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문 3
제1장 서론 15
제1절 추진배경 16
1. 연구배경 16
2. 추진근거 17
제2절 추진내용 19
1. 주요 특징 19
2. 추진절차 및 체계 19
3. 추진내용 21
제2장 미래사회 전망 분석 24
제1절 미래사회 전망 25
제2절 미래이슈 특징 50
1. 신규 및 지속 이슈 50
2. 이슈별 연계성 51
제3장 미래사회 수요와 과학기술 대응방안 55
제1절 개요 56
제2절 미래사회 수요와 과학기술 대응방안 도출 결과 57
1. 디지털 경제 57
2. 비대면 사회 63
3. 가치다양화 사회 71
4. 인구구조의 변화 77
5. 도시의 변화 84
6. 환경ㆍ자원의 변화 88
7. 미지의 영역 개척 104
8. 글로컬 시대 111
9. 동북아 정세 변화 115
10. 국가의 역할 변화 120
11. 신흥안보 123
12. 극단적 쇼크 135
제4장 이슈 심층분석 148
제1절 이슈 선정 및 추진방향 149
제2절 주요 내용 156
1. 꿀벌의 멸종위기 156
2. 슈퍼태풍의 상륙 162
3. AI기반 시스템 위협 172
제5장 데이터 기반의 기술트렌드 분석 180
제1절 영향력 있는 연구자의 논문 분석 181
1. 개요 181
2. 연구방법 182
3. 2019년도 연구 토픽과 지난 10년 간 증가/감소하는 토픽 분석 184
4. 국가별 논문 점유율 264
제2절 분야별 논문 분석 271
1. 개요 271
2. 분석 결과 273
참고문헌 284
[부록 1]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세부 이슈별 지표 301
[부록 2] 미래예측 관련 조사문헌 311
[부록 3] SF문헌 분석 결과 315
[부록 4] HCR(2018-2019)에 등재된 연구자의 지난 10년간 논문 현황 320
[부록 5] 분야별 논문분석 결과 327
[부록 6]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참여 전문가 375
[부록 7] 제4회, 제5회 과학기술예측조사 트렌드 내용 381
판권기 2
〈표 1-1〉 과학기술예측조사 추진 경과 18
〈표 1-2〉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이슈 도출과정 22
〈표 1-3〉 이슈별 평가항목 및 내용 22
〈표 2-1〉 12개 미래이슈와 62개 세부 이슈 25
〈표 2-2〉 〈디지털 세상〉 분과 세부 이슈 및 주요 내용 27
〈표 2-3〉 〈디지털 세상〉 분과 불확실성(낮은 순), 파급효과(높은 순), 과학기술 대응가능성(높은 순) 결과 29
〈표 2-4〉 〈사회구조의 변화〉 분과 세부 이슈 및 주요 내용 31
〈표 2-5〉 〈사회구조의 변화〉 분과 불확실성(낮은 순), 파급효과(높은 순), 과학기술 대응가능성(높은 순) 결과 33
〈표 2-6〉 〈지구 환경변화와 자원개척〉 분과 세부 이슈 및 주요 내용 36
〈표 2-7〉 〈지구 환경변화와 자원개척〉 분과 불확실성(낮은 순), 파급효과(높은 순), 과학기술 대응가능성(높은 순) 결과 38
〈표 2-8〉 〈세계질서의 변화〉 분과 세부 이슈 및 주요 내용 40
〈표 2-9〉 〈세계질서의 변화〉 분과 불확실성(낮은 순), 파급효과(높은 순), 과학기술 대응가능성(높은 순) 결과 42
〈표 2-10〉 〈위험의 일상화〉 분과 세부 이슈 및 주요 내용 45
〈표 2-11〉 〈위험의 일상화〉 분과 불확실성(낮은 순), 파급효과(높은 순), 과학기술 대응가능성(높은 순) 결과 47
〈표 3-1〉 미래사회 수요와 과학기술 대응방안 도출 프로세스 56
〈표 3-2〉 '온라인 경제의 주류화'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57
〈표 3-3〉 '온라인 경제의 주류화'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57
〈표 3-4〉 '플랫폼 자본주의 확산'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58
〈표 3-5〉 '플랫폼 자본주의 확산'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59
〈표 3-6〉 '디지털 재화 시장의 성장'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59
〈표 3-7〉 '디지털 재화 시장의 성장'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60
〈표 3-8〉 'Cashless 사회 도래'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60
〈표 3-9〉 'Cashless 사회 도래'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61
〈표 3-10〉 '디지털 사회의 일자리 변화'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61
〈표 3-11〉 '디지털 사회의 일자리 변화'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62
〈표 3-12〉 '디지털 제조기술 확산'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62
〈표 3-13〉 '디지털 제조기술 확산'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62
〈표 3-14〉 '연결된 사회 도래'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63
