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최연식, 김천학, 이시이 코세이, 장원량, 안성두, 모로 시게키, 박광연, 김병곤, 아오잉, 오카모토 잇페이 외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2011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서문 | 김종욱 … 4
제1부 여래장과 불성 『대승기신론별기』 및 『대승기신론소』 1 원효의 『대승기신론별기』 성립에 대한 새로운 이해 | 최연식 …1 5 2 원효 『기신론별기·소』의 전승과 정본화 시도 | 김천학 … 43 『금강삼매경론』 3 『금강삼매경론』의 성립 사정 | 이시이 코세이(石井公成) … 77 『열반종요』 4 원효 『열반종요』의 무정불성설 | 장원량(張文良) … 117
제2부 유식과 화엄 『이장의』 5 원효의 『이장의』 ‘현료문’에 나타난 해석상의 특징 | 안성두 …1 43 『중변분별론소』 6 원효 『중변분별론소』의 사상사적 위상과 그 의의 | 모로 시게키(師茂 樹) … 177 『화엄경소』 7 원효 『광명각품소』의 해석상의 특징 | 김천학 … 209
제3부계율과 반야 『보살계본지범요기』 8 동아시아 보살계 사상의 전개와 원효 『보살계본지범요기』의 성격 | 박 광연 … 245 9 원효의 『보살계본지범요기』가 일본불교에 미친 영향 | 김병곤 … 273 『본업경소』 10 원효의 『본업경소』 중 ‘사십이위설’ | 아오잉(敖英) … 319 『대혜도경종요』 11 원효 『대혜도경종요』의 기초 연구 | 오카모토 잇페이(岡本一平) … 345
제4부 호국과 정토 『금광명경소』 12 원효 『금광명경소』 집일의 현황과 그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한명 숙 … 383 13 『금광명경』 삼신설에 대한 원효의 이해 -자은 기와 정영 혜원과의 비 교 고찰을 통하여- | 이수미 … 421 『무랑수경종요』 14 원효 찬 『무량수경종요』 연구 방법 개혁론 -일본불교의 원효 정토교 평가의 변화에 착목하여- | 아타고 구니야스(愛宕邦康) … 451
제5부 논리와화쟁 『판비량론』 15 신출 자료 바이케이 구장본 『판비량론』 단간에 대해서 | 오카모토 잇 페이(岡本一平) … 479 16 원효 『판비량론』의 새로운 발굴 -고토미술관 및 미쓰이기념미술관 소 장본을 중심으로- | 김영석 … 497 17 불교논리학의 흐름과 『판비량론』의 논쟁학 | 김성철 … 523 『십문화쟁론』 18 분황 원효의 화쟁 회통 인식 -『십문화쟁론』을 중심으로- | 고영섭 … 555
찾아보기 … 608 저자 소개 … 623
이용현황보기
원효(元曉), 문헌과 사상의 신지평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667559
294.01 -20-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67560
294.01 -20-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원효 스님(617~696)은 7세기 삼국통일 전쟁 한가운데서 활약했으며 일심의 깨달음을 통해 중국에 유학 가지 않고 어디에도 걸리지 않는 무애행의 대중 교화와 수준 높은 저술 활동에 일생 매진하였다. 원효는 현재까지 한국이 낳은 가장 독창적이고 보편적인 사상가였을 뿐 아니라 동아시아 사상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인물이라고 생각된다. 2017년은 원효 탄신 1400주년이 되는 해였다.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에서는 원효 탄신을 기념하기 위한 학술 행사를 몇 년 전부터 준비했으며, 그 준비의 일환으로 2014년부터 원효의 문헌을 찾기 시작했다. 그 결과 둔황사본 『기신론소』 단간 외에도 가나가와현립 가나자와문고에 원효 최고본 『기신론별기』 사본이 존재하는 것을 발굴했고, 나고야 혼쇼지에 최고본 『대혜도경종요』가 있는 것을 발굴하였다. 아울러 2016년에서 2017년에 걸쳐 『판비량론』 단간 몇 점을 새롭게 발굴하였으며, 신라 사본들도 새롭게 발굴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은 2016년 8월에 원효 저술 및 신라 사본을 연구하는 학술대회를 가나가와현립 가나자와문고·한국사상사학회와 공동으로 개최한 것을 시작으로, 총 여섯 번에 걸쳐 원효 스님 탄신 1400주년 기념행사를 기획하고 실행하였다. 이 책은 위와 같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원 HK연구단이 주최 및 주관이 되어 개최한 여섯 번에 걸친 학술대회의 결과물 가운데에서 의미 있는 논문들을 선택하여 각 주제별 및 문헌별로 18편을 모아 『원효元曉, 문헌과 사상의 신지평』이라는 제목으로 묶어 놓은 것이다. 원효 스님의 탄신이 다시 세계에 빛을 비추고 우리들의 사유를 개혁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하면서 이 책에 실린 18편 논문의 일독을 권한다.
