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일러두기 3

북한 고고학 정기간행물 해제Ⅱ를 발간하며 / 최종덕 5

북한 고고학 정기간행물 해제Ⅱ를 소개하며 9

1948~1950 력사제문제(歷史諸問題) 11

1948년 2호 13

原始社會史 硏究에 關한 覺書 / 韓興洙 13

1949년 9호 15

最近安岳에서 發見된 高句麗時代의 古墳의 壁畵와 年代에 對하여 / 李如星 15

1949년 13호 17

朝鮮의 考古學에 對한 日帝御用學說의 檢討(上) / 洪起文 17

1949년 14호 19

朝鮮의 考古學에 對한 日帝御用學說의 檢討(下) / 洪起文 19

1950년 1호 21

朝鮮原始史硏究에 關한 考古學上諸問題 / 韓興洙 21

先史學의 唯物史觀的 考察을 爲한 몇개의 基本問題 / 都宥浩 22

1950년 2호 24

古朝鮮의 位置에 對한 一考察 / 鄭世鎬 24

先史學의 唯物史觀的 考察을 爲한 몇개의 基本問題(下) / 都宥浩 26

1949~1950 문화유물(文化遺物) 29

1949년 1호 31

成川 東明館 31

창간사 32

「문화유물」을 통하여 미제의 만행을 폭로하라 / 홍명희 33

조국에 대한 바른력사와 인식을 주는 역활을 하라 / 한설야 34

우리민족의 문화유산을 외국에 널리소개하라 / 리기영 35

조국의 문화유물의 찬란한 가치를 선양하라 / 남일 36

민족문화를 부흥발전시키는 튼튼한 기초가되라! / 김오성 37

미제와 그 주구들의 문화유물략탈정책을 폭로 분쇄하라 / 김승화 38

民族文化遺産의 保存과 繼承에 關한 諸問題 / 韓興洙 39

言語와 民俗 / 洪起文 41

東洋美術史上의 寫實風繪畫 / 李如星 43

朝鮮의 樂器類 / 曹雲 45

문화유물보존사업에 대하여 / 리태진 47

뇌두개(腦頭蓋)-Cranium cerebrale / 리동성 48

安岳에서 發見된 高句麗古墳들 / 都宥浩 50

"文遺" 小辭典 「爼豆」 52

高句麗의 古都(平壤城雜考) / 黃澳 53

하무덤 壁畫 / 李泰俊 55

新羅傳說 試考 其一(四十八代景文王傳說) / 金容泰 56

민요수집기행 -은율 지방- / 조병륜 58

우쿠라이나의 民族藝術 / 왈레치나. 꾸릴초봐 ; 노대규 59

옛 기념물들의 보고(寶庫) / 니-나·밀리치나 61

1950년 2호 62

朝鮮民俗學의 樹立을 爲하여 / 韓興洙 62

言語와 社會的 關係와의 聯關 / 田蒙秀 65

三國時代의 造形藝術 - 「이데올로기와」의 關聯에 있어서의 簡單한 考察 - / 李如星 67

奉先寺址考 / 都宥浩 68

農樂에 關하여(座談會) - 「物保」 民俗學部主催民間藝術座談會記錄抄 69

山蔘캐기에 關한 習俗 / 조병륜 71

滿州源流考抄略 - 十一部族의 由來 - / 정세호 72

金日成綜合大學博物館 / 韓吉彦 74

쓸라브種族發生論의 基本諸問題 / 아.드.우달쪼브 75

朝鮮古建築術語解說 77

物質文化史研究院三十年 / 아.드.우달쪼브 78

1948~1950 문화유산(文化遺産) 80

1957년 1호 91

민족문화유산의 계승 발전과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의 당면 과업 / 도유호 91