〈표 3-15〉 '연결된 사회 도래'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63
〈표 3-16〉 '학습의 개인화'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64
〈표 3-17〉 '학습의 개인화'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64
〈표 3-18〉 '가상과 현실공간의 통합'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65
〈표 3-19〉 '가상과 현실공간의 통합'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65
〈표 3-20〉 '정보의 가치 변화'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66
〈표 3-21〉 '정보의 가치 변화'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66
〈표 3-22〉 '사회적 소통방식의 변화'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67
〈표 3-23〉 '사회적 소통방식의 변화'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68
〈표 3-24〉 '맞춤형 서비스의 보편화'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69
〈표 3-25〉 '맞춤형 서비스의 보편화'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69
〈표 3-26〉 '가치의 다변화'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71
〈표 3-27〉 '가치의 다변화'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72
〈표 3-28〉 '가치 갈등 발생'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74
〈표 3-29〉 '가치 갈등 발생'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75
〈표 3-30〉 '공공적 가치 강조'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76
〈표 3-31〉 '공공 가치 강조'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77
〈표 3-32〉 '고령화'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77
〈표 3-33〉 '고령화'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78
〈표 3-34〉 '저출산'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79
〈표 3-35〉 '저출산'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79
〈표 3-36〉 '1인 가구의 증가'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80
〈표 3-37〉 '1인 가구의 증가'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80
〈표 3-38〉 '다문화사회의 진전'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81
〈표 3-39〉 '다문화사회의 진전'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81
〈표 3-40〉 '바이오 혁신에 따른 삶의 변화'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82
〈표 3-41〉 '바이오 혁신에 따른 삶의 변화'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83
〈표 3-42〉 '초연결 스마트시티의 가속'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84
〈표 3-43〉 '초연결 스마트시티의 가속'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84
〈표 3-44〉 '메가시티, 메가리전(Megaregion)'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86
〈표 3-45〉 '메가시티, 메가리전(Megaregion)'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86
〈표 3-46〉 '지방 중소도시의 몰락'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87
〈표 3-47〉 '지방 중소도시의 몰락'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87
〈표 3-48〉 '온난화 심화에 따른 이상기후 현상'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88
〈표 3-49〉 '온난화 심화에 따른 이상기후 현상'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89
〈표 3-50〉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90
〈표 3-51〉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91
〈표 3-52〉 '일상생활 속 화학물질 노출 증가'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93
