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발간사 / 김양호
머리말 / 전제훈
목차
일러두기 11
총론 : 우주의 색이 민중의 마음속으로 들어오다 13
글을 들어가며 33
1장 삼척의 색깔로 그리다 39
제1절 삼척지역색깔의 그림 39
선사암각화에 나타난 삼척지역그림 39
선사암각화는 별자리그림 41
별자리그림은 불사추구신앙 42
곡물로 만든 채색 '템페라' 43
우리 채색그림 원류는 진채 46
제2절 고고학자료에 나타난 삼척지역그림 52
고대국가 실직국시대 삼척지역 실직군왕과 왕비능 석물조각그림 52
철기시대 삼척지역그림은 토기에 두드림무늬 54
적색연질토기에 호랑이로 보이는 내발짐승그림 그려져 55
삼척지역에서 남북국시대인 7~8세기 금동보살입상 2기 출토 56
청자양각도철문향로는 12세기 고려시대 높은 수준 부조그림 57
제3절 국행수륙대재에 나타난 삼척지역그림 59
조선 초 삼화사 국행수륙대재에 설치된 감로탱화에서 통합의미 가장 잘 표현해 59
19세기 후반 감로탱화 하단 이전 그림과 달라 수많은 현실적 인간의 모습 다양하게 펼쳐져 61
삼화사 국행수륙재 설단 '감로탱화' 한국채색민화의 변화여정과 닮은꼴 63
제4절 허목 예술세계에 나타난 삼척지역그림 64
허목의 미수전체 삼척지역 그림 글씨 등에 큰 영향 64
허목의 생애 67
허목 송시열과 예송논쟁을 벌이다 69
허목 학맥과 학통 예술세계 70
미수 허목 선생이 쓴 글씨 미수전 72
이명기가 그린 허목 영정그림 72
허목이 쓴 삼척지역의 풍토사 『척주지』 74
허목이 쓴 『동해송』 76
대한평수토찬비 80
제5절 동해송·천하도·일월오봉도·산해경 81
『동해송』 '천하도'와 『산해경』 구조와 닮은 꼴 81
'천하도'와 신선사상 85
'천하도'와 '일월오봉도'는 같은 구조 86
'일월오봉도'는 음양오행을 바탕으로 한 신선사상의 표현 89
'일월오봉도'가 추구하는 의미 91
삼척지역 유풍은 단군신시이래 예맥의 유풍 95
『동해송』과 '천하도' 사유체계는 닮은꼴 96
허목 『동사』와 『동해송』 한국중심의 세계관 구현 99
척주동해비문 내용은 퇴조내용인가 『동해송』인가 102
『동해송』 영험성은 있는가 104
『동해송』 삼재사상 구조의 퇴조비 성격 107
척주동해비 『동해송』의 역상그림 요소 109
척주동해비 『동해송』의 『산해경』 속 동물그림 114
척주동해비 동해송 내용 117
척주동해비 글씨체도 영험의 대상 표현 118
제6절 퇴조신앙 넘어 평수토사상으로 이어져 120
척주동해비 삼재사상으로 볼 때 해침과 수재를 막는 퇴조신앙 120
대한평수토찬비가 삼척에 세워진 이유 127
척주동해비 동해송에는 삼척사상이 담겨있어 대한평수토찬비 평수토의 대한제국주의 담아 129
제7절 앞면 일월오봉도 뒤면 해반도도 132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의 도교에 초점 맞춘 유물전 132
불교의식에 쓰던 금동대향로 도교적 세계관 담아 137
'일월오봉도'와 '해반도도'의 상징적 연관성 140
삼국시대 이래 조정에서 별의 운행과 출현 상서로운 조짐 인간세계에 미칠 길흉 예언 144
신하들이 군주의 장수를 축원하며 아홉 번 같다는 말에 비유 146
왕실 의례에 사용한 궁중장식화 왕실의 번영과 왕의 장수를 희구 147
복록(福祿)과 축수(祝壽)의 '일월오봉도' 천보장(天保章) 구여(九如)와 같은 의미 150
'일월오봉도'는 도교 음양오행사상이 기본원리 153
