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일러두기

목차

발간사(PREFACE) : 6·25 참전용사들에게 전하는 작은 선물 10

제1장 대연동 12

1952년 대연동 못골저수지와 현 남구청 일대 14

1952년 대연동 작은 못과 못둑 아래 논들 14

1951년 대연동 현 남구청 앞을 지나는 징집 훈련병들 15

1951년 1월 21일 대연동 도로를 걷는 징집 훈련병들 15

1952년 우룡산에서 내려다 본 대연동 일대 16

1952년 대연동 우룡산에서 내려다 본 대연동 일대와 해운대지역의 화재 18

1952년 대연동 우룡산에서 내려다 본 유엔기념공원과 석포마을 20

1952년 대연동 홍곡산 동쪽 자락에서 내려다 본 유엔기념공원과 부산수산대학교 22

1952년 대연동 고동골 산자락 주거 모습 24

1952년 대연동 고동골 산자락 분묘들 25

1952년 봄 남구 대연동의 보리타작 26

1953~4년경 유엔기념공원에서 부산도시철도 못골역 방향 모습 26

1953년 가을 남구 대연1동의 추수 모습 27

1954년 남구 대연동 석포마을 농가와 보리밭 27

1954년 현 남구 대연동 대연우체국 주변 모습 28

1952년 남구 대연동 못골 인근의 농가 29

1954년 옛 부산공업중학교 강당 29

1952년 대연동 황령산 자락의 민가 29

1951년 1월 14일 대연동 농가의 화장실 29

1952년 부산수산대학교 본관에서 바라본 용소마을 모습 30

1954년 남구 대연동 용소마을 31

1954년 남구 용당동 홍곡산 자락에서 바라본 황령산 방향 32

1952년 남구 대연동 황령산 자락의 미군 관사 32

1952년 대연고개에서 내려오는 미군소방차 33

1953년 1월 남구 대연동 옛 낙농마을 일대 33

1953년 남구 대연동 대연고개를 넘는 여인들 34

1950년대 초 황령산 정상 부근에서 내려다 본 대연동 일대 35

1950년대 중반 부산수산대학교 앞 용호만 35

1950년대 중반 부산수산대학교 앞 용호만 갯벌의 출입금지용 철조망 35

제2장 용호동 36

1952년 용호동 일대 38

1952년 남천동과 이기대 40

1951년 1월 용호만에서 40

1952년 남천동과 이기대 41

1951년 1월 남천동 황령산 자락에서 바라본 용호동 장자산 자락 41

1952년 남구 용호동 앞 오륙도 등대섬에 좌초한 프랑스 선박 42

1952년 남구 용당동 신선대와 오륙도, 나암 42

1953년 영도 청학동 산언덕에서 바라본 용당동 해안 42

1952년 남구 용호동 오륙도앞 해상의 미군 군함 43

제3장 용당동 44

1952년 남구 용당동 해안과 마을 전경 46

1952년 남구 용당동 해안 전경 48

1952년 남구 용당동 해안마을 전경 48

1952년 남구 용당동 홍곡산 자락 마을 주민들 49

1952년 남구 용당동 문수사 최초 법당 49

1952년 남구 용당동 홍곡산의 미군 유류 저장시설 49

제4장 감만동 50

1952년 감만동 전경 52

1952년 우암동 산자락에서 바라본 감만동 전경 54

1952년 우암동 우룡산에서 바라본 감만동 진경 55

1954년 남구 감만동 감만중학교에서 바라본 감만동 북쪽 해안 56

1954년 남구 감만동 감만중학교에서 바라본 감만동 북쪽 해안의 해질 무렵 모습 56

1954년 남구 감만동 미군항만수송부 전경 57

1952년 남구 감만동 미군항만수송부 주변 57

1952년 남구 감만동 해안지역 군수창고들 58

1953년 부산 북항 제뢰등대와 감만동 해안 59

1952년 남구 감만동 해안의 선박 구난선 59

1952년 영도 청학동 앞바다에서 바라본 감만동 해안 59

1950년대 초 감만동 해안 군수품 하역 60

1950년대 초 감만동 해안 인력수송선 60

1952년 감만동 모래구찌 해안 61

1952년 남구 감만동 앞 북항 해안의 조개잡이 61

1952년 남구 감만동 119안전센터 뒤쪽 동항식육점 일대 모습 62

1952년 남구 감만동 119안전센터 뒤쪽 동항식육점 일대 마을 변화 모습 63

1952년 남구 감만동 산자락에 위치한 상점 64

1952년 남구 감만동 동향초등학교 위쪽 마을 65