민족적 형식의 현대 건축에의 창조적 도입을 위하여 / 박황식 93

황해도 탈놀이와 그 인민성 / 김일출 95

고구려 고분 벽화에 나타난 악기에 대한 연구(1) / 전주농 97

함경북도 지방 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1) / 황기덕 99

자강도 전철 출토 명도전(明刀錢)에 대하여 / 유정준 101

추사 김정희의 생애와 그의 학술 사상 / 김재효 102

조선에서의 초기 금속 사용에 관한 토론회 103

1957년 2호 104

조선 고대 무덤에 관한 연구(1) / 정백운 104

두레에 관하여 / 전장석 106

고구려 고분 벽화에 나타난 악기에 대한 연구(2) / 전주농 109

함경북도 지방 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2) / 황기덕 110

묘향산 수렵도구 / 로재화 112

새 중국학계의 인상 / 리여성 113

쏘련에서의 민속학 발전의 총화와 전망 / 에쓰.빼.똘쓰또브 ; 김신숙 115

안악 3호분의 년대와 그 피장자에 대한 학술 토론회 117

1957년 3호 118

안악 제3호분(하무덤)의 년대와 그 주인공에 대하여 / 김용준 118

조선 고대 무덤에 관한 연구(II) / 정백운 119

14세기 《공신록권》을 중심한 조선 활자 문화와 고찰 / 최성기 121

봉산 탈놀이의 옛 모습을 찾아서 / 김일출 122

조선의 고악가 《공후인(箜篌引)》 / 리무림 124

경제 문화 류형과 력사 민속적 지역 / 엠. 게 레빈 ; 엔. 엔. 체복싸로브 ; 리연식 125

부벽루와 성불사 재건 127

새로 발견된 고구려 고분 128

1957년 4호 129

산대 잡극의 형성에 대하여 / 김일출 129

북청 지방 민요들의 특색 / 문하연 131

백두산 등산 연로의 유적 / 황철산 133

활기 띤 고대 무용 / 리무림 134

북청 지방의 민속 / 전장석 135

종성향교의 건축 양식 / 박황식 137

청진 농포리 원시 유적 발굴 138

유적조사를 위한 기초 지식 / 정백운 140

가곡과 시조 / 리무림 141

팔음에 의한 악기의 분류 / 리무림 142

서흥 탈놀이 대본 / 장경석 143

지탑리 유적 발굴 사업 진행 145

안악 제1, 2호분 및 대안리 제1호분에 대한 실측, 기록 및 모사 사업 진행 146

청진 락가암에 소장된 석불 / 박황식 147

1947년 5호 148

10월 혁명과 조선 고고학의 발전 148

평양 부근에 있는 고구려시기의 유적 -고구려 평양천도 1530주년에 제하여- / 채희국 149

지탑리 유적 발굴 중간 보고(1) / 도유호 ; 황기덕 151

1953~1956년 기간에 원동 지방에서의 고고학 연구 / 웨. 웨. 도마쉐브쓰끼 153

구피의(狗皮衣)에 관한 고찰 / 황철산 155

동양에서 가장 오랜 편종(編鐘) 157

평안남도 협동조합 농민들의 혼인 풍습에 대하여 / 김신숙 158

화약무기의 조선 전래에 관하여 / 전장석 160

고려 도자기와 초기 금속유물 전시회 162

1957년 6호 163

민족문화유산의 옳은 계승 발전을 위하여 163

문화적인 농촌 건설과 민속유산의 계승을 위하여 / 김일출 164

지탑리 유적 발굴 중간 보고(2) / 도유호 ; 황기덕 166

평양부근에 있는 고구려시기의 무덤들 / 채희국 168

두만강 류역과 동해안 일대의 유적조사 / 황기덕 170

라진 초도의 부락 자치 기관으로서의 《소(所)》와 몇 가지 풍속 / 정백운 172

북청 지방 건축에서의 문'살무늬 / 전장석 174

기린 가면 175

민속박물관에 전시된 유물들 176

거섭 3년명 칠반(居攝三年銘漆槃) / 황욱 179

1958년 1호 180

1957년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의 사업총화와 1958년도 사업전망 180

