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자원순환연구분야 발전방향 로드맵 작성 연구 = A study of roadmap for resource circulation research area and development / 국립환경과학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국립환경과학원, 2018
청구기호
363.7282 -19-15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v, 339 p. : 삽화, 도표 ; 30 cm
총서사항
NIER-SP ; 2018-084
연구과제보고서 ; 2018
제어번호
MONO1201948855
주기사항
연구기관: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책임자: 장용철, 이소라
참고문헌: p. 334-338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1장 서론 18

제1절 연구사업의 배경 및 필요성 18

제2절 연구사업의 내용 및 목적 19

1. 연구사업의 내용 19

2. 연구사업의 목적 20

제3절 연구사업의 추진체계 20

제2장 국내외 순환자원 및 유해폐기물 관련 현황 및 연구 동향 22

제1절 국내외 순환자원 관련 현황 및 연구 동향 22

1. EU의 순환자원 관련 현황 및 연구 동향 22

2. 독일의 순환자원 관련 현황 및 연구 동향 30

3. 일본의 순환자원 관련 현황 및 연구 동향 41

4. 국내 순환자원 관련 현황 및 연구 동향 61

제2절 국내외 유해폐기물 관련 현황 및 연구 동향 80

1. EU의 유해폐기물 관련 현황 및 연구 동향 80

2. 미국의 유해폐기물 관련 현황 및 연구 동향 86

3. 일본의 유해폐기물 관련 현황 및 연구 동향 93

4. 국내 유해폐기물 관련 현황 및 연구 동향 99

제3절 국내외 신규 폐기물(New Emerging Waste) 발생 및 관리 현황 111

1. 폐 태양광 패널 111

2. 전기자동차 폐배터리 116

3. 폐 LED 전등 119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121

1. 국내외 순환자원 관련 현황 및 연구동향 121

2. 국내외 유해폐기물 관련 현황 및 연구 동향 122

제3장 자원순환 관련 국가 환경정책 지원 및 미래 발전 방안 124

제1절 국내외 자원순환 관련 중장기 환경정책 지원 현황 124

1. 자원순환 관련 국내외 여건 변화 및 주요 현안 124

2. 국내외 순환경제 관련 중장기 환경정책 추진 동향 128

3. 국내외 지속가능발전 관련 중장기 환경정책 추진 동향 136

4. 국내외 기후변화 대응 관련 중장기 환경정책 추진 동향 147

5. 국내외 4차 산업혁명 활용 폐기물 관리 현황 154

제2절 자원순환 관련 중장기 환경정책 지원 방안 마련 158

제3절 자원순환 관련 미래 발전 방안 제시 164

제4장 수요자중심(On-Demand) 자원순환 활성화 방안 마련 166

제1절 국내 자원순환 연구 관련 수요 166

1. 국민 및 시민사회 166

2. 행정 및 유관 부처 167

3. 연구 및 학술기관 169

4. 산업계 174

제2절 폐기물 자원순환 분야별, 재활용 및 유해특성 관련 중장기 연구 활성화 방안 175

제5장 자원순환 관련 분야별 국립환경과학원 중장기 연구 과제(안) 도출 및 로드맵 마련 178

제1절 자원순환 관련 과학원 수행 연구 성과와 문제점 조사 178

1. 국립환경과학원의 수행 연구 현황 및 성과 178

2. 국립환경과학원의 수행 연구 관련 문제점 및 SWOT 분석 194

