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국가지진위험지도 작성방법 표준화방안 마련 최종보고서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울산 :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8
청구기호
363.3495 -19-15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ix, 634 p.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총서사항
극한재난대응 기반기술개발사업
R&D ; 2017-MPSS31-007
제어번호
MONO1201941674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명: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관연구기관책임자: 홍태경
부록: 1. 활성단층 정보 ; 2. 역사지진목록 1 ; 역사지진목록 2 외
참고문헌: p. 429-443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최종보고서 요약서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25

제2장 연구수행내용 및 성과 29

1. 지진위험지도 작성 방법 및 사례 29

1.1. 지진위험지도 작성 방법 29

1.2. 지진위험지도 사례 37

2. 한반도 지질과 단층 82

2.1. 한반도의 지질과 지체구조 82

2.2. 한반도의 광역단층 87

2.3. 한반도의 활성단층 91

2.4. 한반도의 현생 응력장과 지표변형 180

2.5. 한반도 단층위험지도 작성 방법 182

3. 지진위험지도 작성 입력 인자 198

3.1. 역사지진목록 198

3.2. 초기 계기지진목록 207

3.3. 기상청 계기지진목록 210

3.4. 한반도 남부의 지진동 감쇠식 225

4. 지진위험지도 작성 이론 269

4.1. 확률론적 지진재해 분석 269

4.2. 입력인자 274

5. 지진위험지도 입력변수 분석 295

5.1. 지진목록 전처리 298

5.2. 논리수목 및 입력변수 결정 317

6. 지진위험지도 분석 373

6.1. 계산 프로그램 검증 373

6.2. 민감도 검사 380

6.3. 지진위험지도 작성 404

6.4. 단층 지진원 효과 분석 434

7. 지진위험지도 작성 지침서 436

7.1. 연구 구성 및 절차 436

7.2. 입력인자 결정 방법 443

7.3. 지진재해 계산 446

8. 지진위험지도 제공 홈페이지 구축 447

제3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 기여도 449

1. 목표 및 달성여부 449

2. 목표 미달성 시 원인(사유) 및 차후대책(후속연구의 필요성 등) 451

제4장 연구개발성과의 활용현황 및 계획 452

제5장 참고문헌 453

부록 468

부록 1. 활성단층 정보 468

A1.1. 활성단층 정보 468

A1.2. 단층입력변수자료 487

부록 2. 역사지진목록 1 488

부록 3. 역사지진목록 2 515

부록 4. 초기 계기지진목록 557

부록 5. 기상청 계기지진목록 568

부록 6. 일본 기상청 계기지진목록 594

부록 7. 중국 지진국 계기지진목록 626

부록 8. 선행 연구의 모멘트규모를 수집한 지진목록 629

부록 9. 암반노두 관측소 목록 632

부록 10. VS30 계산(이미지참조) 634

부록 11. 대한민국 행정구역별 기대 지진동 641

표 2.1. 지진 단층면해로 구한 한반도의 현생 응력장(Park et al., 2007) 180

표 3.1. 두 역사지진목록의 규모 구간별 발생횟수 비교 206

표 3.2. 역사지진목록 2에서 규모 6.0 이상 지진의 비교 206

표 3.3. 두 역사지진목록의 주요 기간별 발생횟수 비교 207

표 3.4. 박동희 외(2001) 감쇠식의 계수 227