저자소개
최연식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학부 및 대학원 졸업. 문학박사. 일본학술진흥회 외국인특별연구원(Post-doc.),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목포대학교 사학과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등을 거쳐, 현재 동국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전공은 한국을 중심으로 한 고대 및 중세 동아시아 불교사상사이다. 주요 논저로는 『校勘 大乘四論玄義記』(서울: 불광, 2009), 『역주 일승법계도원통기』(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동아시아불교사』(서울: 씨아이알, 2020) 외 다수.
김천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균여 화엄연구로 철학박사 학위 취득. 도쿄대학교 대학원에서 일본 화엄 연구로 박사 학위 취득. 일본 히메지독쿄대학 조교수와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HK교수 및 조교수, 불교문화연구소장을 거쳐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교수. 논저에 『균여 화엄사상 연구: 근기론을 중심으로』(서울: 해조음, 2006), 『平安期華嚴思想の硏究ー東アジア華嚴思想の視座よりー』(東京: 山喜房佛書林, 2015) 등 다수가 있다.
이시이 코세이(石井公成) 와세다대학 제1문학부 동양철학과 졸업. 문학박사학위 취득. 와세다대학 문학부 시간강사를 거쳐 현재 고마자와대학 불교학부 교수. 전공은 화엄종·지론종·선종·쇼토쿠태자를 축으로 한 아시아 제국 불교 교리와 역사, 문학·예능·근대 내셔널리즘·컴퓨터처리에 의한 저자 판정 등이다. 저서에 『華嚴思想の硏究』(東京: 春秋社, 1996), 『東アジア佛敎史』(東京: 岩波書店, 2019) 외 다수가 있다.
장원량(張文良) 중궈런민대학 철학계 학사. 일본 도쿄대학 인문사회계연구과 석사, 박사 졸업. 현재 중궈런민대학 철학원 교수, 불교와 종교학 이론 연구소 부소장. 주요 연구 영역은 중국불교 화엄종과 일본불교이다. 발표 논문은 100여 편에 이르고, 저술로는 『澄觀華嚴思想硏究』(일어), 『批判佛敎的批判』(北京: 人民出版社, 2013), 『日本當代佛敎』(北京: 宗教文化出版社, 2015), 『東亞佛教視野下的華嚴思想硏究』(北京:國際文化出版社, 2017) 등이 있다.
안성두 한국외국어대학 졸업, 한국학대학원에서 한국불교철학으로 석사 학위 취득. 독일 함부르크대학에서 인도불교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 취득.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연구원과 연구소장,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연구 영역은 초기 인도 유식사상. 논저로 「식의 자기인식(Self-Awareness)과 삼성설」(『인도철학』 52) 등 다수가 있고, 역주서로 『보살 지』(서울: 세창출판사, 2015), 『보성론』(서울: 소명출판, 2011), 『이장의』(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19) 등이 있다.
모로 시게키(師茂樹) 와세다대학 문학부 졸업, 도요대학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간사이대학에서 박사 학위 취득. 와세다대학 미디어네트워크센터 강사를 거쳐 현재 하나조노(花園)대학 교수. 전문 분야는 불교학(유식학, 인명학)과 인문정보학, 정보역사학이다. 특히, 불교인명학의 권위자이며, 일본의 데이터베이스센터 SAT의 기초를 만들었다. 현재는 문화유산 3D CG 복원 연구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論理と歴史: 東アジア佛敎論理學の形成と展開』(京都: ナカニシヤ出版, 2015), 『「大乗五蘊論」を讀む: 色受想行識』(京都: 春秋社, 2015)한자문헌정보처리연구회 편 『인문학과 저작권문제 연구·교육을 위한 教育の컴플라이언스』(호문출판, 2014)이 있으며,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박광연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국사학 전공 조교수. 신라 법화사상사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신라·고려시대의 불교 문헌 및 사상, 교단, 보살계 등을 연구하고 있다. 논저로 「의적 보살계본소의 기초 연구」(『한국사상사학』 56), 「경흥 『삼미륵경소』의 도솔천 왕생관-신라 중대 유식 승려의 미륵신앙 재고찰」(『한국사연구』171), 『신라 법화사상사 연구』(서울: 혜안, 2013) 등 다수가 있다.
김병곤 릿쇼대학 대학원에서 2013년 「법화장소의 연구: 해동찬술·서역출토본을 중심으로」로 박사 학위 취득. 릿쇼대학 법화경문화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현재 미노부산대학 불교학부 교수. 연구 영역은 동아시아불교 법화홍통사. 논저로는 「의적석 의일찬『법화경논술기』의 문헌학적 연구」, 「『삼평등의』의 성립에 관한 연구」, 「적찬『법화경집험기』를 둘러싼 제문제」, 『아시아에 펼쳐진 불교』 등 다수가 있다.
