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광역·근해 해양재분석자료 생산기반연구. 3 /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2018
청구기호
551.462 -19-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viii, 451 p. : 삽화, 도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952140
주기사항
[연구기관]: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책임연구원: 최병주
부록: 1. 중간보고회 자문의견 ; 2. 최종보고회 자문의견 ; 3.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 규정을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 외
참고문헌: p. 409-411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1장 장기 해양재분석자료 생산 및 서비스 기반 마련 46

1. 관측자료별 수집·처리·관리 방안 46

(1) 장기(20년 이상) 해양재분석자료 생산을 위한 관측자료별(CTD, 인공위성, Argo 부이 자료 등) 수집·처리·관리 방안을 마련 46

(2) 최근 3년간(2015~2017년) 관측자료들에 수립된 관리방안에 시험 적용 55

2. 해양재분석자료 제공 방안 마련 59

(1) 설문조사 등을 통해 수요자별 해양재분석자료의 제공방법, 자료형식, 시·공간 간격을 조사 59

(2) 해양재분석자료 제공 방안 제시 67

제2장 황·동중국해 해양재분석자료 정확도 개선 69

1. 국립해양조사원 정선 연직수온·염분 관측자료 이용하여 해양 재분석자료 정확도 개선 71

(1) 국립해양조사원 CTD 관측자료가 동화되었을 때 개선된 사항 제시 76

2. 2016년 황동중국해 해양재분석자료 개선 91

(1) 국립해양조사원 CTD 관측자료 추가하여 황동중국해 해양재분석 자료 개선 및 개선 정도 제시 91

제3장 자료동화 적용 동해 수치모델 개선 125

1. 동해 여름과 가을철의 표층 염분 분포에 대한 재현성 개선 실험 127

(1) 대기 외력 강수량과 기상청(한국, 일본) AWS 관측 강수량 비교 127

(2) 기상청(한국, 일본) AWS 관측 강수량을 이용한 대기 외력 강수량 보정 133

(3) 대기 외력 강수량 보정 전·후 동해 모델 표층 염분과 HYCOM 표층 염분의 수평 분포 비교 141

(4) 대기 외력 강수량 보정 전·후 동해 모델 표층 염분과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 표층 염분의 수평 분포 비교 146

(5) 대기 외력 강수량 보정 전·후 동해 모델 염분·수온과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 염분·수온의 수직 분포 비교 151

(6) 대기 외력 강수량 보정 전·후 동해 모델 염분·수온과 국립해양조사원 정선 해양관측자료 염분·수온의 수직 분포 비교 157

(7) 결론 및 개선사항 164

2. 수치모델(ROMS)의 연직좌표계 변환함수 최적화 실험 165

(1) 동해 모델의 중층 연직 해상도가 가장 높은 theta_s(θs), theta_b(θb) 설정[이미지참조] 165

(2) 변경 된 연직 좌표계 변환함수 적용 동해 모델 수온·염분과 국립수산과학원 정선해양관측자료 수온·염분의 수직 분포 비교 168

(3) 결론 및 개선사항 175

3. 앙상블 칼만필터 자료동화 기법 적용 2017년 자료동화 수행 176

(1) OSTIA와 자료동화 동해 모델의 표층 수온 비교 179

(2) HYCOM과 자료동화 동해 모델의 수온·염분 비교 182

(3)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자료동화 동해 모델의 수온·염분 분포 비교 187

(4) 국립해양조사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자료동화 모델의 수직 수온·염분 분포 비교 199

(5) 인공위성 AVISO와 자료동화 모델의 해수면 높이, 해류 비교 205

4. 결론 207

제4장 자료동화 적용 황동중국해 수치모델 개선 208

1. 앙상블 칼만필터(EnKF) 자료동화 적용하여 2017년 자료동화 수행 208

(1) OSTIA와 자료동화 황·동중국해 모델의 표층 수온 비교 210

(2) HYCOM 모델과 자료동화 황·동중국해 수온·염분 비교 214

(3)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자료동화 황·동중국해 모델의 수온·염분 분포 비교 218

(4) 국립해양조사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자료동화 황·동중국해 모델의 수직 수온·염분 분포 비교 226

(5) 자료동화 된 황·동중국해 모델 해류장 232

(6) 개선 사항 및 방안 제시 234

제5장 울릉도 주변해역 수치예측모델 연계수행 체계 수립 243

1. 울릉도 주변해역의 수치모델(1/108˚, 약 1km) 연계수행 체계 수립 243

(1) 울릉도 주변 해역의 3차원 해양 1km 수치모델 구성 243

2. 2014년 1km(1/108˚) 수치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수치실험 251

(1) 2014년 동해 3km 수치모델 연평균 결과와 HYCOM 연평균 자료 비교 251

(2) 개방경계 자료(HYCOM, EastB3k)에 따른 1km 수치모델 실험(EastUlk_H, EastU1k_E) 257

(3) 대기 강제력 자료(바람장)에 따른 1km 수치모델 실험(EastU1k_CF, EastU1k_WF) 261

(4) 개방 경계조건(Relaxation) 및 매개변수에 따른 1km 수치모델 실험 264

(5) 점성항(Bi-harmonic) 및 지형에 따른 1km 수치모델 실험 267

(6) 위성자료 및 해양재분석자료(HYCOM)의 해수순환 및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관측자료에 의한 수온 검증 270

3. 2016년 1km(1/108˚) 수치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수치실험 273

(1) 2016년 동해 3km 수치모델(EastB3k) 연평균 결과와 HYCOM 연평균 자료 비교 273

(2) 개방경계 자료(전남대 3km 수치모델, HYCOM)에 따른 1km 수치모델 실험 279

(3) 경계조건(Relaxation) 및 각종 매개변수에 따른 1km 수치모델 실험 289

(4) 초기조건에 따른 1km 수치모델 실험 311

(5) 최적화된 1km 수치모델 결과 검증 313

제6장 울릉도-독도 해역의 고해상도 해양순환예측모델 수립 방안 마련 및 시험 구축 336

1.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순환예측모델 구축 방안 336

(1) 국외 해양예측시스템 사례조사 336

(2)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순환예측모델 구축 배경 342

(3)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순환예측모델 구축 방안 344

2.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순환예측모델 시험 구축 347

(1) 고해상도 해양순환예측모델 선정 347

(2) 모델영역 및 수평수직해상도 결정 348

(3) 육지경계 확인 및 설정 350

(4) 고해상도 해양순환예측모델 구성 352

(5) 구축모델 시범모의 평가 354

3. 결론 400

제7장 울릉도 주변해역 해수유동 특성 기반 연구 401

1. 자료 및 방법 401

(1) 위성 고도계 자료 및 CTD 자료 401

(2) 위성 고도계 자료 보정 403

2.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정의 및 분류 409

(1)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정의 409

(2) 동한난류와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와의 관계에 따른 분류 410

(3)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발달과정 413

3. 소용돌이 탐지 기법 417

(1) 위공위성 고도계 자료를 사용한 소용돌이 탐지기법 417

(2) 소용돌이 탐색(추적)조건 422

4.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물리적인 특성에 대한 통계 정보 산출 426

(1)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발생 빈도 및 수명 426

(2) 소용돌이 크기 계산 방법 431

(3) 최근 10년간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크기 439

5.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 발생 기작 및 발달 특성 인포그래픽(안) 444

