라, 글로벌/로컬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사유를 통해 문화 연구를 국민국가 단위의 근대적 패러다임을 넘어 포스트국민국가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지구화 시대 문화는 국민국가의 경계를 뛰어넘어 다른 문화들과 마주치고 뒤섞이는 일이 일상화하고 있다. 지구화가 본격적 이슈가 되기 전 근대적 국민국가의 공간에서도 문화들 간의 횡단과 접속은 늘 있었던 현상이지만, 이를 문화 연구의 본격적 탐구 대상으로 삼는 데는 어려움이 따랐다. 국민국가의 경계 내에서는 다른 국민 문화에 대한 비교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주로 국민 문화의 문화적 ‘본질’과 ‘기원’을 추적하거나, 국민 문화의 정체성과 우수성을 창안하는 작업이 문화 연구의 주된 과제였다. 이런 연구에서 로컬과 로컬 문화를 강조하는 주장은 제대로 인정받을 수 없었고, 로컬은 국민 문화의 본질과 정체성에 흡수되지 않을 경우 장애와 곤경으로만 여겨졌다.
    하지만 국가 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문화 간 접촉이 빈발하면서 로컬 문화가 글로벌 문화와 서로 부딪치고 뒤섞이는 오늘날의 세계에서 사정은 크게 달라진다. 물론 지구화는 세계적 단일 시장을 형성하고 초국적 정치체를 중심으로 세계를 재편하면서 국민국가보다 훨씬 더 추상적이고 동질적인 문화를 로컬에 강요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세력은 국민국가와 그 문화의 매개를 거치지 않고 곧장 로컬에 살고 있는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가까이 있다. 그렇지만 역설적이게도 이런 무매개적 상황 때문에 지역적 존재와 삶은 글로벌적인 것과 더욱 첨예한 긴장 속에 놓이게 되고, 그 과정에서 국민국가에서는 가능하지 않았던 로컬에 대한 각성이 생겨나기도 한다. 국민국가의 압력은 여전히 강력하지만 이제 국민이라는 단일하고 동질적인 환상의 스크린은 많이 약화되었다. 그 사이에서 로컬은 새로운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이 책의 필자들은 한결같이 지구화와 지역화, 글로벌적인 것과 로컬적인 것의 동시적 연동과 상호 침투의 강화를 지적한다. 이들은 대부분 글로벌/로컬의 관계를 주목함으로써 그동안 국민국가에 의해 억압 및 배제된 이질적 차이와 복합성은 물론이고 전 지구적 차원에 존재하는 다양한 지역 문화와 그 시간적 리듬을 새롭게 인식하고자 한다. 그런 점에서 글로벌/로컬의 배치는 지구적인 것과 지역적인 것, 중심적인 것과 주변적인 것 간의 일방적 관계가 아니라 그 사이의 상호 접속과 문화 횡단, 혼종 문화에 주목한다.

    책의 구성

    1부 ‘전 지구화’의 글 여섯 편은 로컬 공동체, 민족, 지역을 다른 것으로 분열시키는 전 지구화의 지속적 과정과 힘을 다룬다.
    〈로컬적인 것 속의 글로벌적인 것〉에서 아리프 딜릭은 로컬 공간의 사회적 역학을 20세기 내내 헤게모니를 장악한 자본주의적 세계 체제 내에서 준사회주의적이거나 적어도 이종 언어적이고 대안적인 시공간을 여전히 형상화하는 것으로 이론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는 한편으로는 중국 마르크스주의와 제3세계 사회주의로 거슬러 올라가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게릴라 마케팅이라는 의제로 나아가기도 한다.
    〈로컬주의, 글로벌주의 그리고 문화적 정체성〉에서 마이크 페더스톤은 ‘글로벌 문화’를 통해 재형성된 사회학을 동질적 기술 체계와 이질적 적응이 만나는 다층적 구성체로 제시한다. 그래서 그는 초국적 사회학에 대한 자신의 학문적 평가를 대처 총리 시기의 영국에서 로컬화한 정체성을 가진 노동 계급 공동체의 문화 역학 내에 위치 짓는다.
