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해양치유산업 육성을 통한 해양휴양·복지서비스 도입방안 = Introduction of marine recreation and welfare service through promoting coastal wellness industry / 연구책임자: 홍장원 ; 연구진: 윤인주, 최일선, 이정아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2019
청구기호
338.4791 -19-105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 115 p. : 삽화, 도표, 서식 ; 24 cm
총서사항
현안연구 ; 2018-27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9964092
제어번호
MONO1201952471
주기사항
부록: 해양치유·해양복지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참고문헌: p. 96-99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9

제1장 서론 19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9

제2절 연구 목적 22

제3절 연구 내용 및 방법 23

1. 연구 범위 및 주요 내용 23

2. 연구 방법 23

제4절 선행연구 검토 24

제2장 국내외 해양치유정책 동향 분석 26

제1절 웰니스 시장 동향 및 전망 26

1. 세계 웰니스 시장 동향 및 전망 26

2. 국내 웰니스 시장 동향 및 전망 30

제2절 국외 해양치유정책과 이용사례 분석 35

1. 프랑스 해양치유정책 35

2. 독일 해양치유정책 40

3. 일본 해양치유정책 45

제3절 국내 치유 및 복지정책 동향 48

1. 산림치유ㆍ복지정책 48

2. 해양치유ㆍ복지정책 55

제4절 시사점 66

제3장 국내 해양치유 및 해양휴양ㆍ복지 인식조사 68

제1절 조사 개요 68

1. 조사 목적 68

2. 조사 방법 69

3. 응답자 특성 70

제2절 조사 결과 71

1. 해양치유에 관한 인식 71

2. 해양휴양ㆍ복지서비스에 관한 인식 84

제3절 시사점 91

1. 해양치유에 관한 인식 91

2. 해양휴양ㆍ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식 93

제4장 정책 방향 설정 및 제언 96

제1절 기본방향 96

제2절 주요 추진과제 97

1. 정책 과제의 설정 97

2. 정책 추진과제 98

3. 제도적 지원 방안의 마련 105

제3절 결론 및 정책제언 108

1. 결론 108

2. 정책적 제언 110

참고문헌 112

[부록] 해양치유ㆍ휴양복지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117

판권기 133

〈표 1-1〉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이점 비교 25

〈표 2-1〉 지역별 치유-웰니스 산업 규모 28

〈표 2-2〉 지역별 웰니스 관광시장 이용 및 지불 규모 29

〈표 2-3〉 나라별 웰니스 관광시장 규모 30

〈표 2-4〉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웰니스 관광 25선 + 2018년 신규 선정 8선 32

〈표 2-5〉 탈라소테라피의 역사 36

〈표 2-6〉 프랑스 해양요법 센터 대표 프로그램 및 요법 39

〈표 2-7〉 독일 쿠어오르트 이용자 현황(2007~2016년) 41

〈표 2-8〉 독일 쿠어오르트 유형별 인증 요건 43

〈표 2-9〉 독일 해양치유 시설 인증 요건 45

〈표 2-10〉 산림복지 종합계획(2013~2017)의 세부 내용 51

〈표 2-11〉 산림복지 진흥계획(2015~2022)의 세부 내용 52

〈표 2-12〉 전통적 사회복지서비스와 사회서비스의 차이점 54

〈표 2-13〉 「농어업인 삶의 질 법」 중 농어업인 복지 관련 조문 57

〈표 2-14〉 제3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기본계획(2015~2019)의 세부 내용(일부) 60

