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및 글로벌 정책분석사업 = Assessment of SME's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and global policies for promoting SMEs. 9 [전자자료] / 연구책임자: 김선우, 홍성민 ; 연구참여자: 임채윤, 김형수, 오승환, 정미애, 이정우, 정효정, 김재원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2018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 통계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정책연구 ; 2018-18
면수
421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1125611
제어번호
MONO1201952558
주기사항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발간사 3

요약 18

제1장 서론 2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7

제2절 1차년도~8차년도(2010~2017년) 사업 종합 29

1.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29

2. 중소기업 글로벌 정책 동향 분석 35

3. 1차년도~8차년도(2010~2017년) 결론파트 분석 42

제3절 9차년도(2018년) 주요내용 및 방법론 44

제2장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47

제1절 기술혁신 역량에 관한 기존연구 리뷰 47

제2절 각국의 중소기업 혁신역량 비교 분석 51

1. 한국기업혁신조사 (KIS) 51

2. Community Innovation Survey (CIS) 54

3. 기업혁신조사 기반 중소기업 혁신역량 글로벌 비교 55

제3절 국내 기업의 혁신역량 비교 분석 84

1. 개요 84

2. 창업기업실태조사 87

3. 중소기업실태조사ㆍ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 94

4. 중견기업실태조사 111

5. 분석결과 176

6.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179

7/6. 기업가정신실태조사 (기업편) 190

8/7. 소결 198

제3장 글로벌 중소기업 정책 동향 분석 199

제1절 분석 개요 199

1. 분석대상 국가 199

2. 분석내용 200

제2절 영국 / 서일원;한동호 202

1. 영국 중소기업 정책의 기본 철학 204

2. 영국 정부 산하 중소기업 지원 행정기관 및 관련 법 205

3. 영국 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 역할 209

4. 중소기업 R&D 지원 대표 프로그램 211

5. 대표 프로그램의 관리 지표 215

6. 소결 217

제3절 일본 / 후카호리 스즈키 218

1. 일본 중소기업 정책의 기본 철학 219

2. 일본 정부 산하 중소기업 지원 행정기관 및 관련 법 222

3. 일본 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 역할 226

4. 중소기업 R&D 지원 대표 프로그램 230

5. 대표 프로그램의 관리 지표 232

제4절 중국 / 박윤옥 234

1. 중소기업 정책의 기본 철학 238

2. 중국 정부 산하 중소기업 지원 행정기관 및 관련 법 241

3. 중국 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 역할 244

4. 중소기업 R&D 지원 대표 프로그램 247

5. 대표 프로그램의 관리 지표 : 기술형 중소기업 평가 지표 248

제5절 대만 252

1. 중소기업 정책의 기본 철학 252

2. 대만 정부 조직과 역할 254

3. 중소기업 R&D 관련 법 265

4. 중소기업 R&D 지원 대표 프로그램 268

5. 중소기업 R&D 지원 성과 평가 270

제6절 종합 및 시사점 273

제4장 정부 중소기업 R&D지원의 미션과 방향 279

제1절 중소기업 R&D 활동의 의미 279

1. 중소기업의 시장 유형별 기술혁신 활동 283

2. 방법론 288

3. 사례연구 289

4/3. 소결 303

제2절 정부 중소기업 R&D지원을 둘러싼 학술연구 동향 306

1. 개요 306

2. 분석 결과 310

3. 결론 326

제3절 정부 중소기업 R&D 지원 분야 비교 : 미국 vs. 한국 328