표 3.5. 조남대와 박창업(2003) 감쇠식의 계수 232

표 3.6. Junn et al. (2002) 감쇠식의 계수 238

표 3.7. 연관희 외(2008) 감쇠식의 계수 244

표 3.8. Rhie2013b 감쇠식의 계수 249

표 3.9. Rhie2013c 감쇠식의 계수 250

표 3.10. Emolo et al. (2015) 감쇠식의 계수 258

표 5.1. 지진지체구조 모델별 가중치 분배 323

표 5.2. 지진지체구조 모델 Hong2016b에 대한 각 구역별 지진 발생빈도 324

표 5.3. 지진지체구조 모델 Rhee2012a에 대한 각 구역별 지진 발생빈도 324

표 5.4. 지진지체구조 모델 Rhee2012b에 대한 각 구역별 지진 발생빈도 325

표 5.5. Hong2016b 모델의 각 구역에 대한 Gutenberg-Richter 관계식 분석 결과 336

표 5.6. 지진지체구조 모델 Rhee2012a의 각 구역에 대한 Gutenberg-Richter 관계식 분석 결과 338

표 5.7. 지진지체구조 모델 Rhee2012b의 각 구역에 대한 Gutenberg-Richter 관계식 분석 결과 338

표 5.8. 역사지진 두 목록에 대한 Gutenberg-Richter 관계식 분석 결과 341

표 5.9. 지진목록에 따른 Gutenberg-Richter 규모-빈... 344

표 5.10. 최대 규모별 가증치 분배 346

표 5.11. 진원 깊이별 가중치 분배 346

표 5.12. 지진동 감쇠식별 가중치 분배 370

표 6.1. PEER 테스트 1.10을 위해 지진재해 계산을 수행한 지점 374

표 A1.1. 단층 정보 입력변수의 설명 468

표 A1.2. 단층의 위치, 길이, 경사 정보 469

표 A1.3. 단층 연대 정보 478

표 A1.4. 단층입력변수자료의 설명 487

표 A2.1. 역사지진목록 1 488

표 A3.1. 역사지진목록 2 515

표 A4.1. 초기 계기지진목록 557

표 A5.1. 기상청 계기지진목록 568

표 A6.1. 일본 기상청 계기지진목록 594

표 A7.1. 중국 지진국 계기지진목록 626

표 A8.1. 선행 연구의 모멘트규모를 수집한 지진목록 629

표 A9.1. 연구에서 사용한 암반노두 관측소 목록 632

표 A11.1. 각 행정구역에서의 재현주기별 10% 초과확률 최대지반가속도(PGA) 641

표 A11.2. 각 행정구역에서의 재현주기별 10% 초과확률 1㎐ 스펙트럼 가속도(SA) 647

표 A11.3. 각 행정구역에서의 재현주기별 10% 초과확률 5㎐ 스펙트럼 가속도(SA) 653

그림 I.1. 본 연구의 구성도 25

그림 1.1. 감쇠공식과 진원-부지간 거리의 도식적 표현 31

그림 1.2. aircf의 계산방법(이미지참조) 32

그림 1.3. 지진위험지도의 측정방법 33

그림 1.4. 가우시안 함수에 의한 지진활동의 공간적 평활화 35

그림 1.5. 지진원 설정 방법과 공간적 평활화 방법의 순서도 36

그림 1.6. 미국에서 VS30이 760㎧인 지반에서 50년에 2%의 확률로 발생할...(이미지참조) 39

그림 1.7. 미국에서 VS30이 760㎧인 지반에서 50년에 2%의 확률로 발생할...(이미지참조) 40

그림 1.8. 미국에서 VS30이 760㎧인 지반에서 50년에 2%의 확률로 발생할...(이미지참조) 41

그림 1.9. 미국에서 VS30이 760㎧인 지반에서 50년에 10%의 확률로 발생...(이미지참조) 42

그림 1.10. 미국에서 VS30이 760㎧인 지반에서 50년에 10%의 확률로 발생...(이미지참조) 43

그림 1.11. 미국에서 VS30이 760㎧인 지반에서 50년에 10%의 확률로 발생...(이미지참조) 44

그림 1.12. 미국 중동부 지역의 지진위험지도 작성을 위한 논리수목 45

그림 1.13. 미국 중동부에서 1700년 이래로 전진과 여진이 제거된 MW2.5 이상의...(이미지참조) 47

그림 1.14. 미국 중동부 지역에서 유발지진이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지역들 48