일월오봉도와 해반도도 그림의 형식 155
'일월오봉도'에 보이는 자연 속 경물 상징체계처럼 도식·대칭적 표현 157
'일월오봉도'와 '해반도도' 그림의 특징 160
불로영생(不老永生)의 '해반도도(海蟠桃圖)' 164
'해반도도'는 '일월오봉도' 뒷면을 장식 166
'해반도도' 거의 조선시대 19세기에 그려져 171
'일월오봉도'와 '해반도도'는 시각적 은유와 상징적 의미로 가득 174
'일월오봉도'와 '해반도도'는 있는 그대의 사실을 그린 서사적 그림 176
'해반도도' 후대로 내려올수록 '십장생도'와 결합 '해학반도도'로 변화 179
'해반도도'는 대한제국주의를 그림으로 표현한 이념도 181
제8절 죽서루와 삼척지역그림 185
죽서루는 관동팔경의 제일루 삼척그림의 생성지 185
정선 『관동명승첩』 죽서루그림 190
『금강산도화첩』 죽서루그림 191
강세황 『풍악장유첩』 죽서루그림 194
엄치욱 죽서루그림 196
이방운 죽서루그림 197
『관동팔경첩』 죽서루그림 198
'관동팔경병풍' 죽서루그림 200
'금강산도권' 죽서루그림 201
『관동명승첩』 용추·능파대그림 202
『백운화첩』 죽서루그림 205
『관동십경병풍』 죽서루그림 206
'관동팔경도병' 죽서루그림 208
『관동팔경도』 죽서루그림 209
가까운시기 죽서루 그림 210
제9절 삼척지역 금석그림 211
비석머리문양 척주동해비문 미수전체에서 찾아야 관찰사 홍재현 유혜불망비 머리문양 과두문인 듯 211
영장 유완수 영세불망비 머리문양 반원에 역동적 햇살무늬 216
영장 장계환 영세불망비 머리문앙 반원에 역동적 햇살무늬 217
관찰사 민영위 유혜불망비 머리문양 반원에 역동적 햇살무늬 218
관찰사 홍재현 유혜불망비 머리문양 과두문[미수전체]형태 218
영장 이선재 영세불망비 머리문양 반원에 역동적 햇살무늬 219
영장 조존우 청덕선정비 머리문양 반원에 역동적 햇살무늬 220
영잠 정하응 청덕선정비 머리문양 모란형태 220
글씨 문양의 그림으로 변화 222
제10절 삼척지역 불교미술문화 223
조선 초 국행수륙대재 올리던 삼화사 223
삼척 근덕면 동막리 신흥사 224
삼척 근덕면 동막리 영은사 225
운흥사 천룡탱화 231
황승규무불화 233
약사여래도 234
아미타도 234
한국채색민화불화의 다양한 기법활용 235
제11절 삼척지역 한국채색민화 236
한국채색민화 민중이 흥얼거리던 대중가요 분위기 236
한국채색민화 조선시대 민중의 간절한 소망 담아 238
한국채색민화 순수하고 자유분방한 분위기 241
투박해도 발랄한 상상력과 웃음이 가득 246
소남 이희수 한국채색민화 강원도 인맥형성 248
소남 이희수 그림 남한보다 북한에서 비중 있게 다뤄 252
삼척 한국채색민화 작가 연호 이규황 강원도 문자도의 일인자 석강 황승규 253
이규황 '효제문자도'와 활동범위 그리고 작품 특징 255
이규황 '문자효제도' 하단 '책거리그림' 특징 257
안료를 부분적으로 두껍게 칠해 강조하는 방법 대체로 주홍색과 청록색 계열 보색을 주로사용 259
이규황 작품 활동범위 동해안 별신굿 범위와 같아 260
삼척 한국채색민화 작가 석강 황승규 261
석강 황승규의 한국채색민화 작품 특징 263
겸손한 마음으로 그림을 그리다 267
황승규 책거리 효제문자도 스승 이규황과 대비 269
이규황과 황승규의 책거리 효제문자도 차이점 274
그림그리기 병풍제작 물감 만들기 혼자서 다해 277
석강 황승규의 '민서체' 허목의 '미수전체'와 매우 닮아 278