1/2. 주요 연구분야 식별 331

2/3. 연구분야별 지원 금액 및 과제 수 340

3/4. 연구분야 네트워크 분석 344

4/5. 종합 및 시사점 348

제4절 지역 중소기업 R&D 정책 개선을 위한 이슈 탐색 349

1.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분석 351

2. 지역 사례연구 358

제5장 결론 및 정책과제 370

제1절 연구결과 종합 및 시사점 370

1.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370

2. 글로벌 중소기업 정책 동향 분석 375

3. 중소기업 R&D 지원을 위한 향후 전략과 방향 설정 376

제2절 정책과제 379

1. 중소기업 기술혁신 지원의 '방향' 381

2. 중소기업 기술혁신 지원의 '크기' 383

3. 중소기업 기술혁신 지원의 또 다른 축 '지역' 385

제3절 2019년도 연구방향 386

참고문헌 389

[부록 1] 연도별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지표 398

[부록 2] The community innovation survey 2014 404

Summary 418

판권기 2

〈표 1-1〉 국가별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비교 지표 29

〈표 1-2〉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비교 국가 30

〈표 1-3〉 주요국의 연도별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비교 32

〈표 1-4〉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심화연구 34

〈표 1-5〉 글로벌 정책분석 비교 국가 35

〈표 1-6〉 미국 중소기업 정책분석 현황 36

〈표 1-7〉 독일 중소기업 정책분석 현황 37

〈표 1-8〉 프랑스 중소기업 정책분석 현황 38

〈표 1-9〉 EU 중소기업 정책분석 현황 39

〈표 1-10〉 중국 중소기업 정책분석 현황 39

〈표 1-11〉 대만 중소기업 정책분석 현황 40

〈표 1-12〉 일본 중소기업 정책분석 현황 41

〈표 1-13〉 2010~2017년 연구 결과 종합 42

〈표 1-14〉 주요국의 중소기업 정책 동향 분석의 주요내용 45

〈표 2-1〉 기술혁신 역량 정의와 측정변수에 관한 선행연구 47

〈표 2-2〉 한국기업혁신조사 연혁 51

〈표 2-3〉 2016년 한국기업혁신조사 모집단 분포와 표본 규모 53

〈표 2-4〉 유럽 내 CIS 수행 국가 54

〈표 2-5〉 한국기업혁신조사와 CIS 비교표 56

〈표 2-6〉 국가별 중소기업 정의 62

〈표 2-7〉 한국기업혁신조사의 연도별 중소기업 비율 63

〈표 2-8〉 분석 대상 국가의 연도별 데이터 73

〈표 2-9〉 국내 기업의 혁신역량 비교를 위한 기초통계조사 85

〈표 2-10〉 혁신형기업 인증 현황 (2013~2016년) 88

〈표 2-11〉 혁신형기업 인증 계획 유무 (2013~2016년) 89

〈표 2-12〉 산업재산권-등록(보유) 평균건수 (2013~2016년) 90

〈표 2-13〉 산업재산권-출원중 평균건수 (2013~2016년) 92

〈표 2-14〉 연구개발 부서 및 인력 현황 (2013~2016년) 93

〈표 2-15〉 중소제조업체 일반현황 (2008~2016년) 95

〈표 2-16〉 중소제조업체의 기술개발비 변화 추이 96

〈표 2-17〉 중소제조업체의 전문인력 변화 추이 96

〈표 2-18〉 부족인력 확보 애로사항 97

〈표 2-19〉 이직률 및 이직원인 98

〈표 2-20〉 중소서비스업체 일반현황 (2014~2016년) 99

〈표 2-21〉 중소서비스업체의 기술개발비 변화추이 100

〈표 2-22〉 중소서비스업체의 전문인력 변화추이 100

〈표 2-23〉 부족인력 확보 애로사항 101

〈표 2-24〉 이직률 및 이직원인 102

〈표 2-25〉 기술개발수행 중소기업 일반현황 (2006~2016년) 103

〈표 2-26〉 중소기업의 기술개발비 변화 추이 104

〈표 2-27〉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인력 변화 추이 104

〈표 2-28〉 중소기업의 지식재산권 및 기술수준 변화 추이 (2006~2016년) 105

〈표 2-29〉 기술개발 동기 106

〈표 2-30〉 기술개발 목적 106

〈표 2-31〉 기술개발 추진방법 107

〈표 2-32〉 외부 협력파트너 활용비율 107

〈표 2-33〉 기술개발비 조달방법 및 정부지원 활용 108