문화유물 조사 보존에 대한 조선로동당의 시책 / 김용간 181

우리나라 건축에 민족적 양식을 도입하는 문제에 관하여 / 리여성 182

우리 건축의 특색을 어떻게 살릴 것인가 -건축에서의 민족적 형식 문제와 관련하여- / 김용준 184

우리나라 년중행사에 관하여 -정초놀이- / 김일출 186

강남 원암리 원시 유적 발굴보고서 / 정백운 189

국립중앙력사박물관에 소장된 주요유물들 / 황욱 191

해주 소반 193

과학원 창립 5주년 기념 학술보고회 196

1958년 2호 197

우리나라 14세기 인쇄문화 -《주자소》설치 555주년에 제하여- / 정백운 197

조선 주자 사적에 대한 약간의 고찰 / 김무삼 198

춘경기의 농촌 풍습 / 김일출 199

태성리 저수지 건설장에서 발견된 유적 정리에 대한 개보(1) / 전주농 201

고려 자기의 비색(翡色) 및 상감(象嵌)수법에 대하여 / 장주원 203

개성력사박물관에 소장된 주요유물들 / 김일원 204

조선에서의 금속문화 기원에 대한 토론 / 김용간 ; 황기덕 ; 김재효 206

1958년 3호 207

조선로동당 제1차 대표자회 결정 실행을 위하여 207

민속학연구를 더욱 현실에 접근시키기 위하여 / 전장석 209

조선 원시문화의 년대 추정을 위한 시도 / 도유호 211

북포(北布)에 관한 약간의 고찰 / 황철산 214

우리나라에서 철기 사용의 개시에 관하여 / 정백운 216

태성리 저수지 건설장에서 발견된 유적 정리에 대한 개보(II) / 전주농 218

조선의 루각(漏刻) -루각 창제 1240주년에 제하여- / 채희국 220

사리원력사박물관에 소장된 주요유물들 / 렴창열 222

제1차 전국 고고학 토론회 224

1958년 4호 225

공화국 창건 10주년에 제하여 225

해방 후 우리나라 고고학의 발전 / 정백운 226

조선 민속학의 발전을 위하여 / 김일출 228

조선 미술사 부문에서 거둔 성과 230

석굴암 조각과 사실주의 / 리여성 231

강계시 공귀리 원시 유적에 대하여 / 김용간 233

조선 서북 지방 원시토기의 연구 / 황기덕 235

위생 문화 사업을 더욱 추진시키기 위하여 237

평북 지방에서 발견된 원시 유적 / 김례환 238

안변 룡성리 고분 발굴보고 / 량익룡 240

신의주력사박물관에 소장된 주요유물들 / 박찬일 242

기양 관개 지구에서 새로 발견된 고구려 벽화 고분 244

1958년 5호 245

보수주의와 소극성을 반대하여 245

관개공사장에서 발견되는 유물보존사업을 전인민적 운동으로 전개하자 247

고구려시기의 무기와 무장(1) -고분 벽화 자료를 주로 하여- / 전주농 248

수원성의 축성형식 / 김재효 250

자강도 내 원시 유적 및 옛날 돈이 발견된 유적 / 유정준 252

풍청리 련철 수공업장-《일건》에 대하여 / 리덕수 254

평암 《청암리 토성》 부근에서 발견된 고구려 금동 유물 / 황욱 256

민속학에서 현지 조사사업의 원칙과 방법 / 게.에쓰.치따야 257

용어해설(고고학, 구석기시대, 중석기시대) 25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10주년 기념 학술보고회 진행 260

