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한국교육사
제1장 단군신화의 교육학적 해석 15
제2장 삼국시대의 학교와 교육 23
1. 고구려, 태학과 경당의 설립과 교육_25
2. 백제의 교육_29
3. 신라, 화랑제도와 교육_32
제3장 남북국시대의 학교, 교육, 유학생 35
1. 남국의 교육_37
2. 북국의 교육_48
제4장 고려시대의 교육제도와 교육사상 55
1. 국자감의 교육_57
2. 십이공도와 국자감_63
3. 동서학당, 향교, 서당_69
4. 안향, 이색, 정몽주_71
제5장 조선시대의 학교 및 학규 79
1. 성균관_81
2. 사부학당_84
3. 향교_86
4. 서원_87
5. 서당_92
6. 실업교육기관_96
7. 학규_101
제6장 조선시대의 과거제도와 교육 105
1. 과거제도의 성격_107
2. 문과_108
3. 무과_109
4. 잡과_110
5. 과거제도와 학교교육의 관계_111
제7장 성리학의 교육사상 115
1. 성리학의 개념, 구조, 성격_117
2. 이기론의 분화와 변용_119
3. 퇴계 이황의 교육사상_122
4. 율곡 이이의 교육사상_125
제8장 실학사상과 교육개혁론 131
1. 사회적 배경과 학풍_133
2. 반계 유형원의 교육개혁론_135
3. 성호 이익의 교육개혁론_137
4. 연암 박지원의 교육개혁론_140
5. 다산 정약용의 교육개혁론_145
제9장 동학사상과 평등교육론 155
1. 인간 평등과 인간 주체의 교육관_157
2. 여성의 인간화와 여성해방사상_162
3. 인간본위의 아동존중관_163
제10장 구한말의 교육 167
1. 갑오경장 전후_169
2. 신문화의 수용과 근대교육의 태동_172
3. 신학제의 제정과 관?공립학교의 설립_177
4. 민간인 사립학교의 설립_181
5. 선교단체의 교육활동_184
제11장 일제강점기의 교육 193
1. 일본인, 일본문화의 성격과 식민교육_195
2. 식민지 지배와 교육정책_206
제12장 해방 이후의 교육 시론 219
제2부 서양교육사
제1장 그리스의 교육사상과 교육문화 231
1. 아테네의 교육, 스파르타의 교육_233
2. 소피스트_237
3.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_240
제2장 로마의 교육사상과 교육문화 249
1. 왕정, 공화정, 제정_251
2. 카토, 키케로, 퀸틸리아누스_253
제3장 중세의 교육사상, 교육문화, 대학 259
1. 교회학교_261
2. 수도원학교_263
3. 교부철학과 아우구스티누스_265
4. 스콜라철학과 토마스 아퀴나스_270
5. 중세 대학의 발흥_276
제4장 르네상스와 인문주의의 교육 285
1. 르네상스와 인문주의의 인간형_287
2. 에라스무스의 교육사상_288
제5장 종교개혁, 반종교개혁, 그리고 교육 293
1. 종교개혁_295
2. 루터의 교육사상_297
3. 반종교개혁_301
제6장 17세기, 실학주의와 교육 305
1. 실학주의의 양상_307
2. 인문적 실학주의와 교육: 비베스, 라블레, 밀턴_308
3. 사회적 실학주의와 교육: 몽테뉴, 로크_313
4. 감각적 실학주의와 교육: 코메니우스_317
제7장 18세기, 자연주의 교육사상 321
1. 루소의 교육사상_323
2. 바제도우의 교육사상_330
제8장 신인문주의 교육사상 335
1. 신인문주의와 그리스_337
2.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_338
3. 헤르바르트의 교육사상_343
4. 프뢰벨의 교육사상_349
제9장 국가주의와 국민교육 355
1. 프랑스의 국민교육_357
2. 독일의 국민교육_358
3. 영국의 국민교육_361
4. 미국의 국민교육_364
제3부 현대교육철학
제1장 교육과 교육철학 369
1. 철학의 개념과 영역_371
2. 교육철학의 기능_372
3. 철학적 사유형식과 교육_373
제2장 미국의 4대 교육사조 381
1. 진보주의_383
2. 항존주의_388
3. 본질주의_390
4. 재건주의_392
제3장 실존주의와 교육 395
1. 전쟁과 철학_397
2. 개별자와 주체_399
3. 실존주의와 교육_400
제4장 분석철학과 교육 407
1. 논리실증주의학파와 일상언어학파_409
2. 분석철학과 교육_410
제5장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415
1. 문화논리, 사상체계, 사회운동_417
2. 인식론적 상대주의와 정전 이탈_418
3. 포스트모더니즘과 학교교육_420
참고문헌 425
인명색인 435
사항색인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