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발간사 / 엄연숙
목차
01. 인공신경망 기술을 적용한 빅데이터 분석 상수원 수질예측 : 인공신경망 기술을 활용한 상수원 TOC와 2-MIB 발생 예측 / 박창민 ; 김은정 ; 고상근 ; 정종순 ; 김준일 ; 조은주 ; 박현 ; 김복순 7
요약문 8
1. 서론 13
1.1. 연구 배경 13
1.2. 연구 목적 및 내용 14
2. 문헌 고찰 15
2.1. 총괄적 유기물지표 TOC 15
2.2. 생물기원 냄새물질 2-MIB 17
2.3. 인공신경망 기술 20
2.4. 인공신경망 기술을 활용한 수질예측 사례 23
3. 연구방법 26
3.1. 연구기간 26
3.2. 연구대상(지역) 26
3.3. 수질변화 분석 27
3.4. 인공신경망 기술을 통한 수질예측 27
4. 결과 및 고찰 31
4.1. 취수원에서 TOC와 2-MIB 수질변화 31
4.2. 수질예측 결과 39
4.3. 고찰 45
5. 결론 47
참고 문헌 49
02. 장기관측 자료를 활용한 한강 상수원수 맛·냄새 물질의 발생특성 및 영향인자 분석 / 김은정 ; 박창민 ; 손경인 ; 김준일 ; 조은주 ; 이현주 ; 박현 ; 김복순 51
요약문 52
1. 서론 59
1.1. 연구 배경 59
1.2. 연구 목적 및 내용 60
2. 문헌 고찰 61
3. 연구 방법 62
3.1. 취수원별 장기간 측정 자료 취합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62
3.2. 조류 및 맛·냄새 물질의 시공간적 발생특성 분석 63
3.3. 지점별 맛·냄새 물질 발생의 장기적 변화 경향성 분석 64
3.4. 조류 및 환경인자와 맛·냄새 물질의 상관관계 및 영향인자 분석 64
4. 결과 및 고찰 66
4.1. 조류 및 맛·냄새 물질의 시공간적 발생특성 분석 66
4.2. 지점별 맛·냄새 물질 발생의 장기적 변화 경향성 분석 84
4.3. 조류 및 환경인자와 맛·냄새 물질의 상관관계 및 영향인자 분석 87
5. 결론 107
참고 문헌 109
03. 수질오염사고 영향예측 모의 종합결과 / 김은정 ; 박창민 ; 송경인 ; 김영돈 ; 백경복 ; 박현 ; 김복순 111
요약문 112
1. 서론 117
1.1. 연구 배경 117
1.2. 연구 목적 및 내용 118
2. 문헌 고찰 118
3. 연구 방법 119
3.1. 수질오염사고 영향 예측시스템 개요 119
3.2. EFDC 수질모델 119
3.3. 수질오염사고 시나리오에 의한 취수장 영향 분석 123
3.4. 오염사고 영향예측 시스템 가동 최소유출량 산정 124
4. 결과 및 고찰 125
4.1. 팔당댐 방류량별 취수장 영향 125
4.2. 계절별 취수장 영향 128
4.3. 월계획방류량별 취수장 영향 139
4.4. 오염사고영향 예측 시스템 가동 최소유출량 산정 140
5. 결론 143
참고 문헌 145
04. 상수도계통에서 요오드계 소독부산물 분포 특성 연구 / 윤우현 ; 이인자 ; 김준일 ; 장도일 ; 정관조 ; 박영복 ; 김복순 147
요약문 148
1. 서론 155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55
2. 요오드계 소독부산물의 특성 및 분석현황 156
2.1. 요오드계 소독부산물의 생성 156
2.2. 요오드계 소독부산물의 독성 158
2.3. 국내·외 분석현황 160
3. 연구 방법 162
3.1. 연구 대상 물질 162
3.2. 표준물질 및 시약 164
3.3. 시료 채수 164
3.4. 표준용액 조제 165
3.5. 전처리 방법 166
3.6. 분석기기 및 조건 168
4. 결과 및 고찰 170
4.1. 분석방법 표준화 170
4.2. 원·정수 및 정수처리공정별 요오드계 소독부산물 분포조사 185
5. 결론 193
참고 문헌 196
05.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을 활용한 원수·공정수의 원생동물 분포연구 / 한지선 ; 이은숙 ; 최병도 ; 류인철 ; 김복순 199
요약문 200
1. 서론 206
2. 문헌 고찰 207
2.1. 원생동물의 분류 207
2.2. 병원성 원생동물 208
2.3. 원생동물 군집분석 선행연구 209
2.4. 기존연구와의 차별성 211
3. 실험 방법 211
3.1. 실험 대상 211
3.2. 시료채취 및 여과 213
3.3. 시료의 추출과 농축 213
3.4. 유전자 추출 및 차세대염기서열 분석 213
3.5. 현미경 검사 214
