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휴먼코드란? * 휴먼코드의 정의 * 그 사람이 “누구인지”와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의 차이점 * “나는 어떤 사람인가?”와 “나는 어떤 생각을 하는 사람인가?”의 차이점과 중요성 * 휴먼코드를 통한 “나는 어떤 사람인가?”에 대한 개념 정립과 그 중요성 * 우리의 행복과 불행을 결정짓는 “너는 도대체 왜 그러는 거야?”
제2장 음기와 양기에 대한 개념 정립
제3장 물의 기와 땅의 기에 대한 이해와 차이점 * 형태 * 움직임 * 기의 크기
A 물의 기는: 반드시 다른 물과 합쳐진다 #자신을 버리면서까지도 다른 것을 받아들인다 #자신을 오염되게 하는 원인이 된다
B 땅의 기는: 절대로 다른 땅의 기와 합쳐지지 않는다 #다른 것을 쉽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다른 것을 받아들일 때도 필요한 만큼만 받아들인다
제4장 물의 기와 물의음인 * 형태와 체형 #모든 체질들 중에서 가장 동그랗다 #자세히 보면 ‘물고기’처럼 보여지는 물의음인의 외모
* 움직임과 부지런함 #부지런한 물이 갖는 맑음은 아름답다 #부지런함이 유발하는 조급함
* 기의 크기에서 유래하는 물의음인의 본성과 특징 A 물의 기는 ‘양이 많아질수록’ 힘도 커지고 기도 커진다 #다른 물과 합쳐지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떼로 몰려다니는 것을 좋아한다 #양이 많아질수록 힘이 커지기 때문에 살이 잘 찌고, 큰 조직의 일원이 되는 것을 좋아한다
B 물의 기는 자신을 버리면서까지도 다른 것을 받아들인다
제5장 땅의 기와 땅의음인 * 형태와 체형 #모든 체질들 중에서 가장 하체가 튼튼하다 #자세히 보면 ‘나무’처럼 보여지는 땅의음인의 외모
* 움직임과 느림 #느린 것이 주는 편안함은 아름답다 #느림이 유발하는 절대적 끈질김
* 기의 크기에서 유래하는 땅의음인의 본성과 특징 #땅의 기의 크기는 단단할수록 커진다 #땅의 기는 다른 것을 쉽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제6장 바람의 기와 바람양인 * 형태와 체형 #모든 체질들 중에서 가장 팔 힘이 좋다 #자세히 보면 ‘새’처럼 보여지는 바람양인의 외모
* 움직임과 빠름 “빠른 것이 주는 자유로움은 아름답다.”
* 기의 “종류”에서 유래하는 바람양인의 본성과 특징 A 시원한 바람이 많은 바람양인의 본성과 특징 #땅의 기를 많이 가지고 있는 바람양인의 본성과 특징 #물의 기를 많이 가지고 있는 바람양인의 본성과 특징
B 소리 바람이 많은 바람양인의 본성과 특징
제7장 태양의 기 그리고 태양양인은 없다 * 물의음인 * 땅의음인 * 바람양인 * 태양양인은 없다 #인간의 몸은 ‘물의 음기’와 ‘땅의 음기’로 구성되어있다 #‘물의 음기’는 ‘바람 양기’를 좋아하고 ‘땅의 음기’는 ‘태양 양기’를 좋아한다 #‘바람 양기’와 ‘태양 양기’는 서로 만나면 반드시 싸운다 #‘물의 음기’ 입장에서 보면 ‘태양 양기’는 무작정 다 받아들일 수가 없는 ‘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