3. 향후 국립환경과학원 및 자원순환과의 비전 및 목표 196

제2절 순환경제사회 구축을 위한 자원순환 분야 연구방향 및 중점 핵심과제 도출 198

1. 자원순환사회 실현을 위한 자원순환 분야 연구방향 198

2. 자원순환사회 실현을 위한 자원순환분야 중점 핵심과제 204

제3절 연구 분야별 중점과제 세부 사업계획서 및 로드맵 마련 206

1. 순환자원관리 및 물질흐름 분야 206

2. 자원순환기술 및 공정시험법 분야 234

3. 미래 자원순환 정책과 4차 산업혁명 분야 264

4. 유해폐기물 관리 분야 294

5. 자원순환 법·제도 개선 분야 320

6. 자원순환연구분야 중장기 로드맵(초안) 343

제4절 자원순환분야 연구인력 효율적 운영관리 및 연구업무 창출 방향제시 345

1. 연구인력 증원 및 전문성 확보 345

2. 기초/응용 연구 분야 확립 346

3. 자원순환 및 물질순환 주제 연구 활성화 347

4. 국제화 연구 수행 활성화 347

5. 타 기관과의 공동/협업 연구 활성화 347

제6장 결론 348

제1절 요약 및 결론 348

제2절 본 연구의 기대성과 350

제3절 참고문헌 351

〈표 2-1〉 2012년~2016년 EU-28의 생활폐기물 처리량 23

〈표 2-2〉 EU 자원순환관련 법체계 및 주요내용 26

〈표 2-3〉 2012년~2016년도 EU-28의 폐기물 종류별 재활용률 27

〈표 2-4〉 EU의 순환자원 및 폐기물처리 분야 주요 프로젝트 29

〈표 2-5〉 2016년도 독일의 폐기물 유형별 처리방법 31

〈표 2-6〉 독일의 「자원순환관리법」 체계도 35

〈표 2-7〉 독일의 자원순환의 기본원칙 및 폐기물 처리의무 36

〈표 2-8〉 2011년~2016년도 독일의 생활폐기물 발생량 37

〈표 2-9〉 독일의 순환자원 및 폐기물처리 분야 주요 프로젝트 40

〈표 2-10〉 일본의 「순환형사회형성기본법」 체계도 44

〈표 2-11〉 일본의 자원순환 성과 비교(2000년, 2014년) 46

〈표 2-12〉 일본의 물질순환 목표치 및 성과 47

〈표 2-13〉 일본의 순환자원 및 폐기물처리 분야 주요 프로젝트(목록화) 50

〈표 2-14〉 일본 NIES의 조직별 역할 53

〈표 2-15〉 일본 NIES의 예산 현황 55

〈표 2-16〉 일본 NIES의 역할 및 연구 분야 56

〈표 2-17〉 일본 NIES 체제 및 연구 변천 57

〈표 2-18〉 국내 연도별 폐기물 발생 현황 62

〈표 2-19〉 국내 폐기물의 연도별 처리방법의 변화 65

〈표 2-20〉 시대별 국내 폐기물 관리 정책 패러다임 변화 71

〈표 2-21〉 순환자원 및 폐기물처리 관련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75

〈표 2-22〉 국내의 순환자원 및 폐기물처리 분야 주요 프로젝트(목록화) 79

〈표 2-23〉 EU의 폐기물 유해특성 규정(H1~H15) 82

〈표 2-24〉 EU의 폐기물 유해특성분야 주요 프로젝트 85

〈표 2-25〉 2007년~2015년 미국의 유해폐기물 발생량 및 처리량 86

〈표 2-26〉 2015년 미국의 유해폐기물 처리방법에 따른 처리량 86

〈표 2-27〉 미국 유해폐기물의 특성 88

〈표 2-28〉 미국의 유해폐기물분야 주요 프로젝트 92

〈표 2-29〉 일본의 폐기물 분류 및 내용 95

〈표 2-30〉 일본의 특별관리산업폐기물의 판정기준(폐기물처리법시행규칙 제1조의2) 96

〈표 2-31〉 일본의 유해폐기물 분야 주요 프로젝트(목록화) 98

〈표 2-32〉 국내 전체 지정폐기물 종류별 발생 현황 100

〈표 2-33〉 전체 지정폐기물 처리방법 현황 102