4. 결과 및 고찰 214
4.1. 취수원수의 진핵생물 분석결과 214
4.2. 취수원수의 원생동물 유전자 분석결과 217
4.3. 공정수의 진핵생물 분석결과 228
4.4. 공정수의 원생동물 유전자 분석결과 230
4.5. 현미경관찰 결과 241
5. 결론 246
참고 문헌 248
06. 입상활성탄 하부 모래포설을 통한 입자누출저감방안 마련 / 백영애 ; 조우현 ; 이광제 ; 한희선 ; 최영준 251
요약문 252
1. 서론 259
2. 이론적 배경 259
2.1. 문헌고찰 259
2.2. 시설현황 262
3. 연구방법 265
3.1. 컬럼구성 및 운영방법 265
3.2. 분석항목 268
4. 결과 및 고찰 268
4.1. 모래 유효경에 따른 처리효율비교 268
4.2. 정수센터별 활성탄 하부 모래포설 효과분석 277
5. 결론 290
참고 문헌 292
07. CFD를 이용한 오존처리공정 진단 및 개선방안 연구 / 김태균 ; 조완선 ; 송만식 ; 한희선 ; 최영준 295
요약문 296
1. 서론 305
2. 이론적 배경 307
2.1. 암사 오존처리시설 307
2.2. 광암 오존처리시설 308
2.3. 수학적 모델링 309
3. 실험방법 313
3.1. CFD 해석방법 313
3.2. 추적자 실험방법 318
4. 결과 및 고찰 319
4.1. 암사 분배조 진단 및 개선결과 319
4.2. 암사 오존접촉조 진단 및 개선결과 326
4.3. 광암 디퓨져(잔류오존제거설비) 진단 및 개선결과 339
5. 결론 341
참고 문헌 345
08. 구경 50mm 이하 수용가의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연구 / 김효일 ; 강진호 ; 유재용 ; 백승학 ; 최영준 347
요약문 348
1. 서론 359
2. 이론적 배경 360
2.1. 상수도 총 급수량 분석 360
2.2. 수도계량기 미감지율 조사방법 361
2.3. 분해능에 따른 물 사용 패턴조사 분류 362
2.4. 최신 기술의 고 분해능 사용량 패턴 조사 363
3. 연구 방법 365
4. 결과 및 고찰 366
4.1. 현장조사용 펄스발신 전자식 수도계량기 제작 366
4.2. 펄스발신 전자식 수도계량기 현장 실증시험 373
4.3. 15~50mm 수용가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377
4.4. 고찰 421
5. 결론 423
참고 문헌 427
09. 서울시 하수관로의 침입수 산정방법 연구(군자-2 배수분구 중심으로) / 박선주 ; 경규선 ; 나용운 ; 이광섭 ; 이인화 ; 홍석재 ; 김영돈 ; 고건 ; 안진 ; 최영준 429
요약문 430
1. 서론 437
1.1. 연구 배경 및 목적 437
1.2. 연구 내용 437
2. 연구 동향 439
2.1. 용어의 정의(전영호, 2002) 439
2.2. 불명수의 산정방법 440
2.3. 침입수의 산정방법 440
2.4. 수돗물 사용량 확인방법 446
2.5. 하수유량 측정방법 451
3. 연구 방법 459
3.1. 수돗물 사용량 분석방법 459
3.2. 지하수 사용량 분석방법 462
3.3. 하수도 발생량 측정방법 463
3.4. 유량의 측정방법 466
3.5. 수질의 측정방법 469
3.6. 지하수의 영향 검토 470
4. 결과 및 고찰 474
4.1. 수돗물 사용량 분석결과 474
4.2. 수돗물 외 물사용량 측정결과 475
4.3. 하수도 발생량 측정결과 477
4.4. 일평균 물사용량과 하수발생량 비교 479
4.5. 수돗물 사용량 변화에 따른 하수발생량 비교 480
4.6. 하수수질 481
4.7. 침입수의 산정 482
4.8. 침입수 산정결과 485
5. 결론 485
참고 문헌 487
10. 자산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펌프 및 관로 사례 연구 / 이호원 ; 박찬영 ; 김상은 ; 김세철 ; 차동훈 489
요약문 490
1. 서론 498
2. 연구 목적 및 필요성 499
3. 연구 내용 501
3.1. 연구기간 501
3.2. 연구 내용 및 방법 501
4. 문헌 고찰 502
5. 연구 결과 : 자산관리 단계별 시사점 504
5.1.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단계 504
5.2. 운영자료조사 및 기술진단 단계 511
5.3. 잔존수명 예측 단계 520
5.4. 서비스 수준 분석 및 설정 단계 528
5.5. 리스크 분석 및 개량 수요 분석 단계 530