제8장 향후 개선사항 및 발전방안 450

1. 장기 해양재분석자료 생산 및 서비스 기반 마련 450

2. 황·동중국해 해양재분석자료 정확도 개선 450

3. 자료동화 적용 동해 수치모델 개선 451

4. 자료동화 적용 황·동중국해 수치모델 개선 451

5. 울릉도 주변해역 수치예측모델 연계수행 체계 수립 452

6. 울릉도-독도 해역 고해상도 해양순환예측모델 수립 방안 마련 및 시험 구축 453

7. 울릉도 주변해역 해수유동 특성 기반 연구 453

제9장 참고문헌 454

제10장 부록 457

1. 중간보고회 자문의견 457

2. 최종보고회 자문의견 458

3.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 규정을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 459

(1) 1차 자문회의 자문내용 459

(2) 2차 자문회의 자문내용 459

(3) 자문내용의 반영 460

4. 관측자료별 수집·처리·관리 방안 461

(1) KHOA data 461

(2) ARGO data 470

(3) OSTIA SST data 483

(4) NIFS data 487

(5) 자료등화용 관측자료 처리 491

〈표 1-1〉 우리나라 잠재적 사용자가 원하는 해양재분석자료 변수, 범위, 간격 및 형식에 관한... 68

〈표 1-2〉 해양재분석자료 변수, 범위, 간격 및 형식 제안 68

〈표 2-1〉 2016년 황동중국해 자료동화 수치예측모델 개요 70

〈표 2-2〉 동화되는 자료들에 따라 나눈 OSE 실험 3가지 케이스 75

〈표 2-3〉 황동중국해 모델에서 모델 예측 정확도 계산에 사용된 황해, 동해, 대한해협 영역 76

〈표 2-4〉 OSE 실험 각 case 별 월 별 수온, 염분 RMSE 결과 79

〈표 2-5〉 황해 영역의 OSE 실험 각 case 별 수온과 염분 RMSE 결과 82

〈표 2-6〉 동해 영역에서 OSE 실험 각 case 별 수온, 염분 RMSE 비교 85

〈표 2-7〉 대한해협 영역에서 OSE 실험 각 case 별 수온과 염분 RMSE 비교 88

〈표 2-8〉 황해, 동해, 대한해협 영역에서 OSE 실험 각 case 별 수심에 따른 수온·염분... 90

〈표 2-9〉 2016년 2월, 4월, 8월, 10월 OISST 표층 수온 자료와 ALL 실험, noKHOA 실험, Free run... 100

〈표 2-10〉 국립수산과학원 307~312 정선 관측자료 1m 수온·염분 자료와 ALL 모델,... 112

〈표 2-11〉 국립해양조사원 TWA 정선과 ALL 모델, noKHOA 모델, Free run 모델 RMSE 비... 124

〈표 2-12〉 국립해양조사원 TWB 정선과 ALL 모델, noKHOA 모델, Free run 모델 RMSE 비... 124

〈표 3-1〉 동해 수치모델 개요 126

〈표 3-2〉 대기 외력 강수량 보정에 적용된 보정함수의 형태와 보정함수의 계수 그리고 보정... 133

〈표 3-3〉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HYCOM과 대기 외력 강수량 보정 전·후 동해 모델 수심... 145

〈표 3-4〉 2016년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대기... 150

〈표 3-5〉 설정 된 연직좌표계 변환함수와 그에 따른 중층(수심 약 100~500m) 내 위치하는... 166

〈표 3-6〉 2016년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174

〈표 3-7〉 2016년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174

〈표 3-8〉 2017년 1월부터 12월까지 OSTIA 해표면 수온과 비교한 자료동화 동해 모델의 표... 181

〈표 3-9〉 2017년 1월부터 12월까지 HYCOM과 자료동화 동해 모델의 표층 수온과 염분 편향... 186

〈표 3-10〉 2017년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국립 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자... 193

〈표 3-11〉 2017년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국립 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자... 193

〈표 3-12〉 2017년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국립 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자... 194

〈표 3-13〉 2017년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국립 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자... 194

〈표 4-1〉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OSTIA 해표면 수온과 비교한 자료동화 된 황·동중국해 모델... 213

〈표 4-2〉 2017년 1월부터 12월까지 HYCOM과 황·동중국해 모델의 표층 수온과 염분 편향... 217

〈표 4-3〉 2017년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국립 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자료... 222

〈표 4-4〉 2017년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국립 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자료... 222

〈표 4-5〉 2017년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국립 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자료... 223

〈표 4-6〉 2017년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국립 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자료... 223

〈표 4-7〉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관측자료와 M-Y sheme모델, KPP scheme모델의 수... 242

〈표 5-1〉 동해 울릉도 주변 해역의 수치모델(ROMS)에 사용한 디자인과 외부 강제력 249

〈표 5-2〉 동해 울릉도 주변 해역의 수치모델(ROMS) 실험 방법 개요(2014년) 250

〈표 5-3〉 동해 울릉도 주변 해역의 수치모델(ROMS) 실험 방법 개요(2016년) 250

〈표 5-4〉 1번 영역에서 울릉도 주변 해역의 수치모델(ROMS)의 점성계수와 혼합계수에 따른... 265

〈표 5-5〉 1번 영역에서 울릉도 주변 해역의 수치모델(ROMS)의 Bi-harmonic 및 지형에 따른... 268

〈표 5-6〉 1번 영역에서 울릉도 주변 해역의 수치모델(ROMS)의 점성계수와 혼합계수에 따른... 290

〈표 5-7〉 1번 영역에서 2016년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1km 수치모델(ROMS)과... 290

〈표 5-8〉 2번 영역에서 울릉도 주변 해역의 수치모델(ROMS)의 점성계수와 혼합계수에 따른... 301

〈표 5-9〉 2번 영역에서 2016년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1km 수치모델(ROMS)과... 301