그림 1.15. 지진원 구역 설정. A: 2008년 버전, B : 일반화된 USNRC 모델 49

그림 1.16. 미중동부 지역의 단층원의 위치 50

그림 1.17. 뉴마드리드 지진원 지역의 단층원. A : 2008년 버전, B : USNRC(2012) 프로젝트... 51

그림 1.18. 미서부 지역에서의 지진발생기원 배경원 모델에 대한 논리수목 52

그림 1.19. 미서부에서 1850년 이후로 발생한 MW3.5 이상의 지진목록(이미지참조) 54

그림 1.20. 미국 서부산맥 지역과 태평양 북서 지역의 지각 단층원에 대한 논리수목 55

그림 1.21. 미국 서부산맥 지역과 태평양 북서 지역에서의 지각 단층원의 분류 56

그림 1.22. 미국 서부산맥 지역과 태평양 북서 지역에서의 지각단층의 지도. 캘... 56

그림 1.23. GPS자료를 사용한 미국 서부 지역의 변형률 지도... 57

그림 1.24. 공학적 암반(400㎧ S파 속도)에서 지표면으로의 최대 속도의 증폭효과 59

그림 1.25. 일본의 최종 지진위험지도(30년내에 일본 기상청 진도5하 이상이... 60

그림 1.26. 일본의 최종 지진위험지도(30년내에 일본 기상청 진도5상 이상이... 61

그림 1.27. 일본의 최종 지진위험지도(30년내에 일본 기상청 진도6하 이상이... 62

그림 1.28. 일본의 최종 지진위험지도(30년내에 일본 기상청 진도6상 이상이... 63

그림 1.29. 일본의 최종 지진위험지도(30년내에 일본 기상청 진도5하 이상이... 64

그림 1.30. 일본의 최종 지진위험지도(30년내에 일본 기상청 진도5상 이상이... 65

그림 1.31. 일본의 최종 지진위험지도(30년내에 일본 기상청 진도6하 이상이... 66

그림 1.32. 일본의 최종 지진위험지도(30년내에 일본 기상청 진도6상 이상이... 67

그림 1.33. 일본의 주요 활성단층대, 부분 1 68

그림 1.34. 일본의 주요 활성단층대, 부분 2 69

그림 1.35. 일본의 주요 활성단층대, 부분 3 70

그림 1.36. 일본의 주요 활성단층대, 부분 4 71

그림 1.37. 일본의 주요 활성단층대, 부분 5 72

그림 1.38. 유럽 지진위험지도 작성을 위한 논리수목 74

그림 1.39. 1000~2006년 기간 동안 유럽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들 75