    미요시 마사오는 초국적화를 “식민주의의 행정적·점령적 양식이 경제적 유형의 식민주의에 의해 돌이킬 수 없이 대체되는” 일방적 과정으로 평가하는 비판적 관점을 견지한다. 따라서 〈경계 없는 세계?〉에서 원주민에 대한 그의 분석은 “식민화한 공간의 역학”을 자본의 사회 구성체에 의해 이미 시달리고 있는 정치 투쟁의 출발점으로 받아들인다. “일단 세속적 서양의 시간 정치 속으로 흡수되면 식민화한 공간은 자율성과 독립성을 되찾을 수 없다. 그리고 일단 주변부의 토착민이 자신들의 전 식민성(precoloniality) 밖으로 끌려나오게 되면, 그들은 자신의 소망이나 성향과 상관없이 외부 세계의 지식에 대응하지 않을 수 없다”고 그는 경고한다.
    요시모토 미츠히로의 〈현실적 가상성〉은 저항이나 장소의 정치학을 중지시키는 듯한 섬뜩한 논리를 통해 생활 세계와 육체를 상품화하고 가상화하는 한편, 역사를 이미지로, 나아가 ‘상품 이미지’를 초국적 기업의 이윤 확장을 위한 자원으로 전환하는 동시대 자본주의의 순환적 힘을 보여준다. 이런 탈토대화 과정을 그는 가상화라고 일컫는데, 이 과정은 순수한 형식의 “자본주의의 기본 역학을 구성한다”. 따라서 그의 글로벌/로컬은 더 이상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탈맥락화한 재현, 즉 “끝이 없는 이미지”의 세계 공간을 가정한다.
    하미드 니퍼시의 〈공포증적 공간과 경계적 공포〉는 이른바 ‘초국적 독립 영화’라는 장르의 출현과 ‘초국적 경계성’의 영토에 초점을 두면서 터키 및 이란의 망명 영화감독들이 재현한 ‘밀폐공포증적 공간 형태’를 조명한다. 그에게 초국적성은 장소를 ‘문제적인 경계성’의 틈새적 공간으로 전환하는 것을 뜻한다. 또한 “초국적성 속에 존재한다”는 것은 틈새에 존재하고 뿌리 뽑혔으며 집을 상실했다는 것, 즉 “디스토피아 혹은 유토피아 두 가지 양식 중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제적 미디어 스펙터클에 대한 탁월한 통찰력을 보여주는 엘라 쇼하트와 로버트 스탬의 글은 지구성에 대한 비전이 갖는 권력/지식의 역학에 문제를 제기한다. 이런 스펙터클과 서사는 지배의 불균등한 중심부 및 구조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의 다른 글들이 문화적 재생산의 동시대적 양식과 씨름하며 초국적 스펙터클의 정치학을 탈신비화하고자 하듯이, 2부 ‘로컬적 접속’에서 필자들 역시 포스트식민적 혼종성이라는 편리한 읽기를 논박할 수 있는―일본에서 할리우드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캐나다에서 인도에 이르기까지―로컬적 배경과 문화적 이미지를 통해 글로벌적 과정, 상호 작용, 장르, 코드에 초점을 둔다.

    3부 ‘글로벌/로컬 분열’은 5개의 글로 구성되어 있으며, 로컬적 저항 운동과 문화가 자본의 매개 속으로 흡수될 처지에 놓여 있는 다양한 장소 및 장르를 검토한다. 데이나 폴런의 〈글로벌주의의 로컬주의〉는 상호 텍스트적 영화 아카이브를 구축하며, 크리스토퍼 코너리는 〈대양감과 지역적 상상계〉에서 냉전 질서로부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라는 새로운 아시아/태평양 질서로 나아가는 환태평양 문화가 태평양을 경제적 공동 번영과 문화적 재발명의 새로운 변경으로 형상화해온 방식을 살펴본다. 문학에서 정치경제적 담론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경계 없는’ 지역성은 ‘대양적 의식’의 가능성과 기만을 나타내며 초국적화의 불균등한 정치에 의해 훼손당한다.
    〈굿바이 파라다이스〉에서 롭 윌슨은 다문화적인 미국적 상상, 미시적 국가 내의 초국적 관광 산업, 그리고 하와이 주권 운동과 관련한 포스트식 민적 위치의 정치학 간 모순을 분절하기 위해 하와이의 ‘로컬’ 문학과 영화 생산을 살펴본다.
