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영유아 음악교육 개념 및 중요성 1영유아 음악교육의 성격 1) 영유아에게 음악이 왜 필요할까? 2) 영유아에게 음악은 언제 필요할까? 3) 영유아는 어떤 음악이 필요할까? 4) 영유아의 음악교육은 누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할까? 5) 영유아는 어디에서 음악 활동을 할까? 6) 영유아와 음악교육은 어떻게 진행될까?
2영유아 음악교육의 의의 1) 신체 발달 2) 인지 발달 3) 언어 발달 4) 정서 발달 5) 사회성 발달 3영유아 음악교육의 목표 4영유아 음악교육의 중요성 1) 영유아기는 음악을 학습하는 결정적 시기 2) 인간 본성으로서의 음악 3) 창의성 발달에 기여 4) 생활 속에서의 음악의 역할 5) 문화 유산으로서의 음악의 가치 5영유아 음악교육이 나아갈 방향
제2장. 영유아 발달과 교사 1영유아 음악적 능력 발달 1) 출생-12개월 2) 만 1세 영아 3) 만 2세 영아 4) 만 3세 유아 5) 만 4세 유아 6) 만 5세 유아 2교사의 음악적 능력 및 태도 발달 1) 교사의 음악적 능력 및 자질 2) 음악에 대한 교사의 태도 3음악적 능력 발달에 미치는 요인 1) 유아 개인적 특성 2) 가정 환경 3) 유아교육기관의 교육 프로그램 및 음악적 환경
제3장. 영유아 음악교육의 내용과 방법 1소리와 음색 1) 동요 소개하기 2) 개념 알기 3) 수행하기 4) 평가하기 2박, 박자 1) 동요 소개하기 2) 개념 알기 3) 수행하기 4) 평가하기 3리듬 1) 동요 소개하기 2) 개념 알기 3) 수행하기 4) 평가하기 4빠르기와 셈여림 1) 동요 소개하기 2) 개념 알기 3) 수행하기 4) 평가하기 5음높이 1) 동요 소개하기 2) 개념 알기 3) 수행하기 4) 평가하기 6멜로디와 화성 1) 동요 소개하기 2) 개념 알기 3) 수행하기 4) 평가하기
제4장. 영유아 음악교육의 환경 1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환경 1) 영아교육기관에서의 환경 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환경 2영유아 가정에서의 환경 3영유아 지역사회의 환경
제5장. 영유아 음악교육 접근법 1표준보육과정에서 음악교육 1) 0-1세 신체운동 영역의 세부내용 2) 2세 신체운동 영역의 세부내용 3) 0-1세 예술경험 영역의 세부내용 4) 2세 예술경험 영역의 세부내용 2누리과정에서 음악교육 1) 신체운동·건강 영역의 세부내용 2) 예술경험 영역의 세부내용 3) 3-5세 누리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 내용 비교
제6장. 영유아 음악교육의 계획과 운영 1영유아 음악교육 계획하기 1) 음악교육계획안 작성 요소 2) 음악교육계획안 작성방법 2통합적인 음악교육 제공하기 1) 음악 영역 내 통합 2) 음악과 교과 간 통합 3영유아 음악교육 운영하기 1) 음악 놀이 공간을 융통성 있게 운영한다 2) 일상의 사물, 자연물도 음악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3) 음악 놀이 시간을 충분히 여유있게 운영한다 4) 음악 놀이와 연결하여 대·소집단 활동을 운영한다 5) 하루 일과에서 음악 놀이 및 활동 운영 시 융통성 있게 운영한다 4영유아·놀이 중심 음악교육에서의 교사 역할 1) 관찰자 2) 환경 지원자 3) 공동 놀이자 4) 놀이 안내자 5) 놀이 계획자 6) 놀이 기록 및 평가자 5놀이 중심 음악교육 1) 리듬을 발견하다 2) 리듬을 탐색하다 3) 얘들아, 어떻게 해? 4) 음악에 맞는 놀이, 놀이에 맞는 음악 5) 리듬과 극이 만나다 6) 리듬을 만들다
제7장. 영유아 음악교육의 평가 1놀이 중심 평가 1) 놀이 흐름 기록하기 2) 개별 영유아 놀이 기록하기 3) 유아 스스로 놀이 기록하기 2영유아 대상 평가 1) 일화기록 2) 평정척도법 3) 행동목록법 4) 포트폴리오 평가 3교사 자신의 평가 1) 교사가 계획한 음악 활동에 대한 평가 2) 교사 자신의 역량 평가 4부모의 평가
제8장. 실제 음악 활동 1노래 부르기 1) 작은 동물원 2) 간다 간다 3) 닮은 곳이 있대요 4) 물 놀이 5) 올챙이와 개구리 6) 하얀 나라 7) 내 마음이 기쁘단다 8) 허수아비 아저씨 9) 참 재미있었지 10) 세계 아침인사 2몸으로 표현하기 1) 스카프 춤 2) 기차 놀이 3) 북소리에 맞추어 걷기 4) 달팽이 집을 지읍시다 5) 동물의 사육제 중 ‘숲속의 뻐꾸기’ 6) 빨래가 되어 보아요 7) 낙엽이 되었어요 8) 비 오는 날 9) 불꽃 축제 10) 로봇이 되어보기 11) 한 시골 농가에 12) 한삼춤 13) 어린이 폴카 3음악 만들기 1) 다양한 리듬으로 연주해요 2) 그림을 보고 음악을 만들어요 3) 노래를 바꾸어 불러봐요 4) 친구와 만든 음악을 녹음해요 5) 우리는 이렇게 말해요 6) 음악동화 만들기 4악기 연주하기 1) 냄비 악기 연주하기 2) 나의 몸은 신기한 악기 3) 돌과 물 4) 시계 5) 동물들의 악기 연주 6) 악기 만들기 7) 실로폰을 쳐 보자 8) 낙엽을 밟으며 5음악 감상 및 듣고 움직이기 1) 동물의 사육제 중 ‘사자왕의 행진’ 2) 꼬마야 꼬마야 3) 모차르트 ‘장난감 교향곡’ 4) 쇼팽 ‘강아지 왈츠’ 5) 음악 감상하기 6) 톡톡 튀는 팝콘 7) 사물놀이 8) 피터와 늑대
ㆍ참고문헌
이용현황보기
영유아 교사를 위한 음악교육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46877
372.87 -2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46878
372.87 -2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85173
372.87 -21-4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본 서는 총 8장의 이론편과 실제편으로 구성되었으며, 무엇보다 영유아 음악교육의 바른개념이 정립되어져야 한다고 판단하여 음악교육의 기초 내용을 포함하였습니다. 또한 교사가 알아야 할 기본적인 음악교육의 내용과 방법에서는 직접 수행하면서 개념을 익힐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포함하였고, 개정된 누리과정과 제4차 표준보육과정의 내용도 함께 연결하여 영유아 음악교육의 계획과 운영, 평가 부분을 구성하였습니다. 또한 예비교사와 현장의 교사가 쉽게 활용하도록 구체적인 실제 활동 부분도 제공하였습니다.
영유아 음악교육을 배우는 예비교사에게 주도적으로 영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을 구성하여 바람직한 음악적 교수능력을 형성하며, 영유아의 음악 놀이와 활동을 운영하고 음악을 즐기고 좋아할 수 있는 마음과 태도를 가지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