그림 1.40. 유럽의 활성단층과 섭입대 76

그림 1.41. 세 가지 모델에 대한 최대 규모. (A), (B) 면지진원에 대한 가장 작고... 77

그림 1.42. 50년 10%의 확률로 구한 최대 가속도. (A) 면지진원 모델, (B) 추계... 79

그림 1.43. 유럽에서 기반암에서 50년 내에 10%의 확률로 발생할 최대 가속도 80

그림 1.44. 유럽에서 기반암에서 50년 내에 2%의 확률로 발생할 최대 가속도 81

그림 2.1. 동북아시아의 지체구조도(from Ree et al., 2003) 83

그림 2.2. 한반도의 선구조선(Kang, 1984) 88

그림 2.3. 한반도의 광역단층(장천중 외, 2004) 89

그림 2.4. 지진 단층면해로 구한 한반도의 현생 응력장(Park et al., 2007). GB : 경... 181

그림 2.5. 단층위험지도의 단층기본도 183

그림 2.6. 단층선의 분절화와 중심점 185

그림 2.7. 제4기 단층의 가중계수 환산 186

그림 2.8. 5㎞ 거리의 등간격 그리드(grid) 설정 187

그림 2.9. 단층위험수치(α) 계산방법 188

그림 2.10. (a) 지표단층선 입력 자료. 검은 선: 주향이동단층. 빨간 선: 경사이동단층. (b)... 190

그림 2.11. (a) 각 단층 분절에 대해 계산된 θ(단층분절에 수직한 선과 최대주응력... 192

그림 2.12. 각 단층 분절에 대해 계산된 sin2θ값을 나타낸 단층도. (a) 향상된 시각... 194

그림 2.13. (a) 각 단층 분절의 제4기 단층의 거리 가중계수를 다른 색으로 나타낸 단층도... 196

그림 3.1. 역사지진목록 1 지진의 연도별 분포 199

그림 3.2. 역사지진목록 1 지진의 진앙분포 201

그림 3.3. 역사지진목록 2 지진의 연도별 분포 204

그림 3.4. 역사지진목록 2 지진의 진앙분포 205

그림 3.5. 1905~1977년까지 발생한 초기 계기지진의 진앙분포 209

그림 3.6. 보정 지진 규모식 개발에 사용된 지진과 관측소와 지진파 전파 경로(after... 212

그림 3.7. 보정 지진 규모식 개발에 사용된 자료의 규모, 거리에 따른 자료의 개수... 213

그림 3.8. 입력 자료를 임의의 분절점으로 나누었을... 215

그림 3.9. 거리 분절 방식 차이에 의한 비매개변수법 역산 결과의 비교 216

그림 3.10. 이 연구에서 도출된 규모식들의 비교 218

그림 3.11. 새롭게 개발된 보정 지진 규모식과 외국의 규모식 비교... 219

그림 3.12. 수평, 수직 성분 관측소 보정항의 비교(after Sheen et al.,(2018)) 220

그림 3.13. 관측소 보정값의 분포. 위쪽 수평 성분,... 221

그림 3.14. 거리에 따른 지진 규모 잔차 비교(after Sheen et al.,(2018)) 222

그림 3.15. 기존 기상청 규모식을 사용해 계산한 거리에 따른 지진 규모 잔차 비교 223

그림 3.16. 모멘트규모와 국지지진 규모와의 비교(after Sheen et al.,(2018)) 224

그림 3.17. 기상청 지진 규모와 Sheen et al. (2018)의... 225

그림 3.18. 박동희 외(2001)의 감쇠식을 이용해 계산한 10㎞ 깊이에서 발생한 규모 5, 6, 7... 228

그림 3.19. 박동희 외(2001)의 감쇠식을 이용해 계산한 10㎞ 깊이에서 발생한 규모 5, 6, 7... 229

그림 3.20. 박동희 외(2001)의 감쇠식을 이용해 계산한 10㎞ 깊이에서 발생한 규모 5, 6, 7... 230

그림 3.21. 조남대와 박창업(2003)의 감쇠식을 이용해 계산한 10㎞ 깊이에서 발생한 규모... 234

그림 3.22. 조남대와 박창업(2003)의 감쇠식을 이용해 계산한 10㎞ 깊이에서 발생한 규모... 235

그림 3.23. 조남대와 박창업(2003)의 감쇠식을 이용해 계산한 10㎞ 깊이에서 발생한 규모... 236