    영화 〈비정성시〉에서 새롭게 서술한 1947년 2월 28일 사건(타이완 원주민이 장제스의 국민당 정부에 항거한 사건)이 타이완의 문화 정치에서 갖는 의미를 연구해온 랴오빙후이는 “타이완의 작가들이 로컬적 지식과 외국에서 온 정보를 뒤섞고, 토착적이고 수입된 장르와 담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글로벌적인 것과 거시정치적인 것에 대한 유동적 시각을 통해 경쟁과 저항의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는 비평의 장을 확립하고자 할 때, 전 지구적 문화적 흐름은 어떻게 전유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고자 한다. 국민적 정체성의 토대로서 아시아/태평양의 복합성은 더욱더 글로벌적인 가청권(audibility)과 더욱더 로컬적인 영향력을 동시에 부여받게 된다. 이런 차원에서 백낙청과 프레드릭 제임슨의 대담은 이들―로컬적, 민족적, 초국적―근대성의 다양한 사회 구성체가 냉전의 상상계와 그 편집증적 주체를 추동했던 자본주의/공산주의의 이분법에 의해 분단된 역동적인 한반도를 두고 지배 경쟁을 벌이는 비평 공간으로서 한국에 대한 강력한 사례 연구를 제공한다. 두 비평가는 늘 지역적 모순에 주목하는 한편, 불균등한 체제를 변혁하고 공동 번영과 자유라는 자유주의적 지배 서사를 통한 자기 이해의 방식을 뒤흔들기 위해 그 체제 내의 저항을 고려하는 ‘거시정치적인 것’에 대한 유연한 시각을 견지한다.

    글로벌/로컬의 현재적 의미

    여기서 짚어봐야 할 문제는 ‘글로벌/로컬’이 갖는 현재적 의미다. 이 책이 나온 시기적 앞섬 때문에 글로벌과 로컬의 의미를 충분히 탐구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 그렇더라도 이 책이 제기하는 글로벌/로컬의 배치는 오늘날 로컬을 사고하는 지배적 두 경향을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데 여전히 유용하다. 먼저 ‘글로컬(glocal)’과 ‘글로컬리즘(glocalism)’이라는 단어가 지향하는 것으로 현재 매우 유행하는 경향이 있다. 글로벌과 로컬의 긴장보다는 통합과 융합에 가까운 이 단어들은 글로벌/로컬을 나누고 횡단하고 접속하는 사선(/)의 의미를 너무 빨리 제거함으로써 그 의미에 대한 깊은 성찰을 차단하는 경향이 있다. 그 단어들에는 은연중 글로벌과 로컬을 구분하는 긴장의 선을 지움으로써 그 사이에 존재하는 경계와 틈새의 모순과 갈등을 중립화하는 이데올로기적 작용이 스며들어 있을 수 있다. 오늘날 세계의 모든 지역이 글로컬적임은 명백한 사실이지만 글로컬은 글로벌/로컬의 배치가 제공해줄 수 있는 중심과 주변, 제국과 식민의 관계와 같은 지정학적 구조 속에서 형성되는 로컬의 차이성, 로컬 간의 변별성을 간과할 수 있다. 글로벌/로컬의 배치는 글로컬이 놓칠 수 있는 이런 경계와 틈새의 물적 토대, 즉 다양한 세력 간의 갈등과 횡단과 혼종을 항상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글로컬과는 차이가 있다. 둘째, 글로벌을 외부의 힘으로, 로컬을 내부의 힘으로 이분법적으로 구획해 사고하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런 이분법 역시 글로벌/로컬의 배치를 사고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것은 자칫 외부에 맞선 내부, 즉 ‘글로벌에 맞선 로컬’이라는 저항 논리로 이어지거나 로컬을 본질주의적으로 사고하는 닫힌 로컬주의로 나아가기도 한다. 이런 태도는 로컬 자체의 모순과 갈등을 보지 못하고 로컬을 하나의 동질적 단일체로 간주하는 반모던적, 전통주의적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로컬에 대한 찬미는 이런 경향과 결부된 경우가 많다.