이종하는 시대 마지막 한국채색민화 작가 282
이종하 한국채색민화는 찍어낸 듯 똑같아 283
한국채색민화 작품 하한연대 1960년 중반으로 볼 수 있는 좋은 자료 286
이종하 작품 이규황, 황승규 작품과 비교 연관성 해명돼 289
이종하 그림본은 아버지 이규황의 내림본 291
한국채색민화와 병풍생산 근대미술산업의 한 축 292
윤열수 가회민화박물관장이 본 강원도 삼척한국채색민화 293
1960년대 중반 한국채색민화 맥 끊겨 2000년 초부터 관심고조 294
2장 민중과 함께 그리다 297
제1절 고구려 사신도 오방색깔과 오성빛깔 297
한국채색민화 원본 고구려벽화에서 찾아야 297
사신개념·형상은 삼국시대 동아시아문화 교류와 함께 시작 299
고구려 사신도는 백제미술에도 영향을 미쳐 301
고려시대 사신도 십이지신상과 함께 나타나 302
조선시대 목능에 그려진 한국채색민화 그림소재 303
사신도 시대마다 약간씩 다른 양식적 특징 사신도는 현실과 상상 동물의 복합된 내용 303
사신은 천문채색관으로 다섯 개의 별빛으로 표현 305
제2절 오방색과 오행설 306
오방색은 오행의 상생·상극인 목·토·수·화·금순으로 그려 306
한국채색민화는 관광의식이 투영된 그림 309
다른 지방·다른 나라 경치와 명소를 구경하는 것 312
관광은 '나라의 빛을 본다'라는 뜻으로 '책가도'와 관련 있어 314
'책가도' 닮은 민속놀이 삼척 살대세우기 317
제3절 고구려벽화 1500년 지나도 생기 발랄 323
고구려벽화 드로잉작업 통해 몸과 마음치유 323
평양 진파리1호분 꽃비처럼 흩날리는 그름과 인동무늬 수산리고분벽화 곡예사·하녀 등 재미난 인물로 가득 327
고구려벽화는 생활상을 마치 살아있는 듯 생동감 있게 그려 329
고구려벽화에서 한국채색민화 원형을 찾아볼 수 있어 331
통도사 성파스님 한국채색민화 발생 견해 333
제4절 한국채색민화 새로운 분야 세계에 알려 339
최고의 한국채색민화도록 『한국의 채색화』 만나 행복 339
『한국의 채색화』 도록 국내·외 유명학자 참여한 국제프로젝트 341
『한국의 채색화』 도록 국내·외 소장품까지 망라 342
『한국의 채색화』 최고 화질로 원작 넘어서는 감동 342
『한국의 채색화』는 한국미술사 새로운 분야 세계에 알려 343
궁중회화와 민화 한국채색화가 지닌 덕목과 매력 344
우리 전통회화의 새로운 보고 세계에 알릴만한 우리대표 문화유산 346
한국문화콘텐츠산업 한류 사업 이끌 원동력 347
제5절 한국채색민화 분류는 어떻게 하였나 350
산수화와 인물화 350
화조화 352
책거리와 문자도 353
정병모 교수 한국 미술사에 채색을 입히다 354
세계 곳곳 다니며 한국의 진정한 채색화 찾아내 356
한국화단 풍조 그동안 문인화 우대 채색화 하대 357
한국채색민화 단지 '서민의 그림' 이유로 국내서 푸대접 358
불안한 현대인에게 한국채색민화 통한 몸과 마음치유 필요 359
유쾌함에서 치유 효과가 더욱 빛나 험난한 역사 속에서 긍정성 찾게 해 361
한국채색민화가 새로운 한류 이끌어 갈 것 363
한국채색민화의 세계화는 현재진행형 364
제6절 훈민정음과 훈민화 365
한글은 한자 모르는 민중을 소리그림으로 가르치는 '훈민화' 365
동이족문화와 사상 많이 있어 한자(漢字)보다 한자(韓字)로 하자 369
한국채색민화 세계인이 배우면 누구라도 한국이해 370
한국채색민화 그리면 한국문화 쉽게 이해 371
한글 왕도계몽화라면 19세기 한국채색민화 민주계몽화 372
