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마을 공동체 만들기 / 지은이: 이재민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9
청구기호
307.76 -19-35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 85 p. ; 19 cm
총서사항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28800696
ISBN: 9791128800009(세트)
제어번호
MONO1201966396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목차보기더보기


01마을
02공동체
03전통사회 마을 공동체
04현대사회 마을 공동체
05마을 공동체 유형
06마을 정체성과 마을 콘텐츠
07마을 공동체 활동 사례
08마을 공동체 성장 단계
09마을 공동체 활동의 한계점
10지속 가능한 마을 공동체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52237 307.76 -19-3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52238 307.76 -19-3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인간은 누구나 공동체에 속해 구성원들과 함께 살아간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는 공동체 의식이 파편화되고 소멸되며 공동체가 해체되고 있다. 이웃 사이에서 발생하는 층간 소음, 주차, 쓰레기 처리 같은 문제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이 문제들은 심지어 폭력이나 살인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 책은 우리 삶의 터이며 공동체의 근간을 이루는 마을에서부터 공동체 회복을 시도한다. 마을 공동체 개념, 구성 요소, 역사적 배경, 유형 등 이론적 내용과 더불어 마을 공동체 활동을 하는 마을 사례, 마을의 성장 단계, 한계점 등 실제 현장에서 접할 수 있는 내용까지 포함했다. 이 논의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마을 공동체를 위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더보기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한국 사회가 무연사회로 진입하고, 인구 절벽 문제로 인해 지방 소멸의 가능성이 대두되며, 무엇보다 공동체가 해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마을을 통해 공동체 의식을 회복하고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한 단초를 찾으려 한다. 그렇다면, 왜 마을인가? 우리는 공동체 회복의 기제를 왜 마을에서 찾아야 하는지 명확히 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우선, 마을은 우리 삶의 터전이고 문화를 일구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를 발휘했고, 이에 맞는 삶의 형태를 개발해 삶 속에 녹여 내었다. 세계 4대 문명이 큰 강 유역의 평야지대에서 발생한 이유는 식량을 구하기 쉬워 생업을 유지하는 곳으로 가장 적합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의 역사는 다양한 공동체의 역사다.
    - “현대사회에서 마을의 가치” 중에서
    성미산마을은 2006년 건설교통부가 추진하는 ‘살고 싶은 마을 만들기’ 시범사업에 선정되어 마포구청과 함께 민관 거버넌스를 구축했다. 성미산마을이 마을 만들기의 선진 사례로 꼽히는 이유는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한 경험과 시행착오들을 겪고, 성찰과 반성을 통해 더욱 정진하려는 자세 때문이다. 성미산마을의 공동체 활동은 현재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 중이다. 공동육아가 중심이었던 마을 공동체 활동은 일상, 문화예술, 생태적 측면에서 활동이 확대되었다. 구성원들은 아파트 건설, 촛불집회, 젠트리피케이션 등 사회문제에도 관심이 있으며, 자신들의 가치 실현을 위해 다채로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마을 공동체 활동 사례” 중에서
    마을 공동체 활동을 통해 마을 정체성이 더욱 강화되거나 새로운 마을 정체성이 개발될 수 있다. 마을 공동체 활동이 기존 마을 정체성과 맞지 않거나, 마을 공동체가 마을의 가치관과 철학을 담아내지 못하는 마을 콘텐츠를 개발한다면 마을 공동체의 지속 가능성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문화예술 자원이 풍부한 마을에서는 문화예술 자원을 활용한 마을 공동체 활동이 요구된다. 그리고 오랜 역사 속의 유명한 집성 마을이라면, 마을 정체성의 근간을 이루는 전통문화의 보존과 전승, 문중 조직의 결속을 강화하는 공동체 활동이 요구된다. 아파트 마을은 전 세대를 위한 공동체 활동이 요구되며, 마을 신앙을 현재까지 유지하는 마을은 이를 활용한 공동체 활동이 요구된다.
    - “지속 가능한 마을 공동체” 중에서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