〈표 2-34〉 국내 지정폐기물 분류에 따른 종류 103

〈표 2-35〉 국내 지정폐기물에 함유된 유해물질 규제기준 104

〈표 2-36〉 국내 유해폐기물 분야 목록화 연구 106

〈표 2-37〉 국내 유해폐기물 분야 안전처리 및 관리방안 연구 107

〈표 2-38〉 국내 유해폐기물 분야 기초연구 108

〈표 2-39〉 국내 유해폐기물 분야 주요 연구 목록화 110

〈표 2-40〉 세계의 누적 폐 태양광 패널 양 예상 111

〈표 2-41〉 일본의 폐 태양광 설비의 폐기물 구분 및 발생 경로 정의 113

〈표 2-42〉 국내 전기차 시장 현황과 전망 117

〈표 2-43〉 국내 전기차 폐배터리 관련 법령 118

〈표 2-44〉 WEEE의 제품군 및 대상 주요 제품 119

〈표 3-1〉 덴마크 코펜하겐의 폐기물 관리 이니셔티브 및 조치 131

〈표 3-2〉 일본의 제 5차 환경기본계획(2018년 4월) 132

〈표 3-3〉 일본의 제 4차 순환형사회 형성 추진기본계획의 미래상 133

〈표 3-4〉 일본의 제 4차 순환형사회 형성 추진기본계획의 미래상에 대한 국가적 대책 133

〈표 3-5〉 제 4차 순환형사회 형성 추진기본계획의 목표치 134

〈표 3-6〉 미래 환경 R&D를 통해 해결이 필요한 쟁점 135

〈표 3-7〉 UN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자원순환 관련 세부 목표 137

〈표 3-8〉 일본 도쿄의 지속가능한 물질과 폐기물 관리 계획(2016년) 141

〈표 3-9〉 UN 지속가능발전목표와 국가 3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143

〈표 3-10〉 제3차 지속가능발전계획의 매립률 목표치 143

〈표 3-11〉 지속가능한발전 목표 12번 주요 지표(안) 145

〈표 3-12〉 EU의 기후변화 완화 정책 148

〈표 3-13〉 EU의 기후변화 완화 정책 및 방안(EEA Database) 149

〈표 3-14〉 기후변화대응 중장기 추진전략 방향 152

〈표 3-15〉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주요 과제 152

〈표 3-16〉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7)의 단계별 세부과제 목록 160

〈표 3-17〉 자원순환 관련 중장기 환경정책 지원 연구사업 주제 162

〈표 4-1〉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7)의 자원순환 지표 168

〈표 4-2〉 연구 및 학술기관의 자원순환 분야 수요자의 제안 연구과제 169

〈표 4-3〉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7)의 단계별 예산 추이 176

〈표 5-1〉 자원순환분야 중 환경부 소속 산하기관과의 수행 역할 비교 179

〈표 5-2〉 2007~2018년도 국립환경과학원 자원순환연구과의 수행 연구과제 및 주요 주제 목록 189

〈표 5-3〉 자원순환연구과의 SWOT 분석 195

〈표 5-4〉 자원순환분야 로드맵 연구 사업후보 1차(안) 198

〈표 5-5〉 자원순환분야 로드맵 연구 사업후보 2차(안) 201

〈표 5-6〉 자원순환분야 로드맵 연구 사업후보 3차(안) 202

〈표 5-7〉 자원순환분야 로드맵 연구사업 최종(안) 203

〈표 5-8〉 분야별 주요 핵심과제 도출 결과 205

〈표 5-9〉 국내외 폐기물 재활용과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 관련 연구과제 207

