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CHAPTER 01 교육평가의 기초
1. 교육평가의 개념
2. 교육평가의 목적과 기능
3. 교육평가의 영역
4. 교육평가의 순기능과 역기능
5. 교육평가의 최근 동향

CHAPTER 02 교육평가의 관점
1. 교육관
2. 평가관

CHAPTER 03 교육목표의 이해
1. 교육목표의 의미와 설정
2. 인지적 영역의 교육목표
3. 정의적 영역의 교육목표

CHAPTER 04 교육평가의 모형
1. 목표지향평가 모형
2. 가치판단평가 모형
3. 의사결정 모형

CHAPTER 05 교육평가의 유형
1. 평가기능에 따른 유형
2. 평가기준에 따른 유형
3. 평가대상에 따른 유형

CHAPTER 06 평가도구의 조건
1. 타당도
2. 신뢰도
3. 객관도
4. 실용도

CHAPTER 07 평가문항의 유형
1. 선택형
2. 서답형

CHAPTER 08 평가결과의 처리
1. 문항분석의 이해
2. 검사점수의 이해

CHAPTER 09 정의적 영역의 평가
1. 정의적 영역 평가 시 유의사항
2. 정의적 영역 평가방법
3. 정의적 영역 평가의 의의

CHAPTER 10 지필평가와 수행평가
1. 지필평가
2. 전통적 평가와 대안평가
3. 수행평가의 이해

CHAPTER 11 과정중심평가와 성취평가제
1. 과정중심평가의 이해
2. 성취평가제의 이해

CHAPTER 12 평가의 실제(교과별)
1. 평가문항의 실제(국어)
2. 평가문항의 실제(생활과 윤리)
3. 평가문항의 실제(사회)
4. 평가문항의 실제(역사)
5. 평가문항의 실제(수학)
6. 평가문항의 실제(과학)
7. 평가문항의 실제(기술ㆍ가정)
8. 평가문항의 실제(정보)
9. 평가문항의 실제(영어)

이용현황보기

교육평가 = Educational evaluation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602016 371.26 -20-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02017 371.26 -20-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최근 교육평가 동향을 살펴보면 측정방법 및 도구의 신뢰성과 객관성을 중시하는 평가활동에서 교육과정의 내용 및 방법의 타당성·유용성·공정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 책은 교육평가의 최근 동향에 맞추어 과정중심평가와 성취평가제에 대해 초점을 두어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마지막 장에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평가문항의 실제를 다루어 이론과 현장을 접목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구성하려고 노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