6. 결론 532
참고 문헌 536
2019년 학회 발표 현황 538
2019년 학술지 게재 현황 539
판권기 540
01. 인공신경망 기술을 적용한 빅데이터 분석 상수원 수질예측 : 인공신경망 기술을 활용한 상수원 TOC와 2-MIB 발생 예측 12
그림 1. 고도정수처리를 통한 맛·냄새물질 처리 가능농도 18
그림 2. 퍼셉트론 21
그림 3. 다층신경망(MLP)의 구조 21
그림 4. 순환신경망(RNN)의 구조 23
그림 5. 한강 상수원 수계도 26
그림 6. TOC 예측 다층신경망(MLP) 구조 29
그림 7. 2-MIB 예측 다층신경망(MLP) 구조 29
그림 8. 순환신경망(RNN) 모델에서 에포(epoch)의 결정 30
그림 9. TOC와 2-MIB의 지점별 연평균 변화추세 32
그림 10. TOC와 2-MIB의 연도별, 월별 지점평균 변화추세 32
그림 11. TOC와 2-MIB의 지점별, 월별 변화추세 34
그림 12. 2-MIB 급증 시기 한강수계 분포현황 35
그림 13. TOC와 2-MIB의 갈수기, 강우기 농도 비교 36
그림 14. TOC의 다층신경망(MLP) 모의결과(RMSE) 39
그림 15. TOC의 다층신경망(MLP) 모의값의 결정계수 40
그림 16. 2-MIB의 다층신경망(MLP) 모의결과(RMSE) 40
그림 17. 2-MIB의 다층신경망(MLP) 모의값의 결정계수 41
그림 18. TOC의 순환신경망(RNN) 모의결과(MSE) 42
그림 19. TOC의 순환신경망(RNN) 모의값의 결정계수 42
그림 20. 2-MIB의 순환신경망(RNN) 모의결과(RMSE) 43
그림 21. 2-MIB의 순환신경망(RNN) 모의값의 결정계수 43
02. 장기관측 자료를 활용한 한강 상수원수 맛·냄새 물질의 발생특성 및 영향인자 분석 57
그림 1. 모니터링 지점 개요 63
그림 2. 맛·냄새 물질의 연도별 변화(2004~2018) 67
그림 3. 서울 기상청 연평균 기온의 연도별 변화(2004~2018) 67
그림 4. 팔당댐 연평균 방류량의 연도별 변화(2004~2018) 68
그림 5. 2-MIB 20ng/L 이상 발생 빈도 및 최고농도 69
그림 6. 지오스민 20ng/L 이상 발생 빈도 및 최고농도 70
그림 7. 지오스민 100ng/L 이상 발생 빈도 및 최고농도 70
그림 8. 2-MIB 20ng/L 이상 발생시기 지점별 평균 농도 71
그림 9. 지오스민 20ng/L 이상 발생시기 지점별 평균 농도 71
그림 10. 최근 5년 지점별 2-MIB 시계열 변화 비교 73
그림 11. 최근 5년 지점별 지오스민 시계열 변화 비교 74
그림 12. 2-MIB와 조류 그룹별 농도의 시계열 변화 비교 76
그림 13. 최근5년('14~'18) 지점별 2-MIB와 Pseudanabaena 속 시계열 비교 77
그림 14. 최근5년('14~'18) 지점별 2-MIB와 Oscillatoria 속 시계열 비교 78
그림 15. 지오스민과 조류 그룹별 농도의 시계열 변화 비교 79
그림 16. '04~'08년 지점별 지오스민과 Microcystis 시계열 비교 80
그림 17. '14~'18년 지점별 지오스민과 Microcystis 시계열 비교 81
그림 18. '07~'12년 지점별 지오스민과 Anabaena 시계열 비교 82
그림 19. '13~'18년 지점별 지오스민과 Anabaena 시계열 비교 83
그림 20. 지점별 2-MIB Mann-Kendall 트렌드 및 LOWESS 분석 결과 86
그림 21. 지점별 지오스민 Mann-Kendall 트렌드 및 LOWESS 분석 결과 87
그림 22. 의사결정나무분석 결과(광암) 97
그림 23. 의사결정나무분석 결과(강북) 97
그림 24. 의사결정나무분석 결과(암사) 98
그림 25. 의사결정나무분석 결과(풍납) 98
그림 26. 의사결정나무분석 결과(자양) 98
그림 27. 지점별 biplot과 2-MIB 농도 그룹 및 계절별 자료분포 비교 103
그림 28. 지점별 biplot과 지오스민 농도 그룹 및 계절별 자료분포 비교 104
03. 수질오염사고 영향예측 모의 종합결과 116
그림 1. 수질오염사고 영향 예측시스템 120
그림 2. EFDC 모델의 구분 120
그림 3. EFDC 수리모델의 개요 121
그림 4. EFDC 수질모델의 개요 121
그림 5. 시나리오 분석 시 사고지점 및 영향예측지점 124
그림 6. 시스템가동 최소유출량 산정시 사고지점 및 영향예측지점 125