1952년 남구 감만동 옛 일본인 관사 지역 65

1952년 남구 감만동 옛 동항초등학교 관사 65

1952년 남구 감만동 '된창' 이라 부르던 들판 66

1952년 남구 감만동 마을 옆 논 66

1952년 남구 감만동 보리밭 66

1952년 남구 감만동 언덕에서 바라본 영도 봉래산과 청학동 67

1952년 남구 감만동 언덕에서 바라본 영도 조도와 태종대 67

1952년 남구 감만동 마을 농가의 아이들 68

1952년 남구 감만동 마을 농가의 마당 모습 68

1952년 남구 피란민 가옥들 68

1952년 남구 감만동 피란민 가옥 68

1952년 남구 감만동 동항초등학교 건너편 마을 69

1952년 남구 감만동 동항초등학교 맞은편 가옥 69

제5장 우암동 70

1954년 남구 우암동과 감만동 전경 72

1951년 우암동 피란민 주거지 모습 74

1950년대 초 우암동 피란민 주거지 모습 75

1950년대 초 우암동 피란민 주거지의 음식 배급 모습 76

1950년대 초 우암동 적기보건진료소 야외병상과 건물들 77

1950년대 초 적기보건진료소 스웨덴 의료진과 한국인 직원 78

1950년대 초 적기보건진료소 한국인 직원 78

1950년대 초 적기보건진료소 수술실 내부 모습 78

1950년대 초 적기보건진료소 앞 한국인 여직원 78

1954년 우암동 철로변의 피란민 가옥 79

1954년 우암동의 피란민 가옥 79

제6장 문현동 80

동전 무지개다리 위의 1954년 우암선 철길 82

1951년 남구 문현고갯길 82

1951년 남구 문현고갯길 옆 당면 공장 82

1952년 남구 문현동 동천하구 선착장과 대연고개 83

1952년 남구 문현동 동천하구 선착장 83

1952년 남구 문현동 동천하구 선착장을 출발한 도선 83

1954년 남구 문현고갯길 84

1952년 남구 문현로터리에서 우암동 방면 도로 주변 85

1952년 남구 문현동 돌산마을에서 장례식을 치루고 귀가하는 모습 86

1952년 남구 문현동 돌산마을에서 묘지 봉분 작업 모습 86

1952년 남구 문현동 돌산마을의 돌무덤 87

1952년 남구 대연동의 봉분 87

1954년 남구 우룡산에서 바라본 동천 하구와 범일동 일대 88

1954년 경 좌천동에서 바라본 문현동 방항 88

1954년 4월 3일 범일동 매축지마을 대화재 89

1954년 4월 3일 남구 문현동 안동네 모습과 불구경하는 주민들 89

제7장 부산수산대학교 90

1951년 미군이 주둔하여 사용하던 시기의 부산수산대학교 본관 전경 92

1951년 남구 대연동 황령산에서 내려다 본 부산수산대학교와 용소마을 94

1951년 부산수산대학교 전경 94

1954년 남구 대연동 황령산에서 내려다 본 부산수산대학교와 용호동, 용당동 일대 95

1952년 유엔기념공원에서 바라본 부산 수산대학교 옆 미군 AFKN송신소 96

1952년 용소마을에서 바라본 부산수산대학교 96

1952년 부산수산대학교 교정에 미군 부대가 들어서 있음을 알리는 깃발 97

1950년대 초 부산수산대학교 본관 97

1950년대 초 부산수산대학교 교정 내 연못 97

1950년대 초 하늘에서 내려다 본 부산수산대학교 교정 98

1952년 부산수산대학교 본관 뒤편 교정의 컨센트 막사들 98

1951년 부산수산대학교 교정 내 워커하우스 99

1952년 부산수산대학교 본관에서 장자산 방향의 교정 모습 100

1952년 부산수산대학교 본관에서 바라본 용호만 100

1952년 부산수산대학교 본관에서 바라본 용호만과 장자산 동생말 100

1952년 부산수산대학교 본관에서 바라본 남천동과 장산 방향 101

제8장 부산공업대학교 102

1940년대 중반 부산공립공업중학교 104

1951년 부산공립공업중학교[6년제] 시기의 모습 105

1951년 부산공업중학교 시기에 본관 앞에 게양된 미 성조기와 주변의 미군들 106

1952년 부산공업중학교 시기 미 제5공군사령부 식당으로 사용하던 부산공업중학교 강당 106

1952년 부산공업중학교 캠퍼스 내 기숙사 주변에 설치된 미군 숙소들 모습 107

1951년 부산공업중학교 본관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건물이 소실된 모습 108

