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일러두기

발간사 / 이종범

목차

면파유고(綿坡遺稿) 해제 - 근대 무안 선비 박종상(朴宗相)의 절조(節操)와 자락(自樂)의 삶 - / 박종훈 25

면파유고서(綿坡遺稿序) 37

면파유고 제1권 43

시(詩) 43

송림원(松林院)의 옛터를 지나며(過松林院遺墟) 43

창주사(滄洲祠) 옛터를 지나며(過滄洲祠遺墟) 44

남파(藍坡) 최윤휘(崔潤翬)에게 주다(贈崔藍坡[潤翬]) 44

고향으로 돌아가는 사문(斯文) 송각헌(宋珏憲)을 전송하며(送宋斯文歸故山[珏憲]) 45

상상(上庠) 주남(珠南) 김상진(金相鎭)의 작품에 차운하다(次金上庠珠南[相鎭]) 45

글벗 정영언(鄭榮彦)에게 주다(贈鄭文友[榮彦]) 46

감방산(坎方山)에서 노닐며(遊坎方山) 46

봄날 눈앞 경치를 읊조리다(春日卽事) 47

가을날을 즐기며(賞秋) 47

우연히 읊조리다(偶吟) 48

병치레 잦은 것을 씁쓸해하며(多病自嘲) 48

필암서원을 배알(拜謁)하다(謁筆巖書院) 48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 선생의 묘소를 참배하다(拜河西金先生墓) 49

