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삼행시
김용희, 안윤성, 남승정, 최옥연, 김미연, 이현숙, 김춘선, 한선희

도시락의 추억
어느 소풍날의 추억 - 김용희 / 엄마의 도시락 ? 김미연 / 소시지! - 안윤성 / 난로 위의 도시락 ? 남승정 / 아뿔싸! 내 도시락 - 박영옥 / 소풍 가는 날 - 김춘선 / 영희의 도시락 - 손정숙 / 어머님, 죄송합니다 - 이현숙 / 김밥과 소풍 ? 박영옥 / 도시락 ? 김고니

가족 이야기
며느리와 딸 ? 김미연 / 엄마의 그림자 ? 곽명자 / 외손녀 ? 차성자 / ‘비엔나 인형박물관’에 다녀오다 ? 박영옥 / 생일 ? 최옥연 / 그녀 ? 김춘선 / 째깍째깍 ? 김미연

사랑에 대하여
사랑은… - 김미연 / 사칙연산 ? 김미연 / 꽃무릇 ? 차성자 / 좁은 문 ? 김춘선 /
미련 ? 김춘선 / 해의 사랑 ? 김용희

평창 이야기
호명길을 걷는다 - 최옥연 / 평창 ? 최옥연 / 평창의 아침 - 남승정 / 평창에서 ? 김미연 / 평창, 제2의 고향 - 이현숙 / 평창은… - 안윤성 / 평창에 오다 ? 박영옥 / 평창의 숨소리 ? 김고니

자연에 살다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우리 - 호명초 * 양윤희 / 탄생 - 이현숙 / 고추부각 - 박영옥 / 작은 꽃 ? 김춘선 / 농부의 마음 ? 최옥연

따뜻한 손
엄마의 손 - 김미연 / 손 - 이현숙 / 손톱 - 박영옥 / 엄마의 손 - 남승정

어린 왕자의 별에서
만약 네가 오후 네 시에 온다면 - 박영옥 / 〈어린 왕자〉를 읽고 - 최옥연

동시
바다 - 도성초 최승준 / 한여름 - 진부초 김태희 / 생각의 도서관 - 진부초 최영준 / 우리 막둥이 - 동안초 김태희 / 파충류를 향한 나의 사랑 - 동안초 김현중 / 마음 - 동안초 김난희 / 매미의 사랑 - 김미연 / 매미 ? 박영옥 / 엄마의 가방 ? 안윤성 / 사랑해, 사랑해 ? 안윤성 / 똥배에는 - 안윤성

대관령 문해교실
낡은 책상 친구 - 이석자 / 하루하루 - 이내옥 / 다시 찾은 이름 ? 이복남 / 대관령 도서관 - 이희옥 / 아빠의 비밀 - 이태수 / 자서전 - 홍영의 / 늙은 학생 자가용 카트 ? 최문규 / 눈만 뜨면 - 조경순 / 감사한 하루하루! - 전명옥 / 머리 창고 ? 강영하 / 빛을 채우다 ? 강귀연 / 새로운 세상 - 권오배 / 나의 귀한 며느리에게! - 권선옥 / 하루 - 김영화 / 가족과 세상에 말하는 나의 이야기 ? 김남옥 / 하늘나라의 우리 동생 ? 황규길 / 나도 학생이다 - 남동월 / 글자 꽃향기 ? 박영하 / 당신 멋져! - 성영자 / 머리에 씨앗을 심고 ? 김정순 / 어머니께! - 이종여 / 나의 역사 그림 일기장 ? 홍영의 / 하늘에 계신 영감께! - 조경순 / 나눔 속의 행복 ? 이명희

평창의 시와 소설
김남권(시) - 폭설 외 / 윤병주(시) - 오대산의 봄(아내에게) 외
심봉순(소설) - 땀띠 물 / 김도연(소설) - 콩 이야기

책을 엮으며
어느 행복한 날에 ? 김고니

이용현황보기

행복한 책읽기, 평창 : 첫 번째 이야기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96156 811.082 -20-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96157 811.082 -20-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아름다운 평창, 그곳을 닮은 사람들의 진짜 이야기
‘행복한 책읽기 평창’이라는 제목처럼 강원도 평창의 독서 동아리 ‘행복한 책읽기’ 회원들부터 평창 문해교실 수강생, 평창의 초등학생들의 삼행시, 시, 산문 등의 작품이 실렸다. 여기에 시인·소설가 등 평창 작가들의 시와 소설이 더해졌다.
행복한 책읽기 지도 강사로 이 책을 엮은 김고니 시인은 “회원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글로 털어놓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지만, 서로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보듬어주는 시간이 쌓이다 보니 한 편 한 편의 글이 쓰였고, 그 결과 이 책이 세상에 나왔다”면서 “평창의 작은 도서관에서 책을 읽는 사람들의 행복한 목소리를 담고, 사람들의 진짜 이야기를 적은 이 아름다운 책이 사람들의 마음에 눈꽃으로 피어나기를 바란다”고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