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비틀리는 사회혁신 : 대항헤게모니적 개입을 위한 비판 / 지은이: 장훈교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진인진, 2021
청구기호
303.484 -21-3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도서위치안내(부산관)
형태사항
410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 위기와 전환 총서 ; 005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3474618
제어번호
MONO12021000010017
주기사항
참고문헌: p. 387-410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목차보기더보기


책을 펴내며 7

들어가며: 사회혁신 비판의 재구성 9
1. 연구배경: 비판의 필요 10
2. 비판의 현재 구조: 신자유주의 통치의 정상화 16
3. 비판의 재구성 24
4. 연구의 시각: 수동혁명 프로젝트로서의 사회혁신 35

제1장 ‘사회혁신’: 혁신 패러다임의 확장과 사회적인 것과의 접합 43
1. 사회혁신: 특정한 역사적 조건에서 구성된 혁신 담론 45
2. 혁신 패러다임의 진화: 슘페터의 시대 61
3. 혁신과 ‘사회적인 것’의 접합: 사회 공동-경영의 기술로서 사회혁신 66

제2장 한국 사회혁신의 부상 75
1. 사회혁신 시민사회의 등장 77
2. 국가혁신체계와 네트워크 거버넌스: 정부와 시민사회의 융합 제도화 81
3. 한국 사회혁신의 확산과 그 구조적 특징 87

제3장 사회혁신: 기본원리 101
1. 민주적 실험주의 102
2. 투입원리로서의 ‘사회성’ 107
3. 실험 기반 문제 해결 과정 110
4. 실천을 통한 학습과 원형제작화 112
5. 제도적 빈틈의 조성과 실험공간 117
6. 배아 모형을 이용한 사회변화의 관리 123
7. 사회구성의 원리로서 ‘사회적 가치’ 128

제4장 사회혁신의 방법들 135
1. 사회혁신의 단계와 발상의 도출 137
2. 새로운 조합(new combination) 혹은 연결의 방법 142
3. 사회혁신랩 146
4. 협업리더십과 유기적 리더 159
5. 모방과 변이 그리고 맥락 168
6. 게임: 대안실험과 주체화의 다른 방법 176
7. 사회혁신 교육과 인큐베이팅 그리고 청년 186
8. 빠른 정책: ‘해커톤’의 예 196

제5장 사회혁신의 현실 배치: 전략적 유연성과 모순적 종합 201
1. 경제: 접근 방식의 변화 202
2. 문제 해결의 범주: 교환, 재분배, 호혜 210
3. 다원적 행위자들: 공공, 시민사회, 기업 217
4. 다른 경제와 접합 235

제6장 사회혁신의 현장: 은평물품공유센터 241
1. 형성 과정 242
2. 혁신 모형의 유형 246
3. 센터의 운영 모형 251
4. 중심문제: 경영, 자립 그리고 동형화 257
5. 결론: 공유라는 질문 261

제7장 사회혁신과 체계변화 269
1. 규모화(Scaling): 전환적 규모로의 도약 문제 272
2. 지속가능성 이행(Sustainability Transition) 이론의 기본 구조 278
3. 전환적 사회혁신과 제도변화: TRANSIT 프로젝트 285
4. 체제 내부의 제도 선택 293
5. 이행 시나리오(Transition Scenario) 294

제8장 사회혁신 거버넌스의 모순: 사회혁신을 배반하는 사회혁신 309
1. 사회혁신의 신자유주의화 313
2. 사회혁신의 ‘협업화’(collaboration): 통치 참여와 권한 부여 322
3. 사회혁신 거버넌스의 모순: 신자유주의화와 협업화 334

제9장 사회혁신과 시민참여: 공동-경영 시민노동의 부상 341
1. 암묵적 지식과 보편적 시민 능력으로서의 혁신 342
2. 시민참여의 방법과 그 문제들 347
3. 공동-경영 주체화 354
4. 시민참여의 위상 변화: 자율활동에서 시민노동으로 365