〈표 5-10〉 국내외 사업장폐기물의 재활용 시 위해도 평가 기반 연구 관련 연구과제 210

〈표 5-11〉 국내외 생활폐기물의 물질흐름분석 관련 연구 과제 213

〈표 5-12〉 국내외 플라스틱 폐기물의 물질흐름분석 연구 관련 현황 요약 216

〈표 5-13〉 국내외 사업장폐기물의 물질흐름분석 관련 연구 과제 220

〈표 5-14〉 순환자원관리 및 물질흐름 분야 연구사업 제안 222

〈표 5-15〉 국내외 폐비닐/폐플라스틱 화학적 열분해 기술개발 현황 238

〈표 5-16〉 무기성폐자원의 재활용 관련 국내 법규 239

〈표 5-17〉 무기성폐자원의 재활용에 대한 국외 기준 정리 240

〈표 5-18〉 최근 10년 국내 폐기물 관련 공정시험방법 개선에 대한 주요 연구 244

〈표 5-19〉 나노물질의 용도 및 주요 노출 경로 246

〈표 5-20〉 나노물질의 기존 정량분석 방법 248

〈표 5-21〉 나노물질 위해성 관련 국내 부처별 연구동향 249

〈표 5-22〉 자원순환기술(공정시험법 포함) 분야 연구사업 제안 251

〈표 5-23〉 일본의 폐태양광 설비의 폐기물 구분 및 발생 경로 정의 264

〈표 5-24〉 일본 차세대 3R 기반 기술 개발 목적 및 기대효과 266

〈표 5-25〉 국내외 신규폐기물 활용 분야에서 수행된 연구리스트 268

〈표 5-26〉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이용한 해외 적용 사례 272

〈표 5-27〉 국내외 미래 자원순환 기술 및 4차 산업혁명 활용 분야에서 수행된 연구(사업)리스트 273

〈표 5-28〉 국내외 자원순환 성능 및 처리기반 활용 분야에서 수행된 연구리스트 276

〈표 5-29〉 가전리사이클법에서 재상품화를 재활용 하는 방법 277

〈표 5-30〉 일본의 전기·전자제품 재상품화 기술 278

〈표 5-31〉 일본 가전리사이클 연차보고서 내 플라스틱·선별 재활용 기술 279

〈표 5-32〉 일본 가전리사이클 연차보고서 내 프레온 회수·관리 체제(계속) 280

〈표 5-33〉 일본 가전리사이클 연차보고서 내 재상품화 처리 기술의 향상(계속) 281

〈표 5-34〉 일본 가전리사이클 연차보고서 내 고급 재활용 기술(계속) 282

〈표 5-35〉 일본 가전리사이클 연차보고서 내 생산성 향상 282

〈표 5-36〉 국내외 전자·전기제품 폐기물의 융합기술 분야에서 수행된 연구리스트 283

〈표 5-37〉 미래 자원순환 정책 및 4차 산업혁명 활용 분야 연구사업 제안 284

〈표 5-38〉 폐기물관리법의 개정에 따른 유해특성의 확대 294

〈표 5-39〉 국내외 폐기물 유해특성 관리 관련 연구과제 295

〈표 5-40〉 미나마타협약 제11조 수은폐기물 297

〈표 5-41〉 스위스의 수은 폐기물 농도 기준 298

〈표 5-42〉 국내외 수은 독성 및 수은 함유폐기물 기준설정 관련 연구과제 299

〈표 5-43〉 제2차 나노안전관리 종합계획 세부 내용 301

〈표 5-44〉 국내외 폐기물 유해특성 관리 관련 연구과제 302

〈표 5-45〉 국내 의료폐기물 처리에 대한 주요 이슈 303

〈표 5-46〉 국내외 폐기물 유해특성 관리 관련 연구과제 304

〈표 5-47〉 국내로 수입된 폐기물의 불법 사례 306

〈표 5-48〉 국내외 폐기물 유해특성 관리 관련 연구과제 307

〈표 5-49〉 지속가능발전목표의 개념과 대상 320

〈표 5-50〉 순환경제(CE : Circular economy)패키지에 대한 행동계획(action plan) 321

〈표 5-51〉 일본의 제3차 순환기본계획의 대응과제 및 목표설정 322

〈표 5-52〉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 자원순환지표 323

