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정책 커뮤니케이션 전략 / 지은이: 홍문기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21
청구기호
352.748 -21-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형태사항
x, 314 p. : 삽화, 도표 ; 19 cm
총서사항
리얼 미디어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28815058
제어번호
MONO12021000016784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91-314
2016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목차보기더보기


정책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극대화를 위하여  

1부 정책 메시지의 이해
01서론  

02정책 메시지로서의 광고와 PR  
정책 메시지: 정부광고와 공익광고, 그리고 정책 PR  
정부광고  
-정부광고의 개념  
-정부광고의 유형  
-정부광고의 특징  
-정부광고의 효율성  
공익광고  
-공익광고의 개념  
-국내 공익광고의 특징  
정책 PR  
-정책 PR의 개념  
-정책 PR의 특징  
-정책 PR의 효율성  

03정책 메시지의 광고PR 커뮤니케이션 원칙과 이슈  
정책 메시지의 커뮤니케이션 원칙  
정부광고 커뮤니케이션 이슈  
-정부광고법의 등장  
-정부광고법의 문제점  
-정부광고 효율성 논란  
공익광고 커뮤니케이션 이슈  
-방송법과 비상업적 공익광고  
-정책 메시지로서의 비상업적 공익광고  
-공익광고의 공익성 논란  
정책 PR 커뮤니케이션 이슈  
-정책 PR와 선전의 갈등  
-효율적 정책 PR 커뮤니케이션과 선전의 유혹  

04정책 메시지와 설득의 수사학  
수사학과 정책 메시지의 관계  
설득적 정책 메시지와 수사학 효과  
정책 메시지를 위한 수사학적 구성  
-정책 메시지와 수사학  
-효율적 정책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수사적 기법  

2부 국내외 정책 메시지 커뮤니케이션 과정
05국내 정책 메시지의 커뮤니케이션 과정  
정책 커뮤니케이션 활동  
정부광고 커뮤니케이션 과정  
-정부광고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역할  
-정부광고법 도입에 따른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변화 방향  
공익광고 커뮤니케이션 과정  
-공익광고와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의 역할  
-공익광고 vs 방송사 협찬 캠페인  
정책 PR 커뮤니케이션 과정  

06해외의 정책 메시지 커뮤니케이션   133
영국  
-영국의 정책 메시지 커뮤니케이션  
-COI 폐지 후 달라진 영국의 정책 커뮤니케이션  
독일: 과거 국정홍보처와 독일의 BPA  
미국, 프랑스, 일본: 분권형 정책 커뮤니케이션  
미국의 공익광고
일본의 공익광고
대만의 공익광고  

07정책 메시지의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08해외의 정책 메시지 커뮤니케이션 사례  
공중의 이해를 위한 정책 메시지  
공중의 지지를 위한 정책 메시지  
공중의 참여를 위한 정책 메시지  

3부 미디어를 활용한 정책 메시지의 효율적 광고PR 전략
09정책 메시지의 효율적 광고와 PR를 위한 미디어 이론  
적소 이론  
미디어 적소이론  

10전통적 미디어를 활용한 정책 메시지의 광고PR  

11효율적 정책 메시지 광고PR를 위한 디지털 미디어 전략  
디지털 미디어 광고PR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이해  
-미디어 플랫폼의 개념과 커뮤니케이션 전략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타깃팅 전략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한 N스크린 전략  
-MCN(Multi Channel Network)와 1인 미디어 전략  
정책 메시지 광고PR를 위한 효율적 디지털 미디어 활용
-정책 메시지 광고PR 관련 이슈  
-정책 메시지 광고PR를 위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정책 메시지의 효율적 광고PR를 위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12효율적 정책 메시지 광고PR를 위한 미디어 믹스 전략  
정책 메시지의 효율적 광고PR를 위한 크로스 미디어 전략
-크로스 미디어 전략의 이해
-크로스 미디어 전략의 실행  
크로스 미디어 전략을 활용한 정책 커뮤니케이션
-효율적 정책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크로스 미디어 전략  
-디지털 기반 크로스 미디어 전략과 효율적 정책 커뮤니케이션  

13정책 메시지 서비스 환경 개선에 따른 효율적 광고PR 전략

14결론 및 제언
정책 메시지의 효율적 광고PR 방안  
정책 메시지의 효율적 광고PR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이용현황보기