나가며: 사회혁신 비판에서 급진 민주적 실험주의로 373

참고문헌 387

이용현황보기

조회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40400 303.484 -2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40401 303.484 -2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04328 303.484 -2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2804329 303.484 -2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B000006134 303.484 -21-3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사회혁신 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학술서 『비틀리는 사회혁신 - 대항헤게모니적 개입을 위한 비판』이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 위기와 전환 총서 6권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저자 장훈교는 2014년 안토니오 그람시의 조절사회 개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이래,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서울혁신센터 사회혁신리서치랩에서 한국사회혁신을 대상으로 한 연구작업을 수행했고, 제주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사회혁신의 이론적 맥락과 배경에 대한 내용을 보강하여 『비틀리는 사회혁신 - 대항헤게모니적 개입을 위한 비판』 저술을 완성하였습니다.
    현대사회 위기극복의 이론적/정책적 대안으로 1990년대 제안된 이래 전지구적으로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는 사회혁신 담론은 2010년을 전후해서 'Social innovation'의 번역담론이자 정책전문가 집단의 전문담론으로 한국에 소개되어 빠른속도로 부상한 '정책산업'입니다.
    『비틀리는 사회혁신 - 대항헤게모니적 개입을 위한 비판』에서는 사회혁신을 '협업을 통해 질서와 변화를 동시에 추진하는 특정한 방식으로 '사회'를 동원하고 가공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프로젝트'로 가정하고, 사회혁신이 신자유주의 통치의 정당화/정규화를 의미하는 담론으로 설정하여 논의를 전개합니다. 현대사회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사회혁신 담론이 신자유주의 통치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비틀림으로 인해 형성된 '공간'에서 급진 민주적 실험주의를 통해 대안헤게모니적 개입을 시도하자는 것이 『비틀리는 사회혁신 - 대항헤게모니적 개입을 위한 비판』의 주된 내용입니다.
    『비틀리는 사회혁신 - 대항헤게모니적 개입을 위한 비판』은 서론과 결론 및 9개의 장으로 구성된 본론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2장 한국 사회혁신의 등장, 4장 사회혁신 방법론, 5장 사회혁신의 현실 적용, 6장 사회혁신 활동 사례, 8장 사회혁신 거버넌스의 모순, 9장사회혁신과 시민참여 관련 내용은 저자가 직접 사회혁신 활동가로 참여했던 '사회혁신리서치랩'의 연구활동을 통해 작성된 내용을 중심으로 하고 있습니다. 서론과 본론 및 1장, 3장, 7장은 본 저작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작성된 부분인데, 서론에서는 사회혁신 연구의 배경과 현황 및 연구 작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1장에서는 미리 작성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사회혁신 패러다임의 확장과 사회적인 것과의 접합이라는 관점이 더해지는 저술 방향을 보다 상세하게 서술합니다. 3장은 사회혁신을 구성하는 7가지 기본원리에 대해 상세하게 소개하고 7장 사회혁신과 체계변화에서는 사회혁신과 체제이행의 전망과 관련 실천의 전개 사례 및 이행 시나리오를 소개합니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사회혁신 비판이 급진 민주적 실험주의로 확장되어 대항헤게모니적 개입이 전개되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임을 제시합니다.
    『비틀리는 사회혁신 - 대항헤게모니적 개입을 위한 비판』은 다양한 정책 집행단위에서 시도되고 있는 '사회혁신'작업의 현황과 이론적, 역사적 맥락을 총괄적으로 정리한 역작으로서, 신자유주의 통치성의 강화로 전락할 가능성에 대해 '동료시민'들의 급진 민주적 실험주의를 통해 대항헤게모니를 수립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
    더보기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사회혁신은 '사회'를 특정한 방식으로 동원하고 가공하여 또 다른 '사회'를 산출하는 프로젝트다. 전통적으로 이용되어온 사회변화의 전략인 '개혁'이나 '혁명'이 아닌, 넓은 의미에서 경영학의 개념 중 하나인 '혁신'이란 제3의 방법을 사회변화에 이용한다. 그 방법의 핵심은 사회변화를 '내부' 구성원의 협업으로 규정하는 데 있다. 협업은 이전에 없던 새로운 공동성을 창출해내는 실천이다. 다양한 행위자들이 자신을 규정해온 전통적인 경계를 넘어 다른 방식으로 움직이도록, 사회혁신은 그들에게 '혁신가'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한다. 이 과정에서 사회혁신 프로젝트는 신자유주의를 반복하는 동시에 그 안에 차이를 기입한다. 기업가정신은 확대재생산되지만 그 재생산은 자신만의 고유한 실험공간을 통해 이루어진다. 동료시민의 참여와 협력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협업적 통치성'의 실험공간이다. 협업은 공동성의 이름으로 좋은 삶의 다른 이름처럼 동료시민에게 부여되며, 시민은 공동-경영의 주체가 된다. 그러나 사회혁신은 그 내적 구조로 인해 반복해서 비틀며 자신을 배신한다.
    더보기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