〈표 2-34〉 기술개발 매출효과 및 수출효과 109

〈표 2-35〉 기술도입 및 기술이전 109

〈표 2-36〉 자체 기술개발 애로사항 110

〈표 2-37〉 정부 기술개발 지원제도의 불편사항 110

〈표 2-38〉 정부지원 R&D사업 미참여 이유 132

〈표 2-39〉 분석대상 중견기업의 주고객 유형 분류 146

〈표 2-40〉 분석대상 중견기업의 하도급 거래 단계 146

〈표 2-41〉 분석대상 중견기업의 대표이사 유형 분류 147

〈표 2-42〉 분석대상 중견기업의 회사형태 분류 147

〈표 2-43〉 분석대상 중견기업의 글로벌화 분류 147

〈표 2-44〉 분석대상 중견기업의 초기중견기업 분류 148

〈표 2-45〉 주고객 유형별 평균 R&D투자 집약도 149

〈표 2-46〉 주고객 유형별 평균 R&D투자 집약도 분산분석 (ANOVA) 149

〈표 2-47〉 주고객 유형별 연구개발전담인력 비중 149

〈표 2-48〉 주고객 유형별 연구개발전담인력 비중 (ANOVA) 150

〈표 2-49〉 주고객 유형별 연구개발조직 운영방식 151

〈표 2-50〉 주고객 유형별 혁신전략 방식 151

〈표 2-51〉 하도급 거래 단계별 평균 R&D투자 집약도 152

〈표 2-52〉 하도급 거래 단계별 평균 R&D투자 집약도 분산분석 (ANOVA) 152

〈표 2-53〉 하도급 거래 단계별 연구개발전담인력 비중 153

〈표 2-54〉 하도급 거래 단계별 연구개발전담인력 비중 분산분석 (ANOVA) 153

〈표 2-55〉 하도급 거래 단계별 연구개발조직운영방식 154

〈표 2-56〉 하도급 거래 단계별 혁신전략 방식 155

〈표 2-57〉 대표이사 경영유형별 평균 R&D투자 집약도 156

〈표 2-58〉 대표이사 경영유형별 평균 R&D투자 집약도 분산분석 (ANOVA) 156

〈표 2-59〉 대표이사 경영유형별 연구개발전담인력 비중 156

〈표 2-60〉 대표이사 경영유형별 연구개발전담인력 비중 분산분석 (ANOVA) 157

〈표 2-61〉 대표이사 경영유형별 연구개발조직운영방식 157

〈표 2-62〉 대표이사 경영유형별 혁신전략 방식 158

〈표 2-63〉 글로벌화 유형별 평균 R&D투자 집약도 159

〈표 2-64〉 글로벌화 유형별 평균 R&D투자 집약도 분산분석 (ANOVA) 159

〈표 2-65〉 글로벌화 유형별 연구개발전담인력 비중 159

〈표 2-66〉 글로벌화 유형별 연구개발전담인력 비중 분산분석 (ANOVA) 160

〈표 2-67〉 글로벌화 유형별 연구개발조직운영방식 160

〈표 2-68〉 글로벌화 유형별 혁신전략 방식 161

〈표 2-69〉 초기중견기업 여부별 평균 R&D투자 집약도 161

〈표 2-70〉 초기중견기업 여부별 평균 R&D투자 집약도 분산분석 (ANOVA) 162

〈표 2-71〉 초기중견기업 여부별 연구개발전담인력 비중 162

〈표 2-72〉 초기중견기업 여부별 연구개발전담인력 비중 분산분석 (ANOVA) 162

〈표 2-73〉 초기중견기업 여부별 연구개발조직운영방식 163

〈표 2-74〉 초기중견기업 여부별 혁신전략 방식 164

〈표 2-75〉 초기중견기업 여부별 연구개발조직운영방식 164

〈표 2-76〉 주고객 유형별 특허권 출원 건수 165

〈표 2-77〉 주고객 유형별 특허권 출원 건수 분산분석 (ANOVA) 165

〈표 2-78〉 주고객 유형별 제품혁신 달성 여부 166

〈표 2-79〉 주고객 유형별 공정혁신 달성 여부 167

〈표 2-80〉 하도급 거래 단계별 특허권 출원 건수 167

〈표 2-81〉 하도급 거래 단계별 특허권 출원 건수 분산분석 (ANOVA) 168

〈표 2-82〉 하도급 거래 단계별 제품혁신 달성 여부 168

〈표 2-83〉 하도급 거래 단계별 공정혁신 달성 여부 169

〈표 2-84〉 대표이사 경영유형별 특허권 출원 건수 170

〈표 2-85〉 대표이사 경영유형별 특허권 출원 건수 분산분석 (ANOVA) 170

〈표 2-86〉 대표이사 경영유형별 제품혁신 달성 여부 171

〈표 2-87〉 글로벌화 유형별 특허권 출원 건수 171

〈표 2-88〉 글로벌화 유형별 특허권 출원 건수 분산분석 (ANOVA) 172

〈표 2-89〉 글로벌화 유형별 제품혁신 달성 여부 172

〈표 2-90〉 글로벌화 유형별 공정혁신 달성 여부 173

〈표 2-91〉 초기중견기업 여부별 특허권 출원 건수 173

〈표 2-92〉 초기중견기업 여부별 특허권 출원 건수 분산분석 (ANOVA) 174

〈표 2-93〉 초기중견기업 여부별 제품혁신 달성 여부 174

〈표 2-94〉 초기중견기업 여부별 공정혁신 달성 여부 175

〈표 2-95〉 중견기업 유형별 혁신활동 산출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 176