〈표 3-53〉 '일상생활 속 화학물질 노출 증가'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93
〈표 3-54〉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전환 가속화'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95
〈표 3-55〉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전환 가속화'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95
〈표 3-56〉 '탈탄소 사회의 미래에너지'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96
〈표 3-57〉 '탈탄소 사회의 미래에너지'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97
〈표 3-58〉 '수자원 확보와 공급 위기'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98
〈표 3-59〉 '수자원 확보와 공급 위기'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98
〈표 3-60〉 '자원의 선순화'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99
〈표 3-61〉 '자원의 선순환'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99
〈표 3-62〉 '미세플라스틱의 위협'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02
〈표 3-63〉 '미세플라스틱의 위협'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02
〈표 3-64〉 '극지 자원 및 항로 개발'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04
〈표 3-65〉 '극지 자원 및 항로 개발'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04
〈표 3-66〉 '심해 자원 발굴'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05
〈표 3-67〉 '심해 자원 발굴'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06
〈표 3-68〉 '우주생활 시대'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07
〈표 3-69〉 '우주생활 시대'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08
〈표 3-70〉 '달ㆍ화성ㆍ소행성의 자원 발굴'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10
〈표 3-71〉 '달ㆍ화성ㆍ소행성의 자원 발굴'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10
〈표 3-72〉 '글로벌 밸류체인ㆍ비즈니스의 변화'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11
〈표 3-73〉 '글로벌 밸류체인ㆍ비즈니스의 변화'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12
〈표 3-74〉 '자국중심주의 강화'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12
〈표 3-75〉 '자국중심주의 강화'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13
〈표 3-76〉 '국가별 비관세 장벽 강화와 국내 산업구조 재구성'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14
〈표 3-77〉 '국가별 비관세 장벽 강화와 국내 산업구조의 재구성'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14
〈표 3-78〉 '중국의 급부상과 미중 관계'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15
〈표 3-79〉 '중국의 급부상과 미중 관계'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16
〈표 3-80〉 '한일 관계'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17
〈표 3-81〉 '한일 관계'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17
〈표 3-82〉 '남북 관계'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18
〈표 3-83〉 '남북 관계'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19
〈표 3-84〉 '정부 역할의 강화'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20
〈표 3-85〉 '정부 역할의 강화'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21
〈표 3-86〉 '민주주의의 인식 변화'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21
〈표 3-87〉 '민주주의의 인식 변화'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22
