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장 한국적·동양적 사상의 음악적 표현 1. 백남준의 〈음악의 전시: TV를 위한 선〉(1963) 2. 이만방의 〈무당〉(1981/82) 3. 윤이상의 〈멀리 떨어져〉(1988) 4. 박영희의 〈타령 IV〉(1991) 5. 강준일의 〈현황지곡〉(2009)
제10장 음악으로 그리는 한국의 역사와 사회 1. 윤이상의 〈광주여 영원히〉(1981) 2. 이건용의 〈들의 노래〉(1994) 3. 이혜성의 〈마루타〉(1995) 4. 정태봉의 〈진혼 II?세월호 희생자들의 넋을 달래며〉(2014) 5. 김택수의 〈국민학교 판타지〉(2018)
제3부 인터뷰
1. 한국적이라는 것을 소신 있게 거부하기|백병동| 2. 나는 뼛속까지 한국적이다|이영자| 3. 서양의 그릇에 한국 담기|이영조| 4. 내가 진 빚을 갚고 싶다|이건용| 5. 나만의 시스템으로 만드는 한국적 사운드|이돈응| 6. 주변에 머물고 싶은 멀티 스타일의 작곡가|황성호| 7. 고품격의 한국적 미를 찾아서|임준희| 8. 서양음악과 동양음악의 경계 넘기|강은수| 9. 한국의 청중을 위한 ‘착한 음악’을 찾는 작곡가|이인식| 10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한국에서 새로운 정체성 찾기|김택수|
에필로그
에필로그: 침묵하는 타자를 넘어서 -한국 현대음악에 나타난 상호문화성 미학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상호문화성으로 보는 한국의 현대음악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