〈표 2-96〉 벤처확인제도 개편 전후 비교 186

〈표 2-97〉 기업가정신실태조사(기업편) 지표별 측정값 추이 191

〈표 2-98〉 '비전과 전략' 지표 세부항목별 측정값 추이 193

〈표 2-99〉 '기업가적 특성' 지표 세부항목별 측정값 추이 194

〈표 2-100〉 '문화와 구조' 지표 세부항목별 측정값 추이 195

〈표 2-101〉 '운영체계' 지표 세부항목별 측정값 추이 196

〈표 2-102〉 '성과' 지표 세부항목별 측정값 추이 197

〈표 2-103〉 국내 기업의 혁신역량 비교 분석 시사점 198

〈표 3-1〉 연도별 글로벌 정책분석 국가 현황 199

〈표 3-2〉 주요국의 중소기업 정책 동향 분석 Framework 200

〈표 3-3〉 주요국의 중소기업 지원 체제 201

〈표 3-4〉 주요국의 중소기업 지원 체제 201

〈표 3-5〉 Composition of the 2017 business population 203

〈표 3-6〉 영국 전역의 사기업에 수, 사기업 규모 별 고용인 수, 총 매출액 204

〈표 3-7〉 중소기업 공공조달 정책 205

〈표 3-8〉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and groups 209

〈표 3-9〉 일반인 대상 창업장려 프로그램 212

〈표 3-10〉 민간영역의 투자장려 프로그램 213

〈표 3-11〉 중소기업을 위한 세금 보조 혜택 214

〈표 3-12〉 창업ㆍ중소기업을 위한 조언 및 지원 프로그램 214

〈표 3-13〉 은행 대출 지원 프로그램 215

〈표 3-14〉 일본 기업별 사업자ㆍ종사자 수 및 비중 218

〈표 3-15〉 일본 중소기업기본법 정의 218

〈표 3-16〉 일본의 중소기업 정책과 그 사상의 변천 221

〈표 3-17〉 일본 중소기업의 R&D 실시 현황과 연구개발비 추이 230

〈표 3-18〉 중국 기업표준 분류표 235

〈표 3-19〉 중국정부의 기업R&D 지원정책 변천사 246

〈표 3-20〉 기술형기업의 R&D 세수 우대정책 247

〈표 3-21〉 부분성시의 일부 중소기업 지원 정책 250

〈표 3-22〉 대만 경제부 산하기관의 중소기업 지원예산 256

〈표 3-23〉 대만 정부 부처 보조금 프로그램 257

〈표 3-24〉 공공 연구조직 기술개발 프로그램의 중점 영역 261

〈표 3-25〉 A+ 산업혁신 R&D 프로그램의 세부 사업 262

〈표 3-26〉 중소기업육성법의 주요내용 266

〈표 3-27〉 산업혁신법의 주요내용 268

