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제도 마련에 관한 정책연구 : 연구보고서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울산 :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8
청구기호
363.11961073 -19-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3, 6, 404 p. : 삽화, 도표 ; 26 cm
총서사항
연구원 ; 2018-821
제어번호
MONO1201944843
주기사항
연구기관: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백희정 ; 공동연구원: 윤미라, 김인아, 임준, 최경옥, 홍은영
부록: 의료기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FGI 진술문 요약
참고문헌: p. 249-255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3

I. 서론 12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2

2. 연구목표 16

II. 연구방법 17

1. 국내 외 사업장 및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와 관리제도 18

2. 의료기관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도구 개발 18

3.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도구 사용지침 작성 20

4.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제도 도입방안 제시 20

III. 연구결과 21

1. 국내ㆍ외 사업장 및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 및 관리제도 21

1) 국제기구의 직무스트레스 관리 규정 및 프로그램 21

2) 국외 직무스트레스 평가 및 관리제도 29

3) 국내 사업장 직무스트레스 평가 및 관리제도 44

4) 국내ㆍ외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완화 및 환경을 위한 제도 검토 47

2. 간호사 직무스트레스와 반응 54

1) 직무스트레스(Occupational Stress)의 정의 54

2) 직무스트레스 모형 54

3.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OSS)와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도구 비교 69

1) 한국인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OSS) 69

2) 국외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도구 74

3) 국내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도구 88

4) 문헌고찰을 통한 문항 추출 103

4. 의료기관 간호사 대상 질적 연구 113

1) 연구방법 113

2) 연구결과 117

5. 의료기관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도구 개발 164

1) 의료기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평가 모형 164

2)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문항 구성 165

3)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도구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172

4) 문항이해도 검토를 위한 예비조사 187

5) 예비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위한 본조사 192

6) 직무스트레스 정도 223

6. 의료기관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NOSS) 사용지침 235

1) 한국인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 도구(K-NOSS) 235

2) 의료기관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15개 하부영역 238

3) 도구의 사용방법 및 활용지침 245

7. 의료기관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제도 도입방안 248

1)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 및 관리 방안 248

2)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정책 방안 249

IV. 결론 및 제언 254

1.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NOSS) 특성 254

2.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제도 도입 방안 258

V. 참고문헌 260

VI. Abstract 267

VII. 부록 269

판권기 416

〈표 3-1〉 스트레스 예방 체크리스트 24

〈표 3-2〉 직장에서의 스트레스 감소 및 예방을 위한 관리 역량 33

〈표 3-3〉 Levels of intervention 43

〈표 3-4〉 일본의 간호인력 확보 노력(보사연 보고서 발췌) 48

〈표 3-5〉 NIOSH의 직무스트레스원과 의미 59

〈표 3-6〉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 영역 및 세부범주 70

〈표 3-7〉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기본형에서 제외 영역 및 제외문항 73

〈표 3-8〉 NSS, ENSS, ENSS-KV의 영역 비교 77

〈표 3-9〉 NSS, ENSS, ENSS-KV의 문항 비교 78

〈표 3-10〉 Hingley와 Cooper의 간호스트레스 평가도구 요인 및 문항 83

〈표 3-11〉 SSEN 요인 및 문항 86

〈표 3-12〉 김매자와 구미옥의 도구 요인 및 문항 89

〈표 3-13〉 김매자와 구미옥의 도구를 수정 보완한 연구의 요인과 문항 수 비교 91

〈표 3-14〉 홍근표의 도구 요인 및 문항 93

〈표 3-15〉 김연태의 도구 요인 및 문항 95

〈표 3-16〉 김연태의 도구를 수정 보완한 연구의 요인과 문항 수 비교 97

〈표 3-17〉 배정이와 서문자의 도구 요인 및 문항 98

〈표 3-18〉 KOSS 기본형과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영역 비교 101

〈표 3-19〉 KOSS 기본형과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문항 비교 104

〈표 3-20〉 의료기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파악을 위한 질적 연구 일정표 114

