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1부 동아시아복식의 원류와 한·중·일의 복식
1장 고대 중국의 복식
2장 고대 한국의 복식
3장 고대 일본의 복식
2부 국제교류가 활발했던 동아시아의 복식
4장 수, 당, 오대십국, 송의 복식
5장 통일신라, 발해, 고려 전기의 복식
6장 아스카, 나라, 헤이안시대의 복식
3부 격동의 동아시아, 유목민족과 무사복식의 부각
7장 북방 유목민족과 원의 복식
8장 고려 후기의 복식
9장 가마쿠라, 무로마치 전기의 복식
4부 동아시아 국가질서의 형성과 예복제도
10장 명의 복식
11장 조선 전기의 복식
12장 센고쿠시대의 복식
5부 전통복식의 확립과 서민문화의 대두
13장 청의 복식
14장 조선 후기의 복식
15장 에도시대의 복식
6부 서구복식의 도입과 전통복식의 변화
16장 한·중·일 복식문화의 변화

이용현황보기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 The history of East Asian costume : 韓 中 日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631620 391.0095 -20-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31621 391.0095 -20-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08067 391.0095 -20-1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유물 자료를 통해서 본 한·중·일 복식문화의 변천사
오늘날 우리가 입고 있는 옷의 대부분은 서양에서 유래된 옷으로, 백여 년의 짧은 기간 동안 이젠 남의 옷이 아닌 우리의 옷이 되어버렸다. 서구 중심으로 돌아가는 세계화 속에서 우리의 전통복식과 이웃 나라의 복식을 연구하고 그 속에서 한국 복식이 갖는 이론적 가치와 의미를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이 책은 동아시아의 대표국으로 한·중·일 삼국의 시대별 복식문화의 특징을 비슷한 시대로 구분하여 비교하고, 그와 관련된 많은 유물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당시 복식의 구체적인 형태와 시대적 변화를 한 눈에 잘 알아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