〈표 3-28〉 SBIR 중소기업 지원 요건 269

〈표 3-29〉 대만 경제부의 2018년 정책 및 전략 목표 271

〈표 3-30〉 대만 경제부 중소기업 관련 정책의 성과목표 272

〈표 3-31〉 글로벌 중소기업 정책 동향 비교 274

〈표 3-32〉 중소기업 R&D 혁신방향 기본방향 및 전략 277

〈표 4-1〉 기업 규모별 혁신활동 280

〈표 4-2〉 기업 규모별 혁신활동(제품+공정)의 목적 281

〈표 4-3〉 기업규모별 혁신활동 저해 요인 283

〈표 4-4〉 기업규모별 국내외 시장 판매액 및 비중 추정 (2012년 기준) 284

〈표 4-5〉 중소기업의 주력 판매처 284

〈표 4-6〉 중소기업의 시장유형별 평균 매출액 및 인력규모 285

〈표 4-7〉 중소기업의 시장유형별 혁신 활동 285

〈표 4-8〉 중소기업의 시장유형별 혁신 활동 286

〈표 4-9〉 중소기업의 시장유형별 혁신 활동 287

〈표 4-10〉 중소기업의 시장유형별 혁신 활동저해 요인 287

〈표 4-11〉 세계최초수준의 기업정보 289

〈표 4-12〉 제1~3차 중소기업 기술혁신 5개년 계획 주요 내용 306

〈표 4-13〉 저널별 논문 수 (1996~2017년) 312

〈표 4-14〉 전체 연구주제 분포 (2004~2017년) 315

〈표 4-15〉 구간A 연구주제 분포 (2004~2008년) 317

〈표 4-16〉 구간B 연구주제 분포 (2009~2013년) 318

〈표 4-17〉 구간C 연구주제 분포 (2014~2017년) 320

〈표 4-18〉 클러스터 간 코사인유사도 산출 결과 324

〈표 4-19〉 주요 분석 내용 요약 331

〈표 4-20〉 한국 중소기업 R&D지원의 주요 연구분야 334

〈표 4-21〉 미국 중소기업 R&D지원의 주요 연구분야 338

〈표 4-22〉 한국 중소기업 R&D지원의 연구분야별 비중 341

〈표 4-23〉 미국 중소기업 R&D지원의 연구분야별 비중 343

〈표 4-24〉 한국 중소기업 R&D지원의 동시출현 연구분야 (빈도 기준) 345

〈표 4-25〉 미국 중소기업 R&D지원의 동시출현 연구분야 (빈도 기준) 347

〈표 4-26〉 지역별 중소기업 현황 (내림차순 분류) 349

〈표 4-27〉 지역혁신정책의 변천 350

〈표 4-28〉 주력산업 세부업종 선정 기준 352

〈표 4-29〉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의 지역별 분야 선정현황 (2018년 기준) 354

