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4

EXECUTIVE SUMMARY 6

제1장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 현황 11

제1절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 개요 11

제2절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 기본 방향 15

제2장 구강질환의 만성질환관리사업 참여 근거 31

제1절 비전염성질환 관리의 배경 31

제2절 구강질환 및 위험요인 33

제3절 구강 건강과 글로벌 의제 38

제3장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 내 치과 참여 모형 44

제1절 치과 참여 모형 개발 44

제2절 치과 참여 모델 개발 시 선행 해결 조건 50

제4장 고찰 및 결론 52

참고문헌 54

판권기 55

표목차

표 1-1. 2010년-2017년 만성질환 진료현황 12

표 1-2. 국내 주요 만성질환 관리 시범사업 15

표 1-3. 지역사회 일차의료 시범사업과 만성질환관리수가 시범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8

표 1-4.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 급여목록 및 상대가치 점수(점수당 단가 : '19년 의원급 기준 83.4원) 26

표 1-5. 맞춤형 검진 바우처 검사항목 29

표 1-6. 맞춤형 검진 바우처 검사항목별 급여목록 및 상대가치점수 30

표 2-1. 비전염성질환과 구강질환의 공통위험요소 34

그림목차

그림 1-1. 만성질환 유병률. 만 30세이상 대상으로 연도별 유병률은 2005년 추계인구로 연령보정한 표준화율임 13

그림 1-2. (신)요양기관정보마당 홈페이지 내 일차만성질환 항목 내용 19

그림 1-3.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 서비스 프로세스 21

그림 1-4. 일차의료 만성질환 관리 케어 코디네이터 운영모델 27

그림 2-1. 비전염성질환을 통제와 예방을 위한 전세계적 기반 32

그림 3-1.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 서비스 흐름도 중 환자등록 44

그림 3-2.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 서비스 흐름도 중 케어플랜 수립 44

그림 3-3.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 서비스 흐름도 중 환자관리 45

그림 3-4. 치과 내원 환자의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 참여 모델 1 46

그림 3-5. 치과 내원 환자의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 참여 모델 2 48

그림 3-6. 치과 내원 환자의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 참여 모델 2 중 케어플랜 수립 48

그림 3-7. 치과 내원 환자의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 참여 모델 2 중 환자관리 49