〈표 3-88〉 '정부의 개념 변화'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22
〈표 3-89〉 '정부의 개념 변화'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23
〈표 3-90〉 '국방 기술의 부상'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23
〈표 3-91〉 '국방 기술의 부상'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24
〈표 3-92〉 '사이버 안보'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25
〈표 3-93〉 '사이버 안보'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25
〈표 3-94〉 'AI기반 시스템 위협'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26
〈표 3-95〉 'AI기반 시스템 위협'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27
〈표 3-96〉 '데이터 안보'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27
〈표 3-97〉 '데이터 안보'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28
〈표 3-98〉 '경제 안보'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29
〈표 3-99〉 '경제 안보'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30
〈표 3-100〉 '보건 안보'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31
〈표 3-101〉 '보건 안보'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31
〈표 3-102〉 '사회ㆍ인간 안보'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32
〈표 3-103〉 '사회ㆍ인간 안보'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32
〈표 3-104〉 '환경문제로 인한 국가 간 갈등'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34
〈표 3-105〉 '환경문제로 인한 국가 간 갈등'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34
〈표 3-106〉 '꿀벌의 멸종 위기'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35
〈표 3-107〉 '꿀벌의 멸종 위기'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35
〈표 3-108〉 '가금류의 멸종 위기'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36
〈표 3-109〉 '가금류의 멸종 위기'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36
〈표 3-110〉 '슈퍼태풍의 상륙'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36
〈표 3-111〉 '슈퍼태풍의 상륙'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37
〈표 3-112〉 '대도시 직하 지진'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38
〈표 3-113〉 '대도시 직하 지진'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38
〈표 3-114〉 '불특정 다수 대상 테러'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39
〈표 3-115〉 '불특정 다수 대상 테러'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40
〈표 3-116〉 '지자기 폭풍의 발생'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41
〈표 3-117〉 '지자기 폭풍의 발생'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41
〈표 3-118〉 '전력망의 붕괴'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41
〈표 3-119〉 '전력망의 붕괴'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42
〈표 3-120〉 '인접국 원전 사고'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42
〈표 3-121〉 '인접국 원전 사고'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43
〈표 3-122〉 '동북아 정세 급변'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45
〈표 3-123〉 '동북아 정세 급변'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46
〈표 3-124〉 '한국판 노키아 쇼크' 전망과 파급효과 및 기회/위협요인 146
〈표 3-125〉 '한국판 노키아 쇼크' 관련 수요 및 과학기술 대응방안 146