〈표 6-1〉 국외 해양예측시스템 개요 336

〈표 6-2〉 예측시스템 구축 과정 344

〈표 6-3〉 수치모델 선정 344

〈표 6-4〉 오차평가방법 346

〈표 6-5〉 울릉도-독도 해양예측순환모델 영역 검토안 348

〈표 6-6〉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순환예측모델 개요 352

〈표 6-7〉 울릉도 주변해역 해양순환예측모델 개요 359

〈표 7-1〉 인공위성 고도계 자료 401

〈표 7-2〉 국립수산과학원 정선관측 자료 401

〈표 7-3〉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생성, 소멸 및 수명 427

〈표 7-4〉 CTD 및 위성 고도계 자료로 계산한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크기(1유형) 436

〈표 7-5〉 CTD 및 위성 고도계 자료로 계산한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크기(2유형) 437

〈표 7-6〉 CTD 및 위성 고도계 자료로 계산한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크기(3유형) 438

〈표 7-7〉 유형별 CTD 및 위성 고도계 자료로 계산한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크기 평균 439

〈표 7-8〉 2008년~2017년 사이에 생성된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동서·남북 방향의 크기 440

〈그림 1-1〉 OISST 자료 다운로드 방법 47

〈그림 1-2〉 OSTIA SST 자료 다운로드 방법 47

〈그림 1-3〉 OISST 자료의 보관과 관리 48

〈그림 1-4〉 OSTIA SST 자료의 보관과 관리 48

〈그림 1-5〉 국립수산과학원(NIFS) 정선관측지점 위치도 49

〈그림 1-6〉 국립수산과학원(NIFS) CTD 정선 관측자료 수집 49

〈그림 1-7〉 국립해양조사원(KHOA) 정선관측지점 위치도 50

〈그림 1-8〉 해양환경관리공단(KOEM) 정선관측지점 위치도 50

〈그림 1-9〉 국립수산과학원 원본자료를 텍스트 파일로 변환 저장하여 관리 51

〈그림 1-10〉 국립해양조사원 원본자료를 텍스트 파일로 변환 저장하여 관리 52

〈그림 1-11〉 해양환경관리공단 원본자료를 텍스트 파일로 변환 저장하여 관리 52

〈그림 1-12〉 GTSPP dataset 다운로드 경로 53

〈그림 1-13〉 태평양에 대한 GTSPP dataset 파일 53

〈그림 1-14〉 인공위성 고도계 자료 다운로드 경로 54

〈그림 1-15〉 관측자료의 수집과 자료처리 과정 모식도 55

〈그림 1-16〉 인공위성 해표면 수온자료 정리 56

〈그림 1-17〉 CTD 수온 자료 정리 56

〈그림 1-18〉 CTD 염분 자료 정리 57

〈그림 1-19〉 GTSPP 자료 정리 57

〈그림 1-20〉 인공위성 고도계 자료 정리 58

〈그림 1-21〉 해양 환경정보 필요요소의 설문조사 결과 62

〈그림 1-22〉 자료가 필요한 해역의 설문조사 결과 62

〈그림 1-23〉 자료가 필요한 영역의 설문조사 결과 63

〈그림 1-24〉 자료가 필요한 시간간격의 설문조사 결과 63

〈그림 1-25〉 해양 재분석 자료의 수평적 간격의 설문조사 결과 64

〈그림 1-26〉 해양 재분석 자료의 연직적 간격의 설문조사 결과 64

〈그림 1-27〉 해양 재분석 자료의 제공 형식의 설문조사 결과 65

〈그림 1-28〉 해양 재분석 자료의 제공 파일의 설문조사 결과 65

〈그림 1-29〉 설문에 응답한 인원의 소속 66

〈그림 2-1〉 황동중국해 3차원 수치모델 영역과 수심(수치모델 조건은 과년도(2016년) 사업과... 70

〈그림 2-2〉 국립해양조사원(上), 국립수산과학원(中), 해양환경공단(下)의 해양관측점 위치도 72

〈그림 2-3〉 2월부터 7월의 자료동화에 사용되는 국립해양조사원,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공단 관측자료 분포도 73

〈그림 2-4〉 8월부터 12월의 자료동화에 국립해양조사원,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공단 관측자료 분포도 OSTIA SST data(빨간점), 국립수산과... 74

〈그림 2-5〉 OSE 실험에서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평가한 방법 75

〈그림 2-6〉 황동중국해 모델에서 모델 예측 정확도 계산에 사용된 황해(검정색), 동해(초록... 76

〈그림 2-7〉 OSE 실험 각 case 별 월 별 수온과 염분 RMSE 비교 78

〈그림 2-8〉 황해 영역의 OSE 실험 각 case 별 수온과 염분 RMSE 비교 81

〈그림 2-9〉 동해 영역에서 OSE 실험 각 case 별 수온과 염분 비교 84

〈그림 2-10〉 대한해협 영역에서 OSE 실험 각 case 별 수온과 염분 비교 87

〈그림 2-11〉 황해, 동해, 대한해협 영역에서 OSE 실험 각 case 별 수심에 따른 수온·염분RMSE 비교 89

〈그림 2-12〉 2016년 2월 OISST와 자료동화에 적용 된 OSTIA 표층 수온 자료와 ALL 실험, noKHOA 실험, Free run 실험의 표층 수온 분포 92

〈그림 2-13〉 2016년 2월 OISST 표층 수온 자료와 ALL 실험, noKHOA 실험, Free run 실험의 RMSE 비교 93

〈그림 2-14〉 2016년 4월 OISST와 자료동화에 적용 된 OSTIA 표층 수온 자료와 ALL 실험, noKHOA 실험, Free run 실험의 표층 수온 분포 94

〈그림 2-15〉 2016년 4월 OISST 표층 수온 자료와 ALL 실험, noKHOA 실험, Free run 실험의 RMSE 비교 95

〈그림 2-16〉 2016년 8월 OISST와 자료동화에 적용된 OSTIA 표층 수온 자료와 ALL 실험, noKHOA 실험, Free run 실험의 표층 수온 분포 96

〈그림 2-17〉 2016년 8월 OISST 표층 수온 자료와 ALL 실험, noKHOA 실험, Free run 실험의 RMSE 비교 97

〈그림 2-18〉 2016년 10월 OISST와 자료동화에 적용된 OSTIA 표층 수온 자료와 ALL 실험, noKHOA 실험, Free run 실험의 표층 수온 분포 98