1958년 6호 261

천리마를 탄 기세를 달리자 261

칼 맑스를 기념하여 1818년 5월 5일-1883년 3월 14일 262

농촌 근로자들의 새로운 문화와 풍습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 김일출 263

조선에서 나타난 활촉의 기본 형태와 그 분포 / 황기덕 265

천리마에 대한 설화 / 신래현 267

쏘련 연해주 지방 유적 탐사기 / 김용간 269

하천 어로에 관한 민속자료 271

롱오리산성에서 발견된 고구려 석각문 / 김례환 ; 류택규 273

원산시 증평리 원시 유적 / 리장섭 274

용어해설(신석기시대, 동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276

우리나라 원시 유적의 분포 정형 278

1959년 1호 280

공산주의 사상으로 철저히 무장하자 280

전국 농업협동조합 대회에서 제시한 과업과 민속학의 당면 업무 281

남칠 농업협동조합의 주택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 / 라종목 282

쏘련에서의 공산주의 건설의 리론적 제 문제와 쏘베트 민속학자들의 과업 284

1958년 춘하기 어지돈 지구 관개공사구역 유적 정리 간략 보고 / 황기덕 286

고구려시기의 무기와 무장(II) -고분 벽화 자료를 주로 하여- / 전주농 288

함경북도 회령군 산간 지방의 목공업 / 황철산 290

독로강의 어로 민속 292

우리나라 원시 유적 분포정형 -함경남북도, 량강도, 자강도, 강원도 편- 294

룡천군 신암리 신창 부락에서 원시 유적 발견 / 김례환 296

봉산군 어수구 석상분(石箱墳) / 리영열 297

조선 거석문화연구 / 도유호 298

1959년 2호 300

연백 지방의 축력 농기구에 관한 민속학적 고찰 / 정시경 300

쌍멍에 가대기 / 강석준 302

평안남도 증산군 가장리 벽화 고분 정리 간략 보고 / 채희국 304

1958년 춘하기 어지돈 관개공사구역 유적 정리 간략 보고(II) / 황기덕 305

향토사 편찬에서 민속에 관한 부문을 어떻게 서술할 것인가 / 전장석 307

의주군 원하리에서 원시 유적 발견 / 김례환 310

진렬을 개편한 《현대생활문화관》 311

1959년 3호 312

사회주의 건설의 고조에 발맞추기 위한 고고학 분야의 과업 312

고구려 석실 봉토분의 기원에 관하여 / 채희국 313

약수리 고분을 통한 고구려 벽화분의 년대에 관한 연구 / 주영현 316

농업협동조합에 관한 현지 민속자료 수집 요강(1) 318

1959년 4호 320

민족문화유산 계승 발전을 위한 우리 당 정책의 빛나는 승리 -문화유물보존사업과 그 연구를 중심으로- 320

해방 후 조선 음악이 걸어온 길 / 문종상 321

고구려 석실 봉토분의 유래와 서역문화의 영향 / 도유호 323

함경북도의 과거 농업 생산에 관한 고찰 / 황철산 324

우리나라 고악보와 악보 문'자에 대하여 / 문하연 325

루마니야 인민공화국을 방문하고 -루마니야에서 민속학 발전의 새로운 면모- / 김신숙 327

조선 고고학자들에게서 허심히 배우련다 / 배문중 329

대성산에서 발견된 2좌의 소상(塑像)에 대하여 / 채희국 330

농업협동조합에 관한 현지 민속자료 수집 요강(2) 331

1959년 5호 332

해방 후 조선 음악 창작 개관(1) / 문종상 332

안악 《하무덤(3호분)》에 대하여 -그 발견 10주년을 기념하여- / 전주농 334

18세기의 탁월한 화가 겸재 정선 / 조준오 335

15세기 이후의 조선 농구에 대하여 / 홍희유 336

동림군 인두리 당모루 원시 유적조사 간략 보고 340

정주군 석산리 당터산 원시 유적조사 간략 보고 341

8·15 해방 14주년 기념 고고학 학술 토론회 342

1959년 춘기 유적 발굴 정리 정형 343

1959년 6호 344

조국의 평화적 통일은 하루 속히 달성되여야 한다 344

조중 친선 농업협동조합 마을과 주택 / 리종목 345

고구려 벽화분의 편년 기준에 관하여 / 주영헌 348

해방 후 조선 음악 창착 개관(II) / 문종상 349

재령과 단천 지방에서 나온 몇 개 유물에 관하여 / 도유호 351

백제 복식에 관한 자료 / 김용준 353

1960년 1호 354

1960년도 과학연구사업의 성과적 수행을 위하여 354

초도 유적의 주인공에 관하여 / 도유호 355

우리나라 혼인 풍습과 모계제의 유습에 대하여 / 전장석 356

호미의 류형과 그 분포 / 정시경 358

무산읍 범의구석 원시 유적 발굴 중간 보고 / 황기덕 360

신석기시대 년대론에 관한 약간의 리론적 기초 / 아.야.브류쑈브 362

평양시내 고건물 복구 수리 사업에서 얻은 몇 가지 경험 364

우리나라 고대 종족과 국가 발생에 관한 과학 토론회 365

1960년 2호 367

고구려 벽화 무덤의 구조 형식과 벽화내용의 변화 발전(I) / 주영헌 367

고조선문화에 관하여 -토광 무덤 년대의 고찰을 중심으로- / 전주농 369

함경남도의 유래 미상의 산성들과 고분들에 대하여 / 한석정 371

사실주의 전통의 비속화를 반대하여 -리여성 저 《조선 미술사 개요》에 대한 비판(I)- / 김용준 373

과학으로서의 민속학의 대상과 방법 / 애쓰.이.또.까레브 ; 황철산 375

안가라강 수력 발전소 구역에서의 고고학적 조사 발굴 사업 / 김용남 377

1960년 3호= 379

