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발간사 3

일러두기 5

Ⅰ. 머리말 7

Ⅱ. 유물 10

01. 금석류 11

'정혜', '정효'공주묘지를 통해 본 발해국의 여성 교육 / 궈샤오룽 13

발해 정혜, 정효 두 공주의 묘비 / 뤄지쭈 14

장건장묘지 보충 고찰 / 뤄지쭈 15

〈장건장묘지 보충 고찰〉에 관한 한 가지 보충 / 뤄지쭈 16

정혜, 정효공주 묘지명을 통해 본 중일 문화의 충돌과 융합 / 뤼수바오 17

장건장 『발해기』 권목 및 관련 문제 / 류샤오둥 19

홍려정각석 명문의 새로운 해석: 당과 발해, 말갈 관계사상의 두 차례 사신 파견 / 리다룽;주젠 20

북경 출토 (당)장건장묘지 / 리홍빈 23

여순 홍려정제기각석-당과 발해 관계의 신물 / 쑨사오화 25

발해 '정혜공주묘비' 연구 / 옌완장 27

당 홍려정각석 탐구 / 완런푸 29

당 홍려정각석제명 및 발해국 초기 국호 고찰 / 왕위랑 31

여순 당 홍려정각석에 관한 중국과 일본의 연구 현황 개설 / 왕위랑;완쥔정 33

당대 발해 〈정혜공주묘지〉와 〈정효공주묘지〉의 비교 연구 / 왕청리 36

당대 발해국 〈정효공주묘지〉 연구(상) / 왕청리 38

당대 발해국 〈정효공주묘지〉 연구(중) / 왕청리 41

당대 발해국 〈정효공주묘지〉 연구(하) / 왕청리 44

당 홍려정석각과 발해 정권의 명칭, 지위 확정 및 발전 / 웨이춘청 47

정효공주묘지를 통해 본 발해 문왕 말기 정국 / 장샤오저우 49

장건장묘지 명문 고찰 / 장중주 50

〈장건장묘지〉 고찰에 관한 몇 가지 분석 / 장중주 53

당 홍려정석각 연구에 관한 2종 질의 / 장푸유 54

'발해 정혜공주묘지 연구'에 관한 보충 / 진위푸 56

정효공주묘지에서 반영되는 유가 사상 / 쩌우슈위 57

당 최흔 제명 석각 / 천셴창 58

당대 '발해 정혜공주묘비' / 친스추이 60

『발해기』 저자 장건장 〈묘지〉 고찰 / 퉁주천 62

02. 토기류 64

집안에서 출토된 발해 시기 유물 몇 점 / 둥창푸 66

발해 토기의 분류, 분기와 전승 연원 연구 / 류샤오둥;후슈제 68

발해국 시기 토기 양식의 초보적 분석 / 멍옌친 71

제2송화강 중류 지역 말갈, 발해 토기와 고구려 토기의 비교 연구 / 쑨하오 73

당대 발해 시유도기의 유형 및 관련 문제 탐구 / 왕러러 75

두만강 유역 발해 토기의 유형과 분기 / 왕러러 78

중국 수분하 유역 발해 토기의 유형과 분기 / 왕러러 81

발해국 시유도기의 유형 및 관련 문제 분석 / 왕위 83

목단강 유역 발해 유적 출토 토기의 유형학 연구 / 장위샤 84

발해 문화에 대한 새로운 고고학적 탐구-토기를 중심으로 / 정영진 87

말갈 토기의 분기에 대한 초보적 연구 / 차오랑 90

말갈 토기의 지역 구분과 분기 및 상관관계 연구 / 차오랑 93

발해 삼채의 몇 가지 문제 / 탕샤오쉬안 96

발해 유적 출토 시유도기와 자기에 대한 분석 / 펑산궈 98

발해 장례풍속 중의 '훼기'-『영안홍준어장: 1992~1995년도 발해 묘지 발굴보고서』를 읽고 / 펑산궈 101

트로이츠키 말갈 묘지의 토기 연원 / 펑언쉐 102

당대 발해국 삼채도기의 초보적 분석 / 펑하오장 104

발해 토기의 유형학 전승 연원에 대한 초보적 연구 / 후슈제;류사오둥 106

03. 와전류 108

크라스키노 고성 유적 와당의 문양 장식 / Е.V.아스타셴코바;V.I.볼딘 110

발해 와당의 분류와 시기 구분 연구 / 류빈상;궈런 112

발해 문자와 압인 문자의 내용, 성격, 함의에 대한 재고 / 류샤오둥 115

발해 문자와 압인 문자 시기 구분에 대한 몇 가지 생각 / 류샤오둥 118

중원 문화의 발해 건축 전와 문양에 대한 영향-상경용천부 유적 출토품을 사례로 / 리완전 120

발해 문자를 논하다 / 리창 121

발해 '문자와' 모사 오류 정정 / 리창 123

발해 압인와 '불仏'자의 자형 기원 / 마훙 124

발해국 문자와 연구 현황 약술 / 쉬원융 125

발해 상경 와당의 형식학적 고찰 / 쑹위빈;류위청 126