아오잉(敖英) 내몽고 출신. 옌볜대학과 베이징대학에서 철학박사학위 취득. 옌볜대학을 거쳐 푸단대 세계사유동역 근무. 현재 저장성 태주학원 천태산문화연구원에 근무. 논저로 「天台四教儀中的修行階位說」, 「韓國學界圍繞<大乘四論玄義記>撰述地進行的論争」, 번역서로 『신라 화엄사상사 연구』(김상현 저)가 있으며, 그외 한국불교에 관련된 1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오카모토 잇페이(岡本一平) 고마자와대학 불교학부 졸업 및 박사과정 수료. 석사는 교넨의 화엄사상을 연구하였으며, 현재는 정영사 혜원의 『대승의장』을 중심으로 역주와 함께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현재 게이오대학 강사, 도요대학동양학연구소 연구원. 논문으로 「浄影寺慧遠における縁起と如来蔵」, 「示觀房凝然の華嚴思想における“唯識”の考察」, 「慧光の頓漸円三種教について」, 「東大寺図書館所蔵凝然『華厳…二種生死義』について」 등이 있다.
한명숙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吉藏의 三論思想硏究: 無得의 轉悟方式을 중심으로」로 박사 학위 취득. 가산불교문화연구원 연구원을 거쳐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조교수로 재직. 공저로 『인물로 보는 한국의 불교사상』(서울: 예문서원, 2004), 『자료와 해설 한국의 철학사상』(서울: 예문서원, 2001), 『동서철학 심신관계론의 가치론적 조명』(파주: 한국학술정보, 2013) 등이 있고, 역주서로 『범망경보살계본사기』(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16)·『지범요기조람집』(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19) 등이 있다
이수미 서울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 미국 UCLA에서 불교학으로 박사를 취득.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연구 분야는 동아시아 유식불교 및 여래장사상. 연구 논문으로 “Redefining the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and East Asian Yogācāra Buddhism”(2015), “On the Ālayavijñāna in the Awakening of Faith : Comparing and Contrasting Wŏnhyo and Fazang’s Views on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2019) 등 다수가 있다.
아타고 구니야스(愛宕邦康) 정토종 승려. 부쿄(佛敎)대학 불교학과 석사 수료, 아이치학원대학 박사과정 수료. 오사카대학에서 2002년 「『遊心安楽道』の研究」로 박사 학위 취득. 슈치인(種智院)대학 강사, 오쿠라(大倉) 정신문화연구소 연구원 등을 거쳐 현재 잇토(一燈)불학원 교수, 저장(浙江)불학원 객과교수(중국). 공저에 『華嚴學論集』(東京: 大蔵出版, 1997), 『空海散歩』 4(京都: 筑摩書房, 2019) 등이 있고, 저서에 『「遊心安樂道」と日本佛敎』(京都: 法藏館, 2006)가 있으며, 「元曉の妻帯と彌勒下生信仰」(『불교학리뷰』10)을 비롯하여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김영석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석·박사 과정 졸업(철학박사). 논문으로 「불교 업론에 나타난 의지와 그 표출행위의 상관성 연구」(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사업(思業)과 의업(意業)의 관계 해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 “New Discoveries in Wŏnhyo’s P’an piryang non: Focusing on the Akebono Fragmentary Text and Fragments Found in Auction Catalogues”(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e Vol. 29 No.2) 등이 있고, 역주서로 『아비달마부파의 성립과 주장』(서울: 씨아이알, 2018)이 있다.
김성철 현재 동국대 경주캠퍼스 불교학부 교수 겸 불교사회문화연구원장. 한국불교학회 회장(이사장 겸직). 연구 영역은 인도불교의 중관학에서 불교논리학, 티베트불교, 반야삼론학 등으로 확장하였고, 최근에는 진화론, 뇌과학, 윤리학, 심리학, 사회학 등 인접 학문과 불교를 접목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론, 논리로부터의 해탈 논리에 의한 해탈』(서울: 불교시대사, 2004) 등 10여 권의 저서와 8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저서 가운데 『원효의 판비량론 기초 연구』(서울: 지식산업사, 2003) 등 세 권이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고영섭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및 같은 대학원 박사 졸업(철학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박사 수료.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전공은 한국불교 및 동아시아 불교사상사이다. 논저로는 『원효, 한국사상의 새벽』(서울: 한길사, 1997), 『원효 탐색』(서울: 연기사, 2010), 『한국의 사상가 10인 원효』(서울: 예문서원, 2002), 『분황 원효』(서울: 박문사, 2015), 『분황 원효의 생애와 사상』(서울: 운주사, 2016), 『한국사상사』(서울: 씨아이알, 2016), 『한국불교사궁구』 1·2(서울: 씨아이알, 2019)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