고구려 벽화 무덤의 구조 형식과 벽화내용의 변화 발전(II) / 주영헌 379

미림 쉴바위 원시 유적 정리 보고 381

고조선의 위치와 그 성격에 관한 몇 가지 문제 / 정찬영 383

회화사 부문에서의 방법론상 오유와 사실주의 전통에 대한 외곡 -리여성 저 《조선 미술사 개요》 비판(II)- / 김용준 386

《고고학상으로 본 고조선》에 대한 과학 토론회 388

고고학에 관한 새 용어의 해설 / 도유호 390

1960년 4호 391

해방 후 조선 고고학이 걸어온 길 391

조선 민속학의 15년과 앞으로의 과업 393

고조선에 관한 약간의 고찰 / 도유호 395

조중 친선 농업협동조합 농민들의 문화와 풍습 / 황철산 397

고려 공민왕 현릉 발굴개보 / 전주농 399

미제국주의자들과 남조선 괴뢰 집단에 의한 문화유물의 파괴와 략탈 / 정찬영 401

1960년 5호 402

우리나라 농촌 주택의 류형과 그 형태 -19세기 중엽~20세기 초엽- / 리종목 402

대유동 광산 로동자들의 문화와 풍습의 몇 가지 측면 / 최원희 405

황해남도 룡연군 석교리 원시 유적 간략 보고 / 황기덕 407

최근 함경북도에서 새로 발견된 유적과 유물 / 전수복 409

신석기시대 년대론에 관한 약간의 리론적 기초 / 아.야.브류쑈브 411

알바니야 인민의 민속전통 / 로크 조지 ; 황철산 413

1960년 6호 414

영광스러운 조선로동당 창건 15주년 414

단원 김홍도의 창작 활동에 관한 약간한 고찰 / 김용준 415

우리나라 농촌 주택 발전에 관한 민속학적 고찰 / 리종목 416

기경용 재래 농기구의 류형과 그 분포 / 정시경 418

황해남도 고려 자기 가마터 발굴 간략 보고 / 리병선 420

년간 주요 발굴소식 / 김용남 ; 전주농 422

1961년 1호 424

1961년도 과학연구사업의 더 높은 앙양을 위하여 424

동성 불혼(同姓 不婚)에 관한 연구 / 전장석 425

과거 우리나라 농촌 주택의 각 방의 리용과 그 설비 / 리종목 427

미송리 동굴 유적 발굴 중간 보고(I) / 김용간 430

최근에 발견된 고구려 벽화 무덤 / 전주농 432

함경남도 지역에서 발견된 세형동검 유적과 유물 / 한석정 434

1961년 2호 436

우리 공예품의 특색을 살리기 위한 몇 가지 의견 -도자기를 중심으로- / 김용준 436

향도(香徒, 鄕徒)에 관하여 / 황철산 437

미송리 동굴 유적 발굴 중간 보고(II) / 김용간 439

자강도 시중군 심귀리 원시 유적 발굴 중간 보고 / 정찬영 441

평안남도 개천군 묵방리 고인돌 발굴 중간 보고 / 김기웅 443

쏘련 로동 계급에 대한 민속학적 연구범위와 방법론 문제 / 브·유·꾸루빤스까야 ; 최원희 445

1961년 3호 447

우리나라 재래 농기구의 류형과 그 분포 / 정시경 447

황해북도 황주군 긴동 고인돌 발굴보고(I) / 황기덕 449

강서성 태성 저수지 내부 유적의 정리 / 전주농 451

서포항 조개무지 발굴 중간 보고 / 김용남 453

신라 건국 전설에 대한 고찰 / 강석준 455

함경북도 김 책군 덕인리 《고인돌》 정리 간략 보고 / 전수복 456

도유호 동지에게 박사학위 수여 457

1961년 4호 458

조선로동당 제3차 대회 이후 고고학계가 거둔 성과 458

조선로동당 제3차 대회 이후 민속학과 미술사 분야에서 거둔 성과 459

리조 초기의 명화가들 안견, 강희안, 리상좌에 대하여 / 김용준 460

지봉 리수광이 조선 민속학 분야에 남긴 유산 / 황철산 461

조선 고고학의 창시자 추사 김정희 / 전주농 464

고조선 연구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 465

1961년 5호 466

제4차 당 대회에서 우리 앞에 제시한 과업을 성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466

연암 박지원이 남긴 조선 민속학의 고귀한 유산 / 전장석 467

고구려 적석총에 관하여 / 정찬영 471

증강군 토성리 원시 및 고대 유적 발굴 중간 보고 / 리병선 473

철원군 내문리 고려 돌상자 무덤에 대하여 / 량익룡 475

평안북도 박천군 덕성리 전곽 무덤 발굴 간략 보고 477

고조선에 관한 과학 토론회 479

1961년 6호 480

미송리 동굴의 동물 유골에 대하여 / 김신규 480

경성 성제와 그 방어 체계에 대하여 / 박승동 482

평양시 서성구역 와산동 팽이그릇 유적 조사보고 / 김용남 ; 서국태 484

박천 심원사 보광전 건축에 대한 고찰 / 최희림 486

최근 강원도에서 발견된 원시 유물 / 량익룡 487

증강군 장성리 유적 조사보고 / 김종혁 489

황해남도 북부 지방 유적 답사 보고 / 리원근 491

재령군 부덕리 수역동의 토광 무덤 / 리순진 493

조선로동당 제4차 대회 경축 복식 전람회 / 석성희 495

1962년 1호 496

두만강 류역의 신석기시대 문화 / 황기덕 496

14~17세기 《처가살이 혼》 풍습에 대하여 / 전장석 498

평안북도 룡천군, 염주군 일대의 유적 답사 보고 / 리병선 500

황해북도 연산군 공포리 무덤 떼 발굴 간략 보고 / 석광준 502

평안북도 벽동군 송련리와 룡천군 왕산 원시 유적 답사 보고 / 정일섭 504

1962년 2호 506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에서 주체를 확립할 데 대한 우리 당의 방침을 철저히 관철시키자 506