〈표 5-53〉 국내외 자원순환지표 관련 연구과제 324

〈표 5-54〉 국내외 건설폐기물 제도 관련 연구과제 328

〈표 5-55〉 국내외 재활용품 제도 개선 관련 연구과제 331

〈표 5-56〉 EU의 생활계 유해폐기물 목록 333

〈표 5-57〉 국내외 생활계 유해폐기물 제도 관련 연구과제 334

〈표 5-58〉 자원순환분야 로드맵 연구사업 목록 343

〈그림 2-1〉 2014년도 EU-28의 폐기물 발생 유형 22

〈그림 2-2〉 2014년도 EU-28의 폐기물 처리량 22

〈그림 2-3〉 2015년도 EU의 1인당 포장폐기물 발생량 및 재활용량 23

〈그림 2-4〉 2015년도 EU의 일반적인 포장폐기물의 유형 24

〈그림 2-5〉 2010년~2014년 EU-28의 폐기물 발생량(무기계 폐기물 제외)의 처리방법별 처리율 27

〈그림 2-6〉 2016년도 독일의 폐기물 발생 유형 30

〈그림 2-7〉 2003~2015년도 독일의 폐기물 회수율과 처리율 32

〈그림 2-8〉 2003년~2015년도 독일의 폐기물 유형별 회수율 32

〈그림 2-9〉 독일의 자원순환 관련 법 체계 34

〈그림 2-10〉 독일 생활폐기물의 처리방법과 방법별 처리량 변화추세 37

〈그림 2-11〉 독일의 생활폐기물의 재활용량 38

〈그림 2-12〉 일본의 폐기물 분류체계 41

〈그림 2-13〉 일본의 일반폐기물 발생량 추이 42

〈그림 2-14〉 일본의 일반폐기물 처리방법의 추이 42

〈그림 2-15〉 일본의 일반폐기물 처리 흐름도(2014) 43

〈그림 2-16〉 일본의 순환형사회 형성 추진을 위한 시책체계 45

〈그림 2-17〉 2000년도 일본의 물질흐름 46

〈그림 2-18〉 2014년도 일본의 물질흐름 47

〈그림 2-19〉 일본 NIES 조직도 52

〈그림 2-20〉 일본 NIES 자원순환·폐기물 연구센터 조직도 53

〈그림 2-21〉 NIES 정규직 인력 분포 54

〈그림 2-22〉 NIES 계약직 인력 분포 54

〈그림 2-23〉 NIES 자원순환·폐기물 연구센터 연구실별 인력현황 55

〈그림 2-24〉 NIES의 자원순환 연구 프로그램 58

〈그림 2-25〉 NIES의 자원순환 및 폐기물 관리 연구 59

〈그림 2-26〉 NIES 자원순환·폐기물 연구센터의 국제협약 관계 59

〈그림 2-27〉 NIES 후쿠시마 지부의 환경 긴급 연구 프로그램 60

〈그림 2-28〉 국내 폐기물 분류체계 61

〈그림 2-29〉 2016년도 국내 발생폐기물 구성 비율 62

〈그림 2-30〉 국내 폐기물 발생량 변화추이(2011~2016) 63

〈그림 2-31〉 국내 생활계폐기물 발생량 및 비율 63

〈그림 2-32〉 국내 사업장배출계폐기물 발생량 및 비율 64

〈그림 2-33〉 국내 건설폐기물 발생량 및 점유율 65

〈그림 2-34〉 국내 폐기물 처리방법의 연도별 추이 66

〈그림 2-35〉 연도별 생활폐기물 처리방법별 처리량 66

〈그림 2-36〉 연도별 생활폐기물 처리방법별 처리율 변화추이 67

〈그림 2-37〉 국내 연도별 사업장배출시설계 폐기물 처리방법별 처리량 변화추이 67

〈그림 2-38〉 연도별 사업장배출시설계 폐기물 처리방법별 처리율 변화추이 68

〈그림 2-39〉 국내 연도별 건설폐기물의 처리방법별 처리량 변화추이 68

〈그림 2-40〉 국내 연도별 건설폐기물의 처리방법별 처리율 변화추이 69

〈그림 2-41〉 국내 폐기물 관련 정책 및 제도의 변화 70

〈그림 2-42〉 국내 자원선순환 체계 72

〈그림 2-43〉 자원순환기본법 구성 체계 74

〈그림 2-44〉 전체 폐기물 발생량 중 유해폐기물 발생량 80

〈그림 2-45〉 2014년도 EU의 유해폐기물 처리량 81

〈그림 2-46〉 EU의 유해폐기물 평가 방법 83

〈그림 2-47〉 미국의 폐기물 분류 89