그림 3.24. Junn et al. (2002)의 지진학적 특성을 이용해 조남대와 박창업(2003)에서 제시... 240

그림 3.25. Junn et al. (2002)의 지진학적 특성을 이용해 조남대와 박창업(2003)에서 제시... 241

그림 3.26. Junn et al. (2002)의 지진학적 특성을 이용해 조남대와 박창업(2003)에서 제시... 242

그림 3.27. 연관희 외(2008)의 감쇠식을 이용해 계산한 10㎞ 깊이에서 발생한 규모 5, 6, 7... 245

그림 3.28. 연관희 외(2008)의 감쇠식을 이용해 계산한 10㎞ 깊이에서 발생한 규모 5, 6, 7... 246

그림 3.29. 연관희 외(2008)의 감쇠식을 이용해 계산한 10㎞ 깊이에서 발생한 규모 5, 6, 7... 247

그림 3.30. 박창업 외(2015)에서 제시된 Rhie2013b의 감쇠식을 이용해 계산한 10㎞... 251

그림 3.31. 박창업 외(2015)에서 제시된 Rhie2013b의 감쇠식을 이용해 계산한 10㎞ 깊이... 252

그림 3.32. 박창업 외(2015)에서 제시된 Rhie2013b의 감쇠식을 이용해 계산한 10㎞ 깊이... 253

그림 3.33. 박창업 외(2015)에서 제시된 Rhie2013c의 감쇠식을 이용해 계산한 10㎞ 깊이에... 254

그림 3.34. 박창업 외(2015)에서 제시된 Rhie2013c의 감쇠식을 이용해 계산한 10㎞ 깊이에... 255

그림 3.35. 박창업 외(2015)에서 제시된 Rhie2013c의 감쇠식을 이용해 계산한 10㎞ 깊이에... 256

그림 3.36. Emolo et al. (2015)의 감쇠식을 이용해 계산한 10㎞ 깊이에서 발생한 규모 5,... 259

그림 3.37. Emolo et al. (2015)의 감쇠식을 이용해 계산한 10㎞ 깊이에서 발생한 규모 5,... 260

그림 3.38. Emolo et al. (2015)의 감쇠식을 이용해 계산한 10㎞ 깊이에서 발생한 규모 5,... 261

그림 3.39. 이 연구에서 제시한 감쇠식들을 사용해 10㎞ 깊이에서 발생한 규모 6.0 지진에... 263

그림 3.40. 이 연구에서 제시한 감쇠식들을 사용해 10㎞ 깊이에서 발생한 규모 7.0 지진에... 264

그림 3.41. 10㎞ 깊이 규모 6.0 지진에 의한 1㎐ 대역 SA 값의 거리에 따론 변화 265

그림 3.42. 10㎞ 깊이 규모 7.0 지진에 의한 1㎐ 대역 SA 값의 거리에 따른 변화 266

그림 3.43. 10㎞ 깊이 규모 6.0 지진에 의한 5㎐ 대역 SA 값의 거리에 따른 변화 267

그림 3.44. 10㎞ 깊이 규모 7.0 지진에 의한 5㎐ 대역 SA 값의 거리에 따른 변화 268

그림 4.1. 연구와 토의를 통해 단순화된 단층 예시. 80km가 넘는 단층의 경우... 289

그림 4.2. 모델 단층 지진원을 계산하는 순서도(Fujiwara et al., 2009) 291

그림 4.3. 모델 단층 지진원 예시(Fujiwara et al., 2009). 조사된 활성단층(위)과 지진 발생... 292

그림 5.1. 지진위험지도 작성 흐름도. 지진원 모델 및 입력인자 결정, 지진동 감쇠식 결정을... 297

그림 5.2. 기상청 목록의 지진 분포. 원의 크기는 지진의 규모를 나타낸다. 기상청... 300

그림 5.3. 일본 기상청 목록의 지진 분포. 원의 크기는 지진의 규모를 나타낸다. 301

그림 5.4. Oth et al. (2010)의 일본 기상청 규모(MJMA)와 모멘트규모(MW) 사이의 관...(이미지참조) 302

그림 5.5. 중국 지진국 목록의 지진 분포. 원의 크기는 지진의 규모를 나타낸다... 303

그림 5.6. 기상청, 일본 기상청, 중국 지진국 목록을 통합한 계기지진목록. 305

그림 5.7. 여진 발생 특성 함수. (a) 여진 발생빈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 본진의 규모... 306