유산정(遊山亭)에 오르다(登遊山亭) 50

갈은당(葛隱堂)의 작품에 차운하다(次葛隱堂) 50

강가에서 느낀 바가 있어(江上有感) 51

집에 머물며 시를 짓다(居家有成) 51

고향 생각(思鄕) 52

용천사(龍泉寺)의 매승(梅僧)에게 주다(贈龍泉寺梅僧) 53

용강재(龍岡齋)에 쓰다(題龍岡齋) 53

평천정사(平川精舍)의 작품에 차운하다(次平川精舍) 54

족숙(族叔) 춘재(春齋) 박기우(朴淇禹)의 작품에 차운하다(次族叔春齋[淇禹]) 54

노성(魯城) 궐리사(闕里祠)를 지나며(過魯城闕里祠) 55

죽헌(竹軒)을 중건한 후에 차운하다(次竹軒重建後) 56

물고기를 보내온 것에 고마워하며(謝寄魚) 56

밥 짓는 연기(炊煙) 57

일출(出日) 57

봄을 보내며(餞春) 58

단오(端陽) 58

서재(書齋)에 등불 밝히고(書燈) 59

흥취가 일어(漫興) 59

글방을 열며(開硏) 60

길 위에서 봄을 보내다(途中餞春) 61

아내를 잃고 난 뒤 홀로 앉아(喪室後獨坐) 61

가을날 눈앞 풍경을 읊조리다(秋日卽事) 61

매화(梅花) 62

새봄에 날아든 제비(新鷰) 62

목화를 따며(摘綿) 63

연적(涓滴) 63

병풍(屛風) 64

배를 타다(乘船) 64

농가(農家)(田家) 64

화개(花開) 장터(花開市) 65

면파정사(綿坡精舍) 65

학문에 힘쓰도록 권면하다(勸學) 66

극기(克己) 67

유산정(遊山亭)의 작품에 차운하다(次遊山亭) 68

평택(平澤) 임씨(林氏)의 영모각(永慕閣)의 작품에 차운하다(次永慕閣[平澤林氏]) 69

윤성대(尹性大)의 옥산정(玉山亭)에 쓰다(題玉山亭[尹性大]) 69

불갑사(佛甲寺)의 사인(思忍) 스님에게 주다(贈思忍僧[佛甲寺]) 70

장재풍(張在豊)의 동호정(東湖亭)에 쓰다(題東湖亭[張在豊]) 70

애절당(愛節堂)의 작품에 차운하다(次愛節堂) 71

광한루(廣寒樓)의 작품에 차운하다(次廣寒樓) 72

담배[南草]를 청하며(請南草) 72

목동의 젓대소리(牧笛) 73

어부의 젓대소리(漁笛) 73

연꽃(蓮花) 74

국화(菊花) 74

족숙(族叔) 후백(後柏) 박기문(朴淇紋)에 대한 만사(挽族叔後柏[淇紋]) 75

참봉(參奉) 이경구(李慶九)에 대한 만사(挽李參奉[慶九]) 78

족형(族兄) 농포(農圃) 박윤상(朴胤相)에 대한 만사(挽族兄農圃[胤相]) 78

족종(族從) 만헌(晩軒) 박승재(朴丞載)에 대한 만사(挽族從晩軒[丞載]) 79

족형(族兄) 민재(敏齋) 박임상(朴琳相)에 대한 만사(挽族兄敏齋[琳相]) 80

죽헌(竹軒)을 중건(重建)한 후 지은 작품에 차운하다(次竹軒重建後) 81

암천(巖川) 박증(朴增)의 묘각(墓閣)인 당호재(唐湖齋)에서(唐湖齋中[巖川公墓閣]) 82

신장동재(新庄洞齋)에서(新庄洞齋中) 83

신도(新都)에서(新都) 83

신원사(新元寺) 84

다시 신도(新都)를 지나며(再過新都) 85

고종(高宗) 인산(因山) 때에 느꺼움이 일어(因山時有感[高宗因山]) 85

밀양(密陽) 취헌(醉軒) 박공(朴公)의 작품에 차운하다(次密陽朴公醉軒) 86

최택현(崔澤鉉)의 망화정(望華亭) 작품에 차운하다(次望華亭[崔澤鉉]) 87

족형(族兄) 박윤상(朴胤相)의 농포정(農圃亭) 작품에 차운하다(次族兄農圃亭) 88

벗 정우현(鄭宇鉉)을 만나다(逢鄭友[宇鉉]) 89

광한루(廣寒樓)의 작품에 차운하다(次廣寒樓) 89

영화(瑛和)의 백운당(白雲堂)의 작품에 차운하다(次白雲堂[瑛和]) 90

안치덕(安致德)의 송죽당 (松竹堂) 작품에 차운하다(次松竹堂[安致德]) 91

풍결재(豊潔齋)의 작품에 차운하다(次豊潔齋) 91

고덕찬(高德贊)의 송계당(松溪堂) 작품에 차운하다(次松溪堂[高德贊]) 92

임성원(林聖源)의 벽오정(碧梧亭) 작품에 차운하다(次碧梧亭[林聖源]) 92

연파(淵坡) 서무열(徐武烈) 회갑(回甲) 작품에 차운하다(次淵坡回甲[徐武烈]) 93