당대 발해의 문자와와 문자 / 예리핑 128

발해 상경성 연화문 와당의 복원 / 자오레이 129

발해 와당 유형학 고찰 및 시기 구분 / 자오웨 130

목단강사범학원 소장 발해 문자와 연구 / 자오전청;쑨웨이란 132

발해국 문자와 '이以', '기其' 해독 및 와문 서체 고찰 / 장쉐;팡창 134

발해 정효공주묘 출토 문자전 정정 / 정영진 136

04. 금속류 137

소련 니콜라옙카 유적 출토 어형 청동신부/ E.V.샤프쿠노프 139

발해국 제철업 발전에 대한 초보 분석 / 가오펑;류훙추 140

화룡 발해 고분 출토 일부 금장식 / 궈원쿠이 142

발해국 화폐의 3종 문제에 관하여 / 댜오리웨이;왕린옌 144

발해 화폐 연구의 2종 과제-'신사료' 진위 판별과 '자체 주조 화폐'고찰 / 류샤오둥;쑨슈런 145

길림성 발해국 왕실 묘지 출토 은평탈매화판형칠렴 복원 / 리란;청리전 147

발해국 왕실 묘지 출토 은평탈제형칠합 보호, 복원 / 리란;청리전 149

발해 상경성 출토 금속 및 제련 유물의 과학기술 분석 / 리천위안;리옌상;자오저푸 151

발해국 농업 생산 발전 자료 수집, 정리 / 방학봉 154

발해국 군사 장비 첫 탐구 / 쑨웨이란 155

러시아 니콜라옙카 유적 출토 어형 청동신부 고찰 / 야오위청 157

발해국 시기 길림의 철기 연구 / 양위수 158

말갈-여진계 동제 대식 및 관련 문제 / 왕페이신 160

당대 발해왕국의 화폐 문제에 관하여 / 웨이궈중 164

당대 발해 금제 장식품 연구 / 자둥메이 166

발해 상경성에서 발견된 응문 동제 대과 / 자오샹핑 167

혼강시 영안 유적 출토 동령 초보 분석 / 장뎬지 168

'화동개진'전으로 본 발해국과 일본의 경제 왕래 / 톈위어;류순창 170

말갈-발해의 조두형 장식 / 펑산궈 171

흑수말갈의 장식품과 연원 / 펑언쉐 172

05. 불교유물 174

발해국 불상 감상, 분석-흑룡강성 박물관 소장품을 대상으로 / 류수이 176

발해 함화4년명 불감 고찰 / 리뎬푸 177

'동경' 고불상 창상록 / 리싱성 178

'발해 함화4년명 불감' 재고 / 사오잉타오 179

두만강 유역 소형 석불조상의 발견과 연구 / 셰펑 180

문자와의 시각에서 본 발해 불교 유물 연구 / 쑹위빈 183

'발해 함화4년명 불감'에 관한 질의 / 야오위청 185

길림 농안 요대 유적 속 발해 문화 요소 분석 / 양하이펑;쉬징화 186

발해의 사리 매장 형식 및 그 형식이 반영하는 문화 교류 정보 추론 / 장보 187

영안현에서 발견된 당대 사리함 / 쯔쥔 188

발해국 불상 / 천셴창 189

영안시 발해진 흥륭사 소장 석제 귀부 및 관련 문제 연구 / 한야난 190

06. 기타유물 191

발해 '천문군지인'에 대한 견해 / 마훙 193

발해 상경성 출토 마구와 마구 운동 / 왕융 195

'물한주 겸 삼왕대도독' 관인 첫 연구 / 왕훙베이;왕위랑 196

발해 '암모화' 연구 / 자오저푸;한야난 198

요령성 조양시 황하로 당묘 출토 말갈 석용 고찰 / 장녠쓰 200

발해 역사, 고고와 관련된 관인 2점 고찰 / 장타오 202

발해 석사자 / 청리 204

당대 발해의 복식-고고 자료를 중심으로 / 펑산궈 205

발해 상경성 2호 궁전지 출토 '장수'가 '향로'일 가능성에 대한 고증 / 펑산궈 207

집안 동대자 유적 출토 옥벽의 연대-압록강 유역 발해 문화유산 집록 / 펑산궈;장신이 208

Ⅲ. 부록 210

판권기 217

표목차

표 1. 발해 논문이 수록된 중국 주요 정기간행물 9

이용현황보기

(국외 간행물 수록) 발해 고고학 : 논문 해제집 = 渤海考古學論文解題集 : 중국. 3, 유물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73412 016.95136 -21-1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73413 016.95136 -21-1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