〈그림 2-19〉 2016년 10월 OISST 표층 수온 자료와 ALL 실험, noKHOA 실험, Free run 실험의 RMSE 비교 99

〈그림 2-20〉 2016년 2월, 4월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 관측자료 수심 1m 수평 수온과 ALL 모델, noKHOA 모델, Free run 모델의 수심 1m... 104

〈그림 2-21〉 2016년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 관측자료 수심 1m 수평 수온 과 ALL 모델, noKHOA 모델, Free run 모델의 수심 1m... 105

〈그림 2-22〉 2016년 2월, 4월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 관측자료 수심 1m 수평 염분과 ALL 모델, noKHOA 모델, Free run 모델의 수심 1m 수... 106

〈그림 2-23〉 2016년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 관측자료 수심 1m 수평 염분과 ALL 모델, noKHOA 모델, Free run 모델의 수심 1m... 107

〈그림 2-24〉 2016년 2월, 4월 국립수산과학원 309 정선 수직 수온과 ALL, noKHOA, Free... 108

〈그림 2-25〉 2016년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309 정선 수직 수온과 ALL 모델, noKHOA 모... 109

〈그림 2-26〉 2016년 8월 국립수산과학원 309 정선 수직 염분과 ALL 모델, noKHOA 모델,... 110

〈그림 2-27〉 2016년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309 정선 수직 염분과 ALL 모델, noKHOA 모... 111

〈그림 2-28〉 2016년 3월 국립해양조사원 TWA 정선, TWB 정선 수직 수온과 ALL 모델,... 116

〈그림 2-29〉 2016년 5월 국립해양조사원 TWA 정선, TWB 정선 수직 수온과 ALL 모델,... 117

〈그림 2-30〉 2016년 7월 국립해양조사원 TWA 정선, TWB 정선 수직 수온과 ALL 모델,... 118

〈그림 2-31〉 2016년 11월 국립해양조사원 TWA 정선, TWB 정선 수직 수온과 ALL 모델,... 119

〈그림 2-32〉 2016년 3월 국립해양조사원 TWA 정선, TWB 정선 수직 염분과 ALL 모델,... 120

〈그림 2-33〉 2016년 5월 국립해양조사원 TWA 정선, TWB 정선 수직 염분과 ALL 모델,... 121

〈그림 2-34〉 2016년 7월 국립해양조사원 TWA 정선, TWB 정선 수직 염분과 ALL 모델,... 122

〈그림 2-35〉 2016년 11월 국립해양조사원 TWA 정선, TWB 정선 수직 염분과 ALL 모델,... 123

〈그림 3-1〉 동해 수치모델 영역과 등수심선 126

〈그림 3-2〉 한국 기상청 AWS 강수량 관측 위치(붉은색 별)와 일본 기상청 AWS 강수량 관측... 128

〈그림 3-3〉 2016년 속초, 강릉, 울진, 울릉에서의 관측 일간(붉은색 선), 월간(검은색 선), 연... 129

〈그림 3-4〉 2016년 포항, 부산, 여수, 와니우라, 아시베에서의 관측 일간(붉은색 선), 월간(검... 130

〈그림 3-5〉 2016년 유야, 사이고, 하마다, 타이자, 가나자와에서의 관측 일간(붉은색 선), 월... 131

〈그림 3-6〉 2016년 아이카와, 오가마야마, 카모에나이, 야기시리, 요네오카에서의 관측 일간... 132

〈그림 3-7〉 대기 외력 강수량의 모델 격자 간 상관계수와 모델 격자 간 거리 관계로부터 회... 134

〈그림 3-8〉 보정 전 연간 누적 대기 외력 강수량과 2차 선형(WL2), 1차 지수(Wexp1), 2차 지... 135

〈그림 3-9〉 보정 전 월간 누적 대기 외력 강수량과 2차 지수 형태의 보정함수를 적용하여 보... 136

〈그림 3-10〉 2016년 속초, 강릉, 울진, 울릉에서의 관측 일간(붉은색 선), 월간(검은색 선), 연... 137

〈그림 3-11〉 2016년 포항, 부산, 여수, 와니우라, 아시베에서의 관측 일간(붉은색 선), 월간(검... 138

〈그림 3-12〉 2016년 유야, 사이고, 하마다, 타이자, 가나자와에서의 관측 일간(붉은색 선), 월... 139

〈그림 3-13〉 2016년 아이카와, 오가마야마, 카모에나이, 야기시리, 요네오카에서의 관측 일간... 140

〈그림 3-14〉 2016년 2월, 4월, 8월, 10월 HYCOM과 대기 외력 강수량 보정 전·후 동해 모델 143

〈그림 3-15〉 2016년 2월, 4월, 8월, 10월 HYCOM과 대기 외력 강수량 보정 전·후 동해 모델... 144

〈그림 3-16〉 2016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대기 외력 강... 148

〈그림 3-17〉 2016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대기 외력 강... 149

〈그림 3-18〉 2016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102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대기 외... 153

〈그림 3-19〉 2016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105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대기 외... 154

〈그림 3-20〉 2아6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102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대기 외... 155

〈그림 3-21〉 2016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105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대기 외... 156

〈그림 3-22〉 2016년 3월, 5월, 7월, 11월 국립해양조사원 TED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대기 외... 160

〈그림 3-23〉 2016년 3월, 5월, 7월, 11월 국립해양조사원 EA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대기 외력... 161

〈그림 3-24〉 2016년 3월, 5월, 7월, 11월 국립해양조사원 TED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대기 외... 162

〈그림 3-25〉 2016년 3월, 5월, 7월, 11월 국립해양조사원 EA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대기 외력... 163

〈그림 3-26〉 와 의 변화에 따른 중층 연직 격자의 평균 두께와 중층 연직 격자의 평균... 165

〈그림 3-27〉 연직좌표계 변환함수 설정 별 수심 변화에 따른 연직 격자 위치(연직 격자 5개마다 한 개의 얇은 검은색 선으로 표현됨) 167

〈그림 3-28〉 2016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102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vJNUl, vGNU, vNWA, vJNU2 동해 모델 수직 수온 분포 170

〈그림 3-29〉 2016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105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vJNUl, vGNU, vNWA, vJNU2 동해 모델 수직 수온 분포 171

〈그림 3-30〉 2016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102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vJNUl, vGNU, vNWA, vJNU2 동해 모델 수직 염분 분포 172

〈그림 3-31〉 2016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105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vJNUl, vGNU, vNWA, vJNU2 동해 모델 수직 염분 분포 173