그림 7. 팔당댐 방류량별 최초 도달시간 변화 127
그림 8. 취수장별 도달시간 및 도달농도 변화(봄·가을, 무풍조건) 130
그림 9. 취수장별 도달시간 및 도달농도 변화(봄·가을, 서풍, 최대풍속 11.1m/s) 131
그림 10. 취수장별 도달시간 및 도달농도 변화(여름, 무풍조건) 133
그림 11. 취수장별 도달시간 및 도달농도 변화(여름, 동북동풍, 최대풍속 10.9m/s) 134
그림 12. 취수장별 도달시간 및 도달농도 변화(겨울, 무풍조건) 137
그림 13. 취수장별 도달시간 및 도달농도 변화(서풍, 최대풍속 11.1m/s) 138
04. 상수도계통에서 요오드계 소독부산물 분포 특성 연구 153
그림 1. 소독제 종류에 따른 I-DBPs 반응경로 156
그림 2. 원·정수 채수지점 165
그림 3. 공정수 채수지점 165
그림 4. I-THMs 분석 흐름도 166
그림 5. I-HAAs와 I-HAcAms 분석 흐름도 167
그림 6. I-THMs 6항목 크로마토그램 170
그림 7. SPME 파이버별 I-THMs 추출효율 비교 172
그림 8. 추출온도변화에 따른 I-THMs 검출감도 비교 173
그림 9. 추출시간변화에 따른 I-THMs 검출감도 비교 174
그림 10. 탈착온도변화에 따른 I-THMs 검출감도 비교 175
그림 11. 탈착시간변화에 따른 I-THMs 검출감도 비교 176
그림 12. 첨가된 염의 양에 따른 I-THMs 추출효율 비교 177
그림 13. 첨가된 염의 종류에 따른 I-THMs 추출효율 비교 177
그림 14. I-HAAs 4항목의 크로마토그램 179
그림 15. I-HAcAms 4항목의 크로마토그램 179
그림 16. 시료의 초기 pH별 I-HAAs 4항목 검출감도 비교 180
그림 17. 시료의 초기 pH별 I-HAcAms 4항목 검출감도 비교 180
그림 18. I-THMs 6항목 검정곡선 181
그림 19. I-HAAs 4항목과 I-HAcAms 4항목 검정곡선 183
그림 20. 정수에서 요오드계 소독부산물 검출농도 186
그림 21. 아리수정수센터 별 ΣI-THMs 누적그래프 187
그림 22. P6 아리수정수센터 공정수에서 요오드계 소독부산물 검출농도 191
그림 23. 정수처리공정별 요오드계 소독부산물 생성분포 192
그림 24. 정수처리공정별 ΣI-THMs 누적그래프 193
05.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을 활용한 원수·공정수의 원생동물 분포연구 205
그림 1. 서울 아리수의 취수장 212
그림 2. 아리수 생산과정 흐름도 212
그림 3. 취수원수의 진핵생물 구성 215
그림 4. 취수원수의 진핵생물 중 원생동물 비중 216
그림 5. 취수원수의 분기별 채수시기의 탁도(NTU) 및 수온 216
그림 6. 2019년 1분기 취수원수의 원생동물 구성 219
그림 7. 2019년 2분기 취수원수의 원생동물 구성 221
그림 8. 2019년 3분기 취수원수의 원생동물 구성 225
그림 9. 2019년 4분기 취수원수의 원생동물 구성 228
그림 10. 공정수의 진핵생물 구성 229
그림 11. 공정수의 진핵생물 중 원생동물 비중 230
그림 12. 2019년 1분기 공정수의 원생동물 구성 232
그림 13. 2019년 2분기 공정수의 원생동물 구성 235
그림 14. 2019년 3분기 공정수의 원생동물 구성 237
그림 15. 2019년 4분기 공정수의 원생동물 구성 241
그림 16. 정수 현미경 사진(100배) 246
06. 입상활성탄 하부 모래포설을 통한 입자누출저감방안 마련 257
그림 1. 경과시간에 따른 처리수 탁도와 입자수(탁질지속적증가) 260
그림 2. 경과시간에 따른 처리수 탁도와 입자수(탁질누출이 없는 상태) 260
그림 3. 시동방수밸브설치 사례(강북) 263
그림 4. 모래 유효경별 컬럼 구성도 265
그림 5. 광암, 영등포1 정수장 대상 컬럼구성도 및 활성탄/모래 설계(안) 267
그림 6. 활성탄 컬럼별 운영수두 비교 270
그림 7. 박테리아 크기별 분류 271
그림 8. 2μm이상 총입자수 272
그림 9. 0.5μm이상 총입자수 272
그림 10. 온라인 총세균 분석장치(구의 pilot plant) 273
그림 11. 총세균 효소 활성도 273
그림 12. 활성탄 컬럼 역세척 과정 274
그림 13. 재가동 초기 경과시간에 따른 2μm이상 총입자수 275
그림 14. 재가동 초기 경과시간에 따른 0.5μm이상 총입자수 275