〈표 4-1〉 심층분석 추진절차 149
〈표 4-2〉 14개 미래이슈 후보 150
〈표 4-3〉 심층분석 후보 이슈(안) 151
〈표 4-4〉 심층분석 선정이슈 153
〈표 4-5〉 꿀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6
〈표 4-6〉 '꿀벌의 멸종 위기'에 대한 정책 방안 160
〈표 4-7〉 '슈퍼태풍의 상륙'에 대한 정책 방안 169
〈표 4-8〉 AI에 의한 위협 172
〈표 4-9〉 'AI기반 시스템 위협'에 대한 정책 방안 도출 177
〈표 5-1〉 2018~2019년 선정 연구자 수 181
〈표 5-2〉 분석대상 논문 및 자료 수 271
[그림 1-1]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추진절차 20
[그림 1-2]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추진체계 21
[그림 2-1] 디지털 세상 27
[그림 2-2] 〈디지털 세상〉 분과 이슈별 불확실성, 파급효과 및 과학기술 대응가능성 28
[그림 2-3] '디지털 경제' 세부 이슈별 시기에 따른 파급효과 30
[그림 2-4] '비대면 사회' 세부 이슈별 시기에 따른 파급효과 30
[그림 2-5] 사회구조의 변화 31
[그림 2-6] 〈사회구조의 변화〉 분과 이슈별 불확실성, 파급효과 및 과학기술 대응가능성 32
[그림 2-7] '가치다양화 사회' 세부 이슈별 시기에 따른 파급효과 34
[그림 2-8] '인구구조의 변화' 세부 이슈별 시기에 따른 파급효과 34
[그림 2-9] '도시의 변화' 세부 이슈별 시기에 따른 파급효과 35
[그림 2-10] 지구 환경변화와 자원개척 36
[그림 2-11] 〈지구 환경변화와 자원의 개척〉 분과 이슈별 불확실성, 파급효과 및 과학기술 대응가능성 37
[그림 2-12] '환경ㆍ자원의 변화' 세부 이슈별 시기에 따른 파급효과 39
[그림 2-13] '미지의 영역 개척' 세부 이슈별 시기에 따른 파급효과 39
[그림 2-14] 세계질서의 변화 40
[그림 2-15] 〈세계질서의 변화〉 분과 이슈별 불확실성, 파급효과 및 과학기술 대응가능성 41
[그림 2-16] '글로컬 시대' 세부 이슈별 시기에 따른 파급효과 43
[그림 2-17] '동북아 정세 변화' 세부 이슈별 시기에 따른 파급효과 43
[그림 2-18] '국가의 역할 변화' 세부 이슈별 시기에 따른 파급효과 44
[그림 2-19] 위험의 일상화 45
[그림 2-20] 〈위험의 일상화〉 분과 이슈별 불확실성, 파급효과 및 과학기술 대응가능성 46
[그림 2-21] '신흥안보' 세부 이슈별 시기에 따른 파급효과 48
[그림 2-22] '극단적 쇼크' 세부 이슈별 시기에 따른 파급효과 49
[그림 2-23] 분과별 신규 이슈 및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이슈 50
[그림 2-24] 미래이슈가 지향하는 가치 50
[그림 2-25] 이슈별 연계맵 51
[그림 2-26]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전체 대상 52
[그림 2-27] 〈디지털 세상〉 분과 워드클라우드 결과 52
[그림 2-28] 〈사회구조의 변화〉분과 워드 클라우드 결과 53
[그림 2-29] 〈지구 환경변화와 자원개척〉 분과 워드클라우드 결과 53
[그림 2-30] 〈세계질서의 변화〉 분과 워드클라우드 결과 54
[그림 2-31] 〈위험의 일상화〉분과 워드 클라우드 결과 54
[그림 4-1] 전문가 설문응답 결과 분석(유효응답 481명) 150
[그림 4-2] 일반시민 설문응답 결과 분석(유효응답 540명) 151
[그림 4-3] Resistance, Incremental adjustment and transformation 개념도 154
[그림 4-4] 레질리언스 단계(NAS) 155
[그림 4-5] '꿀벌의 멸종 위기'의 촉발경로 및 발생하는 파급효과 159
[그림 4-6] 극한값의 변화로 전체 온도 분포가 변화 (a)전체적으로 온도 상향 이동, (b)평균 기온은 같지만 극한기온 변동성 증가, (c)온도 분포의 비대칭성 162
[그림 4-7] 정전으로 인한 피해양상 분석(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8) 166
[그림 4-8] 홍수로 인한 재난파급 인과 지도(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8) 167
[그림 4-9] '슈퍼태풍의 상륙'으로 인한 촉발경로 및 발생하는 파급효과 168
[그림 4-10] 'AI기반 시스템 위협(교통 부분)'의 촉발경로 및 발생하는 파급효과 176
[그림 5-1] 딥러닝을 활용한 모델 프레임워크 183
[그림 5-2] 'Agricultural sciences' 분야 1~5번 Topic의 증가 추세 186
[그림 5-3] 'Agricultural sciences' 분야 1~5번 Topic의 감소 추세 187
[그림 5-4] 'Biology and Biochemistry' 분야 1~5번 Topic의 증가 추세 189
[그림 5-5] 'Biology and Biochemistry' 분야 1~5번 Topic의 감소 추세 190
[그림 5-6] 'Chemistry' 분야 1~5번 Topic의 증가 추세 193
[그림 5-7] 'Chemistry' 분야 1~5번 Topic의 감소 추세 194
[그림 5-8] 'Clinical medicine' 분야 1~5번 Topic의 증가 추세 197
[그림 5-9] 'Clinical medicine' 분야 1~5번 Topic의 감소 추세 198
[그림 5-10] 'Computer science' 분야 1~5번 Topic의 증가 추세 201
