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4

연구요약 8

제Ⅰ장 연구의 개요 2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4

2. 연구의 배경 26

3. 연구의 주요 내용과 연구 방법 29

제Ⅱ장 해외 청소년 미디어 교육 정책 및 프로그램 32

1. 미국 33

1) 미디어 환경 및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33

2) 학교 및 학교 밖 교육 환경 38

3) 미디어 교육 관련 주요 정책 및 추진 기관ㆍ단체 43

4)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사례 54

5) 시사점 73

2. 호주 79

1) 미디어 환경 및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79

2) 학교 및 학교 밖 교육 환경 85

3) 미디어 교육 관련 주요 정책 및 추진 기관ㆍ단체 96

4)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사례 109

5) 시사점 119

3. 핀란드 123

1) 미디어 환경 및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123

2) 학교 및 학교 밖 교육 환경 137

3) 미디어 교육 관련 주요 정책 및 추진 기관ㆍ단체 148

4)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사례 166

5) 시사점 177

4. 영국 184

1) 미디어 환경 및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184

2) 학교 및 학교 밖 교육 환경 197

3) 미디어 교육 관련 주요 정책 및 추진 기관ㆍ단체 211

4)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사례 231

5) 시사점 242

제Ⅲ장 요약 및 시사점 247

1. 연구의 요약 248

2. 시사점 253

참고문헌 259

ABSTRACT 293

판권기 305

표목차

표 Ⅱ-1. 성별, 인종, 부모의 소득과 교육 수준에 따른 스크린 타임 34

표 Ⅱ-2. 미국 어린이 및 청소년들 소셜 미디어 사용 빈도수와 시간 비교 35

표 Ⅱ-3. 미국 학생들의 미디어 제작 매체 종류, 빈도수와 시간 37

표 Ⅱ-4. 교사인증 프로그램 관련 에세이 주제 42

표 Ⅱ-5. 미디어 리터러시 자문위원회 시행 업무 44

표 Ⅱ-6. 기업의 후원으로 제작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자료 71

표 Ⅱ-7. 호주 청소년의 연령별 미디어 이용 81

표 Ⅱ-8. 호주 청소년의 성별 미디어 이용 82

표 Ⅱ-9. 호주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미디어 이용 시간 차이 83

표 Ⅱ-10.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호주 청소년(6~13세)의 휴대전화 보유 현황 84

