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5

제1장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 8

2. 연구 목적 11

제2장 리쇼어링을 둘러싼 글로벌 경제환경 변화 13

1. 글로벌 경제환경 변화 동향과 향후 전망 13

2. 주요국의 글로벌 가치사슬 재구축 현황 20

(1) 미국의 글로벌 가치사슬 재편 정책 20

(2) 중국의 글로벌 가치사슬 재편 정책 24

(3) 일본의 글로벌 가치사슬 재편 정책 27

(4) EU의 글로벌 가치사슬 재편 정책 29

제3장 우리나라의 유턴 정책과 실태 33

1. 법령 분석 33

2. 유턴 기업의 현황 분석 39

제4장 주요국의 리쇼어링 정책 및 현황 45

1. 주요국의 리쇼어링 정책 추진 배경 및 주요 내용 45

(1) 미국 45

(2) EU 51

(3) 대만 53

(4) 일본 56

2. 주요국의 리쇼어링 정책 성과 59

(1) 미국 59

(2) 유럽 64

(3) 대만 70

(4) 일본 72

제5장 한국형 리쇼어링 정책 추진을 위한 방향 75

1. 정책 추진 방향 75

2. 세부 정책 81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86

참고문헌 88

판권기 91

표목차

〈표 2-1〉 최근 미국의 중국 기업 제재 25

〈표 3-1〉 지원 부문의 분류 36

〈표 3-2〉 국내 복귀 기업의 유형별 지원 사례 37

〈표 3-3〉 유턴 기업의 복귀 지역 41

〈표 3-4〉 업종의 연도별 유턴 기업 수 43

〈표 4-1〉 국가별 법인세율 현황 47

〈표 4-2〉 미국을 위한 청사진 48

〈표 4-3〉 AMP 2.0 정책 개요 49

〈표 4-4〉 유럽 개별 국가의 리쇼어링 주요 정책 내용 52

〈표 4-5〉 대만의 리쇼어링 기업 우대 정책 54

〈표 4-6〉 미국의 리쇼어링 현황 60

〈표 4-7〉 대만의 리쇼어링 투자 금액 및 유치 건수(2015~2019. 4) 71

〈표 4-8〉 일본 해외 현지법인의 지역별 철수 현황(기업 수) 72

〈표 4-9〉 일본 기업의 리쇼어링 및 투자 확충 사례 73

〈표 5-1〉 제조업 르네상스와 유턴 정책의 연계(예시) 80

〈표 5-2〉 시도별 주요 산업 테마 80

그림목차

〈그림 3-1〉 2014년 이후 유턴 현황 39

〈그림 4-1〉 미국의 리쇼어링과 FDI로 창출된 누적 일자리 수(2010~2018) 61

〈그림 4-2〉 리쇼어링 방식에 따른 기업 전략(2018) 64

〈그림 4-3〉 유럽의 국가별 리쇼어링 기업 수(2014~2018) 65

〈그림 4-4〉 리쇼어링 기업의 기존 진출국별 현황(2014~2018) 66

〈그림 4-5〉 세부 제조업별 리쇼어링 기업 수(2014~2018) 67

〈그림 4-6〉 기업의 리쇼어링 동기(2014~2018) 68

〈그림 4-7〉 리쇼어링으로 인한 일자리 창출 현황(2014~2018) 69

이용현황보기

리쇼어링(reshoring) 추진전략과 과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84085 658.4058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84086 658.4058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