[그림 5-11] 'Computer science' 분야 1~5번 Topic의 감소 202
[그림 5-12] 'Engineering' 분야 1~5번 Topic의 증가 추세 207
[그림 5-13] 'Engineering' 분야 1~5번 Topic의 감소 추세 209
[그림 5-14] 'Environment & Ecology' 분야 1~5번 Topic의 증가 추세 212
[그림 5-15] 'Environment & Ecology' 분야 1~5번 Topic의 감소 추세 213
[그림 5-16] 'Geosciences' 분야 1~5번 Topic의 증가 추세 216
[그림 5-17] 'Geosciences' 분야 1~5번 Topic의 감소 추세 217
[그림 5-18] 'Immunology' 분야 1~5번 Topic의 증가 추세 220
[그림 5-19] 'Immunology' 분야 1~5번 Topic의 감소 추세 221
[그림 5-20] 'Materials science' 분야 1~5번 Topic의 증가 추세 224
[그림 5-21] 'Materials science' 분야 1~5번 Topic의 감소 추세 225
[그림 5-22] 'Microbiology' 분야 1~5번 Topic의 증가 추세 228
[그림 5-23] 'Microbiology' 분야 1~5번 Topic의 감소 추세 229
[그림 5-24] 'Molecular biology & Genetics' 분야 1~5번 Topic의 증가 추세 232
[그림 5-25] 'Molecular biology & Genetics' 분야 1~5번 Topic의 감소 추세 233
[그림 5-26] 'Neuroscience & Behavior' 분야 1~5번 Topic의 증가 추세 236
[그림 5-27] 'Neuroscience & Behavior' 분야 1~5번 Topic의 감소 추세 237
[그림 5-28] 'Pharmacology & Toxicology' 분야 topic 1~5번 Topic의 증가 추세 240
[그림 5-29] 'Pharmacology & Toxicology' 분야 topic 1~5번 Topic의 감소 추세 241
[그림 5-30] 'Physics' 분야 1~5번 Topic의 증가 추세 244
[그림 5-31] 'Physics' 분야 1~5번 Topic의 감소 추세 245
[그림 5-32] 'Plant & Animal Science' 분야 1~5번 Topic의 증가 추세 248
[그림 5-33] 'Plant & Animal Science' 분야 1~5번 Topic의 감소 추세 249
[그림 5-34] 'Psychiatry & Psychology' 분야 1~5번 Topic의 증가 추세 252
[그림 5-35] 'Psychiatry & Psychology' 분야 1~5번 Topic의 감소 추세 253
[그림 5-36] 'Social Sciences' 분야 1~5번 Topic의 증가 추세 256
[그림 5-37] 'Social Sciences' 분야 1~5번 Topic의 감소 추세 257
[그림 5-38] 'Space science' 분야 1~5번 Topic의 증가 추세 260
[그림 5-39] 'Space science' 분야 1~5번 Topic의 감소 추세 261
[그림 5-40] 21개 기술 분야 및 크로스필드 연구현황(2010~2019) 264
[그림 5-41] 분야별 논문 건수(미국) 265
[그림 5-42] 분야별 논문 점유율(미국) 265
[그림 5-43] 분야별 논문 건수(독일) 266
[그림 5-44] 분야별 논문 점유율(독일) 266
[그림 5-45] 분야별 논문 건수(영국) 267
[그림 5-46] 분야별 논문 점유율(영국) 267
[그림 5-47] 분야별 논문 건수(중국) 268
[그림 5-48] 분야별 논문 점유율(중국) 268
[그림 5-49] 분야별 논문 점유율(일본) 269
[그림 5-50] 분야별 논문 점유율(일본) 269
[그림 5-51] 분야별 논문 건수(한국) 270
[그림 5-52] 분야별 논문 점유율(한국) 270
[부록 1]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세부 이슈별 지표 301
〈표 1〉 이슈별 지표 후보(안) 301
[부록 2] 미래예측 관련 조사문헌 311
〈표 1〉 트렌드 분석 관련 조사문헌 목록 311
〈표 2〉 미래사회구상 2050(미츠비시종합연구소, 2019.10) 312
〈표 3〉 Global Risk 2017-2020(WEF) 313
〈표 4〉 The world in 2030(HSBC Global research) 313
[부록 3] SF문헌 분석 결과 315
〈표 1〉 SF조사대상 문헌 목록 317
[부록 4] HCR(2018-2019)에 등재된 연구자의 지난 10년간 논문 현황 320
〈표 1〉 영향력 있는 연구자의 연도별 분야별 논문 수 현황(전체) 320
〈표 2〉 영향력 있는 연구자의 연도별 분야별 논문 수 현황(미국) 321
〈표 3〉 영향력 있는 연구자의 연도별 분야별 논문 수 현황(영국) 322
〈표 4〉 영향력 있는 연구자의 연도별 분야별 논문 수 현황(독일) 323
〈표 5〉 영향력 있는 연구자의 연도별 분야별 논문 수 현황(중국) 324
〈표 6〉 영향력 있는 연구자의 연도별 분야별 논문 수 현황(일본) 325
〈표 7〉 영향력 있는 연구자의 연도별 분야별 논문 수 현황(한국) 326
[부록 7] 제4회, 제5회 과학기술예측조사 트렌드 내용 381
〈표 1〉 제5회 과학기술예측조사 381
〈표 2〉 제4회 과학기술예측조사 385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751742 | 607.51 -21-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