1951년 화재로 소실된 부산공업중학교 본관 건물의 폭파공법 해체 모습 109

본관 건물의 폭파공법 해체 후 잔여 건물 해체 모습 110

제9장 피란시기 남구사람들 112

1952년 남구 감만동 솔개고개의 아이들 114

1950년대 초 우암동의 웃고있는 소녀 114

1951년 봄 대연1동 산성교회 인근 115

1951년 동생을 돌보고 있는 감만동 아이들 115

1951년 감만동 무민사 인근에서 그네를 타는 소녀들 115

1954년 현 남구청 앞에서 널뛰기를 하는 아이들 117

1954년 남구 대연동 황령산 자락의 불탄 집 앞의 주민들 118

1952년 남구 대연동 석포마을 뒤 홍곡산 자락 아이들 118

1952년 남구 대연동 우룡산 자락의 지게를 진 여인 119

1952년 남구 대연동 우룡산 자락의 보릿단을 안고 있는 소녀 119

1952년 남구 대연동 우룡산 자락의 보릿단을 안고 있는 남매 119

1952년 남구 대연동의 보리밭에 거름 주기 120

1952년 문현동 돌산의 장례식 모습 122

1954년 남구 대연동 천체등에서의 장례식 모습 124

1952년 남구 감만동의 밭에서 파를 캐내는 모녀 125

1952년 남구 대연동의 보리밭 잡초뽑기 125

1952년 남구 대연동 현 남구청 앞 들판에서 보리타작 모습 126

보리타작을 위해 도리깨를 힘껏 내려치는 모습 126

보리를 타작하는 도리깨질이 신기한 듯 따라하는 미군병사 126

1952년 천제등 자락에서 보리수확 127

1952년 남구 대연동 가옥의 마당에서 책을 말리는 모습 128

1952년 남구 대연동 농가의 마당에서 나무 껍질을 말리는 모습 128

1952년 남구 대연동 못골 둑에서 빨래하는 모습 129

1954년 문현동 부산공업고등학교 실습장 옆 빨래터 130

1950년대 초 마을 공동빨래터 모습 130

1952년 남구 감만동 빨래터 131

1952년 남구 대연동 황령산 자락의 개울 빨래터 131

1952년 빈 지게를 등에 지고 마을 길을 지나는 감만동 주민 132

1952년 대연동 주민이 땔감으로 사용하기 위해 나무 뿌리를 캐서 지게에 지고 가는 모습 132

1952년 감만동 미군항만수송부에 근무하는 한국 여성들 133

1952년 감만동 미군항만수송부에 근무하는 한국 여성 133

1952년 감만동 미군항만수송부에 근무하는 한국 여성들이 미군들과 함께 133

1953년 부산수산대학교 앞 해안 자갈밭에서 조개를 채취하는 여인들 134

1954년 남구 대연동 유엔기념공원 건너편 석포마을 가정 134

1952년 대연동과 남천동 사이 해안 갯바위에서 갯닦이 하는 지역 주민들 135

1950년대 초 우암동 아이들 135

제10장 황령산 136

1952년 남구 대연동 고동골에서 바라본 황령산 사자봉 138

1952년 남구 대연동 우룡산에서 바라본 황령산 사자봉 140

1952년 남구 대연동 현 못골시장 주변에서 바라본 황령산 사자봉 140

1950년대 초 남구 황령산에서 내려다 본 부산 북항 140

1952년 겨울 남구 대연동 미군 주둔 부대 앞 눈사람과 하얗게 변한 황령산 141

제11장 유엔기념공원 142

