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I. 해체와 통섭: 시대정신의 변화
1. 경계의 해체
2. 시대정신의 변화에 따른 연구의 다변화
3. 융합과 통섭

II. 장애학과 특수교육학의 만남
1. 특수교육학 연구의 다중 패러다임
2. 통합교육과 장애 담론 확장의 당위성
3.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화 담론으로 본 장애 재개념화
4. 장애학의 출현
5. 사회적 역할 가치화(SRV)와 자기결정(SD)의 순환적 함수관계
6. 개념과 용어 돌아보기: 장애 용어와 담론의 사회정치적 함의

III. 연극 텍스트에 나타난 장애 다시 읽기
1. 새로운 접근
2. 연극 텍스트로 해석해 본 장애 재개념화
1) The Caretaker
2) The Elephant Man
3. 장애인의 자기결정과 사회적 역할 가치화의 관계
1) The Cure at Troy
2) The Glass Menagerie
4. The Birthday Party를 통해 본 장애의 미학
1) 장애에 대한 미학적 접근
2) The Birthday Party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접근
3) The Birthday Party에 나타난
언어사용 전략과 언어장애
4) The Birthday Party에 나타난 장애의 미학

IV. 영화 속 장애 다시 읽기
1. 증인
2. 두 개의 빛: 릴루미노
3. 반짝이는 박수소리
4. 채비
5. 나의 특별한 형제
6. 배리어프리 영화
V 현상과 전망
참고문헌

이용현황보기

장애 다시 읽기 : 장애학과 특수교육학의 만남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602374 371.9 -20-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02375 371.9 -20-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통합이나 융복합이라는 화두가 모든 사람들에게 친숙하기까지 한 과제로 여겨지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분화해가기만 할 것 같았던 학문 분야에 자연스러운 통합의 움직임이 일어나고, 사회 전반적으로도 통합의 가치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시대이다. 이 책은 특수교육학과 장애학 분야에서 그동안 연구해온 내용들을 기반으로 정리하고 보완하여 한 권의 책으로 엮은 것이다.
본 연구가 특수교육학 연구에서 개인적으로 늘 아쉽게 생각했던 기능주의적 편향성의 경향을 완화해주고, 훌륭한 이론적 기반을 지닌 장애학이 소수자들의 연구 영역으로만 남지 않고 보다 현실적인 특수교육학이라는 분야와 이상적으로 만남으로써 보다 실효적인 공헌을 할 수 있도록 일조한다면, 더할 나위 없는 보람이 되리라는 기대를 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