〈표 4-30〉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평가항목 개선 전후비교 357

〈표 4-31〉 경북 기업지원기관 주요 기능 분석 361

〈표 4-32〉 충청남도 유관기관의 중소기업 지원사업 현황 (2018) 364

〈표 4-33〉 충청남도 소재 주요 중소기업 R&D 지원기관 현황 365

〈표 4-34〉 기업부설연구소 현황 (2018.06 기준) 366

〈표 4-35〉 충남 기업부설연구소 현황 367

[그림 1-1] 9차년도 연구의 Framework 44

[그림 1-2] 기업의 기술혁신 역량 변화추이와 영향요인 분석대상 45

[그림 2-1] 2016년 한국기업혁신조사 설문지 구성 52

[그림 2-2] 인증기업의 비율 65

[그림 2-3] 연구소나 연구개발 전담부서 운영 비율 66

[그림 2-4] 제품혁신 기업 비율 67

[그림 2-5] 제품혁신 주체 68

[그림 2-6] 중소기업 제품혁신 수준 69

[그림 2-7] 공정혁신 기업 비율 70

[그림 2-8] 공정혁신 주체 71

[그림 2-9] 중소기업 공정혁신 수준 72

[그림 2-10] 전체 중소기업 중 혁신 기업의 비중 75

[그림 2-11] 전체 중소기업 중 제품혁신 기업의 비중 76

[그림 2-12] 전체 혁신형 중소기업 중 시장에 새로운 혁신을 창출한 기업의 비율 77

[그림 2-13] 전체 중소기업 중 공정혁신 기업의 비중 78

[그림 2-14] 전체 혁신형 중소기업 중 공공 지원을 받는 기업 비중 79

[그림 2-15] 혁신활동을 위해 협력을 수행하는 중소기업의 비중 80

[그림 2-16] 혁신활동을 위해 공급업체와 협력을 수행하는 중소기업 비중 81

[그림 2-17] 혁신활동을 위해 수요자와 협력을 수행하는 중소기업 비중 82

[그림 2-18] 혁신활동을 위해 대학 및 공공기관과 협력하는 중소기업 비중 82

[그림 2-19] 혁신활동을 위해 국제협력을 수행하는 중소기업 비중 83

[그림 2-20] 주요 기업부문 실태조사 (국내승인통계 기준) 84

[그림 2-21] 중견기업 평균 연구개발투자액 및 참여율 115

[그림 2-22] 중견기업 업종별 평균 연구개발투자액 및 참여율 116

[그림 2-23] 중견기업 매출액별 평균 연구개발투자액 및 참여율 117

[그림 2-24] 중견기업 수출유무별 평균 연구개발투자액 및 참여율 118

[그림 2-25] 중견기업 업력별 평균 연구개발투자액 및 참여율 119

[그림 2-26] 중견기업 매출유형별 평균 연구개발투자액 및 참여율 120

[그림 2-27] 중견기업 평균 설비투자액 및 참여율 121

[그림 2-28] 중견기업 업종별 평균 설비투자액 및 참여율 122

[그림 2-29] 중견기업 매출액별 평균 설비투자액 및 참여율 123

[그림 2-30] 중견기업 수출유무별 평균 설비투자액 및 참여율 124

[그림 2-31] 중견기업 업력별 평균 설비투자액 및 참여율 125

[그림 2-32] 중견기업 매출유형별 평균 설비투자액 및 참여율 126

[그림 2-33] 중견기업 정부지원 R&D사업 참여율과 평균수행횟수 127

[그림 2-34] 중견기업 업종별 정부지원 R&D사업 참여율과 평균수행횟수 128

[그림 2-35] 중견기업 매출액별 정부지원 R&D사업 참여율과 평균수행횟수 129

[그림 2-36] 중견기업 수출유무별 정부지원 R&D사업 참여율과 평균수행횟수 130

[그림 2-37] 중견기업 업력별 정부지원 R&D사업 참여율과 평균수행횟수 131

[그림 2-38] 중견기업 매출유형별 정부지원 R&D사업 참여율과 평균수행횟수 132

[그림 2-39] 중견기업 지식재산권 보유 비율 133

[그림 2-40] 중견기업 지식재산권 등록현황 135

[그림 2-41] 중견기업 업종별 지식재산권 등록현황 136

[그림 2-42] 중견기업 매출액별 지식재산권 등록현황 137

[그림 2-43] 중견기업 수출유무별 지식재산권 등록현황 138

[그림 2-44] 중견기업 업력별 지식재산권 등록현황 139

[그림 2-45] 중견기업 매출유형별 지식재산권 등록현황 140

[그림 2-46] 벤처기업 확인유형과 벤처확인기업수 181

[그림 2-47] 벤처기업의 연구개발투자액과 연구개발인력 182

[그림 2-48] 벤처기업의 보유특허 183

[그림 2-49] 벤처기업의 기술수준 183

[그림 2-50] 벤처기업의 협력활동 184