1951년 유엔기념공원 조성 완공기념 미사 144

1951년 미국 AP통신이 전송한 유엔기념공원 모습 145

하늘에서 내려다 본 1951년 유엔기념공원 전경 145

1952년 대연동 홍곡산 동쪽 자락에서 내려다 본 유엔기념공원과 부산수산대학교 146

1952년 대연동 우룡산에서 내려다 본 유엔기념공원과 석포마을 147

1952년 유엔한국부흥단 주최 유엔의 날 기념 유엔군 기념식이 열린 유엔기념공원 148

1952년 유엔의 날 기념 유엔군 추념식 행사 148

병사들 사열식 148

1954년 10월 24일 유엔기념공원에서 거행된 유엔의 날 기념식 150

이승만 대통령이 단상을 향해 나오는 모습 150

단상 앞에서 옷 매무새를 바로잡는 이승만 대통령 150

1959년 10월 24일 유엔기념공원의 유엔의 날 기념 행사 154

1972년 유엔기념공원을 찾아 주한 미8군 관계자와 함께 참배 중인 박정희 대통령 155

1952년 유엔기념공원 입구 156

1950년대 초 유엔기념공원 정문 156

1950년대 초 유엔기념공원 입구문 157

1950년대 초 유엔기념공원 정문 157

1954년 유엔기념공원 안내판 159

1954년 유엔기념공원 안내 표지판 159

1950년대 초 유엔기념공원 진입로 160

1950년대 초 유엔기념공원으로 올라가는 언덕길 160

1953년경 유엔기념공원 진입로 161

1950년대 초 유엔기념공원 진입도로변의 잔디로 장식한 UNMC 표식 161

1952년 유엔기념공원 참배를 위해 단체로 열을 지어 걸어가는 병사들 162

1952년 유엔기념공원 참배를 마치고 부대로 복귀하는 영연방공화국 소속 참전 병사들 162

유엔기념공원 중앙상징구역의 참전국 국기게양대 163

터키군 참전병사 묘역 169

유엔기념공원 주 묘역 170

제12장 유엔기념공원 안장자 명단 174

SOUTH AFRICA(남아프리카공화국)(11명) 176

NETHELANDS(네덜란드)(117명) 176

NON-BELLIGERENT(비전투요원)(11명) 180

NORWAY(노르웨이)(1명) 180

NEW ZEALAND(뉴질랜드)(32명) 180

REPUBLIC OF KOREA(대한민국)(36명) 미군 소속 카투사 181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36명) 183

UNITED KINGDOM(영국)(884명) 184

CANADA(캐나다)(378명) 209

TURKEY(터키)(462명) 220

FRANCE(프랑스)(44명) 236

AUSTRALIS(호주)(281명) 238

제13장 기억과 증언 248

한국전쟁이 일어났을 때 정경 / 김성호 251

한국전쟁과 김익만 선생 251

한국전쟁 후 학교생활 252

남구에 들어온 군부대 253

대연동의 피란민 253

한국전쟁에 달라진 점 254

미국 사회에 큰 충격을 준 미군 전사자들의 부검 결과 / 김봉희 255

유엔기념공원 묘지 조성하는 일하다 255

언어소통에서 일어난 에피소드 256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내한과 유엔기념공원 내방 256