조회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55717 352.748 -2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중
0002755718 352.748 -2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81232 352.748 -2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2781233 352.748 -2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B000002821 352.748 -21-2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B000037904 352.748 -21-2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눈과 귀가 번쩍 뜨이는 정책 메시지
    국내외 사례 분석, 실무 공무원과 미디어 담당자들에게 효율적 광고PR 전략 제시


    우리나라의 정책 커뮤니케이션은 1990년대 이전까지 정부 정책을 국민에게 단순히 알리는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2000년대에 접어들어서야 일방적 전달에서 설득 및 소통으로 정교화 됐으며 국민이 원하는 것을 정부 정책에 반영해 실행하는 단계로 옮아갔다.
    정부의 정책 메시지는 “정부광고, 공익광고”처럼 광고로 불리기도 하고 “정책 PR”처럼 홍보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는 정부의 정책 메시지를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혼란스럽고 복잡하기 때문이다. 정부의 광고PR 커뮤니케이션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는 기존의 TV·신문·라디오와 같은 전통적 매스미디어와 스마트폰·SNS·인터넷 등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정부 정책 관련 메시지가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 살펴보면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정부 정책 메시지 내용과 구성요소, 메시지의 유형 등이 정책과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정부 정책 메시지들이 어떤 미디어에 실려 어떻게 표현되는지 분석이 가능하다. 정부 정책 메시지의 실체 파악을 통해 메시지 효과와 한계, 문제점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눈과 귀가 번쩍 뜨이는 정책 메시지는 미사여구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정책의 내용이 국민들의 마음에 얼마나 다가갈 수 있는지가 문제다.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로 국민의 이해와 동의를 확보하는 일이 쉬워진 듯해 보이지만 사실은 더 신중해지고 중요해졌다. 이제 정부 광고와 정책 홍보(Public Relations)에 실패하면 삽시간에 범국민적 갈등이 벌어진다. 오늘날 국민들은 설득적 행위에 대해 부정적이다. 무수히 많은 매체와 무수히 많은 설득적 메시지가 난무하는 세상에 살고 있지만, 누구나 소통 없는 일방적 설득에는 괴로워한다. 그래서 정부가 정책을 펼치면서 국민과 어떻게 소통하는가의 문제는 꼭 해결해야 하는 필수적 문제가 됐다.
    이 책은 크게 3부로 구성됐다. 제1부에서는 정부의 정책 메시지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핀다. 또 정부광고, 공익광고, 정책 PR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정부의 정책적 메시지 전달과정에 대해 논의했다. 제2부에정부가 국민을 상대로 정책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문제와 한계가 있는지 논의하고 타당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특히 영국, 독일, 미국, 프랑스, 일본, 대만 등 주요국의 정책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사례를 분석했다. 제3부에서는 정책적 메시지 전달 과정에서의 효율성 극대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전통 미디어와 디지털 미디어 광고PR 커뮤니케이션 전략, 미디어 믹스 전략 등 미디어를 활용한 정책 광고PR 방안에 대해서 알아보고 법·제도개선, 인력·조직 구축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더보기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정책 메시지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은 공공적 성격의 광고PR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지방과 중앙을 막론하고 각종 사업 시행의 결과가 국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점점 커지고 있어 정책 전반에 대한 국민의 참여와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확대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_“02 정책 메시지로서의 광고와 PR” 중에서
    정부의 정책적 메시지 안에는 정책이 지향하는 의미, 표현 등은 물론이고 스피치 스타일, 디자인, 모형, 색, 텍스트, 심지어 이러한 메시지를 구성하는 기술이나 기교까지도 메시지를 통한 수사학적 가치와 연관돼 있다. 담론을 통한 설득을 기반으로 하는 수사학에서는 스피치, 문어와 구어뿐 아니라 책, 신문, 그림, 영상, 웹 사이트, 음악 등 다양한 맥락에서 상징과 의미의 교환이 이루어진다.
    _“04 정책 메시지와 설득의 수사학” 중에서
    정부의 정책 커뮤니케이션 활동과 관련해 늘 쟁점이 되는 것은 정책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공익을 위한 것인지 정권(정부)의 정책을 선전하기 위한 것인지에 대한 구분이 모호하다는 것이다. 공익과 선전 모두 주관적이고 자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개념들이다. 공익 개념은 서로 정의가 다르고 다양하기 때문에 공익이 일반 국민으로부터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절차적인 민주주의를 준수하는 것이 전제돼야 한다.
    _“05 국내 정책 메시지의 커뮤니케이션 과정” 중에서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