〈그림 3-32〉 앙상블 칼만필터 개념도 176

〈그림 3-33〉 각 앙상블 멤버에 적용되는 점성계수, 경계조건 그리고 대기장의 오차를 매 자... 177

〈그림 3-34〉 OSTIA SST 자료(빨간 점)를 동해 모델 영역 내에서 약 25km 간격으로 추출(빨간... 178

〈그림 3-35〉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OSTLA 해표면 수온과 자료동화 된 동해 모델 표층... 180

〈그림 3-36〉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HYCOM과 자료동화 된 동해 모델 표층 수온 분포... 184

〈그림 3-37〉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HYCOM과 자료동화 된 동해 모델 표층 염분 분포... 185

〈그림 3-38〉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자료동화 된... 191

〈그림 3-39〉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자료동화 된... 192

〈그림 3-40〉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 102 정선과 자... 195

〈그림 3-41〉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 105 정선과 자... 196

〈그림 3-42〉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 102 정선과 자... 197

〈그림 3-43〉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 105 정선과 자... 198

〈그림 3-44〉 2017년 3월, 5월, 7월, 11월 국립해양조사원 정선 해양관측자료 TED 정선과 자... 201

〈그림 3-45〉 2017년 3월, 5월, 7월, 11월 국립해양조사원 정선 해양관측자료 EA 정선과 자료... 202

〈그림 3-46〉 2017년 3월, 5월, 7월, 11월 국립해양조사원 정선 해양관측자료 TED 정선과 자... 203

〈그림 3-47〉 2017년 3월, 5월, 7월, 11월 국립해양조사원 정선 해양관측자료 EA 정선과 자료... 204

〈그림 3-48〉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AVISO SSH, 해류와 자료동화 된 동해 모델 SSH, 해류 분포 비교 206

〈그림 4-1〉 OSTIA SST 자료(빨간 점)를 황·동중국해 모델 영역 내에서 약 25km 간격으로... 209

〈그림 4-2〉 2017년 2월, 4월 OSTLA 해표면 수온(왼쪽)과 자료동화 된 황·동중국해 모델 표층 수온(가운데)의 RMSE 수평 분포 결과(오른쪽) 211

〈그림 4-3〉 2017년 8월, 10월 OSTIA 해표면 수온(왼쪽)과 자료동화 된 황·동중국해 모델 표층 수온(가운데)의 RMSE 수평 분포 결과(오른쪽) 212

〈그림 4-4〉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HYCOM과 자료동화 된 황·동중국해 모델 표층 수온... 215

〈그림 4-5〉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HYCOM과 자료동화 된 황·동중국해 모델 표층 염분... 216

〈그림 4-6〉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자료동화 된... 220

〈그림 4-7〉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와 자료동화 된... 221

〈그림 4-8〉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 309 정선과 자료... 224

〈그림 4-9〉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국립수산과학원 정선 해양관측자료 309 정선과 자료... 225

〈그림 4-10〉 2017년 3월, 5월, 7월, 11월 국립해양조사원 TWA 정선과 자료동화 된 황·동중... 228

〈그림 4-11〉 2017년 3월, 5월, 7월, 11월 국립해양조사원 TWA 정선과 자료동화 된 황·동중... 229

〈그림 4-12〉 2017년 3월, 5월, 7월, 11월 국립해양조사원 TWB 정선과 자료동화 된 황·동중... 230

〈그림 4-13〉 2017년 3월, 5월, 7월, 11월 국립해양조사원 TWB 정선과 자료동화 된 황·동중... 231

〈그림 4-14〉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연 평균의 황·동중국해 모델의 SSH, 해류 분포 233

〈그림 4-15〉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관측자료(왼쪽)와 M-Y sheme(가운데) 모델, KPP... 236

〈그림 4-16〉 2017년 2월, 4월, 8월, 10월 관측자료(왼쪽)와 M-Y sheme(가운데) 모델, KPP... 237

〈그림 4-17〉 2017년 2월, 4월 관측자료(왼쪽)와 M-Y sheme(가운데) 모델, KPP scheme(오른쪽)모델의 수직 수온 분포 238

〈그림 4-18〉 2017년 8월, 10월 관측자료(왼쪽)와 M-Y sheme(가운데) 모델, KPP scheme(오른쪽)모델의 수직 수온 분포 239

〈그림 4-19〉 2017년 2월, 4월 관측자료(왼쪽)와 M-Y sheme(가운데) 모델, KPP scheme(오른쪽)모델의 수직 염분 분포 240

〈그림 4-20〉 2017년 8월, 10월 관측자료(왼쪽)와 M Y sheme(가운데) 모델, KPP scheme(오른쪽)모델의 수직 염분 분포 241

〈그림 5-1〉 동해 울릉도 주변 해역 수치모델(ROMS)의 연구영역 및 해저지형. 수심은 미터이... 245

〈그림 5-2〉 동해 울릉도·독도 1km 수치모델 자동 수행 흐름도 246

〈그림 5-3〉 Arakawa C-grid에서 각 변수의 동해 3km 수치모델 격자 배열(파란색)로 부터 울... 246

〈그림 5-4〉 동해 울릉도 주변 해역에서 각 지형자료에 따른 해저지형 (A)는 ETOPO5,(B)는... 247

〈그림 5-5〉 새로운 지형(New TOPO)자료를 이용하여, 1번 영역에서 위도 38˚N(A)와 경도... 248

〈그림 5-6〉 파장에 따른 점성 계수의 확산. 빨간선은 조화함수(harmonic), 파란선은 중(重)조... 248

〈그림 5-7〉 1번 영역(점선 라인)에서 EastB3k(左)와 HYCOM 자료(右)를 이용하여 계산한... 253

〈그림 5-8〉 남쪽 경계(위도 35.0˚N)에서 EastB3k 결과(上)와 HYCOM(下)에서 계산된 연평균 수온, 염분, 유속(U, V 벡터 성분) 비교. C.I.(Contour... 254

〈그림 5-9〉 북쪽 경계(위도 41.0˚N)에서 EastB3k 결과(上)와 HYCOM(下)에서 계산된 연평균 수온, 염분, 유속(U, V 벡터 성분) 비교. C.I.(Contour... 255

〈그림 5-10〉 동쪽 경계(경도 137.0˚E)에서 EastB3k 결과(上)와 HYCOM(下)에서 계산된 연평균 수온, 염분, 유속(U, V 벡터 성분) 비교. C.I.(Contour... 256