그림 15. 활성탄/모래 역세척 과정(영등포1 대상 컬럼) 278
그림 16. 활성탄/모래 역세척 과정(광암 대상 컬럼) 278
그림 17. 수위변화(영등포1 대상) 280
그림 18. 수위변화(광암대상) 281
그림 19. 역세척 직후 재가동시 일자별 총입자수(영등포1 대상 컬럼) 282
그림 20. 역세척 직후 재가동시 일자별 총입자수(광암대상 컬럼) 282
그림 21. 누적통수량에 따른 탁도(영등포1 대상컬럼) 283
그림 22. 누적통수량에 따른 탁도(광암 대상컬럼) 283
그림 23. 2μm이상 총입자수(영등포1 대상컬럼) 284
그림 24. 0.5μm이상 총입자수(영등포1 대상컬럼) 285
그림 25. 2μm이상 총입자수(광암 대상컬럼) 285
그림 26. 0.5μm이상 총입자수(광암 대상컬럼) 286
그림 27. 총세균수(영등포1 대상 컬럼) 286
그림 28. 총세균수(광암대상 컬럼) 286
그림 29. 총세균 및 총입자수(0.5μm이상)와의 발생추이 287
그림 30. 총세균 및 총입자수(0.5μm이상)의 상관성 분석 288
그림 31. 운영기간에 따른 TOC 분석결과(영등포1 대상컬럼) 289
그림 32. 운영기간에 따른 TOC 분석결과(광암 대상컬럼) 289
07. CFD를 이용한 오존처리공정 진단 및 개선방안 연구 303
그림 1. 암사 오존처리공정(분배조, 오존접촉조) 305
그림 2. 암사 오존처리시설 308
그림 3. 유한체적법의 엇갈림 격자 309
그림 4. 물과 공기해석을 위한 유체체적분석법 312
그림 5. 분배조 2D 설계도 313
그림 6. 분배조 3D 설계 및 격자배열 314
그림 7. 분배조 개선안 3D 설계 314
그림 8. 분배조 초기조건 설정 315
그림 9. 암사 오존접촉조 및 조정조 구조 316
그림 10. 오존접촉조·조정조 3D 설계 및 격자생성 316
그림 11. 조정조 내 도류벽 배치안 317
그림 12. 광암 디퓨져 3D 설계(기존, 개선안) 318
그림 13. 추적자 실험 319
그림 14. 분배조 유속분포 319
그림 15. 시간에 따른 추적자 농도분포 320
그림 16. 분배조 월류웨어 개선안 유속분포 321
그림 17. 분배조 공정 내 기포변화 322
그림 18. 분배조 유출관의 기포분율 323
그림 19. 분배조 월류웨어 공사과정 324
그림 20. 분배조 공사 전·후 육안으로 본 기포변화 325
그림 21. AOP 설비개선 325
그림 22. 오존접촉조 배기관 개선 326
그림 23. 오존접촉조 및 조정조 내 물의 흐름분포 333
그림 24. 오존접촉조 및 조정조에서 추적자 체류시간 334
그림 25. 오존접촉조 후단 조정조 개선안에 대한 흐름해석 335
그림 26. 오존접촉조 내 평균유속 보다 현저히 낮은 영역 (개선 2안, 3안) 336
그림 27. 조정조 내 도류벽 설치시 시간에 따른 추적자 농도분포 337
그림 28. 디퓨져 형태별 노즐 유속분포 339
그림 29. 노즐 유출부에서 추적자 농도분포 340
그림 30. П자형 디퓨져 시공 341
08. 구경 50mm 이하 수용가의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연구 356
그림 1. 총 급수량의 분류 360
그림 2. 압력 센서를 이용한 사용량 패턴 조사 364
그림 3. 2001년 수돗물 사용 패턴 조사 방법 366
그림 4. 펄스발신 전자식 수도계량기 펄스 확인 369
그림 5. 펄스발신 전자식 수도계량기 유량시험 369
그림 6. 통수량에 따른 펄스발생 개수 차이 371
그림 7. 펄스발생 주기에 따른 유량 비교 372
그림 8. 데이터 저장 주기에 따른 유량 비교 372
그림 9. 실증시험 설치 현장 373
그림 10. 15mm 수용가 수돗물 사용패턴(24시간) 374
그림 11. 수돗물 사용 패턴(수도꼭지, 양변기) 375
그림 12. 수돗물 사용 패턴(세탁기) 375
그림 13. 수돗물 사용 패턴(양변기+샤워기) 376
그림 14. Trace Wizard 소프트웨어 운용 사례 376
그림 15. 구경별 유량별 전자식 수도계량기 평균 오차 380
그림 16. 현장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사진 381
그림 17. 15mm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2001년) 382
그림 18. 1, 2차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결과 비교(15mm) 383