〈표 2-15〉 해양수산부 제3차 삶의 질 향상 추진과제 현황 63

〈표 3-1〉 해양치유 및 해양휴양ㆍ복지 국민인식조사 방법 69

〈표 3-2〉 해양치유 및 해양휴양ㆍ복지 국민인식조사 응답자 특성 70

〈표 3-3〉 해양치유를 통해 기대하는 치유효과(연령별) 79

〈표 3-4〉 해양치유 도입방식(연령별) 81

〈표 3-5〉 해양치유 도입 시 필요 프로그램(연령별) 82

〈표 4-1〉 해양치유 및 해양휴양ㆍ복지서비스 인식 제고 101

〈표 4-2〉 해양치유자원의 발굴 및 프로그램 마련 103

〈표 4-3〉 해양치유서비스 공급 체계 마련 105

〈표 4-4〉 해양치유법(가칭) 구성 및 주요 내용 107

〈표 4-5〉 해양치유정책 추진 과제 및 추진 방안 110

〈그림 2-1〉 세계 웰니스 산업 규모 27

〈그림 2-2〉 국내 웰니스 산업 구분 31

〈그림 2-3〉 서귀포 치유의 숲 33

〈그림 2-4〉 진안 홍삼스파 34

〈그림 2-5〉 프랑스 탈라소 인증 해양요법 센터 분포도 37

〈그림 2-6〉 탈라주르 센터 분포도 및 시설 사례 38

〈그림 2-7〉 독일 쿠어오르트 분포 현황 42

〈그림 2-8〉 독일 해양치유 시설 사례 45

〈그림 2-9〉 일본 해양치유 시설 분포 현황 및 시설 전경 46

〈그림 2-10〉 국내 관광여행 주요 활동과 만성질환자 증가 추이 49

〈그림 2-11〉 산림복지 관련 법률 구축과정 50

〈그림 2-12〉 해양치유 연구협력 지자체 선정 지역 65

〈그림 3-1〉 해양치유 및 해양휴양ㆍ복지 국민인식조사 목적 69

〈그림 3-2〉 향후 바다 이용방법 중 주목 받을 부분 71

〈그림 3-3〉 바닷가 방문에 대한 전망 72

〈그림 3-4〉 해양치유 체험 의향 73

〈그림 3-5〉 해양치유 경험 희망 이유 74

〈그림 3-6〉 해양치유 비경험 희망 이유 74

〈그림 3-7〉 해양치유 참여 시 중요 고려 요소(1) 75

〈그림 3-8〉 해양치유 참여 시 중요 고려 요소(2) 76

〈그림 3-9〉 해양치유 공간 조성 희망 지역 76

〈그림 3-10〉 해양치유 자원의 효능 기대 정도(1) 77

〈그림 3-11〉 해양치유 자원의 효능 기대 정도(2) 77

〈그림 3-12〉 해양치유를 통해 기대하는 치유효과(1) 78

〈그림 3-13〉 해양치유를 통해 기대하는 치유효과(2) 78

〈그림 3-14〉 해양자원 활용 치유인증 제품 구매 의향 80

〈그림 3-15〉 해양치유 도입 방식 81

〈그림 3-16〉 해양치유 도입 시 필요 프로그램 82

〈그림 3-17〉 해양치유가 자리 잡기 위해 필요한 사업(1) 83

〈그림 3-18〉 해양치유가 자리 잡기 위해 필요한 사업(2) 83

〈그림 3-19〉 해양치유 서비스 제공 전문 직업에 대한 의견 84

〈그림 3-20〉 평소 바닷가 방문 빈도 85

〈그림 3-21〉 바닷가 방문 이유 85

〈그림 3-22〉 바닷가 방문의 제약 요인 86

〈그림 3-23〉 바닷가 방문 시 참여하는 휴양 활동 87

〈그림 3-24〉 향후 희망 휴양 활동 87

〈그림 3-25〉 바다 휴양활동 만족도(1) 88

〈그림 3-26〉 바다 휴양활동 만족도(2) 88

〈그림 3-27〉 해양수산부의 해양휴양ㆍ복지서비스 제공 필요도 89

〈그림 3-28〉 향후 해양휴양ㆍ복지서비스 이용 의향 89

〈그림 3-29〉 해양휴양ㆍ복지서비스 필요 대상 90

〈그림 3-30〉 국민 행복 증진을 위한 해양수산부 우선 시행 정책 91

〈그림 4-1〉 해양치유정책 과제 도출 98

〈그림 4-2〉 산림치유ㆍ복지정책 및 관련 서비스 홍보 사례 101

〈그림 4-3〉 해양치유 프로그램의 공급 유형 103

〈그림 4-4〉 해양치유자원의 관리 및 서비스 공급체계 104

〈그림 4-5〉 「산림휴양법」과 「산림복지법」 도입 배경 분석 10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39408 338.4791 -19-10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최근 들어 가장 큰 라이프스타일 변화의 하나로, 휴식이 있는 삶과 소비 트렌드가 대세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지역 휴양자원을 활용한 균형발전이 강조되면서 자연자원과 지역환경을 국민 복지서비스와 연계하려는 정책들이 마련되고 있다. 이 같은 정책은 우리나라 산림치유정책과 산림복지정책에서 처음 도입되었다. 