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일러두기

목차

1. 문화재와 함께한 한 평생 12

1) 성장과정 12

신안군 하의도에서 출생 12

고산 윤선도의 후예 13

조부모대에 일군 안정된 생활 14

목포에서 보낸 학창시절 15

2) 대학 재학시절 16

홍익대 건축학과에 진학한 계기 16

건축학과의 수업과 고건축과의 인연 18

건축학과의 교수진 19

3) 문화재관리국 입사 초기 20

문화재관리국에 몸 담게 된 계기 20

입사 후의 설계 업무 23

현장에 나가서 익힌 실무 24

4) 사무관 시절 25

영선계 보수반의 작업체제 25

보수과 계장으로 업무 주도 26

과중한 기술직 업무 27

잠시 동안의 문화재연구소 근무 28

5) 나라문화재연구소 연수 29

연수를 가게 된 동기 29

나라문화재연구소의 조직구성과 관계자들 30

일본 고건축 답사 31

처음 접한 중국 고건축 자료 32

일본의 문화재 발굴조사와 정비 33

법륭사 금당에서 보고 느낀 것들 34

일본의 문화재 수리와 주변 정비 35

조경과 경관에 대한 방식 36

수리공사의 현장 분위기 37

6) 사무관에서 보수과장으로 38

예산 책정과 행정 38

1970년대, 80년대 문화재 정비 39

길지 않았던 보수과장 41

7) 독립기념관과의 인연 42

문화재관리국을 떠나게 된 이유 42

독립기념관 복구공사 참여 43

중국 임시정부청사 조사 참여 44

8) 문화재 상근 전문위원 시절 45

운이 따른 전문위원 자리 45

전문위원의 소신과 업무 46

9) 퇴직 이후의 활동 48

명지대 산업대학원의 교육활동 48

한국목조건축연구포럼 회장 활동 49

보관문화훈장 수상 50

2. 문화재관리국의 조직과 문화재 재무시스템 52

1) 문화재 정책과 문화재관리국 조직의 변화 52

60년대의 문화재 관련 분위기 52

문화재관리국의 역할과 지방 문화재의 관리와 수리 53

70년대 문화재관리국의 부서조직 상황 55

80년대 문화재관리국의 구조와 상황 56

2) 문화재 재무시스템과 수리 표준품셈 작성 57

당시 재무시스템과 그에 따른 업무 처리 57

문화재 수리 표준품셈 작성 경위 59

현재 품셈과 시방서의 한계와 부작용 61

3. 재료의 수급과 가공 64

1) 목재의 수급과 가공 64

문화재 공사용 목재 수급의 특성 64

수입목재의 사용 양상 65

시대에 따른 목재 운반과 가공 방식의 변화 66

수작업에 의한 목재 가공의 묘미 67

함수율을 분석하기 시작한 시기와 방법 69

2) 석재의 수급과 가공 70

과거와 현재의 석재 수급 상황 70

시대에 따른 석재 가공방식의 변화 71

3) 기와 제작과 KS기와 73

전통 기와의 재료 및 제작 방법 73

표준기와의 등장 배경 74

KS기와의 등장 배경 76

4) 단청 안료 77

단청 안료에 대한 관심 77

화학 안료와 접착제 등의 현대적 재료 사용의 배경 78

5) 벽체 마감재료 79

접착제로 첨가되는 다양한 지역 재료 79

외엮기의 재료 79

4. 수리 기술과 기법 82

1) 문화재 수리의 범위와 수리 방법 82

문화재 수리 대상의 선정 과정 82

문화재 수리에서 후가물에 관한 문제 84

문화재 수리 대상의 판단 기준과 어려움 85

문화재 수리 설계변경의 과정 86

해체 대상의 선정과 범위 설정 87

석재의 손상 여부 판단과 재사용 사례 89

2) 목조문화재의 수리 90

노후된 목재의 보강 방법 90

손상된 부재의 다양한 보강 방법 91

목재의 균열과 변형 수리의 방법 94

구조 보강을 위한 철물 사용 96

서까래의 배열과 이음 방식 98

연침의 역할과 효과 99

경회루의 양성 복원 101

근정전의 추녀 수리와 보강 102

경기전에서 흰개미 처리 104

3) 석조문화재의 수리 106

자연석, 가공석의 개념 106

해체를 통해 확인한 전돌벽의 쌓기 방법(자경전 화담) 107

물갈기 가공 기법 108

왕릉 호석 수리 108

돌 쌓는 방식 109

4) 기와, 단청, 벽체의 수리 110

상록하단의 우리나라 단청 110

일본의 단청 수리 111

벽화의 수리와 보존 111

판축벽의 수리 112

바닥 포장 관리의 중요성 113

5) 문화재 보존과학 관련 114

60~70년대 보존과학에 대한 인식 114

일본의 문화재 수리 작업장 115

일본의 보존과학 116

일본의 해체 수리와 전문가 교육 117

보존과학을 적용한 보수 방법 118

5. 내가 지켜본 문화재 수리 120