그림 19. 여름철, 겨울철 최대 통수유량 크기 비교 384
그림 20.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15mm) 385
그림 21.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 비교(15mm) 386
그림 22. 데이터 저장 주기로 인한 유량 측정 결과의 변화 386
그림 23. 24시간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15mm, 가정용) 387
그림 24. 24시간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15mm, 일반용) 388
그림 25. 최대 통수유량 분포(15mm) 388
그림 26. 1일 평균 사용량 대비 최대 통수유량 분포(15mm) 389
그림 27. 24시간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15mm, 일반용) 390
그림 28. 1, 2차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결과 비교(20mm) 391
그림 29.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 비교(20mm) 392
그림 30. 24시간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20mm, 가정용) 393
그림 31. 24시간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20mm, 일반용 1) 394
그림 32. 24시간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20mm, 일반용 2) 394
그림 33. 최대 통수유량 분포(20mm) 395
그림 34. 1일 평균 사용량 대비 최대 통수유량 분포(20mm) 396
그림 35. 1, 2차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결과 비교(25mm) 397
그림 36.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 비교(25mm) 398
그림 37. 24시간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25mm, 가정용) 398
그림 38. 24시간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25mm, 일반용 1) 399
그림 39. 24시간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25mm, 일반용 2) 399
그림 40. 최대 통수유량 분포(25mm) 400
그림 41. 1일 평균 사용량 대비 최대 통수유량 분포(25mm) 401
그림 42. 1, 2차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결과 비교(32mm) 402
그림 43.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 비교(32mm) 403
그림 44. 24시간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32mm, 가정용) 404
그림 45. 24시간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32mm, 공공용) 404
그림 46. 최대 통수유량 분포(32mm) 405
그림 47. 1일 평균 사용량 대비 최대 통수유량 분포(32mm) 406
그림 48. 1, 2차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결과 비교(40mm) 407
그림 49.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 비교(40mm) 408
그림 50. 24시간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40mm, 가정용) 408
그림 51. 24시간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40mm, 일반용) 409
그림 52. 24시간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40mm, 공공용) 410