성호(星湖) 리익(李瀷)이 조선 민속학 분야에 남긴 업적 / 황철산 507

고구려 녀자 옷에 관한 연구 / 최원희 511

농포 원시 유적의 동물 유골에 대하여 / 김신규 513

고구려 적석 무덤에 관한 연구 / 주영헌 515

함경북도 화대군에서 털코끼리(《맘모스》)의 유골을 발견 / 김신규 517

1962년 3호 518

금탄리 유적 제2 문화층에 대하여 / 김용간 518

좁은놋단검(세형동검)의 형태와 그 변천 / 정찬영 521

신천 명사리에서 드러난 고조선 독널에 관하여 / 도유호 523

고고학이란 어떠한 과학이며, 력사연구에는 왜 고고학이 필요한가? / 도유호 525

단오(端午)의 유래와 행사 / 황철산 527

고조선의 공예 미술 / 전주농 528

《지탑리 원시 유적 발굴보고》에 대하여 / 김용간 529

신천에서 대방군 장잠장 왕경(帶方郡 長岑長 王卿)의 무덤 발견 / 전주농 530

진번과 옥저성의 위치 -고조선 령역 문제와 관련하여- / 도유호 531

1962년 4호 533

혼인 풍습을 통하여 본 신라의 가족에 대하여 / 전장석 533

18~20세기 초의 조선 녀자 복식(1) / 최원희 535

통천군 구읍리 어은골 신라 무덤에 대하여 / 량익룡 537

함북 화대군 털코끼리 발굴지에 발달한 니탄층의 포자 화분 조합(胞子 花粉 組合) / 로영대 539

털코끼리가 발견된 함북 화대군 장덕리 4기층의 층서와 고지리적 환경에 대한 고찰 / 박준석 ; 최현모 541

《부조예군(夫租薉君)》 도장에 대하여 / 백련행 542

빙하기란 무엇인가 / 도유호 544

신라와 가야의 문화에 대하여 -우메하라(梅原末治)의 론문 《고대 일선 간의 문물의 교류》를 읽고서- / 정찬영 546

평양시 승호 구역 립석리(立石里) 원시 유적 발굴 간략 보고 / 리원근 ; 백룡규 547

조선의 모시 / 김희건 549

룡산리 고분 정리 보고 / 백련행 550

고조선의 공예 / 전주농 551

1962년 5호 553

과학원 창립 이후 고고학과 민속학의 발전 553

두만강 류역의 청동기시대 문화(1) / 황기덕 554

우리나라의 혼례식에 대하여 -18세기~19세기를 중심으로- / 전장석 556

18~19세기 경의 우리나라 특별음식 / 황철산 559

인류의 기원 / 도유호 561

조선 민속학의 목적과 대상 범위에 관하여 / 황철산 563

왕검성의 위치 / 도유호 565

추석놀이 / 최원희 568

유적에서 출토하는 짐승 이'발의 형태에 대하여 / 김신규 569

《조선 민속학의 목적과 대상, 범위》에 대한 학술 토론회 570

1962년 6호 571

두만강 류역의 청동기시대 문화(II) / 황기덕 571

18~20세기 초의 조선 녀자 복식(2) / 최원희 573

예맥조선에 관하여 / 도유호 575

장산동 제1호 무덤 및 제2호 무덤에 관하여 / 주영헌 577

구석기란 무엇인가? 578

량 원제의 《직공도》에 대하여 / 정찬영 580

유적에서 출토하는 짐승 이'발의 형태에 대하여 / 김신규 581

중앙력사발물관에 소장된 유물 중에서 / 김우 582

웅기군 굴포리 서포항동 원시 조개무지 유적 발굴 583

녕변군 세죽리 유적 발굴 584

1963~1967 고고민속(考古民俗) 586

1963년 1호 593

고조선의 종족에 대하여 / 황철산 593

압록강 류역 빗살무늬그릇 유적의 특성에 관한 약간의 고찰 / 리병선 595

우리나라 혼례식의 변천 / 전장석 597

두만강 류역 청동기시대 주민의 샤마니즘에 대하여 / 황기덕 599

신창군 하세동리에서 드러난 고조선 유물에 관하여 / 전주농 601

해주시 룡당리 룡당포 조개무지 유적 조사보고 / 김용남 602

우리나라 삼국 및 통합 신라시기의 직물 생산과 염색 / 최원희 604

1963년 2호 606

안악 제3호 무덤의 피장자에 대하여 / 주영헌 606

예맥(穢貊)족에 대하여(I) / 황철산 607

다시 한 번 안악의 왕릉을 론함 -미천왕릉 설의 타당성을 증명함- / 전주농 609

안악 제3호분은 고구려 미천왕릉이다 / 박윤원 610

함경북도 웅기군 굴포리 서포항동에서 구석기시대 유적 발견 / 전주농 611

명태의 다양한 명칭과 그 구분 / 김희권 612

사람의 뼈를 감정하는 방법(I) / 백기하 613

문화층이란 무엇인가? / 김용남 615

라전 목물 공예(螺鈿木物工藝) / 최재선 616

1963년 3호 61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이후 고고학과 민속학연구에서 거둔 성과 617

고구려 봉토 무덤의 기원과 그 변천 / 주영헌 618

예맥(穢貊)족에 대하여(II) / 황철산 620

압록강 류역의 청동기시대의 특징적인 토기들과 그 분포 정형 / 리병선 621

회령 오동 원시 유적의 포유 동물상 / 김신규 623

중석기시대 / 김용남 625

나무 가구 공예 -의롱, 의장, 궤, 함, 문갑, 탁자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 / 김용남 627

시절 윷놀이 / 김문상 630

사람의 뼈를 감정하는 방법(II) / 백기하 631

리조 시기의 소반 / 최재선 632

1963년 4호 633

두만강 류역 철기시대의 개시에 대하여 / 황기덕 633

무산 범의구석 원시 유적에서 나온 짐승뼈에 대하여 / 김신규 634

신라의 가시 돋친 무기에 대한 약간의 고찰 / 박진욱 636

18~20세기 우리나라 도자기 치장의 몇 가지 방법과 그 유래에 대하여 / 조환석 638

씨름 / 홍기무 640

인도네시야의 끄리끼란 지방에서 발견된 피테칸트로 푸쓰의 하악골에 대하여 / 백기하 641

리조시기의 경대 / 최재선 642

1963년 중 고고학에서 거둔 성과, 1963년 중 민속학에서 거둔 성과 / 도유호 ; 황철산 644

1964년 1호 645

1964년도 고고학 및 민속학 분야의 중심 과업 645

우리나라 도자 공예의 발전 / 전장석 646

우리나라 동북 지방의 청동기시대 주민과 남녘의 주민과의 관계 / 황기덕 648

3국시기의 창에 대한 약간의 고찰 / 박진욱 650

단심줄 / 김신숙 652

줄다리기 654

청정리 《놋점》에 관한 민속자료 / 선희창 656

신석기시대 / 리병선 659

선천군 원봉리 및 정주군 석산리 원시 유적 조사보고 / 리원근 660

중화군 강로리 유적 조사보고 / 김영우 662

인공 변형 두개 / 백기하 663

1964년 2호 665

조선의 구석기시대 문화인 굴포문화에 관하여 / 도유호 665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의 년대론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 / 김용간 667