세종 때 「삼강행실도」 조선후기 한국채색민화 효제문자도와 닮아 375
세종 때 「삼감행실도」 구도와 화법 조선 후기 한국채색민화와 닮은꼴 376
「삼강행실도」 민중계도용 그림책 한국채색민화 민중교육용 그림 378
제7절 여민해락과 여민화 385
'일월오봉도'는 민중과 함께 하는 '여민화' 385
한국채색민화는 왕과 민중이 함께 그린 그림 388
3장 민중의 마음을 그리다 393
제1절 호락논쟁과 한국채색민화 393
호락논쟁과 한국채색민화의 영향관계 393
호락논쟁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395
호락논쟁은 노론을 두 동강 내 400
호락논쟁은 청나라에 대한 시각교정하게 해 402
노론의 울타리를 넓힌 낙론 405
북학사상 한국채색민화 호작도에 투영돼 407
노론은 '수구꼴통' 당파초월 탕평군주 정조에 적대세력 410
호락논쟁의 유산, 보수의 진화 415
호락논쟁과 한국채색민화는 어떤 관계인가 417
제2절 호락논쟁을 한국채색민화로 그리다 422
노론 벽파가 반대하고 정조가 사랑했던 그림 '책가도' 422
책거리는 15세기 르네상스시대 이탈리아 개인서재 스튜디올로가 시초 424
국내서는 충효를 강조한 '유교문자'도 유행 425
한국채색민화 현대미술가에도 적잖은 영향 428
제3절 호락논쟁과 소설 호질·그림 호작도 430
소설 「호질」은 양반계급 위선 신랄히 비판 430
연암 박지원의 소설 「호질」과 한국채색민화 '호작도'는 닮은꼴 433
제4절 『홍길동전』의 길동의식과 색동화 436
『홍길동전』 홍길사상과 『단군신화』 홍익사상은 닮은 꼴 436
한국채색민화 부흥은 이야기 생산과도 맥을 같이해 440
소설 『홍길동전』 그림 '길상화'로 표현돼 442
소설 『홍길동전』 길동의식은 색동의식과 닮아 445
'때때옷 입은 어린이' 그린 '크리스마스 씰' 결핵퇴치 기금사용 때때옷 벽사의미와 통해 448
벽사진경과 연단술 그리고 한국채색민화치유 '한국채색민화 그리면 행복하고 건강해 진다' 452
한국채색민화 화려한 색감 때때그림 꼬까그림으로 표현 457
제5절 민중 이야기를 그림으로 표현하다 458
한국채색민화 발달 방향성은 상류에서 민중그림으로 458
한국채색민화는 민중의 이야기를 그린 그림이다 459
한국채색민화는 민중의 삶 이야기 462
제6절 한국채색민화 이야기 464
한국채색민화 아닌 한국채색민화 그린 유랑화가 464
한국채색민화는 때 묻지 않은 어린이그림 467
한국채색민화, 민중을 위한 민중의 그림 469
보는 그림과 사용하는 기능을 함께한 실용한국채색민화 471
창작과 수요자 주체로 본 실용민화 475
한국채색민화 종류와 분류 478
장생도는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을 기원한 그림 479
'복록상징도'는 장수 꿈 안에 행복한 마음이 함께 있어 482
'벽사용그림'은 장수를 누리는 데는 재앙이 없어야 484
'교화용그림'은 실용성리학(실학) 이념을 그림으로 표현 487
참고문헌 493
찾아보기 497
판권기 51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574383 | 759.9511 -19-22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574384 | 759.9511 -19-22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