〈그림 2-48〉 일본의 산업폐기물 발생량 추이 93

〈그림 2-49〉 일본의 산업폐기물 처리 흐름도(2014) 94

〈그림 2-50〉 각 전지 유형별 'Hg free' 표시가 있는 전지 비율 97

〈그림 2-51〉 국내 전체 지정폐기물 발생량 변화추이(2008~2016) 99

〈그림 2-52〉 국내 지정폐기물 연도별 처리량 변화추이 101

〈그림 2-53〉 국내 지정폐기물 연도별 처리율 변화추이 101

〈그림 2-54〉 유럽의 태양광 패널 회수 및 재활용 방법 112

〈그림 2-55〉 일본의 폐 태양광 설비 재활용 적정처리 로드맵 114

〈그림 2-56〉 2015년 세계 태양광 설치량 순위 115

〈그림 2-57〉 한국의 누적 폐 태양광 패널 양 예상 115

〈그림 2-58〉 국내 LED 시장 규모 전망 120

〈그림 2-59〉 국내 폐 LED 발생 전망 120

〈그림 3-1〉 지구 평균기온 상승에 따른 영향 124

〈그림 3-2〉 지구 자원의 현황과 전망 125

〈그림 3-3〉 미국의 자국우선주의 정책 127

〈그림 3-4〉 2018년 세계 및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 127

〈그림 3-5〉 유럽의 순환경제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129

〈그림 3-6〉 유럽연합의 순환경제 추진을 위한 연구기술 개발 투자 129

〈그림 3-7〉 UN 지속가능발전목표 17개 136

〈그림 3-8〉 EU의 SDG 목표 12번에 관한 동향 139

〈그림 3-9〉 국내 여건을 반영한 주요 지속가능발전목표 144

〈그림 3-10〉 EU회원국의 기후변화 완화에 대한 정책 개수 147

〈그림 3-11〉 EU회원국의 분야별 기후변화 완화 정책 개수 148

〈그림 3-12〉 국내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량 153

〈그림 3-13〉 제1차~4차 산업혁명 154

〈그림 3-14〉 뉴욕 타임스퀘어의 태양광 쓰레기통 155

〈그림 3-15〉 인공지능 폐기물 선별로봇, ZenRobotics 156

〈그림 3-16〉 가축분뇨 전자인계시스템 업무처리도 157

〈그림 3-17〉 폐기물 관로이송시스템 157

〈그림 3-18〉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7)의 비전과 전략 159

〈그림 4-1〉 국민환경의식 조사(2017) 중 주요 환경문제 166

〈그림 4-2〉 주체별 환경보전 및 환경오염 책임과 노력 평가 167

〈그림 4-3〉 폐기물 자원순환 및 재활용 관련 중장기 연구의 수요자별 역할 176

〈그림 5-1〉 국립환경과학원 자원순환연구과의 연도별 연구인력 현황 추이 180

〈그림 5-2〉 국립환경과학원 자원순환연구과의 연도별 수행 연구과제 수 추이 181

〈그림 5-3〉 국립환경과학원 자원순환연구과의 연도별 연구인력 대비 연구과제 수 추이 181

〈그림 5-4〉 국립환경과학원 자원순환연구과의 연도별 연구과제 예산 추이 182

〈그림 5-5〉 국립환경과학원 자원순환연구과의 연도별 연구과제 재원 현황 182

〈그림 5-6〉 국립환경과학원 자원순환연구과의 연도별 연구과제 수행 주체 현황 183

〈그림 5-7〉 국립환경과학원 자원순환연구과의 연구과제 연속성 현황 184

〈그림 5-8〉 2007~2018년 자원순환연구과의 수행 연구과제 분야 184

〈그림 5-9〉 2007~2010년 자원순환연구과의 수행 연구과제 분야 185

〈그림 5-10〉 2011~2014년 자원순환연구과의 수행 연구과제 분야 185

〈그림 5-11〉 2015~2018년 자원순환연구과의 수행 연구과제 분야 186

〈그림 5-12〉 자원순환연구과의 연구과제 대상 폐기물 종류 현황 186