과거 우리 인민의 운동 오락의 발전 / 계정희 669

동해안 일대의 신라 산' 봉우리 성에 관한 연구 / 량익룡 672

세죽리 유적 발굴 중간 보고(1) / 김정문 674

토성리 유적에서 출토한 짐승뼈 / 김신규 676

청동기시대 / 김무봉 677

고려 청자 상감자기 / 조환석 679

1964년 3호 680

삼국시기의 활과 화살 / 박진욱 680

사당패(社堂牌) 형성에 관한 력사적 고찰 / 박은용 682

평천리에서 나온 고구려 부처에 대하여 / 도유호 684

신흥동 팽이그릇 집자리 / 서국태 685

대성산성 못(池) 발굴 중간 보고 / 전계헌 687

3국시기에 성을 지키거나 공격하는데 쓴 기재 689

십장생 / 김영진 691

고구려 벽화 무덤의 시원에 대하여 / 전주농 692

원시시대의 큰 부락터를 발견 / 리원근 ; 박선훈 693

추석(秋夕), 백중(百中, 百衆), 문신(文身) 694

1964년 4호 695

3국시기의 기와 벽돌무늬 / 김영진 695

소겨리 697

과거 우리나라 경작(耕作) 관습의 몇 가지에 대하여 / 황철산 698

사당패들의 활동 정형 / 박은용 700

《부조예군》 무덤에 대하여 / 리순진 702

세죽리 유적 발굴 중간 보고(2) / 김영우 704

철기시대 / 황기덕 706

신라 무덤의 편년에 대하여 / 박진욱 707

호미씨시, 사주팔자(四柱八字) 709

1965년 1호 710

과거 조선 남자 관모의 몇 가지에 대하여 / 최원희 710

과거 우리 인민의 무술 운동 / 계정희 712

미천왕 무덤(안악 제3호)의 건축 구성에 대하여 / 박황식 714

고려 호적 / 전장석 716

화산대(火山臺) 717

립석리 원시 유적에서 나온 짐승뼈에 대하여 / 김신규 718

인종주의의 반동성 / 백기하 720

금탄리 원시 유적 발굴보고 / 도유호 721

굴포문화에 관한 그 후 소식 / 도유호 ; 김용남 722

1964년 유적 발굴 정형 723

해방 후 발굴 년표 724

수정과(水正果) 729

1965년 2호 730

압록강 류역 빗살무늬그릇 유적들의 계승성에 대한 약간의 고찰 / 리병선 730

3국시기의 갑옷과 투구 / 박진욱 732

과거 우리나라 농사에서의 상호 로력 부족 조직에 대하여 / 림학선 734

벼루 / 김무삼 736

해주시 룡당리에서 나온 인골에 대하여 / 백기하 738

영흥읍 유적에 관한 보고 / 서국태 740

함경북도에서 새로 알려진 유적과 유물 / 렴주태 742

태백산성(太白山城) 답사기 / 채희국 744

신성리 무덤에서 나온 민속자료 / 허정근 746

대성산에서 나온 단지 / 전제헌 747

1965년 3호 748

우리나라 과거 주택의 류형과 그 형성 발전 / 황철산 748

평양성(장안성)의 축성과정에 대하여 / 채희국 750

석탄리 원시 유적 발굴 중간 보고 / 박선훈 ; 리원근 751

신암리 유적 발굴 중간 보고 / 리순진 753

무산 범의구석 원시 유적에서 나온 인골에 대하여 / 백기하 755

대안리 무덤 발굴보고 757

과거 우리나라 민간 명절 행사 / 최원희 758

《조선의 민속놀이》에 대하여 / 리제오 760

1965년 4호 761

조선로동당 창건 20주년을 맞으며 761

무덤을 통하여 본 우리나라 청동기시대 사회관계 / 황기덕 762

초기 고구려 문화의 몇 가지 측면 / 정찬영 764

검정 간그릇 766

수안군 산북리 고구려 무덤 정리 보고 / 장병협 767

권법과 태껸 / 계정희 769

불일사 5층 석탑 안에서 나온 유물 / 왕성수 771

안변군 룡성리에서 나온 인골에 대하여 / 백기하 772

고구려 벽화 무덤의 구조 형식과 벽화내용의 변화 발전 / 주영헌 774

석암리에서 나온 고조선 유물 / 백련행 775

1966년 1호 776

서북조선 빗살무늬그릇 유적의 년대를 론함 / 김용간 776

압록강 중상류 및 송화강 류역 청동기시대 주민의 경제생활 / 리병선 778

화석 780

백제 무덤의 변천에 대하여 / 박진욱 781

배천산성 답사보고 / 김기웅 783

천곡리 돌상자 무덤 / 백련행 785

신의주시 상단리의 고려 집자리 / 서국태 786

고구려의 성곽 788

리조실록에 보이는 류구 민속자료 / 전장석 789

여러 가지 구리 합금과 그 이름 / 선희창 791

비파형단검 792