〈그림 5-11〉 1번 영역(점선 라인)에서 HYCOM 자료(左)와 HYCOM 자료를 경계자료로 이용한... 259

〈그림 5-12〉 1번 영역(점선 라인)에서 EastB3k 자료(左)와 EastB3k 자료를 경계자료로 이용... 260

〈그림 5-13〉 2014년 연평균 바람 응력 컬(Curl) 왼쪽은 CFSR이고, 오른쪽은 WRF 자료이다.... 262

〈그림 5-14〉 1번 영역에서 EastU1k_CF(A), EastU1k_WF(B), EastB3k(C), AVISO 자료(D)의... 263

〈그림 5-15〉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1번 영역에서 1km 수치모델(A, B, C, D)과... 266

〈그림 5-16〉 연구 영역(1번 영역) 및 각 경계(남, 북, 동쪽)에서 New Topo(ETOPO5+... 268

〈그림 5-17〉 Bi-harmonic 및 지형에 따른 1번 영역에서 1km 수치모델(A, B, C, D)과... 269

〈그림 5-18〉 1번 영역에서 AVISO 위성 데이터로 관측한 2014년 표층 연평균 해류(A)와... 271

〈그림 5-19〉 국립수산과학원 104(37.057˚N) 정선에서 2월(上)과 8월(下)에 관측한 수온 수직... 272

〈그림 5-20〉 1번 영역(점선 라인)에서 EastB3k(左)와 HYCOM 자료(右)를 이용하여 계산한... 275

〈그림 5-21〉 남쪽 경계(위도 35.0˚N)에서 EastB3k 결과(上)와 HYCOM(下)에서 계산된 연평균 수온, 염분, 유속(U, V 벡터 성분) 비교. C.I.(Contour... 276

〈그림 5-22〉 북쪽 경계(위도 41.0˚N)에서 EastB3k 결과(上)와 HYCOM(下)에서 계산된 연평균 수온, 염분, 유속(U, V 벡터 성분) 비교. C.I.(Contour... 277

〈그림 5-23〉 동쪽 경계(경도 137.0˚E)에서 EastB3k 결과(上)와 HYCOM(下)에서 계산된 연평균 수온, 염분, 유속(U, V 벡터 성분) 비교. C.I.(Contour... 278

〈그림 5-24〉 1번 영역에서 경계자료(HYCOM, EastB3k)에 따른 2016년 1km 수차모델의 연평... 280

〈그림 5-25〉 1번 영역에서 경계자료(HYCOM, EastB3k)에 따른 2016년 1km 수치모델의 연평... 281

〈그림 5-26〉 1번 영역에서 경계자료(HYCOM, EastB3k)에 따른 2016년 1km 수치모델의 연평... 282

〈그림 5-27〉 1번 영역에서 2016년 1km 수치모델 결과와 각 경계자료의 표층 수온(A, B) 및... 283

〈그림 5-28〉 2번 영역에서 경계자료(HYCOM, EastB3k)에 따른 2016년 1km 수치모델의 연평... 285

〈그림 5-29〉 2번 영역에서 경계자료(HYCOM, EastB3k)에 따른 2016년 1km 수치모델의 연평... 286

〈그림 5-30〉 2번 영역에서 경계자료(HYCOM, EastB3k)에 따른 2016년 1km 수치모델의 연평... 287

〈그림 5-31〉 2번 영역에서 2016년 1km 수치모델 결과와 각 경계자료의 표층 수온(A, B)와 표... 288

〈그림 5-32〉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1번 영역에서 EastB3k(A)와 EastB3k 결과를 경계... 291

〈그림 5-33〉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1번 영역에서 EastB3k(A)와 EastB3k 결과를 경계... 292

〈그림 5-34〉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1번 영역에서 EastB3k(A)와 EastB3k 결과를 경계... 293

〈그림 5-35〉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1번 영역에서 EastB3k(A)와 EastB3k 결과를 경계... 294

〈그림 5-36〉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1번 영역에서 EastB3k(A)와 EastB3k 결과를 경계... 295

〈그림 5-37〉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1번 영역에서 EastB3k(A)와 EastB3k 결과를 경계... 296

〈그림 5-38〉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1번 영역에서 EastB3k(A)와 EastB3k 결과를 경계... 297

〈그림 5-39〉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1번 영역에서 EastB3k(A)와 EastB3k 결과를 경계... 298

〈그림 5-40〉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1번 영역에서 EastB3k(A)와 EastB3k 결과를 경계... 299

〈그림 5-41〉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2번 영역(127.5~134.0˚E, 35.5~39.0˚N)에서... 302

〈그림 5-42〉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2번 영역에서 EastB3k(A)와 EastB3k 결과를 경계... 303

〈그림 5-43〉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2번 영역에서 EastB3k(A)와 EastB3k 결과를 경계... 304

〈그림 5-44〉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2번 영역에서 EastB3k(A)와 EastB3k 결과를 경계... 305

〈그림 5-45〉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2번 영역에서 EastB3k(A)와 EastB3k 결과를 경계... 306

〈그림 5-46〉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2번 영역에서 EastB3k(A)와 EastB3k 결과를 경계... 307

〈그림 5-47〉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2번 영역에서 EastB3k(A)와 EastB3k 결과를 경계... 308

〈그림 5-48〉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2번 영역에서 EastB3k(A)와 EastB3k 결과를 경계... 309

〈그림 5-49〉 경계조건 및 매개변수에 따른 2번 영역에서 EastB3k(A)와 EastB3k 결과를 경계... 310

〈그림 5-50〉 2016년 1월 2일(초기장)에 EastB3k와 HYCOM의 표층 해류장 비교 311

〈그림 5-51〉 1번 영역에서 EastB3k(A)와 초기장에 따른 1km 수치모델 결과(B, C)의 2016년... 312

〈그림 5-52〉 1번 영역에서 2월, 5월, 8월, 11월 AVISO 위성데이터로 관측한 표층 해류(上)와 1km 수치모델(EX2_L) 결과의 각 월별 표층 해류(下). 연... 314

〈그림 5-53〉 1번 영역에서 2월, 5월, 8월, 11월 G1SST 위성으로 관측한 표층 수온(上)과 1km 수치모델(EX2_L) 결과의 각 월별 표층 수온(下). 연구영... 315

〈그림 5-54〉 국립수산과학원 208, 209, 102~107 정선 라인의 2월, 4월, 8월, 10월 표층 수온(上)과 1km 수치모델(EX2_L)의 2월, 4월, 8월, 10월 평균... 318

〈그림 5-55〉 국립수산과학원 208, 209, 102~107 정선 라인의 2월, 4월, 8월, 10월 수심 100 m 수온(上)과 1km 수치모델(EX2_L)의 2월, 4월, 8월, 10월... 319