한국전쟁 중 둘째 오빠의 전사 / 김귀임 257

유엔기념공원 조성 257

한국전쟁 시 생활 257

용호동지역에 주둔했던 유엔군 부대 / 최대복 258

용호동에 주둔했던 유엔군 부대 258

한국전쟁 시에 일어난 에피소드 258

한국전쟁에 대하여 258

유엔군 부대에서의 추억 / 왕정문 260

한국전쟁 피란시기 불상사·1 / 정태원 261

폐차수집소에서 일어난 불상사 261

한국전쟁 피란시기 불상사·2 / 이정부 262

유엔기념공원 조성 작업에 일하다 / 서봉출 263

부산의 대학교 263

미군 물품을 팔면서 / 김봉순 264

대연동에 댄스홀이 생기다 264

만화가 고우영의 피란생활 / 박수웅 265

한국전쟁 시 감만동 풍경 265

단짝 친구 천재만화가 고우영 266

적기 뱃머리 266

흥남에서 LST를 타고 피란오다 / 이춘애 ; 임복남 267

부산에서 피란 생활 267

구시장에서 바느질을 65년간 하다 268

우암동의 생활상 268

우암동 피란생활 269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 269

우암동에서 살다가 눈을 감으련다 270

용당동에 왔던 피란민들 / 임춘규 271

용당동에 들어온 군부대와 고아원 271

한국전쟁 시기의 초등학교 271

유엔묘지 작업에 동원된 북한군 포로들 272

가설극장 272

전쟁시기의 청소년 273

한국전쟁 전후 10년간 우암동 동장을 지내며 / 박기줄 274

피란민들의 생활 276

외부의 원조 276

우암동의 냉면집 277

하 안토니오 몬시뇰 신부님과 함께 일하며 277

우암동의 교육과 종교 277

우암동의 묘지 277

경찰이 되어 전선에 나섰다 278

우리집 밭에 세워진 미군부대 / 이소명 279

용소마을에 들어온 미군 부대 279

구둣방 영감과 고래 사건 280

스웨덴병원의 일화 280

한국전쟁 시기의 추억들 280

고아가 되었지만 부산의 온정으로 일어서다 / 정홍련 282

고향에서 겪었던 사건 282

고아원에 가다 282

학창시절 283

사회생활 283

고아로 자라 건축 설계사가 되다 / 김화묵 284

고아가 아닌 고아가 되다 284

대학을 졸업하다 284

미군 야포부대 하우스보이가 되다 / 송인근 285

하우스 보이가 되다 285

대연동에 있었던 비행장 A-1 285

스웨덴적십자병원 286

기타 286

피란을 내려왔던 동기생들은 피란시절 기억도 하기 싫은가 보다 / 김준 287

용소마을 인근의 부대와 경비행장 287

스웨덴적십자병원 287

대연초등학교와 피란온 동기생들 287

미군들의 여가 활동 288

한국전쟁 시기 대연동 용소마을의 기억들 / 김규환 ; 김성규 289

한국전쟁 시에 징발당한 부산수산대학 289

용소마을의 전통과 저력 289

경비행장 근처를 지나다가 당한 불상사 290

한국전쟁 참전용사 가족의 피란민 생활 / 김순녀 291

피란 와서 결혼하다 291

우암동에서의 피란 생활 291

지금의 생활 292

우암동 피란민 생활 / 김찬옥 293

한국전쟁 당시 북한에서 겪은 사건 293

남한으로 피란가다 293

우암동에서 피란 생활 294

결혼과 임시호의적의 에피소드 294

우암동의 피란 생활상 294

나의 스승 윤용하 선생 / 조규진 295

귀환동포였다 295

미군 부대에 가서 일하다 295

윤용하 선생님에게 음악을 배우다 296

윤용하 선생님 296

윤용하 선생님의 집 297

경북 의성에서 보낸 인민군 치하의 기억들 / 김달현 298

피란도 제대로 가지 못했다 298

적 치하에서의 생활 299

가산 다부동전투 300

인민군의 후퇴 300

국군이 들어오고 집으로 가다 301

회상 301

독립투사 가족의 피란살이 고행담 / 권혁우 302

북한군 치하에서의 학교생활 / 박형숙 305

북한군 치하의 남해 305

한국전쟁 당시의 부산 시내 305

전시 하의 부산에 있던 대학교 306

한국전쟁에 대한 견해 306

'불에 뛰어든 사람', 하 안토니오 몬시뇰 신부 / 신동규 307

하 안토니오 신부님의 출생과 이름의 이야기 307

불에 뛰어든 사람 307

전쟁과 포로생활 307

신부가 되려고 하다 308

신부가 되어 한국에 오다 309

동항성당의 주임신부가 되다 309

가난한 이웃인 나눠주는 신부, 사제관이 고아원 309

신구교 교회일치운동, 종교 간의 교류 활동 310

동항성당에 푸른군대 한국본부를 창설하다 311

한독여자실업학교와 조산원을 설립하다 311

명예로운 부산시민, 남구 주민인 하 안토니오 몬시뇰 신부님 311

아이 러브 유 부산! / 제임스 그룬디 312

내가 캐나다 전몰용사 기념비를 세운 이유 / 빈센트 커트니 316

증언채록 후기 : 피란시절 역사의 증언은 끝나지 않았다 / 공기화 319

이용현황보기

피란시절 남구의 기억 : 한국전쟁 피란시기 부산 남구 사진·증언모음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625222 951.723 -20-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25223 951.723 -20-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