    하지만 글로벌은 로컬과 구분되지만 로컬과 마찬가지로 이미 로컬의 내부 기제다. 글로벌이 긍정적 가치와 부정적 가치를 동시에 갖고 있고 그 내부에 모순과 갈등을 내장하고 있듯 로컬 역시 가능성과 곤경의 장이다. 특히 글로벌과 로컬 사이에는 경계가 이미 열려 있고 다양한 힘이 상호 침투하기도 한다. 거기에선 로컬적인 것이 글로벌적인 것과 맞물려 있고 접속과 횡단과 혼종의 관계를 맺으면서 새로운 문화를 생성한다. 그런 점에서 글로벌/로컬의 배치에서 사선의 의미는 진지한 탐구의 대상이 될 필요가 있다. 글로컬이 글로벌/로컬의 모순적 긴장을 간과하고 세계의 지정학적 공간의 권력 관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제1세계 중심적이고 포스트모던적이라고 한다면, 로컬과 글로벌의 이분법은 로컬을 (포스트)모던적인 글로벌 세력과의 대립적 관계 위에 배치함으로써 반모던적인 경향을 띠고 있다. 아리프 딜릭은 이 책에서 로컬에 대한 낭만적 향수를 경계하고 로컬을 모더니티를 경유한 후의 로컬, “이 시대의 가장 근본적 모순이 작동하기 위한 장으로 기능하는 아주 현대적인 ‘로컬’”(40쪽)로 인식할 것을 역설한다. 글로벌/로컬의 배치가 중요한 이유는 바로 이 점에 있다. 이 배치는 앞선 두 경향을 뛰어넘어 글로벌적인 것과의 내재적 관계 속에서 모순과 갈등으로 채워진 로컬의 가능성을 복합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것이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을 이런 관점에서 읽어본다면 그 글들이 갖는 성찰과 한계를 동시에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 필자 소개

    데이나 폴런(Dana Polan) 뉴욕 대학교 예술대학 영화학 교수이다.
    랴오빙후이(廖炳惠) 타이완 국립칭화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국립타이완사범대학교 중국어교육학과(華語文教學系) 석좌교수이다.
    로버트 스탬(Robert Stam) 영화 이론가이자 뉴욕 대학교 예술대학 영화학 교수이다.
    마이크 페더스톤(Mike Featherstone) 런던 골드스미스 대학교 사회학 교수이다.
    미요시 마사오(三好将夫)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에서 영문학·비교문학·일본문학 교수를 지냈으며, 2009년 세상을 떠났다.
    백낙청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며, 계간 〈창작과비평〉 편집인이다.
    아리프 딜릭(Arif Dirlik) 듀크 대학교와 오리건 대학교에서 역사와 인류학을 가르쳤으며, 2017년 세상을 떠났다.
    엘라 쇼하트(Ella Shohat) 뉴욕 대학교 예술대학 예술·공연 정책 및 중동·이슬람 연구학 교수이다.
    요시모토 미츠히로(吉本光宏) 아이오와 대학교 부교수를 거쳐, 현재 와세다대학교 국제학술원 교수이다.
    조너선 L. 벨러(Jonathan L. Beller) 영화 이론가이자 문화 비평가이다.
    카렌 켈스키(Karen Kelsky) 오리건 대학교와 일리노이 대학교 어버너섐페인 캠퍼스에서 강의했으며, 학계 관련 경력 자문 컨설팅 업체 ‘The Professor Is In’의 창립자이자 대표이다.
    캐서린 미첼(Katharyne Mitchell)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크루스 캠퍼스 사회학 교수이다.
    크리스토퍼 L. 코너리(Christopher L. Connery)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크루스 캠퍼스 문학부 교수이다.
    폴 A. 보베(Paul A. Bové) 피츠버그 대학교 영문학 교수이다.
    프레드릭 제임슨(Fredric Jameson) 문학 비평가이자 마르크스주의 정치 이론가로, 듀크 대학교 비교문학 석좌교수이다.
    하미드 나피시(Hamid Naficy) 노스웨스턴 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 영화학 교수이다.
    더보기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약 10년 전 <시골 영웅(Local Hero)>[빌 포사이드(Bill Forsyth) 감독]이라는 제목의 영화를 미국 내 예술 영화관에서 상영한 적이 있다.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