그림 53. 최대 통수유량 분포(40mm) 410
그림 54. 1일 평균 사용량 대비 최대 통수유량 분포(40mm) 411
그림 55. 1, 2차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결과 비교(50mm) 412
그림 56. 수돗물 사용패턴에 차이가 발생한 수용가(50mm 가정용) 412
그림 57.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 비교(50mm) 413
그림 58. 24시간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50mm, 가정용) 414
그림 59. 24시간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50mm, 일반용) 415
그림 60. 24시간 수돗물 사용패턴 조사 결과(50mm, 욕탕용) 416
그림 61. 최대 통수유량 분포(50mm) 416
그림 62. 1일 평균 사용량 대비 최대 통수유량 분포(50mm) 417
09. 서울시 하수관로의 침입수 산정방법 연구(군자-2 배수분구 중심으로) 435
그림 1. 불명수 산정 흐름도 440
그림 2. 물사용량 평가방법의 흐름도 441
그림 3. 일 최대-최소 유량 평가방법 흐름도 442
그림 4. 일 최대유량 평가방법 흐름도 443
그림 5. 야간생활하수 평가방법 흐름도 444
그림 6. 일 단위 최소하수량 발생(시간)구간 산정 예시 444
그림 7. 일 평균·최저유량-수질 평가방법 개요도 445
그림 8. 상수도 급수구역 447
그림 9. 군자-1, 2배수분구 및 계량기 448
그림 10. 레이다 유량계의 유량측정 452
그림 11. 예연위어의 유체 흐름 453
그림 12. 관로 폭 변화에 따른 계수 456
그림 13. 관로 폭 변화와 수위/위어 높이에 따른 배출 유효계수 456
그림 14. 위어의 3가지 흐름 458
그림 15. 군자-2 배수분구의 수돗물 공급 계통 459
그림 16. 위어 설치 위치에 따른 계량기 수 461
그림 17. 위어 및 수위계 설치 463
그림 18. 위어의 제원 463
그림 19. 수위에 따른 유량계산 464
그림 20. 사각위어의 배출 계수 465
그림 21. 사각위어의 관로수축에 따른 계수 465
그림 22. 수위에 따른 유량 및 오차 466
그림 23. 새말빗물펌프장의 집수정 및 저류조 펌프 현황 468
그림 24. 지하수 수위 관측망 470
그림 25. 군자 2 배수분구 합류식 박스관로 제원 471
그림 26. 지하수 수위 관측 결과 472
그림 27. 2019년 1월 요일별 평균 수돗물 사용량(아차산 3중블록) 475
그림 28. 2019년 1월 요일별 평균 하수유량 478
그림 29. 2019년 1월 수돗물 공급량 변화에 따른 하수유량 480
그림 30. 청천시 하수수질 변화(2019.5.12.~5.18) 481
10. 자산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펌프 및 관로 사례 연구 497
그림 1. 도시기반시설 30년 이상 노후화 비율 500
그림 2. 상수도시설물 자산관리 수행체계 502
그림 3. 자산관리 시스템 예 505
그림 4. 상수도 GIS 시스템에서 가압장 펌프의 점검관리 조회 514
그림 5. 정수장 기술진단과 상수도관망 기술진단 구분 516
그림 6. 관스케일 조사 시편 사진 517
그림 7. 남부수도사업소의 송수관로 정밀안전진단 결과 519
그림 8. 시설물번호(J_09_S05030) 상태평가 결과(C) 입력 확인 519
그림 9. 상수도시설물 종합점검 결과(밸브, F09C6102) 520
그림 10. 미국수도협회 수명 정의 521
그림 11. 욕조곡선(Bathtub Curve) 524
그림 12. 노후도 추정 곡선(지름 10 in 이상 주철관) 525
그림 13. 매설년차별 평균 누수건수 527
그림 14. 매설년차에 따른 누수건수/ 추세 분석 527
그림 15. 리스크 분석 및 개량 수요 분석 사례(Loyalist Township, 캐나다) 53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671402 | 333.91 -20-16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671403 | 333.91 -20-16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