해양 부문에서 해양자원을 이용한 휴양 및 치유, 지역주민 복지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정책적 논의가 시작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2018 해양수산 국민인식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92.2%는 바다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74.1%는 해양수산에 보통 이상의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닷가를 찾는 인구가 매년 증가하고, 휴식과 휴양을 목적으로 방문하는 비율과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해양자원을 활용한 휴양 및 복지서비스를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는 정책 마련과 제도 정비, 그리고 다양한 인프라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국내 관광산업은 휴식과 쉼, 건강과 힐링을 주요 테마로 하는 웰니스 관광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특히 산림, 한방, 뷰티 등을 중심으로 웰니스 관광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해양 웰니스 관광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유럽은 국민 복지 증진 차원에서 해양치유산업을 육성·지원하고 있다. 프랑스는 해양치유를 최초로 산업화한 국가로 대중적인 대체의학으로 인정한다. 일부 요법은 건강보험이 적용되어 국가에서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독일도 해양치유를 보완대체요법으로 인정해 사회보험의 적용을 받는다. 일본의 경우 초고령화 심화로 인한 의료비 급증, 낙후지역에 대한 복지서비스 제공 차원에서 해양치유를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해양자원을 이용한 휴양 및 지역주민 복지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정책은 산림 부문에 비해 최근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그동안 해양 부문 복지정책은 어촌에 거주하는 어업인만을 대상으로 정주여건 개선 측면에 중점을 두고 추진되어 왔으나, 사회·문화적 여건 변화에 따른 해양치유서비스 수요 증가로 향후 정책 방향도 크게 변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양수산부는 2017년 10월부터 해양치유산업 활성화와 해양치유산업을 통한 국민 휴양 및 복지 증진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했다. 이 같은 정책을 구체화하기 위해 이미 4개의 협력 지자체를 선정했다. 해양휴양·복지와 해양치유에 관한 인식조사(2018년 8월 2~9일, 557명)에 따르면, 응답자의 82.9%가 해양수산부에서 해양휴양·복지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응답자의 91.6%는 해양치유를 체험할 의향이 있으며, 특히 바다 경관이 주는 스트레스 완화와 신체건강 증진 효과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 같은 점을 고려할 때, 앞으로 해양치유를 통한 해양휴양 및 복지서비스 정책 추진 방향은 1) 해양치유에 대한 인식 확산을 바탕으로 한 해양치유자원의 발굴과 공간 조성, 2) 해양치유산업의 육성, 3) 해양치유정책 추진 기반 정비 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우선 해양치유정책 도입을 위해 해양치유에 대한 국민적 인지도 및 공감대 확보가 가장 시급하다. 다음으로 연안 지역의 해양치유자원을 발굴하고, 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한편 해양치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축을 위해 해양치유 인프라 조성 및 인력양성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해양치유정책 추진을 위한 법·제도적 기반과 부처 간, 중앙-지방 간 상호 협력 거버넌스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