최송계(崔松溪)의 회갑(回甲) 작품에 차운하다(次崔松溪回甲) 93

반곡재(盤谷齋)에서 제군(諸君)들과 헤어지며(盤谷齋別諸君) 95

옮고 그름(是非) 95

한적한 곳에서 살아가다(幽居) 96

동짓날(冬至) 97

섣달 그믐날 밤에(除夜) 99

괴이한 돌(怪石) 100

백로(白鷺) 100

눈 속에 비친 달빛(雪月) 101

관등절(觀燈節)을 맞아(觀燈) 102

바둑(圍碁) 103

개에 대해 읊조리다(咏狗) 103

고양이에 대해 읊조리다(咏猫) 105

반딧불(螢火) 105

두레박(桔橰) 106

버들가지(柳絲) 107

낙엽(落葉) 108

늙은 나무(古木) 108

관액(官厄)에 청원서(請願書)를 올리며(官厄呈官) 109

한가로운 가운데 느낀 바가 있어(閒中有感) 110

제군(諸君)들과 헤어지며 주다(別贈諸君) 110

서재(書齋)에 거처하면서 우연히 짓다(齋居偶成) 111

손님을 맞이하다(邀客) 112

회포를 풀다(暢敍) 112

보평산(寶平山)으로 돌아가는 구름(寶平歸雲) 113

문장(文章) 114

가을날의 흥취(興趣)(秋興) 114

향로(香爐) 115

아지랑이(遊絲) 116

눈앞의 풍경을 곧바로 읊조리다(卽事) 116

나그네로 밤을 맞다(旅夜) 117

가을에 날아온 기러기(秋鴈) 117

국화(菊花) 118

옛 친구를 만나다(逢故人) 119

봄빛을 훔치다(偸春) 120

흰 눈(白雪) 120

밥 짓는 연기(炊煙) 121

모기에 시달리며(苦蚊) 122

봄날 내린 눈(春雪) 122

가을바람 소리(秋聲) 123

정회(情懷)를 적다(述懷) 124

족숙(族叔) 용재(容齋) 박기학(朴淇學)에 대한 만사(挽族叔容齋[淇學]) 137

시대를 아파하다(傷時) 138

건국(建國)한다는 소식을 듣고(聞建國) 139

병중(病中)에 유언을 남기다(病中遺述) 139

만성재(晩醒齋)의 작품에 차운하다(次晩醒齋) 140

면파유고 제2권 143

서(書) 143

중암(重菴) 김평묵(金平默) 선생에게 올리다(上重菴金先生 平默) 143

중암(重菴) 김평묵(金平默) 선생에게 올리다(上重菴金先生) 144

유안재(遺安齋) 김춘선(金春善) 어른에게 올리는 소(疏)(疏上遺安齋金丈 春善) 145

운재(雲齋) 최영조(崔永祚) 어른에게 답하다(答雲齋崔丈 永祚) 146

필암서원(筆巖書院)의 유림(儒林)에게 답하다(答筆巖書院儒林) 147

순천(順天)의 집안사람에게 보내다(與順天宗人) 148

참봉(參奉) 이경구(李慶九)에게 보내다(與李參奉[慶九]) 150

서(序) 151

유산정시집서(遊山亭詩集序) 151

함평향교지서(咸平鄕校誌序) 154

농포정(農圃亭) 소서(小序)(農圃亭小序) 156

면파정사(綿坡精舍) 소서(小序)(綿坡精舍小序) 158

기(記) 160

원모재(遠慕齋) 중수기(重修記)(遠慕齋重修記) 160

죽헌(竹軒) 중건기(重建記)(竹軒重建記) 162

은암기(隱巖記) 166

옥동(玉洞)의 세장비(世葬碑) 개수사실기(改竪事實記)(玉洞世葬碑改竪事實記) 169

우회당공(尤悔堂公) 묘비음기(墓碑陰記)(尤悔堂公墓碑陰記) 171

최씨열행장(崔氏烈行狀) 뒤에 쓰다(書崔氏烈行狀後) 174

상량문(上樑文) 176

병산사(柄山祠) 복건(復建) 상량문(上樑文)(柄山祠復建上樑文) 176

가장(家狀) 182

주부공가장(主簿公家狀) 182

둔재공가장(遯齋公家狀) 186

우회당공가장(尤晦堂公家狀) 190

묵와공가장(默窩公家狀) 196

묘표(墓表) 202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추증된 동교공(童敎公)의 묘표(墓表)(贈童敎公墓表) 202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추증된 통정공(通政公) 묘표(墓表)(贈通政公墓表) 206

