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근대 자료의 내용과 성격 | 한명근
Ⅰ. 머리말
Ⅱ. 매산 선생과 근대 한국학 자료
Ⅲ. 기독교 자료
1. 성경
2. 찬송가
3. 신앙교리서
4. 주일학교 공과
5. 교회 회의록
6. 한국교회사
7. 기독교 신문
8. 기독교 잡지
9. 천주교 자료
Ⅳ. 한국학 자료
1. 한말 정치경제 자료
2. 근대 교과서
3. 개화기·일제강점기 발행서적
4. 고전 복간본
5. 중국·일본 발행서적
6. 근대 신문·잡지
Ⅴ. 일제 식민통치 자료
1. 재판 관련 자료
2. 사법·경찰기관의 훈시, 지시 및 주의사항과 회의 자료
3. 사법·경찰기관의 각종 보고, 정리, 통계 및 법령 자료
4. 기타 자료
Ⅵ. 해외 한국학 자료
1. 한국어 문법서와 어학사전
2. 개신교 선교사의 한국학 출판물
3. 여행가, 외교관, 기자 등의 한국학 출판물
4. 서양인들의 동아시아학 출판물
5. 한국인 저술의 외국어 출판물
6. 기타 선교단체의 영문출판물
Ⅶ. 맺음말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일제강점기 ‘재판 관련 자료’의 현황과 활용방안 | 성주현
Ⅰ. 머리말
Ⅱ. ‘재판 관련 자료’의 현황과 성격
1. 1910년대 암살사건 관련 재판자료
2. 3·1운동 관련 재판자료
3. 1920년대 민족운동 관련 재판자료
4. 광주학생운동 관련 재판자료
5. 사회주의·공산주의 활동 관련 재판자료
6. 1930년대 재판 관련 자료
Ⅲ. ‘재판 관련 자료’의 활용방안
Ⅳ. 맺음말

근대전환공간의 인문학-외래사상과의 만남, 그 흔적을 찾아서 | 오지석
Ⅰ. 머리말
Ⅱ. “西學”에서 “新學”으로
1. 결이 다른 두 흐름(‘西學에서 神學으로’)
2. 漢譯西學書 그리고 韓譯西洋書의 문헌가치
Ⅲ. “격물치지에서 격치로, 다시 과학으로”
1. 한역서학서로 본 “격물치지” 그리고 “격치”로 표현된 서양자연학, 과학 그리고 기술
2. 서양과학에 대한 조선인들의 이해
Ⅳ. 맺음말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문학과 예술> 자료의 현황과 <메타모포시스인문학> 연구의 활용방안 | 전영주
Ⅰ. 머리말 : <문학과 예술> 관련 자료의 현황과 연구의 필요성
Ⅱ. 한국기독교물관 소장 한국학 자료의 활용방안
1. 연행록과 서간문, 여행기 시문 : 근대 초기 문학 장르의 양상들
2. 『 한영자전 』의 사료적 가치와 번역어로서의 언어인식
Ⅲ.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기독교 자료의 활용방안
1. 조선에 체류한 선교사의 창작물과 번역문학의 의미
2. 『 찬송가 』와 근대시가문학 형성과의 관련양상
3. 기독교 신문 및 잡지의 문예학적 성격
Ⅳ. 맺음말 : 앞으로의 연구 전망과 남은 과제들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근·현대시기 영문 자료 연구(17세기~20세기 전반기) | 김지영
Ⅰ. 머리말
Ⅱ. 17~18세기 간행 영문서적
Ⅲ. 19세기 간행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영문서적
Ⅳ. 20세기 간행 영문서적
Ⅴ. 맺음말 :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자료 현황 및 활용방안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한국기독교박물관 자료를 통해 본 근대의 수용과 변용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85021 951 -19-7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85022 951 -19-7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한국기독교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문헌자료는 2018년 3월 현재 조선중기 이후 해방까지 고문서, 고서, 서화류, 근대 인쇄물류 등으로 구분되며, 이 중 2018년 3월 현재 박물관에서 등록한 문헌자료는 총 6,997점에 달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동안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은 소장하고 있는 자료에 대해 주제별로 해제집을 발간한 바 있다. 2005년 2월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고문헌 목록󰡕을 시작으로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기독교 자료 해제󰡕(2007년 1월),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과학·기술 자료 해제󰡕(2009년 2월),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한국학 자료 해제󰡕(2010년 12월),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민족운동 자료 해제󰡕(2012년 12월, 이하 ‘󰡔민족운동 해제󰡕’) 등 자료 해제집을 발간하였다. 이들 자료들은 한국 기독교사와 일제강점기 민족운동, 그리고 근대 전환기 형성 과정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백주년을 맞는 올해는 매우 의미 있는 해이다. 이에 따라 본 사업단은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자료를 활용하여 지난 2018년 11월 28일 「메타모포시스 인문학에서 본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자료 현황과 활용방안」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 바 있다. 본서는 이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원고를 보완하여 ‘메타모포시스 인문학총서’라는 총서명으로 간행하는 처녀작이다. 본 연구총서는 다섯 편의 연구 성과로 구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