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4
제1장 서론 20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1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24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 29
제2장 르완다 농업 현황 및 한국의 ODA 전략 32
1. 르완다 농업 현황 및 농업개발전략 33
가. 농업 현황 및 발전 여건 33
나. 르완다의 농업ㆍ농촌 개발전략 36
2. 한국정부의 르완다 농업 ODA 전략 38
3. 한국의 르완다 농업 ODA 현황 및 주요 특징 40
가. 한국의 르완다 농업 ODA 규모 및 비중 40
나. 클러스터(세부사업부문)별 지원 현황 및 국제적 비교 44
다. 원조 형태 및 유형 52
라. 한국의 주요 기관별 르완다 농업 ODA 현황 53
제3장 한국의 르완다 농업 ODA 종합평가 56
1. 평가 방법 57
가. 성과지수 측정 60
나. 자원배분지수 측정 68
2. 기획평가 72
3. 운영평가 74
4. 성과평가 77
5. 소결: 클러스터별 종합평가 85
제4장 한국의 對르완다 농업 ODA 기여도 분석 94
1. 분석의 관점 및 범위 95
2. 르완다 국가개발수요와 한국 ODA 정책에 대한 부합도 96
가. 르완다 국가개발수요에 대한 부합도 96
나. 한국 ODA 정책(CPS)에 대한 부합도 103
3. 르완다 GDP에 대한 기여도 분석 105
가. 분석구조 및 방법 105
나. 분석 결과 112
제5장 한국의 르완다 농업 ODA 개선방안 116
1. 분석 결과 요약 및 개선방안 도출 117
2. 전략적 기획관리: 예산배분 최적화 124
가. 분석 배경 및 의의 124
나. 분석 방법ㆍ과정 및 결과 125
3. 전략적 운영관리: 모니터링 효율성 개선 134
4. 클러스터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 제고 137
5. 농업 가치사슬 프로그램 접근 142
가. 농업 가치사슬 ODA 필요성 및 의의 142
나. 가치사슬 관련 한국 ODA 평가 및 지원전략 145
다. 가치사슬 내 중점지원 사업 149
제6장 맺음말 156
참고문헌 162
[부록 1] 기여도 및 자원배분 최적화에 적용된 수식(POWERSIM) 169
[부록 2] 변수들의 이분화(dichotomization) 결과 173
Executive Summary 174
판권기 3
그림 2-1. 르완다 농업부문 성장률 및 노동생산성 35
그림 2-2. 르완다의 농업 구조전환 전략(PSTA-4) 개요 36
그림 2-3. 한국정부의 르완다 농업 ODA 전략 프레임워크 40
그림 2-4. 한국의 동아프리카 농업 ODA 추이 42
그림 2-5. 한국의 분야별 르완다 ODA 추이 43
그림 2-6. 한국의 클러스터별 르완다 농업 ODA 집행액 추이(2013~17년) 47
그림 3-1. 평가 프레임워크 61
그림 3-2. 클러스터별 성과지수 분포도 90
그림 4-1. 르완다 개발수요에 대한 부합도: 프로젝트 사업 101
그림 4-2. 르완다 개발수요에 대한 부합도: 연수사업 102
그림 4-3. 르완다 개발수요에 대한 부합도: 프로젝트 및 연수사업 102
그림 4-4. CPS 부합도: 프로젝트 103
그림 4-5. CPS 부합도: 연수사업 104
그림 4-6. CPS 부합도: 프로젝트 및 연수사업 105
그림 4-7. GDP 기여도의 분석구조 및 GDP 영향 인과지도 106
그림 4-8. 투입-산출 연결구조 및 한국 ODA의 기여도 분석 구조도 110
그림 4-9. 한국 ODA의 GDP 창출 분석 모형 110
그림 4-10. 한국 농업 ODA의 르완다 GDP 기여도 112
그림 5-1. 클러스터별 포지셔닝 126
그림 5-2. Fiedler 수정 모형에 의한 클러스터별 자원배분 방향 128
그림 5-3. 자원배분 최적화 기본 구조 129
그림 5-4. POWERSIM에 의한 최적화 분석모형 131
그림 5-5. 클러스터별 집행액 및 성과점수 비교 133
그림 5-6. 중점협력분야(농업ㆍ교육ㆍICT)의 연계 148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718997 | 338.181 -21-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718998 | 338.181 -21-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