송와공(松窩公) 묘표(墓表)(松窩公墓表) 208

동추공(同樞公) 묘표(墓表)(同樞公墓表) 210

잡저(雜著) 213

해상지알록(海上贄謁錄) 213

동유록(東遊錄) 215

서유록(西遊錄) 217

팔경시가(八景詩歌) 223

병봉(丙峰)으로 돌아가는 구름(丙峰歸雲) 223

감산(坎山)의 밤안개(坎山宿霧) 223

보강(寶崗)의 개인 달빛(寶崗霽月) 224

동산(銅山)의 저녁 비(銅山暮雨) 224

경야(景野)의 모내기 노래(景野秧歌) 225

개산(介山)의 피리소리(介山牧笛) 225

증봉(甑峰)의 석양 빛(甑峰返照) 226

연산(淵山)의 폭포(瀑布)(淵山瀑布) 226

초당잡가(草堂雜歌) 227

잡가론(雜家論) 229

건국(建國)했다는 소식을 듣고 간략하게 쓰다(聞建國略敍) 230

면파유고 제3권 235

부록(附錄) 235

정사창수시(精舍唱酬詩) 235

면파정사기(綿坡精舍記) 263

면파정사기(綿坡精舍記) 267

면파정사기(綿坡精舍記) 269

차운소서(次韻小序) / 족질(族姪) 병훈(炳勛) 272

차운소서(次韻小序) / 족증손(族曾孫) 석원(錫元) 274

제문(祭文) 275

면파처사(綿坡處士) 박공(朴公)을 위한 제문(祭文)(祭綿坡處士朴公文) / 장흥(長興) 고재현(高在鉉) 275

면파처사(綿坡處士) 박공(朴公)을 위한 제문(祭文)(祭綿坡處士朴公文) / 풍양(豊壤) 조정상(趙廷相) 277

면파처사(綿坡處士) 박공(朴公)을 위한 제문(祭文)(祭綿坡處士朴公文) / 포산(苞山) 곽기영(郭基永) 280

면파처사(綿坡處士) 박공(朴公)을 위한 제문(祭文)(祭綿坡處士朴公文) / 족종(族從) 기우(淇禹) 283

처사면파(處事綿坡) 선생을 위한 제문(祭文)(祭處士綿坡先生文) / 족질(族姪) 병훈(炳勛) 285

처사면파(處事綿坡) 선생을 위한 제문(祭文)(祭處士綿坡先生文) / 족증손(族曾孫) 석원(錫元)[제족동(諸族同)] 288

처사면파(處士綿坡) 장인어른 박선생(朴先生)을 위한 제문(祭文)(祭處士綿坡聘翁朴先生文) / 파평(坡平) 윤종식(尹宗植) 291

만사(挽詞) 294

- 족제(族弟) 병상(秉相)(族弟秉相) 294

- 족종(族從) 기용(淇容)(族從淇容) 294

- 달성(達城) 배병구(裵炳裘)(達城裵炳裘) 295

- 장택(長澤) 고원백(高元白)(長澤高元白) 295

- 여산(礪山) 송기형(宋基衡)(礪山宋基衡) 296

- 족종(族從) 기우(淇禹)(族從淇禹) 296

- 전주(全州) 최승현(崔丞鉉)(全州崔丞鉉) 297

- 광산(光山) 김종현(金宗鉉)(光山金宗鉉) 298

- 족종(族從) 기청(淇靑)(族從淇靑) 298

- 나주(羅州) 김권구(金權九)(羅州金權九) 298

- 족질(族姪) 병훈(炳勛)(族姪炳勛) 299

- 포산(苞山) 곽기영(郭基永)(苞山郭基永) 299

- 파평(坡平) 윤희식(尹希植)(坡平尹希植) 300

- 반남(潘南) 박승철(朴勝轍)(潘南朴勝轍) 300

- 족질(族姪) 현린(顯麟)(族姪顯麟) 301

- 족제(族弟) 일상(馹相)(族弟馹相) 301

- 족제(族弟) 종상(琮相)(族弟琮相) 302

- 족제(族弟) 계화(桂和)(族弟桂和) 302

- 족제(族弟) 노상(魯相)(族弟魯相) 303

- 온양(溫陽) 정용희(鄭龍熙)(溫陽鄭龍熙) 304

- 족질(族姪) 현풍(炫豊)(族姪炫豊) 305

- 족종(族從) 석두(錫斗)(族從錫斗) 305

- 족질(族姪) 병국(炳國)(族姪炳國) 305

- 이천(利川) 서인남(徐仁楠)(利川徐仁楠) 306

- 족질(族姪) 병용(炳庸)(族姪炳庸) 307

- 족손(族孫) 석규(錫奎)(族孫錫奎) 307

- 족질(族姪) 병기(炳紀)(族姪炳紀) 308

- 족질(族姪) 현홍(炫洪)(族姪炫洪) 308

- 족질(族姪) 현탁(炫鐸)(族姪炫鐸) 309

- 족손(族孫) 석봉(錫奉)(族孫錫奉) 309

- 족종(族從) 기평(淇枰)(族從淇枰) 310

- 종질(從姪) 병현(炳玄)(從姪炳玄) 310

- 종손(從孫) 성규(星奎)(從孫星奎) 310

- 금성(錦城) 나홍운(羅洪運)(錦城羅洪運) 311

- 문화(文化) 유재오(柳在午)(文化柳在午) 312

- 수성(隋城) 최병홍(崔炳洪)(隋城崔炳洪) 313

- 이천(利川) 서운종(徐雲鍾)(利川徐雲鍾) 313

- 족손(族孫) 학규(學奎)(族孫學奎) 313

- 질(姪) 병남(炳南)(姪炳南) 314

- 질(姪) 병문(炳紋)(姪炳紋) 314

면파유고 제4권 319

면파(綿坡) 박종상(朴宗相) 공 행장(行狀)(綿坡朴公行狀) 319

면파박공(綿坡朴公) 묘갈명(墓碣銘)[병서(幷序)](綿坡朴公墓碣銘[幷序]) 326

면파유고 제5권 333

족숙(族叔) 면파선생(綿坡先生) 유고(遺稿)를 정서(正書)한 후 발문(跋文)을 붙이다(族叔綿坡先生遺稿正書後跋) 333

반강기(盤崗記) 338

반강(盤崗) 원운(原韻)에 차운하다(次盤崗原韻) 341

원문(原文) 343

판권기 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