〈그림 5-56〉 국립수산과학원 208, 209, 102~107 정선 라인의 2월, 4월, 8월, 10월 수심 200 m 수온(上)과 1km 수치모델(EX2_L)의 2월, 4월, 8월, 10월... 320

〈그림 5-57〉 국립수산과학원 208, 209, 102~107 정선 라인의 2월, 4월, 8월, 10월 표층 염분(上)과 1km 수치모델(EX2_L)의 2월, 4월, 8월, 10월 평균... 321

〈그림 5-58〉 국립수산과학원 208, 209, 102~107 정선 라인의 2월, 4월, 8월, 10월 수심 100 m 염분(上)과 1km 수치모델(EX2_L)의 2월, 4월, 8월, 10월... 322

〈그림 5-59〉 국립수산과학원 208, 209, 102~107 정선 라인의 2월, 4월, 8월, 10월 수심 200 m 염분(上)과 1km 수치모델(EX2_L)의 2월, 4월, 8월, 10월... 323

〈그림 5-60〉 국립수산과학원 104(37.057˚N) 정선 라인에서 2월, 4월, 8월, 10월에 관측한 수... 324

〈그림 5-61〉 국립수산과학원 104(37.057˚N) 정선 라인에서 2월, 4월, 8월, 10월에 관측한 염... 326

〈그림 5-62〉 1번 영역에서 2월, 5월, 8월, 11월 HYCOM 자료의 표층 해류(上)와 HYCOM 자료를 경계자료로 사용한 1km 수치모델(EastU1k_HL) 결과... 330

〈그림 5-63〉 1번 영역에서 2월, 5월, 8월, 11월 HYCOM 자료의 표층 수온(上)과 HYCOM 자료를 경계자료로 사용한 1km 수치모델(EastU1k_HL) 결과... 331

〈그림 5-64〉 1번 영역에서 2월, 5월, 8월, 11월 HYCOM 자료의 표층 염분(上)과 HYCOM 자료를 경계자료로 사용한 1km 수치모델(EastU1k_HL) 결과... 332

〈그림 5-65〉 1번 영역에서 2월, 5월, 8월, 11월 EastB3k의 표층 해류(上)와 EastB3k를 경계자료로 사용한 1km 수치모델 결과(EX2_L)의 각 월별 표층... 333

〈그림 5-66〉 1번 영역에서 2월, 5월, 8월, 11월 EastB3k의 표층 해류(上)와 EastB3k를 경계자료로 사용한 1km 수치모델 결과(EX2_L)의 각 월별 표층.... 334

〈그림 5-67〉 1번 영역에서 2월, 5월, 8월, 11월 EastB3k의 표층 해류(上)와 EastB3k를 경계자료로 사용한 1km 수치모델 결과(EX2_L)의 각 월별 표층... 335

〈그림 6-1〉 RIAM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RIAMOM의 동아시아 주변해역의 해수면온도 및 해... 338

〈그림 6-2〉 JCOPE 의 모델 도메인 구성과 MOVE-WNP/SETO... 339

〈그림 6-3〉 PIOOS가 제공하는 미국 주변 섬 및 해류예측장... 340

〈그림 6-4〉 CMEMS가 제공하는 발트해의 자료 정보 사이트 341

〈그림 6-5〉 CMEMS가 제공하는 해양재분석자료 중 이미지 자료 342

〈그림 6-6〉 울릉도-독도 주변 동해의 해저 지형도 343

〈그림 6-7〉 ROMS 구조 모식도 347

〈그림 6-8〉 울릉도-독도 해역 해양순환예측모델 검토 영역 348

〈그림 6-9〉 격자 해상도에 따른 평균 수심변화(상)와 해저지형 표면적 변화(하) 349

〈그림 6-10〉 수치모델에 따른 울릉도 육지경계 설정(흰색격자 : 육지) 351

〈그림 6-11〉 수치모델에 따른 독도 육지경계 설정(횐색격자 : 육지) 351

〈그림 6-12〉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순환예측모델 도메인영역(★ : 독도) 및 수심(상)과... 353

〈그림 6-13〉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는 2014년 동해 1월~6월 월평균해류도 356

〈그림 6-14〉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는 2014년 동해 7월~12월 월평균해류도 357

〈그림 6-15〉 상위모델이 모의한 2014년 1월(좌)과 2월(우) 동해 월평균해류도, 울릉도-독도... 359

〈그림 6-16〉 상위모델이 모의한 2014년 3월(좌)과 4월(우) 동해 월평균해류도, 울릉도-독도... 360

〈그림 6-17〉 상위모델이 모의한 2014년 5월(좌)과 6월(우) 동해 월평균해류도, 울릉도-독도... 361

〈그림 6-18〉 상위모델이 모의한 2014년 7월(좌)과 8월(우) 동해 월평균해류도, 울릉도-독도... 362

〈그림 6-19〉 상위모델이 모의한 2014년 9월(좌)과 10월(우) 동해 월평균해류도, 울릉도-독도... 363

〈그림 6-20〉 상위모델이 모의한 2014년 11월(좌)과 12월(우) 동해 월평균해류도, 울릉도-독... 364

〈그림 6-21〉 고해상도의 모델구축 효과(2014년 4월 수온 및 해류 월평균) 365

〈그림 6-22〉 독도 연구소에서 제공하는 독도 3차원 해저지형도 366

〈그림 6-23〉 ETOPO5 수심자료로 구축한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의 수심... 368

〈그림 6-24〉 Korbarhy30s 수심자료로 구축한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의 수... 369

〈그림 6-25〉 관측수온과 기본안(상), 수심적용안(하)의 수온 비교 370

〈그림 6-26〉 관측 및 계산 월평균 수온(상)과 RMSE(하) 비교 371

〈그림 6-27〉 상위모델과 수심적용안의 월평균장 차이 373

〈그림 6-28〉 위부터 기본안이 모의한 2014년 1월(좌)과 2월(우) 동해 월평균해류도, 수심적... 375

〈그림 6-29〉 위부터 기본안이 모의한 2014년 3월(좌)과 4월(우) 동해 월평균해류도, 수심적... 376

〈그림 6-30〉 위부터 기본안이 모의한 2014년 5월(좌)과 6월(우) 동해 월평균해류도, 수심적... 377

〈그림 6-31〉 위부터 기본안이 모의한 2014년 7월(좌)과 8월(우) 동해 월평균해류도, 수심적... 378

〈그림 6-32〉 위부터 기본안이 모의한 2014년 9월(좌)과 10월(우) 동해 월평균해류도, 수심적... 379

〈그림 6-33〉 위부터 기본안이 모의한 2014년 11월(좌)과 12월(우) 동해 월평균해류도, 수심... 380

〈그림 6-34〉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 1~4월 기본안(좌) 해류 유선과 수심... 381