그림 5.8. 계기지진목록 디클러스터링 결과. 검은 원은 배경지진, 빨간색 원은... 308

그림 5.9. 시행에 따른 추계학적인 디클러스터링 분석 결과. 시행에 따른 결과의... 309

그림 5.10. 계기지진목록의 완전성 평가. (a) 디클러스터링된 지진목록의... 312

그림 5.11. 초기 계기지진목록. 큰 규모의 지진들이 포함되어 있다 314

그림 5.12. 역사지진 분포 (역사지진목록 1) 315

그림 5.13. 역사지진 분포 (역사지진목록 2) 316

그림 5.14. Hong2016b 지진지체구조. (a) Hong et al. (2016b)이 제시한 원본 지진지체구... 319

그림 5.15. Rhee2012a 지진지체구조. 한반도와 그 주변 지역을 5개의... 321

그림 5.16. Rhee2012b 지진지체구조. 한반도와 그 주변 지역을 5개의... 322

그림 5.17. Hong2016b 모델에 대한 구역별 지진 발생빈도 326

그림 5.18. Rhee2012a 모델에 대한 구역별 지진 발생빈도 327

그림 5.19. Rhee2012b 모델에 대한 구역별 지진 발생빈도 328

그림 5.20. 평활화 된 지진 발생빈도 330

그림 5.21. 지진지체구조 모델 Hong2016b에 대해 NIED 방식으로 결정... 332

그림 5.22. 지진지체구조 모델 Rhee2012a에 대해 NIED 방식으로 결정... 333

그림 5.23. 지진지체구조 모델 Rhee2012b에 대해 NIED 방식으로 결정... 334

그림 5.24. 지진지체구조 모델 Hong2016b의 각 구역 및 한반도 전역에서의... 337

그림 5.25. 지진지체구조 모델 Rhee2012a의 각 구역 및 한반도 전역에서의... 339

그림 5.26. 지진지체구조 모델 Rhee2012b의 각 구역 및 한반도 전역에서의... 340

그림 5.27. 역사지진목록 1에 대한 최소규모 및 b값 결정. 최소규모의 설정에 따라 결정... 342

그림 5.28. 역사지진목록 2에 대한 최소규모 및 b값 결정. 최소규모의 설정에 따라 결정... 343

그림 5.29. 2007년 01월 20일 MW4.5 오대산 지진 자료를 사용한 최대지반가속도 감...(이미지참조) 350

그림 5.30. 2016년 09월 12일 MW5.4 경주 지진 자료를 사용한 최대지반가속도 감쇠...(이미지참조) 351

그림 5.31. 2017년 11월 15일 MW5.5 포항 지진 자료를 사용한 최대지반가속도 감쇠...(이미지참조) 352

그림 5.32. 2007년 01월 20일 MW4.5 오대산 지진 자료를 사용한 1㎐ 스펙트럼 가속...(이미지참조) 353

그림 5.33. 2016년 09월 12일 MW5.4 경주 지진 자료3 사용한 1㎐ 스펙트럼 가속도 감쇠...(이미지참조) 354

그림 5.34. 2017년 11월 15일 MW5.5 포항 지진 자료를 사용한 1㎐ 스펙트럼 가속도 감쇠...(이미지참조) 355

그림 5.35. 2007년 01월 20일 MW4.5 오대산 지진 자료를 사용한 5㎐ 스펙트럼 가속...(이미지참조) 356

그림 5.36. 2016년 09월 12일 MW5.4 경주 지진 자료률 사용한 5㎐ 스펙트럼 가속...(이미지참조) 357

그림 5.37. 2017년 11월 15일 MW5.5 포항 지진 자료를 사용한 5㎐ 스펙트럼 가속...(이미지참조) 358

그림 5.38. 2007년 01월 20일 MW4.5 오대산 지진의 최대지반가속도와 지진동 감쇠...(이미지참조) 361

그림 5.39. 2016년 09월 12일 MW5.4 경주 지진의 최대지반가속도와 지진동 감쇠식...(이미지참조) 362

그림 5.40. 2017년 11월 15일 MW5.5 포항 지진의 최대지반가속도와 지진동 감쇠식...(이미지참조) 363

그림 5.41. 2007년 01월 20일 MW4.5 오대산 지진의 1㎐ 스펙트럼 가속도와 지진동...(이미지참조) 364

그림 5.42. 2016년 09월 12일 MW5.4 경주 지진의 1㎐ 스펙트럼 가속도와 지진동...(이미지참조) 365

그림 5.43. 2017년 11월 15일 MW5.5 포항 지진의 1㎐ 스펙트럼 가속도와 지진동...(이미지참조) 366

그림 5.44. 2007년 01월 20일 MW4.5 오대산 지진의 5㎐ 스펙트럼 가속도와 지진동...(이미지참조) 367

그림 5.45. 2016년 09월 12일 MW5.4 경주 지진의 5㎐ 스펙트럼 가속도와 지진동...(이미지참조) 368

그림 5.46. 2017년 11월 15일 MW5.5 포항 지진의 5㎐ 스펙트럼 가속도와 지진동...(이미지참조) 369

그림 5.47. 미 동부 지진동 감쇠식의 자연로그 값의 표준편차의 규모에 따른 변화(Pezesh... 371

그림 5.48. 연구에서 설정한 논리수목. 지진지체구조 모델, Gutenberg-Richter b값, 최대 규모, 진원 깊이, 지진동 감쇠식에 대한... 372

그림 6.1. PEER 테스트 1. 2에 대한 결과 예시. 코어 코드는 노란색으로 표시되어... 374

그림 6.2. PEER 테스트 1.10의 지진원과 지진재해 계산을 수행한 지... 375

그림 6.3. PEER 테스트 1.10 수행 결과. 본 과제를 위해 작성된 코드의 실행 결과와 다... 376

그림 6.4. 서울, 부산, 대전, 광주 지역의 최대지반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과 발생빈도... 381

그림 6.5. 서울, 부산, 대전, 광주 지역의 1㎐ 스펙트럼 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과 발생빈도... 382

그림 6.6. 서울, 부산, 대전, 광주 지역의 5㎐ 스펙트럼 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과 발생빈... 383

그림 6.7. 지진지체구조 모델에 따른 서울 중구의 최대지반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과 발생빈... 385

그림 6.8. 지진지체구조 모델에 따른 서울 중구의 1㎐ 스펙트럼 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과... 386

그림 6.9. 지진지체구조 모델에 따른 서울 중구의 5㎐ 스펙트럼 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과... 387

그림 6.10. 지진지체구조 모델에 따른 부산 연제구의 최대지반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과 발... 388