[그림 2-51] 고성장 벤처기업의 연구개발비율 비교 188

[그림 3-1] 기업체 규모 별 고용인 수, 총 매출액 및 기업체 수 비율 203

[그림 3-2] 네 가지 시기별 영국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흐름 206

[그림 3-3] BEIS의 업무 208

[그림 3-4] Global Entrepreneurship Index-영국 210

[그림 3-5] BEIS 내 정책결정 구조 211

[그림 3-6] ECF 모델 (제한적 파트너쉽) 216

[그림 3-7] 일본의 중소기업 지원 관련 행정기관 223

[그림 3-8] 첨단설비 등 도입계획의 계획 (안) 225

[그림 3-9] 중소 모노즈쿠리 고도화법 체계 231

[그림 3-10] 대ㆍ중ㆍ소기업 비중 234

[그림 3-11] 2011-2016년 중소기업 매출액 및 증가율 236

[그림 3-12] 2011-2016년 중소기업 순익 및 증가율 237

[그림 3-13] 중소기업 담당기관부처 242

[그림 3-14] 기술형 중소기업 평가 프로세스 249

[그림 3-15] 대만 정부의 중소기업 역량강화 전략 253

[그림 3-16] 대만의 중소기업 정책 수단 254

[그림 3-17] 대만의 정부 조직 255

[그림 3-18] 중소기업 R&D예산 편성 및 배분 과정 260

[그림 3-19] 대만 경제부 소관 중소기업 기술혁신 지원 프로그램 260

[그림 4-1] 분석과정 309

[그림 4-2] 연도별 논문 수 311

[그림 4-3] 전체 연구주제 분포 314

[그림 4-4] 연구주제 비중 변화추이 321

[그림 4-5] 구간 간 유사 연구주제 및 세부 키워드 변화 323

[그림 4-6] 한국과 미국 정부의 중소기업 R&D지원 과제 수 증가 추이 329

[그림 4-7] 한국과 미국 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금 증가 추이 329

[그림 4-8] 한국 정부 부처의 중소기업 R&D지원 과제 수 현황 330

[그림 4-9] 미국 정부 부처의 중소기업 R&D지원 과제 수 현황 330

[그림 4-10] 한국 중소기업 R&D지원의 연구분야별 비중 332

[그림 4-11] 한국 중소기업 R&D지원의 연구분야별 비중 (연구주제 중심) 333

[그림 4-12] 미국 중소기업 R&D지원의 연구분야별 비중 336

[그림 4-13] 한국 중소기업 R&D지원의 연구분야별 총 연구비, 과제 수 추이 340

[그림 4-14] 미국 중소기업 R&D지원의 연구분야별 총 연구비, 과제 수 추이 342

[그림 4-15] 한국 중소기업 R&D지원의 연구분야 동시출현 네트워크 345

[그림 4-16] 미국 중소기업 R&D지원의 연구분야 동시출현 네트워크 347

[그림 4-17] 지역별 주력산업별 성과분포도 356

[그림 4-18] 사례연구를 위한 분석 틀 359

[그림 4-19] 경북지역산업 생태계 현황 360

[그림 4-20] 충청남도 소재 중소기업 지원기관 현황 363

[그림 4-21] 충남의 중소기업 지원사업 통합 모형 368

[그림 5-1] 중소기업 기술혁신 정책과제 : 벡터 관점 380

[그림 5-2]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및 글로벌 정책분석 10차 연도 (예정) 387

〈표부록-1〉 2011년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398

〈표부록-2〉 2012년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399

〈표부록-3〉 2013년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400

〈표부록-4〉 2014년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401

〈표부록-5〉 2015년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401

〈표부록-6〉 2016년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402

〈표부록-7〉 2017년 중소기업 기술혁신 역량 평가 403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