〈표 3-21〉 의료기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파악을 위한 질문 115

〈표 3-22〉 질적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18

〈표 3-23〉 직무스트레스 요인 1. 물리적 환경 120

〈표 3-24〉 직무스트레스 요인 2. 직무요구 122

〈표 3-25〉 직무스트레스 요인 3. 직무긴장과 책임 127

〈표 3-26〉 직무스트레스 요인 4. 정서/심리적 요구(감정노동) 129

〈표 3-27〉 직무스트레스 요인 5. 직무자율성 130

〈표 3-28〉 직무스트레스 요인 6. 역할갈등 131

〈표 3-29〉 직무스트레스 요인 7. 역할모호 132

〈표 3-30〉 직무스트레스 요인 8. 관계갈등 135

〈표 3-31〉 직무스트레스 요인 9. 조직체계 138

〈표 3-32〉 직무스트레스 요인 10. 적정인력 143

〈표 3-33〉 직무스트레스 요인 11. 교육훈련 146

〈표 3-34〉 직무스트레스 요인 12. 보상부적절 147

〈표 3-35〉 직무스트레스 요인 13. 직장문화 149

〈표 3-36〉 직무스트레스 요인 14. 직무위험도 151

〈표 3-37〉 직무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제언 153

〈표 3-38〉 질적연구를 통한 문항 추출 158

〈표 3-39〉 문헌고찰과 질적연구 결과 개발 문항 165

〈표 3-40〉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14개 영역 및 정의 172

〈표 3-41〉 델파이 1차 조사 영역별 CVI 점수 173

〈표 3-42〉 델파이 1차 조사 영역별 문항 CVI 점수 174

〈표 3-43〉 델파이 2차 조사 영역별 하위영역 180

〈표 3-44〉 델파이 2차 조사 영역별 CVI 점수 181

〈표 3-45〉 델파이 2차 조사 영역별 문항 CVI 점수 182

〈표 3-46〉 예비조사 대상자 187

〈표 3-47〉 예비 문항 189

〈표 3-48〉 본조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3

〈표 3-49〉 문항별 기술통계량 195

〈표 3-50〉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문항 간 상관계수 198

〈표 3-51〉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예비문항의 탐색적 요인분석 1 204

〈표 3-52〉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예비문항의 탐색적 요인분석 2(53문항) 209

〈표 3-53〉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예비문항의 확증적 요인분석 213

〈표 3-54〉 K-NOSS의 신뢰도 216

〈표 3-55〉 K-NOSS와 KOSS, OLBI 간의 상관관계 219

〈표 3-56〉 한국인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최종 문항 221

〈표 3-57〉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정도 226

〈표 3-58〉 의료기관 종별 직무스트레스 정도의 차이 231

〈표 3-59〉 한국인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NOSS) 235

〈표 3-60〉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 평가체계 249

〈표 3-61〉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정책 방안 252

[그림 1-1] 전문가 예측을 통해 파악한 새로운 사회심리학적 위험 14

[그림 2-1] 연구절차 17

[그림 3-1] NIOSH의 직무스트레스 예방 단계 30

[그림 3-2] 영국 HSE의 관리 기준(Management Standards)식 접근 32

[그림 3-3] 작업장 안녕 헌장의 3단계 달성 수준 36

[그림 3-4] 스트레스 검사 제도 흐름도(일본) 39

[그림 3-5] 서울근로자건강센터 운영목적(예시) 46

[그림 3-6] 근로자 건강센터의 진단프로그램 프로세스와 내용(예시) 46

[그림 3-7] 근로자 건강센터의 상담프로그램 프로세스와 내용(예시) 47

[그림 3-8] Karasek의 Demand Control Model 55

[그림 3-9]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의 직업스트레스와 건강 간의 모형 60

[그림 3-10] KOSS의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설명 모형 도식 62

[그림 3-11] Bakker와 Demerouti의 직무자원 모형 65

[그림 3-12] Bakker와 Demerouti 직무자원 이론 66

[그림 3-13] 직무스트레스 평가모형(JD-R Model) 164

[그림 3-14] 온라인 설문지(참여자 동의 부분) 193

[그림 3-15]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NOSS) Scree plot 203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31834 363.11961073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31835 363.11961073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