표 Ⅱ-11. 부모의 교육 수준에 따른 자녀의 미디어 이용 시간 84

표 Ⅱ-12. 호주 모국어 교과 내용 체계 87

표 Ⅱ-13. 호주 미디어 아트 과목 내용 체계 89

표 Ⅱ-14. 호주 디지털 기술 과목에 나타난 '안전' 관련 내용 요소 90

표 Ⅱ-15. '건강과 체육' 교과의 '안전' 영역 관련 주제 92

표 Ⅱ-16. 가정 내 미디어 기기 수에 따른 부모들의 미디어 지도방법의 변화 93

표 Ⅱ-17. 암라(AMLA)의 미디어 리터러시 핵심 개념(학습을 위한 범위 체계) 98

표 Ⅱ-18. 암라(AMLA)의 구성 단체 100

표 Ⅱ-19. '놀이, 페다고지, 최신 이론과 실천에 기반한 교육과정'의 주요 연구 문제 102

표 Ⅱ-20. 'Data Smart Kids' 프로그램의 주제 및 활동 116

표 Ⅱ-21. 핀란드 미디어 교육 정책 문서 비교 152

표 Ⅱ-22. 핀란드 미디어 교육 정책에 나타난 '미디어 리터러시' 접근 154

표 Ⅱ-23. 핀란드 미디어 교육 부문별 시행 주체 165

표 Ⅱ-24. 영국 '미디어 연구(media studies)' 과목의 교육과정 202

표 Ⅱ-25. 영국 '예술과 디자인(Art and design)' 교과의 목표 및 내용(KS3) 205

표 Ⅱ-26. 영국 '컴퓨팅(Computing)' 교과의 목표 및 내용(KS3) 206

표 Ⅱ-27. SWGfL 교육 프로그램 개관 232

그림목차

그림 Ⅱ-1. 원격 수업 이후 부모 경제력에 따른 교육용 테크놀로지 사용(유치원에서 8학년) 41

그림 Ⅱ-2. 호주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구조 86

그림 Ⅱ-3. 아톰(ATOM) 발행 'Screen Education'의 일부 97

그림 Ⅱ-4. Early Start Discovery Space에 마련된 체험 공간 103

그림 Ⅱ-5. 'ABC Education'의 미디어 리터러시 콘텐츠 104

그림 Ⅱ-6. 게임 형식으로 이뤄진 '광고에 대해 질문하기(Questioning Ads)' 콘텐츠 105

그림 Ⅱ-7. 온라인 안전 위원회 홈페이지의 어린이 관련 콘텐츠 107

그림 Ⅱ-8. 대화를 중심으로 인터넷 안전 문제 바라보기 108

그림 Ⅱ-9. 아톰(ATOM) 선정 'Front Page' 초등 고학년 당선작 110

그림 Ⅱ-10. 아톰(ATOM) 선정 'Photo Comp' 초등 고학년 당선작 111

그림 Ⅱ-11. 가짜뉴스 유통을 통한 수익 창출 개념도 114

그림 Ⅱ-12. '온라인에서 나는 누구일까요?' 핵심 질문(좌) 및 학습지(우) 117

그림 Ⅱ-13. 'FriendSend' 앱과 위치 정보 데이터 118

그림 Ⅱ-14. 핀란드 미디어교육 포스터 '왜 미디어교육인가' 125

그림 Ⅱ-15.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 '모든 뉴스를 믿을 수 있을까' 128

그림 Ⅱ-16. '윌레(Yle)'의 어린이 콘텐츠 라스뗀 아레나 130

그림 Ⅱ-17. 미디어 교육 중점학교 히덴키비 종합학교 142

그림 Ⅱ-18. 헬싱키 중앙도서관 '오디(Oodi)' 145

그림 Ⅱ-19. 부모ㆍ보호자 미디어 이용 습관에 관한 MLL의 캠페인 영상 148

그림 Ⅱ-20. '멀티리터러시 학습의 기쁨(MOI)' 핵심 학습 영역 170

그림 Ⅱ-21.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 잡지 '메디아타이토(Mediataito)' 172

그림 Ⅱ-22. '메디아타이토(Mediataito)' 구성 173

그림 Ⅱ-23. 공영방송 윌레(Yle)의 뉴스 교실 웹사이트 174

그림 Ⅱ-24. 핀란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추진 주체 183

그림 Ⅱ-25. 영국 어린이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보유 현황 185

그림 Ⅱ-26. 영국 어린이의 주당 텔레비전 방송 시청 시간 감소 188

그림 Ⅱ-27. 영국 12~15세 아동들의 뉴스 출처 선호도 193

그림 Ⅱ-28. 영국 12~15세 아동의 소셜미디어 활용 195

그림 Ⅱ-29. 영국의 교육제도 199

그림 Ⅱ-30. 영국 국가교육과정의 전체 구조 200

그림 Ⅱ-31. BFI의 학교 연계 프로그램 1 209

그림 Ⅱ-32. BFI의 학교 연계 프로그램 2 210

그림 Ⅱ-33. EMC의 교육과정 제공 211

그림 Ⅱ-34. Parenting for a Digital Future 224

그림 Ⅱ-35. Global Kids Online 225

그림 Ⅱ-36. Center for Excellence in Media Practice 226

그림 Ⅱ-37. DigiLitEY 사이트 228

그림 Ⅱ-38. National Literacy Trust 233

그림 Ⅱ-39. NewsWise의 구성 235

그림 Ⅱ-40. 미디어 스마트 교육자료 237

그림 Ⅱ-41. 유레이트잇 사이트 238

그림 Ⅱ-42. BBC의 7 Up New Generation 다큐멘터리 사이트 240

그림 Ⅱ-43. EMC의 미디어매거진 사이트 241

이용현황보기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및 대상별 정책대응방안 연구. 1, [1], 초등학생 : 해외사례 조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75226 302.23 -21-23 v.1p.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75227 302.23 -21-23 v.1p.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