단청무늬 / 조준오 793

신원군 장수산성을 찾아서 / 채희국 ; 전제현 794

1966년 2호 796

발해 중경 현덕부에 대하여 / 주영헌 796

우리나라 원시시대의 메'짐승에 대하여 / 김신규 797

과거 우리나라 남자 평상복 / 최원희 798

평양성에 대하여 / 정찬영 800

린산군 주암리 원시 유적 발굴 간략 보고 / 백룡규 802

북청군 중리 유적 / 안영준 803

웅기 서포항 원시 유적에서 나온 인골 / 백기하 805

우리나라 돌로 쌓은 성벽 구조에 대한 약간의 기술 자료 -수원성과 함북 경성성을 중심으로- / 박황식 806

설화 / 한룡옥 808

취군(聚軍) 놀이 810

대현산성 답사기 / 채희국 ; 전제현 811

신라의 돌로 쌓은 나무곽 무덤 812

건갈이 814

좁은놋단검 815

1966년 3호 816

압록강 및 송화강 중상류 청동기시대 문화와 그 주민 / 리병선 816

3국시기의 마구 / 박진욱 818

1965년도 신암리 유적 발굴보고 / 김용간 ; 리순진 820

황주군 심촌리 청동기시대 유적 발굴보고 / 황기덕 ; 리원근 822

우리나라 원시시대 및 고대의 쇠붙이 유물 분석 / 최상준 824

반달칼, 빗살무늬그릇, 고임천장, 서봉 무덤, 식리 무덤 825

1966년 4호 826

사회주의적 애국주의교양과 미풍량속 826

서부지방 팽이그릇 유적의 년대에 대하여 / 황기덕 827

우리나라 구들의 유래와 발전 / 정찬영 829

독무덤 831

친척을 부르는 우리 말의 유래와 특성 / 전장석 832

호우 무덤 834

함경남도에서 새로 알려진 좁은놋단검 관계 유적과 유물 / 안영준 835

돌상자 무덤 837

우리나라 성문형식에 대한 자료 / 박황식 838

《경직도》에 반영된 농민들의 생산활동과 풍속 / 장우섭 840

움무덤(토광 무덤) 841

1967년 1호 842

김해 조개무지의 무덤에 대하여 / 김용간 842

압록강 류역에서 철기시대의 시작 / 리병선 844

발해의 공예 / 주영헌 846

료동성탑 / 장상렬 848

우리나라 활촉의 형태와 그 변천 / 박진욱 850

은률군 운성리 움무덤 발굴 중간 보고 / 방성흥 852

봉화리 무덤 떼의 조사보고 / 백련행 854

지질 제4기층 / 김명근 855

청동기시대의 피리 857

팽이그릇 858

두공 859

우리나라 돌등 각 부분의 이름 860

1967년 2호 861

기원전 천년기 전반기의 고조선문화 / 김용간 ; 황기덕 861

발해는 고구려의 계승자 / 주영헌 862

평양성을 쌓는 년대와 규모 / 최희림 864

백마산성의 축조경위에 대하여 / 김기웅 866

미송리형 단지 868

1966년도 신암리 유적 발굴간략보고 869

서곡산성 답사보고 / 안병찬 870

락랑구역 정백동에서 나온 고조선 유물 871

1967년 3호 872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 김용남 872

동해안 일대의 신라 무덤에 대하여 / 박진욱 875

돌돈 877

고구려 평양성(장안성)의 성벽축조형식과 시설물의 배치상태 / 최희림 878

발해 상경돌등의 째임새 / 장상렬 880

1967년 4호 882

우리나라의 청동기시대 / 김용간 ; 황기덕 882

고구려초기 묘제의 유래 / 정찬영 883

항일무장투쟁시기 유격대의 식생활자료 / 강춘금 885

황해남도 연안군 장곡리 돌상자 무덤 조사보고 / 방성흥 887

은파군 금대리 유적 정리보고 / 박승률 888

룡추동 움무덤 / 리기련 889

고조선의 무기 890

청해토성 및 교성리토성 답사보고 / 리정기 892

수레의 멍에꼭지와 자리손잡이끝 894

부록 896

『歷史諸問題』 논문목록 897

『문화유물』 논문목록 903

『문화유산』 논문목록 905

『고고민속』 논문목록 919

판권기 927

이용현황보기

력사제문제·문화유산·문화유물·고고민속 해제집 : 1948∼1967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90869 016.951 -19-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90870 016.951 -19-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