〈그림 6-35〉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 5~8월 기본안(좌) 해류 유선과 수심... 382

〈그림 6-36〉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 9~12월 기본안(좌) 해류 유선과 수심... 383

〈그림 6-37〉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 1~4월 기본안(좌) 3차원 수온과 수심... 385

〈그림 6-38〉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 5~8월 기본안(좌) 3차원 수온과 수심... 386

〈그림 6-39〉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 9~12월 기본안(좌) 3차원 수온과 수... 387

〈그림 6-40〉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 1~4월 기본안(좌) 수온과 수심과 수심적용안... 388

〈그림 6-41〉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 5~8월 기본안(좌) 수온과 수심적용안... 389

〈그림 6-42〉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 9~12월 기본안(좌) 수온과 수심적용... 390

〈그림 6-43〉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의 수직 수온분포(점선 : 기본안, 실선... 391

〈그림 6-44〉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의 수직 상세 수온분포(점선 : 기본안,... 392

〈그림 6-45〉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의 기본안 대비 수심적용안의 월평균... 392

〈그림 6-46〉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 1~4월 울릉도 주변의 기본안 394

〈그림 6-47〉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 5~8월 울릉도 주변의 기본안 395

〈그림 6-48〉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 9~12월 울릉도 주변의 기본안 396

〈그림 6-49〉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 1~4월 독도 주변의 기본안 397

〈그림 6-50〉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 5~8월 독도 주변의 기본안 398

〈그림 6-51〉 울릉도-독도 고해상도 해양예측순환모델 9~12월 독도 주변의 기본안 399

〈그림 7-1〉 국립수산과학원의 정선관측 정점 402

〈그림 7-2〉 위성자료의 보정을 위한 정점들 ▲:조위관측소, □,○:보정되는 격자 404

〈그림 7-3〉 자료 보정 과정 404

〈그림 7-4〉 조위관측소 6개 지점의 각 격자점에서 보정 전과 보정 후의 SLA 시계열(1993~... 405

〈그림 7-5〉 2006년 11월 8일의 보정 전과 보정 후의 SLA 등고선과 SLA로 계산한 지형류 유... 407

〈그림 7-6〉 2006년 11월 8일의 보정 전과 보정 후의 SSH 등고선과 SSH로 계산한 지형류 유... 408

〈그림 7-7〉 동해 해류 모식도와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정의 영역 409

〈그림 7-8〉 월평균 해류장 및 SSH 분포. (A) 동한난류가 크게 사행하면서 울릉 난수성 소용... 411

〈그림 7-9〉 동한난류와의 관계에 따라 분류한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모식도. (A) 동한난류가... 412

〈그림 7-10〉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가 형성된 해(年)의 수온·염분의 수직 구조. (A)와 (D) : 봄, (B)와 (E) : 여름, (C)와 (F) : 가을 414

〈그림 7-11〉 월동한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 수온·염분 수직구조 변화. (A)와 (E) : 겨울, (B)와 (F) : 봄, (C)와 (G) : 여름, (D)와 (H) : 가을 415

〈그림 7-12〉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 수직구조의 발달과정 모식도. (A)와 (F)는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가 형성 이후 봄부터 여름철, 그리고 초가을까지의... 416

〈그림 7-13〉 Okubo-Weiss를 사용한 소용돌이 탐지 방법. (A)는 지중해에서 Okubo-Weiss 매... 418

〈그림 7-14〉 Wingding Angle 알고리즘을 사용한 탐지방법. (A)는 Winding Angle 알고리즘의... 419

〈그림 7-15〉 Vector Geometry 알고리즘을 사용한 소용돌이 탐지 방법. (A)는 Nencioli et... 420

〈그림 7-16〉 Okubo-Weiss 매개변수 값과 VG알고리즘을 사용한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 탐색... 421

〈그림 7-17〉 인공위성 고도계 자료(SLA)를 사용한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추적 조건. (A)와... 423

〈그림 7-18〉 1998년 11월 10일부터 12월 10일까지 40일 동안의 SLA 분포로 울릉 난수성 소... 424

〈그림 7-19〉 2014년 8월 8일부터 8월 28일까지 40일 동안의 SLA 분포로 울릉 난수성 소용... 425

〈그림 7-20〉 연도별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생성 개수 429

〈그림 7-21〉 월별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A)생성, (B)소멸 개수 429

〈그림 7-22〉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수명 430

〈그림 7-23〉 제 1유형의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A) SSH등고선(一), 관측라인에 따른 유속... 433

〈그림 7-24〉 제 1유형의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A) SSH등고선(一), 관측라인에 따른 유속... 433

〈그림 7-25〉 제 2유형의 울릉 난수성소용돌이의 (A) SSH등고선(一), 관측라인에 따른 유속벡... 434

〈그림 7-26〉 제 2유형의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A) SSH등고선(一), 관측라인에 따른 유속... 434

〈그림 7-27〉 제 3유형의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A) SSH등고선(一), 관측라인에 따른 유속... 435

〈그림 7-28〉 제 3유형의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A) SSH등고선(一), 관측라인에 따른 유속... 435

〈그림 7-29〉 동서 방향의 직경이 가장 큰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크기(37~38˚N에서의 푸... 441

〈그림 7-30〉 남북 방향의 직경이 가장 큰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크기(37~39˚N에서의 푸... 442

〈그림 7-31〉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A)동서 방향과 (B)남북방향의 평균크기 443

〈그림 7-32〉 2014년 7월에 생성된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동서·남북 방향의 크기 변화 443

〈그림 7-33〉 동해 해류 모식도 및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정의 영역 444

〈그림 7-34〉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2006년 11월) 445

〈그림 7-35〉 2006년 11월에 측정된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A) 수온,... 445

〈그림 7-36〉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특징 446

〈그림 7-37〉 동한난류와의 관계에 따른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분류 446

〈그림 7-38〉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 수직구조의 발달과정 모식도 447

〈그림 7-39〉 (A)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수명, (B)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월별 생성 개수... 448

〈그림 7-40〉 (A) 동한난류의 이안과 난수성 소용돌이 형성의 모식도 (B)... 449

〈그림 7-41〉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 인포그래픽(안) 449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38376 551.462 -19-1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38377 551.462 -19-1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