1) 황룡사 9층 목탑의 복원 논란 120

복원에 대한 논란 120

복원안과 참여한 관련 인물 121

해외 복원의 사례와 방법 122

2) 경복궁과 숭례문 수리에서 목재 문제 123

조선총독부청사 철거와 복원 123

흥례문 처마 곡선과 목재균열 논란 125

숭례문 수리에서 목재균열 126

3) 수목으로 인한 문화재 관리의 어려움 127

경복궁 소주방터의 오래된 나무 127

창덕궁 규장각의 향나무 128

수목으로 인한 문화재 관리의 어려움 128

연경당 담에 붙은 나무 129

4) 화재로부터 문화재 지키기 130

팔상전의 화재 발생과 소화 130

일본의 방화대책 131

방염방충제 제작 과정과 한계 132

5) 수리 이전의 궁궐 건축 활용 133

전시관으로 활용된 창덕궁 행각 133

6) 철근 콘크리트로 복원된 문화재 134

철근 콘크리트조 기와 건물의 출현배경 134

아산 현충사 성역화 사업의 참여 인물 135

콘크리트조 건물이 될 뻔 한 불국사 136

경주 개발의 배경과 참여 인물 137

'조경'분야의 시작과 관련 인물 138

철근 콘크리트조 기와 건물의 건립과정 140

7) 도산서원 성역화 사업의 아쉬움 141

도산서원 성역화사업 141

지나친 사괴석 담장 142

잘못 심은 나무 143

과잉 복원의 문제 143

8) 문화재의 보존에 대한 바른 자세 144

원 지반과 지형의 회복 144

반구대 암각화의 보존대책 145

6. 내가 만나 본 장인들 148

1) 목수의 직업세계와 이름난 목수들 148

손으로 하는 작업 전통 148

선배를 존중하는 장인세계 149

60, 70년대 이름난 목수들 150

2) 석공과 드잡이공의 작업방식 152

석공과 드잡이공 장인들 152

3) 단청장 153

기억나는 단청장들 153

4) 미장공 154

미장공의 중요성 154

이름난 미장공들 155

5) 장인의 양성 156

절박한 장인 양성 과제 156

법륭사의 대목장 157

앞으로의 장인 양성 158

7. 문화재 수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60

1) 목조문화재 수리에서 유의할 점 160

외국산 목재의 사용 160

목구조의 보강과 철물 사용 161

지붕 변작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162

실측도면과 실상의 차이 163

지붕 무게를 줄이려는 노력 166

서까래 거는 바른 방법 168

생각해 볼 활주 169

개선이 필요한 지붕의 강회 사용 171

숙제가 많은 지붕 양성 바르기 172

구하기 힘든 추녀목 173

2) 석조문화재 수리에서 유의할 점들 174

기계로 자른 석재의 약점 174

구재와 신재의 차이로 인한 고색처리 문제 175

마찰력을 고려한 사괴석 쌓기 176

콘크리트가 빚어내는 문제들 177

규격화로 잃어버린 자연스러움 178

고려해야할 석재 가공의 품셈 179

수지처리의 한계 180

비바람으로부터의 보호대책 181

수목으로 인한 성벽의 훼손 183

세월이 약, 고재와 신재의 조화 184

3) 기와·단청·미장 수리에서 유의할 점들 185

KS기와의 한계 185

격식을 지켜야 할 막새 사용 187

놓치지 말아야 할 진새우흙 187

전통안료의 단절과 수입산의 사용 188

안료 품셈의 한계 189

수리 때마다 달라지는 단청 190

단청의 효용성에 대한 고민 191

함부로 해서 안 되는 단청 193

잘못된 미장 시공 194

시멘트 혼합사용의 문제 195

전돌벽의 백화 현상 195

줄눈 시공기법의 문제 196

바닥 포장하는 재료 선택의 난관 197

외엮기의 재료와 수급의 한계 198

당대 기술로 재현해야할 움집 복원 199

문화재 수리의 주기 200

8. 문화재 수리의 나아갈 방향 202

재료의 현대적 보강에 대한 생각 202

전통 기법 계승의 필요성과 중요성 204

전통 기법을 전승하기 위한 정책의 필요성 206

구술집을 마치며 전하고 싶은 내 생각 208

윤홍로(尹洪璐) 약력 211

저서 211

판권기 212

이용현황보기

문화재수리분야 전문가 구술자료집. 윤홍로편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40759 951.09 -21-2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40760 951.09 -21-2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