그림 6.11. 지진지체구조 모델에 따른 부산 연제구의 1㎐ 스펙트럼 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 389

그림 6.12. 지진지체구조 모델에 따른 부산 연제구의 5㎐ 스펙트럼 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 390

그림 6.13. b값에 따른 서울 중구의 최대지반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과 발생빈도 변화... 391

그림 6.14. b값에 따른 서울 중구의 1㎐ 스펙트럼 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과 발생빈도 변화... 392

그림 6.15. b값에 따른 서울 중구의 5㎐ 스펙트럼 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과 발생빈도 변화... 393

그림 6.16. 최대 규모(Mmax)에 따른 서울 중구의 최대지반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과 발생빈...(이미지참조) 394

그림 6.17. 최대 규모(Mmax)에 따른 서울 중구의 1㎐ 스펙트럼 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과 발...(이미지참조) 395

그림 6.18. 최대 규모(Mmax)에 따른 서울 중구의 5㎐ 스펙트럼 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과 발...(이미지참조) 396

그림 6.19. 진원 깊이에 따른 서울 중구의 최대지반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과 발생빈도 변화... 398

그림 6.20. 진원 깊이에 따른 서울 중구의 1㎐ 스펙트럼 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과 발생빈도... 399

그림 6.21. 진원 깊이에 따른 서울 중구의 5㎐ 스펙트럼 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과 발생빈도... 400

그림 6.22. 지진동 감쇠식에 따른 서울 중구의 최대지반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과 발생빈도... 401

그림 6.23. 지진동 감쇠식에 따른 서울 중구의 1㎐ 스펙트럼 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과 발... 402

그림 6.24. 지진동 감쇠식에 따른 서울 중구의 5㎐ 스펙트럼 가속도의 확률론적 연간 초과 발... 403

그림 6.25. 5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05

그림 6.26. 10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06

그림 6.27. 20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07

그림 6.28. 50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최... 408

그림 6.29. 100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09

그림 6.30. 250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10

그림 6.31. 500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11

그림 6.32. 5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13

그림 6.33. 10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14

그림 6.34. 20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15

그림 6.35. 50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16

그림 6.36. 100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17

그림 6.37. 250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18

그림 6.38. 500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19

그림 6.39. 5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20

그림 6.40. 10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21

그림 6.41. 20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22

그림 6.42. 50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23

그림 6.43. 100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24

그림 6.44. 250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25

그림 6.45. 500년 동안 10%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EP)을 보이는... 426

그림 6.46. 5년 동안 0.3g 이상의 최대지반가속도(PGA)가 발생할 초과확률... 427

그림 6.47. 10년 동안 0.3g 이상의 최대지반가속도(PGA)가 발생할 초과확률... 428

그림 6.48. 20년 동안 0.3g 이상의 최대지반가속도(PGA)가 발생할 초과확률... 429

그림 6.49. 50년 동안 0.3g 이상의 최대지반가속도(PGA)가 발생할 초과확률... 430

그림 6.50. 100년 동안 0.3g 이상의 최대지반가속도(PGA)가 발생할 초과확률... 431

그림 6.51. 250년 동안 0.3g 이상의 최대지반가속도(PGA)가 발생할 초과확률... 432

그림 6.52. 500년 동안 0.3g 이상의 최대지반가속도(PGA)가 발생할 초과확률... 433

그림 6.53. 가상의 단층 지진원을 설정하여 계산한 지진재해. 100년 동안 10% 초과확률을... 435

그림 7.1. 연구진의 구성도. 각각의 역... 437

그림 7.2. 각각의 연구 참여자에게 제안되는 능력 440

그림 8.1. 지진위험지도 홈페이지의 화면. "지진위험지도", "지진위험지도란?"... 447

그림 A10.1. 표준 관입시험이 진행된 시추공의 분포. 637

그림 A10.2. 기반암 혹은 30m 이상까지 표준 관입시험이 시행되어 연구에 사용... 638

그림 A10.3. 위도 36.5˚ N, 경도 127.4˚ E 위치 공간창에서의 대표 전단파속도 주상도. (a) 중간... 639

그림 A10.4. 0.2˚ ×0.2˚ 공간창의 대표 전단파속도 주상도를 통해 계산한 VS30 지도.(이미지참조) 640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29369 363.3495 -19-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29370 363.3495 -19-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