〈그림 5-13〉 2007~2010년 자원순환연구과의 연구 대상 폐기물 종류 현황 187

〈그림 5-14〉 2011~2014년 자원순환연구과의 연구 대상 폐기물 종류 현황 187

〈그림 5-15〉 2015~2018년 자원순환연구과의 연구 대상 폐기물 종류 현황 188

〈그림 5-16〉 자원순환연구과의 수행연구과제의 주요 주제 188

〈그림 5-17〉 국립환경과학원의 비전 및 목표 196

〈그림 5-18〉 자원순환연구과의 비전과 목표 197

〈그림 5-19〉 1분야 중점 핵심과제 도출 결과 204

〈그림 5-20〉 2분야 중점 핵심과제 도출 결과 204

〈그림 5-21〉 3분야 중점 핵심과제 도출 결과 204

〈그림 5-22〉 4분야 중점 핵심과제 도출 결과 204

〈그림 5-23〉 5분야 중점 핵심과제 도출 결과 205

〈그림 5-24〉 미국 플로리다 주정부의 위해도 기반 토양오염 정화기준 목표치 209

〈그림 5-25〉 일본의 생활폐기물의 물질흐름도(2012년) 212

〈그림 5-26〉 일본 플라스틱의 물질흐름도(2016년) 215

〈그림 5-27〉 일본의 생활폐기물의 물질흐름도(2012년) 218

〈그림 5-28〉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방법 234

〈그림 5-29〉 산업폐플라스틱을 원료로 한 주요 재활용 제품 235

〈그림 5-30〉 RPF 제조 전과정 236

〈그림 5-31〉 폐플라스틱 열분해 공정의 구성도 237

〈그림 5-32〉 순환경제 모식도 241

〈그림 5-33〉 Leipzig 폐기물처리시설 처리공정 242

〈그림 5-34〉 환경 내 나노물질 노출 경로 245

〈그림 5-35〉 나노물질의 세포 내 독성 발현 기작 247

〈그림 5-36〉 탄소나노튜브의 예상 물질 흐름도 248

〈그림 5-37〉 일본의 폐태양광 설비 재활용 적정처리 로드맵 265

〈그림 5-38〉 일본 차세대 3R 기반 기술 개발 개요도(2016~2020) 266

〈그림 5-39〉 폐기물 처리·리사이클 분야에서의 IoT의 활용 269

〈그림 5-40〉 플랜트 운전관리의 최적화 270

〈그림 5-41〉 디지털 관리와 페이퍼리스화 270

〈그림 5-42〉 파쇄·선별 플랜트의 정도 및 수율 향상 271

〈그림 5-43〉 JCM을 위한 MRV 프로세스 고도화 271

〈그림 5-44〉 IoT를 활용한 산업폐기물 등의 최적 회수 루트 271

〈그림 5-45〉 KAIST 지능형 지속가능 환경 연구실에서 개발 중인 CURE 1.0 시스템 275

〈그림 5-46〉 빅데이터 기반의 자원순환 의사결정 단계 275

〈그림 5-47〉 일본의 자원순환 개념도 322

〈그림 5-48〉 일본의 건설리사이클링법의 주요골자 326

〈그림 5-49〉 일본의 건축물 해체공법에 따른 자원재활용 효율성 326

〈그림 5-50〉 제3차 건설폐기물 재활용 기본계획의 정책 목표 및 추진 전략 327

〈그림 5-51〉 분리해체 대상건축폐기물의 구분 328

〈그림 5-52〉 자원순환 연구분야 중장기(2019~2023년) 총괄 로드맵(안) 344

〈그림 5-53〉 국립환경과학원 자원순환연구과, 일본 NIES 자원순환·폐기물 연구센터의... 345

〈그림 5-54〉 일본 NIES 자원순환·폐기물 연구센터 인력 현황 346

〈그림 5-55〉 국립환경과학원 자원순환연구과의 인력 현황 34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36615 363.7282 -19-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36616 363.7282 -19-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